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처진소나무

조회 수 2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inus densiflora f. pendula Mayr
과명 소나무과(Pinaceae)
속명 소나무속(Pinus)
이명 처진솔
분포 청도군 풍각면의 원봉리 안산리 각북면 등에서 야생으로 자란다.
특징 처진소나무는 소나무가 한 품종으로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류송이라고도 부른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No Image

    청떡갈나무

    학명 : Quercus dentata var. fallax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청떡갈
    잎 : 잎은 혁질이며 도란형이고 둔두 이저가 보통이지만 심장저 원저를 거처 둔저인 것도 있으며 길이 5-42(보통 9-22)㎝ 나비 3.5-27(보통 5-17)cm로서 가장자리에 3-17쌍의 큰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표면은 성상모(星狀毛)가 있으나 없어지고 중륵 위에만 남으며 뒷면에는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1-16mm로서 갈색의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 또는 양성화로서 5월에 핀다. 웅화서(雄花序)는 새가지 밑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雌花序)는 위에서 곧추 나와 몇 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4-20개의 수술과 5-11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꽃밥에 털이 있고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견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7mm 지름 7-19mm로서 10월에 익고 포린(苞鱗)은 길며 뒤로 젖혀진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고 수피는 두꺼우며 회갈색이다. 가지는 굵고 넓게 퍼지며 소지는 갈색이고 굵으며 성모가 밀포한다. 동아는 각추상 난형이고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800m 이하의 산기슭과 산중턱에서 많이 자라며 해변의 야산이나 섬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떡갈나무(Q. dentata Thunb.): 잎의 표면에 있는 성상모는 자라면서 가운데 부분만 남고 없어지는 반면 뒷면에는 끝까지 긴 성상모가 남는다.
    특징 : 각종 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수피가 두껍기 때문에 산불에 강하다. 목재는 재질이 거칠며 단단하고 무거우나 잘 갈라진다.
    Read More
  2. No Image

    청닭의난초

    학명 :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난초속(Epipactis) target=_blank>닭의난초속(Epipactis)</a>
    이명 : 파란닭의란 푸른닭의난초
    잎 : 줄기 밑부분에 달린 1-2개의 잎은 초상이고 그 위의 것은 난상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길이 7-12㎝ 나비 2-4㎝ 이고 가장자리와 맥위에 털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에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다. 포는 잎같고 꽃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반쯤 벌어지며 긴 난형이고 길이 1㎝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난형이고 다소 짧다. 순판은 연녹색이며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순판은 반구상 타원형으로서 안쪽이 갈색이며 윗순판은 삼각형이고 다소 뾰족하다. 자방은 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1㎝정도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으며 5-7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이 짧고 온몸에 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금강산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근경이 발달한 다년생 난으로 곧게 서는 줄기에 난형 또는 피침형의 잎이 붙는다.
    Read More
  3. No Image

    청나래고사리

    학명 :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나래고사리속(Matteuccia) target=_blank>청나래고사리속(Matteuccia)</a>
    이명 : 청나래개면마청날개고사리포기고사리
    잎 : 영양엽은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10-20cm정도로 단면이 편평한 삼각형이며 밑부분에는 인편이 달린다. 잎은 길이 40-80cm 폭 15-30cm정도로 끝이 짧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밝은 녹색이다. 우편은 넓은 선형이며 예첨두로 대가 없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비스듬히 벌어지고 나비 2.5-5mm정도로 잔톱니가 있다. 실엽은 가을철에 나오고 높이 30-60cm정도로서 엽병이 엽신보다 짧고 표면에 깊은 홈

    열매 : 우편은 뒤로 말려 포자낭을 감싸고 포자낭군은 우편주맥의 양쪽에 2-3줄로 달린다.

    뿌리 : 근경은 묵은 엽병으로 덮여 있어 둥글고 곧추서며 땅속에서 가는 지하경이 뻗으면서 새 포기를 번식한다.
    분포 :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시베리아 사할린 유럽 북미 등에 널리 분포한다.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속명 Matteuccia는 struthio(花束(화속)) 및 pteris(양치류)의 합성어로서 花束(화속)처럼 잎이 총생한 양치류라는 뜻이다.
    Read More
  4. No Image

    청까마귀머루

    학명 : Vitis ficifolia f. glabrata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포도과(Vitaceae) target=_blank>포도과(V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도속(Vitis) target=_blank>포도속(Vitis)</a>
    이명 : 청가마귀머루 털개머루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6-10cm로서 열편이 다시 갈라지고 만(灣)이 둥글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위에만 털이 밀생한다. 가을철에 잎이 붉게 물든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잎보다 짧고 화경에서 덩굴손이 발달하며 털이 있고 꽃은 잡성으로서 7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5수이며 꽃받침은 윤상이고 꽃잎은 끝이 합쳐지며 밑부분이 갈라져서 떨어진다.
    열매 : 장과는 지름 5-10mm로서 9-10월에 자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나무에 기어 올라가거나 지상으로 뻗는다. 어린부분은 능각이 있으며 적갈색선모로 덮여 있다.

    분포 : 중부 이남.
    형태 : 낙엽만경.


    Read More
  5. No Image

    청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subsessilis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푸른괴불나무 푸른아귀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3-5.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2-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새가지에서 액생하며 길이 4-5mm의 화경에 2개씩 달리고 포는 길이 5-10mm로서 소포보다 짧으며 난형이고 선점이 있으며 소포는 서로 합쳐져 접시 모양이 된다. 화관은 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고 길이 1.2cm로서 상순이 3개로 갈라지며 통부보다 길고 통부는 밑부분이 굵다. 수술은 4개이며 화피열편과 길이가 같고 암술대는 약간 길며 자방은 2개가 윗부분까지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윗부분까지 합쳐진 구형으로 지름 6-8mm이고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골 속이 차 있으며 백색이고 소지는 자갈색이 돌며 털이 없다. 동아는 피침형이며 새가지 기부에 아린이 남아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300-2 300m 사이의 깊은 산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맹아력이 강하여 가지의 밀도가 높고 진초록색인 잎의 색감이 곱고 아름다우며 가을에 주옥처럼 익는 열매가 매혹적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Read More
  6. No Image

    청갈참나무

    학명 : Quercus aliena var. pellucid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타원상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30㎝ 나비 3-19㎝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가 보통이지만 원저 또는 심장저도 있고 끝이 둔하며 4-8쌍의 치아상 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다. 엽병은 길이 1-36mm로서 황색 또는 적색을 띤다.
    꽃 : 꽃은 1가화 또는 양성화로서 5월에 피며 웅화서는 새가지의 기부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곧추선다. 수꽃은 6-14개의 수술과 5-9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과는 삼각형의 포린으로 덮이고 견과는 10월에 익으며 타원형이고 길이 6-23㎜ 지름 7-16㎜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다.
    줄기 : 수피가 그물처럼 얕게 갈라지며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50-1 000m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갈참나무(Q. aliena Blume) ▶졸갈참(var. acuteserrata Maxim.): 잎 가장자리의 톱니모양이 졸참나무의 것과 같은 것. ▶청졸갈참(var. acuteserrata for. calvescens Rehder): 졸갈참과 같고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

    Read More
  7. No Image

    청가시덩굴

    학명 : Smilax sieboldii Miq. f. sieboldi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미래덩굴속(Smilax) target=_blank>청미래덩굴속(Smilax)</a>
    이명 : 종가시나무청가시나무 청가시덤불 청경개까시나무청미래청밀개덤불청열매덤불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cm 폭 3-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약간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길이 2-3mm로서 넓은 종같으며 엽액에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경(花莖)은 길이 15m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길이 2-3mm이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7-9mm로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길이가 5m에 달하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목.
    유사종 : ▶민청가시덩굴(var. inermis Nak.) : 원줄기에 가시가 없다.

    Read More
  8. 철쭉

    학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달래속(Rhododendron) target=_blank>진달래속(Rhododendron)</a>
    이명 : 개꽃나무 참철쭉철쭉꽃 철쭉나무 함박꽃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끝에서는 4-5개씩 총생한다. 잎 모양은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원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10cm 폭 3-6cm 정도 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잎과 더불어 5월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3-7개씩 가지끝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5m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화관은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꽃잎은 적갈색 반점이 있고 깔때기모양이며 지름 5-8cm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길이가 같지 않고 긴 것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수술대에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길며 기부에 돌기가 있고 자방에 선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상 난원형이며 길이 1.5cm로 선모가 있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5m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가 있으나 없어지며 회갈색으로 된다. 줄기는 직립·생장하지만 굵은 가지를 많이 내고 수피는 연황갈색으로 털이 없다.
    뿌리 : 긴 뿌리가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2 000m사이의 산야에 자생한다. 지리산에서는 해발 1 800m이상까지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철쭉(for. albiflorum T. Lee): 흰색꽃이 핀다.
    특징 : ▶꽃은 독성이 있어 진달래와 달리 식용할 수 없다. ▶강원도 정선군 북면 반륜산의 철쭉나무와 분취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48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96 450㎡ ⓑ지정사유:노거수 학술연구자원 ⓒ수령:200년 ⓓ나무높이:5m ▶5월에 피는 담홍색 꽃은 불완전한 색깔을 가지고 있어 보면 볼수록 매력적이고 감미로운 정감을 느낀다. 내음성이 강하여 숲 밑에 하목으로 식재하면 복층적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file
    Read More
  9. No Image

    천지백

    학명 : Thuja orientalis f. sieboldii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눈측백속(Thuja) target=_blank>눈측백속(Thuja)</a>

    잎 : 잎은 비늘모양으로 뾰족하며 도란형 또는 난형으로서 백색의 점이 약간 있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4월에 꽃이 피는데 지난해의 가지 끝에서 단 1개의 수꽃이 길이 2.0-2.5㎜로 피고 연한 자갈색의 암꽃은 지름 2㎜로서 8개의 실편(實片)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1.5-2.0㎝인 계란형의 구과로 9월에 익는다.
    줄기 :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빗자루처럼 자란다.

    분포 : 충북 단양과 경북 대구의 석회암지대의 표고 200-600m에서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석회암지대의 지표식생으로 맹아력이 강하며 생장속도가 빠르다. 측백나무에 비해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서 빗자루처럼 자란다.
    Read More
  10. No Image

    천일홍

    학명 : Gomphrena globos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일홍속(Gomphrena) target=_blank>천일홍속(Gomphrena)</a>
    이명 : 천날살이풀 천일초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가 3-10cm로서 엽병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두상화서가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밑부분에 잎같은 2개의 난상 원형의 포가 받치고 있다. 두화는 2개의 소포로 싸여 있는 많은 소화로 되며 소화는 보통 적색이지만 연홍색 또는 백색인 것도 있다. 화피열편은 5개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소포보다 짧고 털이 있다. 5개의 수술이 유합하여 통같이 되며 통 끝부분 안쪽에 꽃밥이 달려서 끝이 약간 나타난다. 자방은 1개이며 암술대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에 바둑알 같은 종자가 1개씩 들어있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40cm정도이다.

    분포 :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Read More
  11. No Image

    천일사초

    학명 : Carex scabrifolia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갯갓사초
    잎 : 잎은 폭 1.5-2.5mm로서 편평하며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고 적자색에서 자주색으로 되며 그물처럼 갈라진다.
    꽃 : 5~7월에 개화한다. 소수는 3~5개로서 윗부분의 2-3개는 수꽃이고 가깝게 붙어 있으며 길이 2-4cm로서 선형이고 자소수는 1-2개가 밑부분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고 곧추서며 길이 1-2cm이고 첫째 소수는 짧은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화경(花莖)보다 길지만 끝부분의 것은 매우 작고 자화영은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으며 구리색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비스듬히 달리며 세모진 타원형이고 길이 7-8mm로서 연한 황갈색이며 밋밋하고 맥이 많다. 부리는 끝이 딱딱하며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고 길이 4-5mm로서 세모진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뻗는 줄기가 길게 뻗으며 세모지고 껄끄럽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2. No Image

    천일담배풀

    학명 : Carpesium glossophyll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풀속(Carpesium) target=_blank>담배풀속(Carpesium)</a>
    이명 : 주걱담배풀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꽃무늬처럼 지면으로 퍼지는 로제트형이고 도피침상 설형이며 길이 9~15cm 폭 2.5~3.5cm로서 둥근 끝이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좁으며 잔돌기가 산생하고 양면에 털이 많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적으며 드물게 달리고 뿌리잎보다는 작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이다.
    꽃 : 8~10월에 개화하고 줄기나 가지 끝에 황록색 두상화가 1개 밑을 향해 달리며 피침형의 포영이 있고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며 길이 6-8mm 나비 8-15mm이고 포편은 외편이 짧으며 밖으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중편과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4mm로서 다소 편평한 원추형이고 끝에 선점이 있으므로 끈끈하다.
    줄기 : 높이 25-50cm이며 털이 밀생하고 다소 화경상(花莖狀)이며 윗부분이 다소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3. No Image

    천인국아재비

    학명 : Dracopis amplexicaulis Cas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인국아재비속(Dracopis) target=_blank>천인국아재비속(Dracopis)</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이며 잎자루는 없고 아래쪽의 잎새는 장타원형 또는 주걱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망상(網狀)맥이 있다. 위쪽의 잎은 난형(卵形) 난상 타원형(卵狀楕圓形)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4-8㎝ 폭 2-4㎝로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심장저(心臟底)로 줄기를 둘러싼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두상화서가 달린다. 두화(頭花)는 지름 6㎝내외이며 황색이다. 총포편은 8-10개이고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1열로 배열된다. 설상화(舌狀花)는 중성으로 황색이며 때로는 기부가 진한 갈색을 띠기도 한다. 많은 수의 통상화(筒狀花)는 양성화(兩性花)로 기부가 인편에 싸여 있고 갈색을 띤다. 화탁(花托)은 난상 타원형으로 때로는 길이 30㎜정도로 길게 자라기도 한다.
    열매 : 열매(瘦果)는 각(角)이 지지 않았고 화탁에 비스듬히 착생한다.
    줄기 :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가지를 치며 높이 30-60㎝로 골이 파져 있다.

    분포 : 의정부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서는 1999년 6월 17일 의정부에서 채집하여 확인하였는데 이 식물은 새로운 도로 공사로 생긴 절개지를 피복하는 양잔디 종자 살포시 혼입되어 들어와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추천인국의 꽃과 비슷하여 국명을 `천인국아재비`로 명명하였다. ▶천인국아재비속(Dracopis Cass.)은 우리 나라에 처음 소개되는 속(屬)으로 삼잎국화속(Rudbeckia L.)에 가까우며 삼잎국화속의 열매가 4각인 점에 비하여 천인국아재비속은 가지지 않고 특히
    Read More
  14. No Image

    천수국

    학명 : Tagetes erec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수국속(Tagetes) target=_blank>천수국속(Tagetes)</a>
    이명 : 아프리칸메리골드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의 1회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나 밋밋해 보이며 독특한 냄새가 나고 측맥 끝에 유점이 있다.
    꽃 : 꽃은 여름철에 피지만 온상에서 기른 것은 5월에 피며 두화는 윗부분이 굵어진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5-10cm로서 황색 연한 황색 또는 적황색이다. 설상화는 암꽃으로서 열매를 맺으며 화관은 윗부분이 입술처럼 퍼지고 파상이며 중심부의 관상화는 양성으로서 열매를 맺고 두상화는 양성으로서 열매를 맺고 5개로 갈라진다. 총포는 컵모양이며 길이 1.5-2cm이고 포편은 밑부분이 합생하여 밋밋하다.
    열매 : 수과는 다소 모가 지며 굽고 관모는 가시같으며 길이가 같지 않다.
    줄기 : 높이 45-6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평활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 나온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천수국(千壽菊)이란 만수국(萬壽菊)에 대하여 지은 이름이다.
    Read More
  15. No Image

    천선과나무

    학명 : Ficus erect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화과나무속(Ficus) target=_blank>무화과나무속(Ficus)</a>
    이명 : 긴꼭지천선과 꼭지천선과 천선과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5-20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표면에 털이 악간 있는 것도 있고 엽맥이 뚜렷하게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새가지의 엽액에서 1개의 화경이 자라고 끝에 3개의 포가 있으며 그 위에 둥근 화낭(花囊)이 있다. 주머니 같은 화낭은 지름 15mm내외로서 그안에 많은 꽃이 들어 있으나 꽃은 화낭에 싸여 볼 수 없다. 수꽃은 5-6개의 화피열편과 3개 정도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5개의 화피열편과 대가 있는 1개의 자방에 짧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은화과(隱花果)로 9-10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화낭이 자라서 열매로 되며 자흑색으로 익으면 식용한다.
    줄기 : 높이 2-4m이고 수피는 평활하며 가지는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새 가지에서 피목(皮目)이 발달하여 무늬처럼 보인다.

    분포 : ▶일본의 난대지역에도 분포한다. ▶남쪽 해안지대와 섬에서 백양산까지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좁은잎천선과나무(var. sieboldii King) : 잎이 좁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맹아지의 잎이 거치상이고 남쪽섬에 자란다. 젓(젖)꼭지나무라고도 한다. 천선과나무와 같은 지역에 자라고 있다. ▶인도고무나무(F. elastica Roxb.): 잎은 타원형 긴 타원형 길이 10-13㎝ 끝이 뾰족하며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죽질이다. ▶천선과나무(F. erecta Thunberg): 수피는 매끈하고 가지는 회백색으로 털이 없다. 잎은 도
    특징 : ▶경상남도 남해군 산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숲에서 나는 수종은 생달나무 광나무 비쭈기나무 모람 송악 졸참나무 참느릅나무 쥐똥나무 붉나무 검양옻나무 윤노리나무등이 있다. ▶상처를 주면 무화과나무(Ficus carica L.)처럼 흰 유액이 나온다.
    Read More
  16. No Image

    천문동

    학명 :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짜루속(Asparagus) target=_blank>비짜루속(Asparagus)</a>
    이명 : 부지깽나물 호라지좃
    잎 : 미세한 막질 또는 짧은 가시로서 줄기에 흩어져 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담황색으로 1-3개씩 모여 액생하며 길이 3m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서 중앙부에 관절이 있으며 꽃잎과 길이가 거의 같다. 꽃잎은 6개이고 옆으로 퍼지며 좁은 선상 타원형이고 6개의 수술은 꽃잎보다 짧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병모양이고 3실이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서 백색이며 구형이고 지름 6mm정도로서 그 속에 1개의 검은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길이 1-2m로서 덩굴성이고 길게 자라며 가늘고 평활하다. 잔가지는 가는 잎모양으로 1-3개씩 총생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여 가시같고 길이 1-2cm 폭 1-1.2mm로서 활처럼 굽으며 윤채가 있고 줄기에 호생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길이 5-15cm이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 전남(목포 매가도 금도) 전북(전주) 경북(가야산 울릉도) 경남(통영)에 야생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노간주비짜루(A. rigidulus)
    특징 : 옛날에는 유명한 강장제로 알려져 있었던 탓으로 우리나라에는 `호라지(비)좆`이라는 별난 별명도 붙여져 있다. 울릉도에서는 눈 속에서 돋아나는 이 나물을 `부지깽이나물`이라 하여 산채 중의 으뜸으로 꼽는다.
    Read More
  17. No Image

    천마

    학명 : Gastrodia elat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마속(Gastrodia) target=_blank>천마속(Gastrodia)</a>
    이명 : 수자해좃
    잎 : 잎은 보통 없고 인편엽(鱗片葉)은 성기게 나며 하부의 것은 짧은 초를 형성한다. 초상엽은 막질이고 길이 1-2㎝로서 세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싼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는 길이 10-30cm로서 많은 꽃이 달리고 포는 피침형 또는 산상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7-12mm 나비 2mm로서 막질이며 둔두이고 잔맥이 있다. 외화피 3개는 합쳐져서 표면이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처럼 보이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달리므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것처럼 보인다. 순판은 길이 1cm정도로서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의 돌기로 화통부의 앞쪽 내부에 달리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2-15mm로서 끝에 화피가 있고 5mm 내외의 대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60~100cm로서 원주형이고 곧추서며 털이 없고 황갈색이다.
    뿌리 : 괴경은 비대하며 장타원형이고 가로로 뻗으며 길이 10-18㎝ 지름 3.5㎝로서 옆으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근경을 천마라 한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천천마 ▶귀천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Read More
  18. 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천남성과(Araceae) target=_blank>천남성과(A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남성속(Arisaema) target=_blank>천남성속(Arisaema)</a>
    이명 : 가새천남성 청사두초톱이아물천남성
    잎 :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열매 :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뿌리 :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구경 위의 인편은 얇은 막질이다.
    분포 :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19. No Image

    천궁

    학명 : Cnidium officinale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궁속(Cnidium) target=_blank>천궁속(Cnidium)</a>
    이명 : 궁궁이참천궁
    잎 : 잎은 호생하고 2회 우상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고 소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백색으로 8~9월에 피며 복산형화서로서 줄기끝이나 가지끝에 정생한다. 총산경(總傘梗)은 10개 내외이고 소산경은 15개이며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고 선형이다. 화관(花冠)은 소형이며 꽃잎은 5개이고 안으로 굽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1개의 자방이 있다.
    열매 : 난형이고 성숙하지 않는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줄기가 갈라지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비대하며 약간 염주상(念珠狀)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메천궁(C. univittatum)

    Read More
  20. No Image

    처진소나무

    학명 : Pinus densiflora f. pendula May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나무속(Pinus) target=_blank>소나무속(Pinus)</a>
    이명 : 처진솔





    분포 : 청도군 풍각면의 원봉리 안산리 각북면 등에서 야생으로 자란다.


    특징 : 처진소나무는 소나무가 한 품종으로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류송이라고도 부른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