사진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Peziza_arvernensis
|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 
|---|---|
| 학명 | Peziza arvernensis Roze & Boud. | 
| 과명 | 주발버섯과(Pezizaceae) | 
| 속명 | 주발버섯속(Peziza) | 
| 특징 | 폭 1∼3cm.잔받침 모양, 후에 방광 모양. 연한 갈색. 바깥 면은 백색, 광택이 있다. 대가 없다. | 
| 자실체 | 자실체는 3~8cm로 잔받침 모양, 후에 방광 모양, 불규칙한 물결형으로 땅에 부착한다. 자낭반 안쪽의 자실층은 연한 갈색, 바깥 면은 백색이며 광택이 나고 밋밋하다. 자낭반의 가장자리는 부정형이며 안으로 말린다. 대는 없다, 식용 | 
| 포자 | 포자는 광타원, 평활  15~20×8~11μm 자낭은 원통형, 8-포자성 260~280×12~16μm | 
| 색상 | 연한 갈색 | 
| 발생계절 | 여름 | 
| 발생형태 | 여름 숲속의 땅에 단생 혹은 군생한다. | 
| 분포 | 한국, 유럽. | 
| 식용여부 | 식용 | 
|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사진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Peziza_arvernensis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