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청잎갈나무

    학명 : Larix olgensis f. viridis (Wilson)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잎갈나무속(Larix) target=_blank>잎갈나무속(Larix)</a>
    이명 : 록실이깔나무


    열매 : 열매가 청색이다.


    분포 : 금강산
    형태 : 낙엽교목


    Read More
  2. No Image

    청오미자

    학명 : Schisandra viridicarp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오미자과(Schisandraceae) target=_blank>오미자과(Schisand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미자속(Schisandra) target=_blank>오미자속(Schisandra)</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길이 7~8cm이며 가장자리에 약간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흰색이고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화피는 6~7장이며 난형이고 수술 5개 암술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푸른색으로 익는다.


    분포 : 한국(제주도 한라산) 일본 구대륙의 난ㆍ온대
    형태 : 낙엽 덩굴나무이다.

    특징 : 청오미자는 엽병이 잎이 떨어질 때까지 푸른색이다.
    Read More
  3. No Image

    청실리

    학명 : Pyrus ussuriensis var. ovoidea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나무속(Pyrus) target=_blank>배나무속(Pyrus)</a>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4-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 털이 없다.
    꽃 : 꽃은 5-7개씩 산방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화관은 지름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지름 3-4cm로 8-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소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의 산지 또는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교목
    유사종 :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남해배(var. nankaiensis T.LEE) : 어린 가지와
    특징 : 맹아력이 강하고 열매가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다르다.
    Read More
  4. No Image

    청시닥나무

    학명 : Acer barbinerve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이명 : 개시닥나무민시닥나무산겨릅나무 청여장 털시닥나무 푸른시닥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5-10cm 너비 4-7cm로서 가장자리가 5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어릴 때는 뒷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져 엽맥에만 털이 남고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으며 열편 끝에 톱니가 없고 엽병은 길이 4-13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4-7개의 꽃이 가지 끝에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에 털이 산생한다. 암꽃은 새 가지 정단에서 나오고 꽃자루는 길이 1-2cm이며 수꽃은 전년도 가지 끝에 나오고 꽃잎은 4장으로 도란상 타원형이며 황록색이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둔각 또는 직각으로 벌어지며 길이 3-3.5cm 나비 8-12mm로서 주름살이 많고 10월에 익으며 날개가 피침형이고 소과경은 길이 1.5-2cm이다. 열매는 5-7개가 모여 달리고 소견과는 구형이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며 평활하고 소지는 누른빛이 돌지만 간혹 홍색인 것도 있으며 털이 있다.

    분포 : 울릉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깊은 산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소교목
    유사종 : ▶개시닥나무(var. glabrescens) : 잎 뒷면에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Read More
  5. No Image

    청쉬땅나무

    학명 : Sorbaria sorbifolia f. incerta (C.K.Schneid.)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쉬땅나무속(Sorbaria) target=_blank>쉬땅나무속(Sorbaria)</a>

    잎 : 잎은 호생하며 13-23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원저로 길이 6-10cm 폭 1.8-2.5cm이다.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성모가 있으며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복거치가 있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가지 끝에 길이 10-20cm의 복총상화서를 이루며 많은 꽃이 달린다. 화서는 꽃자루와 더불어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0.8-1.2cm이며 백색이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고 꽃받침잎은 삼각상 난형이며 6-7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40-50개로서 꽃잎보다 길고 자방은 5개이며 털이 없고 이생한다.
    열매 : 열매는 5개의 골돌로 긴 원형이며 길이 6mm이고 유두상의 털이 밀생하여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많은 줄기가 한군데에서 총생하고 털이 없거나 성모가 있다.
    뿌리 : 뿌리가 땅속줄기처럼 뻗는다.
    분포 : 강원도 및 황해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점쉬땅나무(for. glandulosa) : 잎 뒷면에 선점이 있다. ▶쉬땅나무(S.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 잎은 길이 20-30㎝의 기수우상복엽으로 어긋나며 소엽은 13-23개이고 길이 6-10㎝ 폭 1-2㎝로서 겹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Read More
  6. No Image

    청수크령

    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 var. viridescens (Miq.)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크령속(Pennisetum) target=_blank>수크령속(Pennisetum)</a>
    이명 : 청스크령 푸른수크령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40-60㎝ 나비 9-15㎝로서 털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화수는 원주형(圓柱形)이고 길이 15-25㎝ 지름 15㎜로서 흑자색이다.소수(小穗)의 대는 길이 1㎜정도로서 중축과 더불어 털이 밀생하며 소지에는 1개의 양성화와 수꽃이 달린다. 소수는 길이 5㎜정도이고 총포모(總苞毛)는 길이 25-28㎜이며 색이 연하다. 첫째 포영은 길이 0.7㎜정도로서 맥이 없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3㎜정도로서 3-5맥이 있다. 퇴화된 호영은 소수와 길이가 같고 양성화를 둘러싸며 7맥이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5


    뿌리 : 근경에서 억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위끝에 중축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붉은수크령 (for erythrochaetum OHWI)

    Read More
  7. No Image

    청수리딸기

    학명 : Rubus corchorifolius var. oliveri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8-15cm로서 3출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약간 있다. 밑부분이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는데 특히 맹아에 있어서 그러하고 엽병은 길이 15-20mm이다.
    꽃 : 꽃은 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지름 3cm로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내외면과 자방에 백색 융모가 밀생하며 꽃잎은 긴 도란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취합과로 구형이며 지름 1-1.2cm로 6-7월에 황홍색으로 성숙하고 독특한 냄새가 있으나 식용이 가능하다. 종자에 주름이 있다.
    줄기 : 뿌리에서 싹이 나와 군생하며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시가 있으며 줄기에는 털이 없다.

    분포 : 전라도와 충청남도의 표고 50-900m에서 군생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수리딸기(R. corchorifolius L. fil.): 잎은 길이 8-15㎝의 난형 또는 삼각형이며 표면의 맥 위와 잎 뒷면에 털이 나 있으며 줄기에도 털이 있다.
    특징 : 양지바른 산기슭이나 황폐한 곳 등에 1차식생으로 침입한다.
    Read More
  8. No Image

    청소엽

    학명 : Perilla frutescens f. viridi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들깨속(Perilla) target=_blank>들깨속(Perilla)</a>

    잎 : 잎은 청색으로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넓은 난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 특히 긴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위쪽것은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아래쪽 것은 2개로 갈라지며 통부의 내외부에 털이 있다. 화관은 통부가 짧고 하순이 상순보다 약간 길며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꽃받침안에 들어 있으며 지름 1.5mm로서 둥글다.
    줄기 : 둔한 사각이 지며 곧추 자란다.

    분포 : 재배하고 있다.
    형태 : 일년초


    Read More
  9. No Image

    청사초

    학명 : Carex breviculmis R.B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두메사초 이삼사초 풀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1~5mm이며 기부의 엽초는 짙은 갈색으로서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은 윗부분이 깔깔하며 둔한 삼각형이다. 4~6월에 개화한다. 소수(小穗)는 2-6개이고 곧추서며 웅화수(雄花穗)는 끝에 달리고 곤봉형이며 자화수는 옆에 달리고 길이 5-30mm 지름 3-4mm로서 대가 있는 것이 있다. 포는 밑부분의 것은 짧은 잎같으며 엽초가 짧고 자화영(雌花穎)은 까락을 제외한 길이가 2-3mm이며 연한 백색이고 뒷면에 1-3맥이 있으며 끝이 까락처럼 되고 웅화영은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굴고 암술머리는 3개이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막질이고 뚜렷하지 않은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1.5-3mm로서 연한 청녹색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맥이 많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대로 되며 부리는 짧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짐. 수과는 세모지며 과포에 밀착하고 상부에 부속체가 있다.
    줄기 : 높이 5-40cm이고 총생하며 포복지가 없다.
    뿌리 : 근경은 없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갯청사초 (var.fibrillosa Kuekenth.): 옆으로 뻗는 근경이 있고 첫째 포가 화경보다 길며 과포의 길이가 3mm이며 안면도에서 자란다.

    Read More
  10. No Image

    청사철란

    학명 : Goodyera schlechtendaliana f. similis (Blume)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철란속(Goodyera) target=_blank>사철란속(Goodyera)</a>






    분포 : 한국 일본


    특징 : 기본종인 사철란에 비해 잎에 백색 반점이 없다.
    Read More
  11. No Image

    청사조

    학명 : Berchemia racemosa Siebold & Zucc. var. racemos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먹넌출속(Berchemia) target=_blank>먹넌출속(Berchemia)</a>

    잎 : 잎은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 2개씩 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3cm 나비 4.5-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7-8쌍의 측맥이 있다.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윤채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7-8월에 많은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을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만경식물로 옆으로 비스듬히 엉키고 가지는 먹칠을 한 듯이 검은 자록색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군산 水源地에서 자란다.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먹넌출(var. magna Makino): 청사조에 비해 잎이 크며(길이 8-13㎝ 너비 4.5-7㎝) 충남 서산군 안면도에서 자란다.
    특징 :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고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다. 맹아력이 강하고 수세도 강건하게 생장한다.
    Read More
  12. No Image

    청비수리

    학명 : Lespedeza inschanica (Maxim.) Sch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싸리속(Lespedeza) target=_blank>싸리속(Lespedeza)</a>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긴 도란형이며 원두 또는 약간 요두이고 예저로서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비수리의 잎처럼 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견모가 드문드문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거의 흰색이며 길이 1cm로서 액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기판이 가장 길며 익판이 가장 짧고 백색이지만 기판의 중앙부는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잎은 길이 4mm로서 깊게 갈라지지만 뒤쪽의 것은 약간 얕게 갈라지며 모두 견모가 있고 각 열편에 3-5맥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타원형이며 털이 있고 황갈색으로서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가지가 길게 퍼져 키가 높지 않고 푸른빛이 돌며 원줄기와 더불어 견모가 어느 정도 밀생하지만 줄기 밑부분에는 털이 적고 원줄기가 끝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분포 : 인천 근방에 난다.
    형태 : 초본성 식물
    유사종 : 땅비수리
    특징 : 땅비수리와 호비수리의 잡종이며 초본성으로서 겉모양이 땅비수리와 비슷하지만 잎이 더 넓고 가지가 길게 퍼지기 때문에 키가 높이 자라지 못하며 더 푸른빛이 돈다.
    Read More
  13. No Image

    청비름

    학명 : Amaranthus virid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름속(Amaranthus) target=_blank>비름속(Amaranthus)</a>
    이명 : 비름 푸른비름
    잎 : 잎은 호생하고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길이 4-8cm 나비 2.5-6cm로서 끝이 둔두 또는 요두이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절저이다. 엽병이 길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녹색이고 원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수상화서는 굵고 꽃이 다닥다닥 붙어있다. 포는 좁은 난형으로 막질이며 길이2/3mm정도이고 화피보다 훨씬 짧으며 끝이 까락같이 뾰족하다. 화피는 3장이고 길이 1-1.2mm로서 넓은 도피침형이다.
    열매 : 열매는 개과로서 둥글고 화피보다 약간 길며 주름이 많고 수평으로 갈라지지 않는다. 종자는 지름 1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50-90cm이고 털이 거의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눈비름(A. deflexus L.):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지고 잎은 난형 좁은 난상 삼각형 길이 1-4㎝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특징 : 열매가 벌어지지 않고 주름이 많으며 포가 작은 것이 특색으로서 화서가 굵고 전체적으로 털이 거의 없다.
    Read More
  14. No Image

    청비녀골풀

    학명 : Juncus papillosus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8%ED%92%80%EA%B3%BC(Juncaceae) target=_blank>골풀과(Jun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풀속(Juncus) target=_blank>골풀속(Juncus)</a>
    이명 : 실골 푸른비녀골풀
    잎 : 잎은 편원통형이며 화서보다 짧고 나비 1-2mm로서 단관질(單管質)이지만 격막이 완전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끝에 달리고 작은 두상화가 드문드문 달리며 두상화는 2-3개의 꽃으로 된다.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화피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mm정도로서 녹색이 돌고 안쪽 것이 약간 길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꽃밥은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삭과는 피침형이며 길이 3.5-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종자는 도란형이며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총생하며 높이 20-40㎝로서 가는 원기둥 모양이고 2-3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가을에 짧은 지하경이 뻗으며 끝에 육질의 월동아(越冬芽)가 형성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5. No Image

    청분비나무

    학명 : Abies nephrolepis f. chlorocarpa Wils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전나무속(Abies) target=_blank>전나무속(Abies)</a>
    이명 : 록실분비나무
    잎 : 잎은 선형이며 어린 가지의 것은 끝이 갈라지고 길이 4㎝ 폭 1.8㎜ 이지만 과지의 것은 첨두로서 길이 15-28mm 폭 1.5-1.8mm이며 뒷면이 백색이고 횡단면의 수지구(樹脂溝)는 양쪽 중앙에 있다. 빗살처럼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웅화서는 길이 10mm이며 자화서는 길이 45mm 지름 8mm로서 자주색이다. 포는 길이 3mm로서 끝이 약간 보일 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익는다. 구과는 긴 난형 또는 난상 원통형이며 9월이면 길이 4.0-5.5㎝ 직경 2.0-2.5㎝로서 녹갈색이고 구과의 실편(實片)은 녹색이며 끝은 자벽색으로 길이 9mm 폭 15mm로서 길이 6mm의 침상의 돌기가 있다. 종자는 길이 6-6.6㎜내외의 삼각형이며 녹갈색이고 날개는 폭 6mm로서 벽색이다.
    줄기 : 가지가 가늘고 줄기가 곧게 올라간다. 수피가 갈라지지 않고 황갈색 소지에 갈색 털이 있다. 동아는 난상 원형으로서 다갈색이며 털이 없고 수지가 약간 묻는다.

    분포 : 전국의 표고 700m이상의 산중턱과 산정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유사종 : ▶분비나무 (A. nephrolepin MAX.)
    특징 : 잎의 질감과 수형이 미려하며 특히 나무껍질이 백록색으로 군집하고 있는 모습이 아름답다.
    Read More
  16. No Image

    청부싯깃고사리

    학명 : Cheilanthes argentea f. obscura (Christ)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A%B3%BC(Pteridaceae) target=_blank>고사리과(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부싯깃고사리속(Cheilanthes) target=_blank>개부싯깃고사리속(Cheilanthes)</a>
    이명 : 푸른부싯깃고사리
    잎 : 근경 끝에 총생하는 잎은 길이 10-20cm이다. 엽병은 엽신보다 훨씬 길고 자갈색 윤채가 있으며 부러지기 쉽고 밑부분에 좁은 인편이 붙는다. 엽신은 길이와 나비가 각각 3-7cm이며 첫째 인편을 제외한 우편은 중축에 넓게 달림과 동시에 흘러서 좁은 날개로 된다. 첫째 우편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뒷부분이 보다 넓기 때문에 엽신이 오각형으로 되며 표면과 뒷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백색 또는 황백색의 가루로 덮이며 중축은 자갈색으로서 색의 조화가 아름답다.

    열매 : 포자낭이 달리는 잎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서 포막처럼 되고 안에 포자낭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은 짧고 피침형의 흑갈색 인편으로 덮이며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수원과 함북 부령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부싯깃고사리 C. argentea (GMEL.) KUNZE

    Read More
  17. No Image

    청복분자딸기

    학명 : Rubus coreanus f. concolor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이명 : 청복분자 청복분자딸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3-7개이고 길이 3-7㎝로서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기부는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겹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으며 엽병에 가시가 있다.
    꽃 : 장미색으로 5~6월에 가지 끝의 산방 또는 복산방화서에 달려 개화하며 꽃받침잎은 길이 6㎜의 난상피침형인데 털이 있고 꽃이 지면 뒤로 말린다. 꽃잎은 길이 5㎜의 난형으로 연한 홍색이다.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 : 과실군은 반구형으로 7~8월에 붉게 익은 후 검게 변한다. 과실을 복분자라 한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줄기는 자주색 또는 적색이고 백분(白粉)으로 덮여 있으며 구자(鉤刺)가 있다.
    뿌리 :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린다.
    분포 : 경남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복분자딸기(R. coreanus Miq.) : 잎은 호생하고 소엽은 길이 3-7㎝의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중국산복분자(R. chingii Hu): 미숙과가 강장 축뇨약(縮尿藥)으로 쓰인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18. No Image

    청미래덩굴

    학명 : Smilax chin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미래덩굴속(Smilax) target=_blank>청미래덩굴속(Smilax)</a>
    이명 : 망개나무 매발톱가시명감 명감나무 섬명감나무좀명감나무좀청미래 종가시나무청열매덤불팔청미래
    잎 :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혁질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두껍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 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7-20mm이고 탁엽은 덩굴손이 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산형화서는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30mm 소화경은 길이 1cm정도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뒤로 말리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3실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종자는 황갈색이며 5개 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마디에서 굽어 자라며 길이 3m에 이르고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뿌리 : 근경은 땅속에서 길게 옆으로 뻗으며 육질이 딱딱하고 불규칙하게 휘어지며 드문드문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산야 표고 1 600m이하의 양지에서 자생하고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덩굴성 관목
    유사종 : ▶좀청미래(var. microphylla Nak.) : 전체가 소형이며 줄기가 곧고 가지가 많으며 높이 20-50㎝이고 잎은 길이 1-5㎝ 폭 0.7-4.3㎝이며 밑부분에서 5맥이 나온다. ▶청가시덩굴(S. sieboldii Miq.) : 엽병중앙부에 덩굴손 열매는 흑색이다.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청미래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배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Read More
  19. No Image

    청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bryoniaefolium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명아주속(Chenopodium) target=_blank>명아주속(Chenopodium)</a>
    이명 : 세명아주좀능쟁이 참명아주 푸른능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삼각형이거나 밑부분이 3개로 갈라져서 창검처럼 되고 난형인 것도 있으며 길이 3-5cm 폭 2.5-4.5c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절저이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는 것도 있고 뒷면은 흰색 가루에 덮여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의 수상화서에 달리고 꽃은 그리 밀착하지 않는다. 꽃받침열편과 수술은 각각 5개이고 꽃잎은 없으며 암술대는 2개이다. 꽃받침열편은 넓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겉에 돌기가 없으며 원반형이고 1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가장자리에 능선이 있고 뚜렷하지 않은 방사상의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북미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등지에 분포한다. ▶국내에는 충청남도 전라남도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좀명아주(C. ficifolium Smith): 전체에 털이 없고 윗부분이 흰 가루에 덮인다. 잎은 삼각상 긴 타원형 삼각상 좁은 난형 길이 2-5㎝이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

    Read More
  20. No Image

    청멍석딸기

    학명 : Rubus parvifolius f. concolor (Koidz.) Sug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우상복엽이지만 맹아(萌芽)에 있어서는 5개씩 달린 것도 있다. 소엽은 길이 2~5cm로서 광란형 또는 도란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정소엽은 흔히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털이 거의 없고 엽병에는 털이 나 있다. 가장자리에 결각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장미색으로 초여름에 피며 취산화서로서 정생(頂生)한다. 꽃받침은 길이 7-8㎜의 피침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장이고 적색이며 길이는 5㎜로 꽃받침보다 짧고 화경에 털과 가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지름 1.2-1.5㎝인 반원형이며 대형으로 7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옆으로 뻗으며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털이 흩어져 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50-100m의 마을 주변과 원야에 자생하며 일본의 오키나와 대만 중국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멍석딸기(R. parvifolius L.) :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다. ▶사슨딸기(var. taquetii T.LEE) : 잎의 길이가 2cm이고 엽병과 줄기에 가시가 많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