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대택비녀골풀

    학명 : Juncus stygi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8%ED%92%80%EA%B3%BC(Juncaceae) target=_blank>골풀과(Jun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풀속(Juncus) target=_blank>골풀속(Juncus)</a>
    이명 : 가는실골 가는실골풀
    잎 : 근생옆은 무더기로 많이 나며 조금 납작한 둥근실모양이며 줄기보다 보통 짧다. 경생엽은 1(2)개이며 너비 0.8mm이고 끝은 무디고 아랫부분은 연한 갈색을 띠고 격막은 뚜렷하지 않다. 엽초(길이 2cm) 엽연은 막질이며 윗부분은 연한 갈색을 띤 난형의 귀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줄기끝에 2~3개씩 모여 1(2)개의 작은 두상화를 이루고 길이 3~4mm로 연한 갈색 또는 누런색으로 피며 양성화이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길이는 화서와 같거나 조금 짧다. 작은 포는 넓은난형이거나 넓은피침형이며 끝은 뭉툭하며 꽃보다 짧거나 거의 같고 진한 갈색 또는 붉은 갈색을 띤다. 화경은 짧다. 화피열편은 길이가 서로 같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바깥쪽것은 끝이 조금 뾰족하고 안쪽 것은 끝이 조금 무디며 등쪽은 누런색 또는 볏짚색이고 끝은 아
    열매 : 열매는 세모난 난형(길이 5~6mm)이고 뾰족하며 윤기가 있다. 종자는 좁고 긴 타원형(길이 1.3mm 너비 0.6mm)이고 볏짚색을 띤다.
    줄기 : 줄기는 한대씩 곧추 자라며 조금 둥글납작한 선형(높이 10~25cm 굵기 0.5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거나 뚜렷하지 않다. 연한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가는 수염뿌리이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러시아 북아메리카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식물체는 굳고 좀 성글게 모여나며 보통 갈색을 띤다.
    Read More
  2. No Image

    대택광이

    학명 : Glyceria spiculosa (F.Schmidt) Rosh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꾸리광이속(Glyceria) target=_blank>미꾸리광이속(Glyceria)</a>
    이명 : 쇠진들피
    잎 : 잎은 납작하고 선형이며 길이 10-30㎝ 나비 3-5㎜이고 엽설은 길이 1.5-2㎜로서 막질이며 절두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70-100cm이며 원추화서는 길이 15cm정도로서 퍼지고 마디에서 2-3개씩 가지가 돋으며 가지의 능선에 잔돌기가 있다. 소수는 길이 5-7mm 지름 3mm정도로서 4-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1맥이 있으며 첫째 것은 길이 2.5mm정도이고 둘째 것은 밑의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호영은 길이 3.4mm정도로서 5맥이 있고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거나 길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줄기 :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분포 : 북부지방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3. No Image

    대추나무

    학명 :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추나무속(Zizyphus) target=_blank>대추나무속(Zizyphus)</a>
    이명 : 녀초 대추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윤채가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6cm 넓이 1-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묏대추와 달리 탁엽이 변한 가시는 흔적뿐이다.
    꽃 : 꽃은 연한 녹색의 양성화로 5-6월에 피며 지름 5-6mm이고 5수이며 연한 녹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2-3개씩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5-3.5㎝인 타원형의 핵과로서 9-10월에 적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익는다. 묏대추에 비해 과육이 많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며 가지 끝에 털이 약간 있다. 소지는 한군데에서 여러개가 나오고 겨울을 나면서 고사하여 일부가 떨어진다.

    분포 : ▶중국과 일본 남유럽 등지에도 분포한다. ▶추운 고산지대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5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보은대추(var. hoonensis T. Lee) : 종자에 인(仁)이 없는 것.
    특징 :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에 속하는 교목성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와 인도계 대추 등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재배되고 있다. 잎이 늦게 나오기 때문에 양반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추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풍흉의 변이가 심하며 개화기의 기상조건 즉 강우 저온 일조부족 등에 풍흉이 좌우된다. 그러나 다행히 근래에 식재되는 대추나무는 이런 불리한 기상조건에서도 결실이 잘 되는 우량 품종들이 확대 보급되고 있으므로 비교적 안정된 대추 생산이 가능할
    Read More
  4. No Image

    대청부채

    학명 : Iris dichotom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이명 : 대청붓꽃 부채붓꽃 얼이범부채 참부채붓꽃



    줄기 : 밑동 줄기는 굵고 불규칙한 마디가 있다.

    분포 : 백령도와 대청도에서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특징 :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
    Read More
  5. No Image

    대청가시나무

    학명 : Rosa tais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대청장미





    분포 : 한반도(황해 대청도)


    특징 : 반들가시나무에 비해 잎에 털이 잇고 암술대가 이생한다.
    Read More
  6. No Image

    대청

    학명 : Isatis tinctor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청속(Isatis) target=_blank>대청속(Isatis)</a>
    이명 : 개갓 갯갓 좀대청
    잎 : 근생엽은 크고 엽병이 있으나 경생엽에는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이저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발달하며 소화경은 가늘고 다소 처진다. 꽃받침잎은 넓은 주걱형이며 녹색이고 길이 2mm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꽃잎은 길이 3.5mm로서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다.
    열매 : 각과는 길이 15mm 폭 4-5mm로서 쐐기같은 도피침형이며 끝이 밑으로 처지며 흑색으로 익고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줄기 : 높이 30-70cm로 털이 없으며 분백색이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길게 뻗는다.
    분포 : 북방계 식물로 북한의 원산 부근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특징 : 2년초 종명 tinctoria는 염료의 의미를 갖는데 이 식물의 잎에서 남색(藍色)의 염료를 추출한다.
    Read More
  7. No Image

    대암사초

    학명 : Carex chordorhiza Ehr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긴뿌리사초 바눌사초
    잎 : 잎은 납작하고 나비 1-1.5㎜로서 회록색이다.
    꽃 : 소수(小穗)는 2-4개이고 길이 5-7㎜로서 난형이며 수꽃은 윗부분에 달리고 암꽃은 밑부분에 달리며 포가 없다. 자화영(雌花穎)은 난형 예두로서 밤색이다.
    열매 : 과포는 포영과 길이가 같으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3mm로서 맥이 많다. 부리 끝은 막질이며 거의 갈라지지 않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줄기 : 처음에는 곧게 자라다가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다음해에 마디에서 원줄기가 자라 높이 20cm정도로 되며 꽃이 핀다.

    분포 : 함경북도 길주군 강원도 북쪽 높은 지대 등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8. No Image

    대암개발나물

    학명 : Sium heterophyllum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발나물속(Sium) target=_blank>개발나물속(Sium)</a>

    잎 : 잎은 이엽성(異葉性)으로 심장형의 단엽과 우상복엽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우상복엽은 3-9장으로 되고 소엽의 길이는 5-15cm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화서를 형성하고 총포는 선형이며 3-5장이다. 꽃잎은 5장으로 끝이 움푹 들어가고 길이와 폭이 2.5mm이다. 수술은 5개 꽃밥은 2실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반구형의 분과로서 길이 2.4mm 폭 2.5mm이다.
    줄기 : 줄기는 서는 것과 눕는 것이 있으며 높이는 40-100cm이고 줄기는 가운데가 비어 있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희다.
    분포 : 강원도 대암산·대관령 경기도 동구릉 등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물개발나물(var. nipponicum Hara): 소엽이 7-9개로서 길이 3-10cm 폭 1-3cm이고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잎이 뚜렷하다. ▶감자개발나물(S. ninsi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을철에 잎겨드랑이에 주아가 달리기도 한다.
    특징 : 감자개발나물과 닮았으나 잎이 이엽성(異葉性)이고 가을철에 주아(珠芽)가 생기지 않으며 포복경 마디에서 방추형의 뿌리가 내린다.
    Read More
  9. No Image

    대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sceptrumcarolin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민송이풀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15~30c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표면에 짧고 굵은 털이 산생하며 뒷면 맥 위와 엽병 가장자리에도 같은 털이 산생하고 열편은 난상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으로서 수상(穗狀)으로 달리며 화경(花莖)은 길이 50cm로서 잎이 없고 윗부분에 포와 더불어 꽃이 밀생하며 포는 거의 둥글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15mm로서 겉에 짧은 털이 다소 밀생하며 열편은 길이 5mm이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5cm로서 양순형이며 겉에 털이 없고 상순 가장자리에 털이 밀생하며 수술은 4개이다 .
    열매 : 삭과는 편평한 난상 원형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짧은 털이 산생한다.

    분포 : 백두산 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0. No Image

    대성쓴풀

    학명 : Anagallidium dichotomum (L.) Gris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성쓴풀속(Anagallidium) target=_blank>대성쓴풀속(Anagallidium)</a>

    잎 : 잎은 대생하고 박막질로 3~5맥이 있으며 근엽은 주걱형으로 길이 2~3cm 나비 0.6~1cm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가늘고 길게 되어 엽병으로 되나 경엽은 엽병이 짧아져 없어지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0.5~2cm 나비 0.5~1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가지와 줄기 끝이나 잎짬에 달리고 화경은 가늘며 길이 1~4cm이고 밑으로 드리운다. 꽃받침의 열편은 난형이고 화관 길이의 1/2 정도이며 화관 열편은 난형이고 안쪽 기부에 2개의 선상체가 있으며 수술 기부에 모상연이 있는 열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다.
    줄기 :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네모지며 연약하고 황록색을 띠며 차상분지하다.

    분포 : 강원(대성산)에 나며 만주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1. No Image

    대새풀

    학명 : Cleistogenes hackelii (Honda)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새풀속(Cleistogenes) target=_blank>대새풀속(Cleistogenes)</a>
    이명 : 두루미피
    잎 : 잎은 2줄로 호생하고 편평하거나 약간 말려들며 길이 4~10cm 폭 3~10mm로서 기부는 급격하게 좁아지고 엽초와 더불어 양면에 긴 털이 있으며 엽설은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4-8cm이며 소수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느슨하게 달린 2-3개의 가지는 다시 갈라지지 않고 수평으로 퍼진다. 소화경은 짧으며 소수가 들어 붙고 소수는 피침형으로서 2-4개의 소화로 되며 녹색 바탕에 적자색이 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3mm이고 둘째 포영은 길이 2-4mm이며 호영은 길이 4~5mm로서 갈라진 끝 사이에 길이 2~4mm의 까락이 있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윗부분에는 폐쇄화가 달리고 여기에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기는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딱딱하고 인편에 덮인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수염대새풀 (var.nakaii Ohwi) : 까락의 길이가 10mm정도이며 제주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Read More
  12. No Image

    대상화

    학명 : Anemone hupehensis var. japonica (Thunb.) Bowles & Stear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람꽃속(Anemone) target=_blank>바람꽃속(Anemone)</a>
    이명 : 가을모란 추면국 추목단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3출복엽이며 소엽병이 있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거나 짧고 3개로 갈라지거나 또는 3개의 소엽으로 되며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소엽은 난형이고 3-5개로 갈라지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5-12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지름 5-7cm로서 연한 홍자색이고 가지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열편은 30개 정도이고 겉의 것은 녹색이며 안쪽의 것은 꽃잎같고 도피침형이며 겉에 견모가 있다. 수술과 암술은 많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은 모여서 둥글게 되지만 열매로 성숙하지 않는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나 성숙하지 못함.
    줄기 : 높이 50-80cm이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3. No Image

    대사초

    학명 : Carex siderosticta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총생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3맥이 뚜렷하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고 폭 1-3cm로서 밑부분이 엉성한 엽초로 되며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고 연한 갈색이다.
    꽃 : 꽃은 7월에 핀다. 화경(花莖)은 잎다발 옆에서 나오며 마디에 엽초상의 포엽이 헐겁게 붙어있고 털이 약간 있다. 소수(小穗)는 4-8개이며 각 소수의 윗부분에는 수꽃 밑부분에는 암꽃이 1개 또는 2개씩 달리고 길이 1-2cm로서 대가 있으며 곧추선다. 포는 통같이 되고 잎이 없으며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로서 뒷면 녹색부가 넓으며 3맥이 있고 끝이 둔하며 양쪽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로서 구리색의 반점이 있다. 암술대는 곧고 끝이 3개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약간 짧고 서며 세모진 타원형이고 길이 3mm로서 털이 없으며 잔맥이 있고 연녹색 바탕에 구리색 반점이 있으며 부리는 극히 짧고 끝이 밋밋하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타원형이고 길이 2-2.5mm로서 끝에 소돌기가 있으며 7-8월에 익는다.
    줄기 : 둔하게 세모지고 높이 10~40cm로서 부드럽다. 포가 달려있는 윗부분은 털이 약간 있으나 밑부분은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4. No Image

    대부도냉이

    학명 : Lepidium perfoli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닥냉이속(Lepidium) target=_blank>다닥냉이속(Lepidium)</a>
    이명 : 도랭이냉이 도렁이냉이 흰꽃다닥냉이
    잎 : 밑부분의 잎이 3회 우상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중앙부의 잎은 심장형이고 양쪽 밑부분에 있는 귀같은 돌기가 서로 겹쳐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길이 3cm 폭 2cm이지만 위로 갈수록 보다 짧아지고 둥글게 되어 완전히 원줄기를 둘러싼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선형으로서 꽃잎보다 다소 길다.
    열매 : 열매는 각과로서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3.5~4mm 폭 3mm이고 비스듬히 옆으로 서며 종자는 갈색이고 도란형으로서 주위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형태 : 2년초

    특징 : 인천 대부도 갯벌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어 대부도냉이라고 하며 진탕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도렁이냉이라고도 한다.
    Read More
  15. No Image

    대반하

    학명 :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천남성과(Araceae) target=_blank>천남성과(A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반하속(Pinellia) target=_blank>반하속(Pinellia)</a>

    잎 : 잎은 1-4장이고 잎자루에 육아가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10-20㎝이다.
    꽃 : 꽃줄기는 20-50㎝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다. 길이는 6-10㎝으로 현부(舷部)는 난형이다.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부속체는 길이 15-25㎜이다.



    분포 : 거제도 상록수림 밑에서 난다.



    Read More
  16. No Image

    대동여뀌

    학명 : Persicaria erectominor var. koreensis (Nakai) I.It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가는잎개구리낚시 돌여뀌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3-8cm 폭 5-10mm로서 양끝이 좁으며 표면이 밋밋하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없다. 엽초모양의 탁엽은 길이 5-12mm로서 짧은 복모와 연모(緣毛)가 있고 마르면 녹색이 된다.
    꽃 :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수상화서는 길이 1.5-2cm로서 꽃이 밀착하며 길이 1.5-2cm 정도로서 꽃이 밀착되어 있고 화피는 꽃은 2mm정도이며 적자색이고 5장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세모진 넓은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2mm정도이고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줄기 : 높이 20-40cm이며 줄기의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땅에 닿은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털이 없다.

    분포 : 장백산과 대동강 연안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가시여뀌(P. fauriei): 줄기는 적색 선모가 밀생 잎은 줄기와 함께 짧은 가시털이 있다.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특징 : 대동여뀌란 대동강 근처에서 자라는 여뀌란 뜻이며 기본종과 구별하기 어렵다.
    Read More
  17. No Image

    대나물

    학명 : Gypsophila oldhamian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나물속(Gypsophila) target=_blank>대나물속(Gypsophila)</a>
    이명 : 마디나물 은시호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으로서 3개의 엽맥이 뚜렷하고 끝이 뾰족하며 엽병은 없으나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 폭 5-10mm정도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산방상 취산화서로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짧은 종같으며 끝은 5갈래로 갈라지고 꽃잎은 5장으로 되어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근 모양이고 4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줄기는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대나물 (G. pacifica Kom.) : 꽃이 자주색이고 윗부분에서 잎의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개성 이북에서 자란다.

    Read More
  18. No Image

    대극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이명 : 능수버들버들옻우독초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2.8cm 폭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중륵에 흰빛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하고 5개의 가지가 산형으로 갈라진다. 총포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원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서 길이 5-12mm이며 배상화서의 선체는 긴 타원형이고 지름 1.5mm정도로서 검은 갈자색이다. 1개의 암술로 구성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구성된 몇개의 수꽃이 소총포안에 들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납작한 구형이고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유면이 3각편으로 개열하고 종자는 광타원형이며 길이 1.8mm로서 겉이 밋밋하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곧추 자라지만 밑부분에서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남(무안) 경남 경북(비파산) 충남 경기 황해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
    특징 : 유독 식물이다.
    Read More
  19. No Image

    대구사초

    학명 : Carex paxii Ku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기장사초 팍시사초
    잎 : 잎은 나비 1.5-2.5mm로서 편평하고 밑부분의 엽초가 섬유처럼 갈라짐.
    꽃 : 소수는 윗부분에 수꽃이 달리며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고 길이 4-6mm로서 모여서 1개의 수상화서로 되며 수상화서는 길이 2-6㎝ 지름 1㎝정도이다. 포는 영과 같이 작고 자화영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2-3mm이고 끝이 뾰족하며 연한 갈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곧으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3.5-4mm로서 난상 원추형이며 잿빛을 띤 황록색이고 맥이 많으며 윗부분에 짙은 적갈색의 튀어나온 반점이 있다. 윗부분 양쪽에는 좁은 날개가 있고 중앙 이상에 잔톱니가 있으며 부리는 편평하고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으며 길이 1.3mm정도로서 난형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다.
    뿌리 : 짧은 근경에서 총생한다.
    분포 : 대구 및 창원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20. No Image

    대구돌나물

    학명 : Tillaea aquat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구돌나물속(Tillaea) target=_blank>대구돌나물속(Tillaea)</a>
    이명 : 가시돌나물 각시돌나물 바눌돌나물 비늘돌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5~8mm 폭1mm로서 밑부분이 서로 합쳐지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좌우교대로 달리며 화경(花莖)이 없고 꽃받침은 깊게 4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4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1.5mm로서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고 꽃잎보다 짧으며 자방 밑에 선상의 인편이 4개 있고 자방은 4개로서 서로 떨어져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속에 10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2-6cm이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대구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특징 : 겉으로 보기에는 개미자리와 비슷하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