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덕우기름나물

조회 수 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eucedanum insolens Kitag.
과명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기름나물속(Peucedanum)
근생엽은 3회 3출 우상복엽으로 크고 넓으나 줄기 위쪽의 잎은 작아지며 분지형과 꽃잎의 모양이 P. cervaria라는 유럽종과 유사하다. 그러나 소엽은 엷고 소엽병이 있으며 분과는 아주 편평해서 미성숙시에는 완정히 2개로 갈라져서 6개로 빽빽하나 유관은 거의 없고 완숙한 과실에는 융조가 유합하여 3개로 되며 유관은 가늘고 각 배구 1개 합생면에 1개가 있는 것이 다르다.
분포 한반도(강릉 덕우산)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J. Jap. Bot. 47 : 355, pl. 9-10 (1972)

  1. No Image

    덤불조팝나무

    학명 : Spiraea miyabei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팝나무속(Spiraea) target=_blank>조팝나무속(Spiraea)</a>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피침형이며 얇고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4-7cm로서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맥 위에만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5㎜이다.
    꽃 : 4-5월이면 꽃은 새가지 끝에 지름 10cm의 복산방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7-8mm의 흰색꽃이 핀다. 꽃받침잎은 퍼지며 약간 뒤로 젖혀지고 수술은 아원형의 꽃잎보다 2-3배 길다.
    열매 : 골돌과로 잔털이 나 있으며 암술대가 약간 밑에 달려 있는데 6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소지는 황색이며 능각이 있고 어릴 때는 잔털이 있으며 늙은 가지는 회백색이다.

    분포 : ▶중국 일본에도 자란다. ▶강원도 이북의 해발 200-2 200m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둥근조팝나무(S.betulifolia Pall.):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복거치 때로는 단거치이다. 둥근잎조팝나무라고도 하며 서울 북한산에서 자란다.
    특징 : ▶수세가 강건하며 맹아력이 왕성하다. ▶인가목조팝나무와 비슷하지만 복산방화서인 것이 다르다.
    Read More
  2. No Image

    덤불오리나무

    학명 : Alnus mandshurica (Callier)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리나무속(Alnus) target=_blank>오리나무속(Alnus)</a>
    이명 : 덤불오리묏불오리설령오리나무
    잎 : 잎은 난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선형(腺形)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지점(脂點)이 많고 맥(脈)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2.5cm이고 측맥은 10-12쌍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6월에 핀다. 웅화수(雄花穗)는 1-2개씩 달리고 길이 4-8cm로 밑으로 처지며 자화수(雌花穗)는 타원형이고 길이 1-1.5cm이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5㎝이하로 타원형이고 대는 길이 1.5-2.0㎝이다. 열매는 길이 2mm로서 타원상 난형이고 날개는 열매의 폭보다 좁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며 줄기가 곧고 수관이 좁으며 수피는 암록색인데 흰 가로선이 있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캄차카반도에도 분포한다. ▶중부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만주오리나무(for. pubescens T. Lee) : 잎 뒷면에 연갈색 털이 있다. ▶붉은털만주오리나무(for. rufinervis T. Lee): 잎 뒷면 맥위에 잔털이 있다. ▶함북오리나무(for. barbinervis Nak.): 잎 뒷면 맥위에 선 털이 있고 과수가 많이 달리며 잎이 작다.

    Read More
  3. No Image

    덤불쑥

    학명 : Artemisia rubripe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왕참쑥 큰몽고쑥털쑥
    잎 : 잎은 호생하며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가탁엽(假托葉)이 있으며 길이 12-21cm 나비 9-12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나비 5-7mm로서 표면 중륵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며 바깥 것이 선형으로 된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두화이며 연한 갈색이고 길이 2-2.5mm로서 구상 종형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 또는 수상화서가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둔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원두이며 화상(花床)에 털이 없다.
    열매 : 수과이다.
    줄기 : 높이 1-2m이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옆으로 벋는다.
    분포 : 중부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4. No Image

    덤불노박덩굴

    학명 : Celastrus orbculatus var. sylvestris (Siebold) Nakai ex Mor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B0%95%EB%8D%A9%EA%B5%B4%EA%B3%BC(Celastraceae) target=_blank>노박덩굴과(Celast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박덩굴속(Celastrus) target=_blank>노박덩굴속(Celastrus)</a>
    이명 : 둥근잎노박덩굴 얇은잎노박덩굴엷은잎노박덩굴
    잎 : 잎은 원형이며 얇고 길이 10cm 폭 10cm로서 엽병은 길이 2.1cm이다.
    꽃 : 꽃은 이가화 또는 잡성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10여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5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꽃에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구형이고 지름 8mm로서 10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황적색 종의(種衣)로 싸여 있다.
    줄기 : 길이가 10m에 달하며 가지는 덩굴성으로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만경.
    유사종 : ▶털노박덩굴(C. stephanotifolia Makino) : 충북 이남에 자라며 잎 뒷면에 털이 있다. ▶노랑노박덩굴 (for.aureo-arillata OHWI) : 종자가 황색 종의로 싸여 있다. ▶해변노박덩굴 (var.punctatus REHDER ): 잎이 두꺼우며 길이 3-5cm로서 윤채가 있고 예두 미둔단이며 피목이 뚜렷하고 표면의 엽맥이 오목하다. 전남 보길도등의 해변가에 자란다. ▶개노박덩굴 (var.papillosus OHW

    Read More
  5. No Image

    덤불꼭두서니

    학명 : Rubia cordifolia var. sylvatic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꼭두서니속(Rubia) target=_blank>꼭두서니속(Rubia)</a>
    이명 : 갈키꼭두선이 덤불꼭두선이 숲안꼭두서니
    잎 : 잎은 원줄기에서 6-10개씩 윤생하며 가지에서는 4-6개씩 윤생하고 크며 심장형이고 질이 얇으며 뒷면의 맥이 뚜렷하다.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2-4cm 나비 1-2cm로서 뒷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가시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3.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엽액과 원줄기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수술은 5개이며 자방에 털이 없다. 이삭이 빈약하며 꽃은 흰색이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달리며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능선에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식물.
    유사종 : ▶갈퀴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pratensis MAX.) : 잎이 가지에서 4-6개씩 윤생한다. 잎은 긴 타원상 난형. ▶가지꼭두서니 (R. hexaphylla MAX.) : 잎이 가지에서 4개씩 윤생한다.

    Read More
  6. No Image

    덜꿩나무

    학명 : Viburnum eros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이명 : 가새백당나무 긴잎가막살나무 긴잎덜꿩나무 털덩꿩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4~10cm 넓이 2~5cm로서 난형 타원상 긴 난형 또는 도란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성모가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고 맥액에 백색 또는 갈색의 긴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6mm로서 털이 있고 탁엽이 있다.
    꽃 : 복산형화서는 1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6-8cm로서 성모가 밀생하고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6-7mm로서 백색이다. 꽃받침은 성모가 있고 열편은 난상 원형이며 수술이 화관보다 약간 길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핵과는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지름 6㎜의 난상원형이고 종자는 양쪽에 홈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성모가 밀생하며 지점(脂點)이 없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100~1 600m 지역에 널리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성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가새덜꿩나무(V. erosum Thunb. var. taquetii Rehder): 잎이 작고 갈라지기도 한다. ▶개덜꿩나무(V. erosum Thunb. var. vegetum Nakai): 전체적으로 나무가 크며 잎이 원형에 가깝고 갈라진다.
    특징 : 내한성이 강하여 어느 곳에나 식재 가능한 식물이다. 5월에 초록색 잎 사이에서 백색 꽃이 목화 송이처럼 모여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 홍색으로 익어 송이송이 매달리며 광택이 난다.
    Read More
  7. No Image

    덕진사초

    학명 : Carex gmelini Hook. & Ar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구메린사초 모래검둥사초
    잎 : 잎은 편평하며 나비 3-5mm로서 약간 굳고 두꺼우며 밑부분의 엽초는 흑갈적색이고 흔히 그물같은 섬유로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은 총생하고 높이 30-70cm로서 끝이 처지며 예리한 삼각형이고 윗부분이 거칠다. 소수는 3-5개가 서로 접근해 있으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3㎝ 지름 3-8mm로서 곧추서며 흔히 첫째소수가 떨어진다. 정소수는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고 측소수는 암꽃뿐이며 밑으로 갈수록 꽃이 성글게 달리고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초가 없고 화경보다 길며 자화영은 넓은 난형이고 까락을 제외한 길이가 3-4mm이며 뒷면에 3맥이 있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타원형이며 곧추서고 길이 4-5mm로서 갈색 또는 감황색이며 흔히 갈색 반점이 있고 맥이 많다. 부리는 짧으며 윗가장자리가 흑갈색으로 약간 파지고 거칠다. 수과는 세모진 도란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압편된다.
    줄기 : 줄기는 가늘며 마디가 있다.
    뿌리 : 옆으로 뻗는 근경이 없다.
    분포 : 함북(덕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8. No Image

    덕우기름나물

    학명 : Peucedanum insolens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기름나물속(Peucedanum) target=_blank>기름나물속(Peucedanum)</a>

    잎 : 근생엽은 3회 3출 우상복엽으로 크고 넓으나 줄기 위쪽의 잎은 작아지며 분지형과 꽃잎의 모양이 P. cervaria라는 유럽종과 유사하다. 그러나 소엽은 엷고 소엽병이 있으며 분과는 아주 편평해서 미성숙시에는 완정히 2개로 갈라져서 6개로 빽빽하나 유관은 거의 없고 완숙한 과실에는 융조가 유합하여 3개로 되며 유관은 가늘고 각 배구 1개 합생면에 1개가 있는 것이 다르다.




    분포 : 한반도(강릉 덕우산)



    Read More
  9. No Image

    더위지기

    학명 :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부덕쑥사철쑥산쑥생댕쑥애기바위쑥인진고흰더위지기흰사철쑥
    잎 : 근생엽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2회우상(二回羽狀)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거나 또는 얕은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피침형이며 처음에는 양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잔털과 오목한 점이 있으며 뒷면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대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3cm이다.
    꽃 : 꽃은 황색으로 8월에 피고 두화는 엽액에서 총상으로 달리며 반구형이고 총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털이 있거나 없다. 화관은 종상 원통형으로서 겉에 선점이 있고 모두 열매를 맺는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둥글고 길며 1-1.5mm로 관모가 없고 11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총생하며 곧게 서고 기부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이 있으며 암자색을 띠고 어린 부분에 거미줄털이 있다.

    분포 : ▶일본 사할린 알타이 지방 시베리아 다후리아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800m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더위지기(for. discolor T. Lee):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전초(全草)는 소염성 이뇨제로 사용한다. ▶개사철쑥 사철쑥 털산쑥 맑은대쑥 흰사철쑥 참쑥 등이 있다.
    특징 : 밑부분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10. No Image

    더부살이고사리

    학명 : 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target=_blank>십자고사리속(Polystichum)</a>
    이명 : 더부사리고사리 싹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0~40cm 정도이고 연한 갈색의 인편이 달리며 밑부분에 달린 인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cm이상인 것이 있으며 윗부분에 달린 인편은 갈색이고 난상 긴 타원형이다.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2회 우상복엽이며 비스듬히 밖으로 퍼진다. 짙은 녹색의 윤기가 도는 잎은 강건한 느낌을 주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길이 30cm 정도의 보통잎과 자라면서 땅에 닿아 새로운 식물체와 뿌리가 나오는 영양엽이 있다. 우편은 10~20쌍이고 낫 같이 생긴 피침형으로

    열매 : 포자낭군은 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2줄 또는 3-4줄로 달리며 포막은 방패모양이고 둥글며 빨리 떨어진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비스듬히 얕게 들어가고 잎이 더북이 나온다.
    분포 : 제주도 거문도 남쪽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로 난대성 양치류이다.

    특징 : 속명의 희랍어의 `polys(많은)`과 `stichos(줄)`의 합성어로 포자낭이 엽맥을 중심으로 줄을 지어 많이 붙어 있는 것을 뜻한다. 종명은 인편이 붙어 있는 원줄기를 나타낸 것이다.
    Read More
  11. No Image

    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더덕속(Codonopsis) target=_blank>더덕속(Codonopsis)</a>
    이명 : 참더덕
    잎 : 잎은 호생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대생하므로 모여 달린 것같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10cm 나비 1.5-4cm로서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나비 6-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화관은 길이 2.7-3.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뒤로 약간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고 안쪽에 갈자색 반점이 있다. 자방은 하위이며 주두는 3-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로서 원추형이고 숙존악이 있다.
    줄기 : 덩굴은 길이 2m로서 보통 털이 없고 자르면 유액(乳液)이 나온다. 덩굴 줄기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뿌리 : 괴근은 비대하며 방추형이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덩굴식물.
    유사종 : ▶푸른더덕 for.emaculata Hara : 화관 안쪽에 갈자색 반점이 없다. ▶만삼(Codonopsis pilosula (Fr.) Nannf.) : 더덕과 비슷하나 꽃잎 안쪽에 자주색 무늬가 없다. 뿌리는 가늘고 길며 직근이다. 강원 이북 심산에서 자라는 덩굴성 초본이다. ▶소경불알(Codonopsis ussuriensis (Rupr. et Max.) Hemsl.) : 계곡의 물가나 습기가 많은 모래땅에서 자라는 덩굴성 다년초이다. 구슬 모
    특징 : 쌉쌀하면서도 단맛이 나는 것이 특색이며 독특한 향취가 특징적이다.
    Read More
  12. 댕댕이덩굴

    학명 : Cocculus trilobus (Thunb.)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댕이덩굴속(Cocculus) target=_blank>댕댕이덩굴속(Cocculus)</a>
    이명 : 끗비돗초 댕강덩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아심장저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잔털이 많고 3-5출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거치가 없지만 얕은 결각이 있는 경우도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6개 수꽃의 수술이 6개이고 암꽃에는 6개의 헛수술 3개의 심피와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핵과는 거의 구형이고 지름은 5-8mm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지름 4㎜정도의 편평한 원형에 가까우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환상선(環狀線)이 있다.
    줄기 :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 만목

    특징 : ▶댕댕이덩굴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보리밥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의 상록수종과 큰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 소사나무 이팝나무 쇠물푸레등이 있다. ▶목부(木部)를 목방기(木防己)라 한다.
    file
    Read More
  13. No Image

    댕댕이나무

    학명 :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x Her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댕강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장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4cm 나비 1cm 정도이다. 앞면은 털이 있고 뒷면은 융모가 있으며 톱니는 없다. 엽병은 길이 1∼6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2개씩 달린다. 화경의 길이 2∼10mm이다. 포는 길이 5∼8mm이며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황백색이며 원통형의 종 모양이며 길이 1.2~1.5cm로서 털이 약간 있다. 수술은 암술대보다 짧고 씨방은 2개가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며 7~8월에 자흑색으로 익으며 백분로 덮여 있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골속은 충실하다. 작은 가지에는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일본, 러시아 / 한국(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평창군)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특징 :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file
    Read More
  14. No Image

    댕강나무

    학명 :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이명 : 맹산댕강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3~7cm로서 표면은 맥을 따라 복모가 있고 뒷면은 중륵 위에 흔히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와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액색 또는 정생하며 거의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한 화경에 3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피침형 선상 피침형 또는 송곳처럼 뾰족하고 길이 1cm로서 톱니가 없다. 꽃받침통은 길이 5mm이며 잔털이 있고 열편은 5개이며 도피침형이고 길이 8-11mm로서 연모가 있으며 화관은 길이 2.0-2.2㎝이고 연한 홍색이 돌며 판통(瓣筒)은 길이 15mm로서 가늘고 역모가 있으며 열편은 5개로서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안쪽에 털이 있다. 수술대에
    열매 : 9월에 성숙한다. 4개의 날개를 가진 열매가 하늘을 향해 프로펠러 같은 모양을 하며 종자는 1개이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종선이 있지만 깊은 홈이 생기지 않으며 가지의 골속이 백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잇다. 줄기에는 6개의 골이 있으며 새가지는 붉은빛이 돈다.
    뿌리 : 잔뿌리와 측근이 많이 뻗어있다.
    분포 : 평남의 맹산과 성천 무천지역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털댕강나무(A. coreana Nakai): 영월에서 자생하고 잎이 뒷면에 털이 있는 것. ▶섬댕강나무(A. insularis Nakai): 울릉도에서 자생하고 잎에 톱니가 있고 꽃은 2개씩 달리며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 ▶계방댕강나무(A. gyebangensis): 가지에 흑색 선점(腺點)이 밀포한 것. ▶줄댕강나무(Abelia taihyoni Nakai) ▶바위댕강나무(A. integrifolia Koidz.)
    특징 : 댕강나무속은 석회암 지대의 대표적인 식색이다. 밑부분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오며 줄기에는 6개의 줄이 패어 있어 육조목(六條木)이란 별명도 가지고 있고 새로 자란 가지가 붉은 것이 특징이다.
    Read More
  15. No Image

    댑싸리

    학명 : Kochia scoparia (L.) Schrad. var. scopari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댑싸리속(Kochia) target=_blank>댑싸리속(Kochia)</a>
    이명 : 공쟁이 대싸리 비싸리
    잎 : 잎은 어긋나며 여러 개이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양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으며 3줄의 맥(脈)이 뚜렷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기부가 가늘어지면서 자루를 이룬다. 길이 2-5㎝ 폭 2-8㎜로서 긴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 개화. 자웅이주로 2-3송이씩 액출하며 꽃이 잘고 화경과 꽃잎이 없다. 꽃밑에 잎같은 포가 있고 윗부분의 잎은 흔히 포처럼 작아지기 때문에 전체가 수상화서로 되기도 한다. 양성화와 암꽃이 있으며 꽃받침은 5조각으로 갈라지고 꽃이 핀다음 자라서 열매를 둘러싸며 뒷면에서 날개 같은 돌기가 발달한다. 수술은 5개로 길게 꽃밖으로 나오며 꽃밥은 황색이고 자방은 원반형이며 끝부분의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꽃받침에 싸인 포과(胞果)로서 납작한 구형이며 뒷면에 날개모양으로 확장된 숙존악이 있고 그 속에 종자 하나가 싸여 있다. 과실을 지부자(地膚子)라 한다.
    줄기 : 단단하고 곧게 서며 전체에 약간의 털이 있고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친다.

    분포 : ▶유럽 남아시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갯댑싸리 (var. littorea Makino) : 인천 앞바닷가 또는 부전고원에서 발견되었으며 원줄기가 꾸불꾸불하다.
    특징 : 본초강목에도 실려 있어 천년 전부터 씨를 `지부자`라 하여 강장제 이뇨제로 약용해 왔는데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Read More
  16. No Image

    대흥란

    학명 :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보춘화속(Cymbidium) target=_blank>보춘화속(Cymbidium)</a>
    이명 : 두륜란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 홍자색을 띠며 2~6개의 꽃이 성글게 달리고 포는 막질로 길이 5~10mm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도란형으로 길이 2cm 나비 3~4mm이고 끝이 까락같이 뾰족하다. 꽃잎은 장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짧다. 순판은 쐐기모양으로 길이 약 15mm이고 가볍게 뒤로 젖혀지며 중앙 하부가 약간 잘록하고 2개의 도드라진 능선이 있으며 끝은 잔 물결모양이다. 예주는 길이 8~10mm이고 잔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꽃대는 근경 끝에서 나서 곧추서고 다소의 털이 있고 하부에 기부가 짧은 엽초로 된 막질의 인편엽이 드문드문 난다.
    뿌리 : 백색 육질의 근경이 길게 뻗으며 가지치고 3각상의 인편이 있다.
    분포 : 전남(남해안 대둔산) 제주 강원(삼척)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부생식물


    Read More
  17. No Image

    대황

    학명 : Rheum rhabarbar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황속(Rheum) target=_blank>대황속(Rheum)</a>
    이명 : 당대황
    잎 : 근생엽은 자줏빛이 도는 긴 엽병이 있으며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며 양쪽 가장자리가 안으로 약간 말린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고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지만 깊은 심장저로서 5-7맥이 있다. 앞뒤 양면에 털이 있으며 어긋나기로 붙는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복총상화서는 가지와 원줄기 끝에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화경이 있는 황백색 꽃이 화서에서 윤생한다. 화피열편은 6개로 2줄로 배열되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9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꽃이 지면 3편의 꽃받침이 남아서 세모진 달걀꼴의 수과를 맺는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속이 비어 있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겉이 누른 색이며 속은 황갈색의 무늬가 있고 독특한 향취가 많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장군풀(R. coreanum): 뿌리는 비대하고 황색 윗부분이 흑갈색 비늘조각에 싸인다. 근생엽은 손바닥 모양 3갈래 뒷면과 가장자리에 누운 털이 있다.
    특징 : 세계에 수 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Read More
  18. No Image

    대팻집나무

    학명 : Ilex macropod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대패집나무 물안포기나무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고 얇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10cm 나비 3-4.5cm로서 표면에는 처음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 위에 끝까지 털이 남아 있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측맥은 6-8쌍으로서 뒷면에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2cm 가량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암꽃은 짧은 가지 위에 몇송이씩 모여 붙지만 수꽃은 다수의 송이가 모여붙는다. 수꽃에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이 4개씩 있고 암꽃은 4-5개의 작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자방은 난상 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육질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지름 7~8mm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가지는 짧고 소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속리산과 계룡산 이남의 표고 1 300m이하의 산복과 산록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유사종 : ▶민대팻집나무(for. pseudo-macropoda Hara):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으며 지리산 조계산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청대팻집나무라고도 한다.
    특징 : 목재가 치밀하고 무거우며 건조 후에도 갈라지지 않아 대팻집을 만드는데 이에 연유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Read More
  19. No Image

    대택소귀나물

    학명 : Sagittaria natans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택사과(Alismataceae) target=_blank>택사과(Alisma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택소귀나물속(Sagittaria) target=_blank>대택소귀나물속(Sagittaria)</a>
    이명 : 대택자고
    잎 : 잎은 부엽이고 장타원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밑이 둔하거나 둔한 귀가 있다.
    꽃 : 암꽃의 화경은 짧다.
    열매 : 수과의 길이는 2~3mm이다.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백두산 대택)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특징 : 벗풀에 비해 잎의 많은 것은 뜨는 잎이고 장타원형 또는 난상장타원형이며 암꽃에 짧은 자루가 있다.
    Read More
  20. No Image

    대택사초

    학명 : Carex limos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사칼린사초싸할사초진펄사초 진펄이사초
    잎 : 잎은 유두상의 돌기가 밀포하고 폭 1.5-2.5㎜로서 백록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적갈색이고 그물모양이다.
    꽃 : 소수(小穗)는 2-3개가 떨어져서 달리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길이 2-2.5cm로서 대가 있고 적갈색이며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0mm 지름 4-6mm로서 가는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첫째 포는 침형이고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이며 동갈색(銅褐色)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1맥이 있다. 암술대는 과포밖으로 나오며 밑부분이 약간 굵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세모진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3.5-4mm 폭 2-2.7mm로서 가는 맥이 있고 회청색이며 유두상의 돌기가 밀포 밑부분이 둥글며 짧은 대가 있고 부리는 짧으며 끝이 구리색이고 약간 오그라든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있으며 길이 2mm정도로 세모진다.
    줄기 : 높이 20-45cm이고 포복지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