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단풍버즘나무

조회 수 1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latanus Xhispanica Munchh.
과명 버즘나무과(Platanaceae)
속명 버즘나무속(Platanus)
이명 단풍잎쥐방울나무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상 원형으로 나비 10~20cm로서 5~7개로 깊게 갈라진다. 중앙 열편은 길이가 나비보다 길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거나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3~8cm로서 기부에 어린 동아를 완전히 싸고 있다.
열매 과실은 두상의 구과로 2~6개가 긴 과병에 달려 있어 마치 방울처럼 보이고 수과 윗부분이 뾰족하기 때문에 구과의 표면은 돌기가 많은 것 같이 보인다.
특징 잎이 중렬하고 과실이 보통 2개씩 달리는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의 잡종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Hausvater 5:229 (1770)
참고문헌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1. No Image

    담배취

    학명 : Saussurea conandr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강계분취 담배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에 없어지고 엽병의 넓은 날개가 줄기로 흐르며 넓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9~1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뒷면은 다소 은백색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이며 두화는 2~6개가 엉성하게 산방상으올 달린다. 총포는 종형이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14~16mm 지름 20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가장 짧고 끝이 뾰족하며 젖혀진다.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35-50cm이고 줄기는 화경상(花莖狀)이며 흔히 날개와 더불어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평안도 및 함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2. No Image

    담배

    학명 : Nicotiana tabac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속(Nicotiana) target=_blank>담배속(Nicotiana)</a>
    이명 : 연초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50cm이며 밑이 거의 둥근모양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짧고 날개가 있으며 밑으로 흐른다. 잎에 선모가 밀생하여 끈적끈적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으로 끝 부분의 색이 짙고 원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0-20(25)mm이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길이 12-20(25)mm로서 선모가 있으며 열편은 통부보다 짧거나 같고 화관은 통부의 길이가 10(7)-15mm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로서 화관 후부喉部에 달리며 박으로 나오지 않거나 약간 나온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꽃받침에 싸이고 종자는 다수이다.
    줄기 : 높이 1.5-2m이고 줄기에 선모가 밀생하여 끈적끈적하다.

    분포 : 밭에서 재배
    형태 : 일년초


    Read More
  3. No Image

    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D%EC%9D%98%EC%9E%A5%ED%92%80%EA%B3%BC(Commelinaceae) target=_blank>닭의장풀과(Commel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장풀속(Commelina) target=_blank>닭의장풀속(Commelina)</a>
    이명 : 닭개비 닭기씻개비 닭의꼬꼬 닭의밑씻개 닭의발씻개
    잎 : 잎은 호생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막질의 엽초로 되며 길이 5-7cm 폭 1-2.5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 있다. 엽초는 입구에 긴 털이 있고 약간 두꺼우며 질이 연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엽액에서 나온 화경(花莖)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포는 넓은 심장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없거나 있다. 외화피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안쪽 3개 중 위쪽의 2개는 둥글고 하늘색이며 지름 6mm이지만 다른 1개는 작고 무색이다. 2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지며 2-4개의 종자를 산출한다.
    줄기 : 높이 15-5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마디는 크다.
    뿌리 :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일본 사할린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큰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 꽃은 한 장의 커다란 포에 싸여 있고 위쪽의 보라색 꽃잎은 2장이며 둥글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흰닭의장풀(Commeline communis for. albiflora Makino) : 옛 선비들은 대나무를 닮은 이 풀을 수반의 맑은 물에 재배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냈다.

    Read More
  4. No Image

    닭의덩굴

    학명 : Fallopia dumetorum (L.) Holu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덩굴속(Fallopia) target=_blank>닭의덩굴속(Fallopia)</a>
    이명 : 개여뀌덩굴산덩굴메밀산덩굴역귀여뀌덩굴참덩굴메밀
    잎 : 잎은 호생하고 화살모양의 난형으로 길이 5~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며 양쪽 열편의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양면의 맥과 가장자리에 미세한 돌기가 있으며 엽병은 길다. 엽초는 짧고 연모가 없다.
    꽃 : 꽃은 6~9월에 홍색으로 피고 잎짬에 모여 나며 가지 끝의 잎이 작고 마디 사이가 짧아져서 총상으로 된다. 숙존성 화피편은 등쪽에 날개가 발달하고 하부는 소화경으로 흐른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삼릉형이고 흑색이며 약간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길게 뻗어 다른 물체에 감기고 가지가 많으며 종선과 미세한 돌기가 있다.

    분포 : 북반구에 널리 귀화했다.
    형태 : 덩굴성 일년초


    Read More
  5. No Image

    닭의난초

    학명 : Epipactis thunbergii A.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난초속(Epipactis) target=_blank>닭의난초속(Epipactis)</a>
    이명 : 닭의란
    잎 : 잎은 6~12장 정도이고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13cm 나비 3~5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포는 꽃보다 짧고 꽃받침잎은 긴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5mm로서 녹갈색이 돈다. 꽃잎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등황색이고 순판은 백색으로서 꽃잎과 길이가 같으며 안쪽에 홍자색 반점이 있다. 상하 순판 사이는 다소 관절로서 2개로 갈라지고 윗 순판에 종선이 3개 있으며 밑 순판은 안쪽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자방은 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2.5cm의 삭과로서 옆으로 비스듬히 서거나 밑으로 처진다.
    줄기 : 높이 30-70cm이며 털이 없고 매끄러우며 기부에 3-4개의 초상엽이 있으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분포 : 중부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주로 북반구의 온대 기후대에 약 2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ad More
  6. No Image

    달뿌리풀

    학명 : Phragmites japonica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대속(Phragmites) target=_blank>갈대속(Phragmites)</a>
    이명 : 달 덩굴달
    잎 : 잎은 호생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40cm 폭 2-3cm이다. 엽초는 윗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길고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마디마다 긴 흰털이 있다. 엽설은 털이 줄로 돋은 것같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25-35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가 거의 윤생하고 소축(小軸) 및 그 밖의 부분에 털이 긴 털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7-12mm로서 3-4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거의 같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3맥이 있고 호영보다 길다. 첫째 호영은 웅성(雄性)이며 길이 6-10mm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다른 것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양성이며 모두 3맥이 있고 기반 양쪽에 긴 털이 있다. 안쪽 호영은 길이 2-3mm이며

    줄기 : 지름 6mm 정도의 줄기가 길게 땅 위를 뻗고 마디에서 높이 약 2m의 줄기가 곧게 선다. 원줄기는 속이 비고 마디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지상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큰달뿌리풀 (P.karka Trin.): 포영과 호영이 둔두 또는 절두이며 울릉도의 통구미에서 자란다.
    특징 : 갈대에 비해 전체가 소형이고 기는 줄기가 길게 땅위를 뻗으며 줄기의 마디에 흰긴털이 있다.
    Read More
  7. No Image

    달맞이꽃

    학명 : Oenothera bienn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바늘꽃과(Onagraceae) target=_blank>바늘꽃과(Onag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달맞이꽃속(Oenothera) target=_blank>달맞이꽃속(Oenothera)</a>
    이명 : 겹달맞이꽃
    잎 : 근엽은 로제트를 만들고 경엽은 호생하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5~12m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직접 줄기에 달리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짙은 녹색이고 중륵은 희다.
    꽃 : 꽃은 7월에 황색으로 피고 위쪽 잎짬에 1개씩 달리며 저녁에 피었다 아침에 시든다. 꽃받침조각은 4개가 2개씩 합쳐지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4개로 끝이 파지며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4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원추형으로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곤봉상이며 길이 2~3cm이고 4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대가 나와 곧추 선다. 전주에 잔털이 밀생한다.


    형태 : 2년초

    특징 : 귀화식물이다.
    Read More
  8. 달래

    학명 : Allium monanth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들달래 쇠달래 애기달래
    잎 : 잎은 1-2개이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0-20cm 폭 3-8mm로서 단면이 초생달모양이며 9-13맥이 있고 윗면에 얕은 홈이 져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1-2개가 달리며 짧은 화경(花梗)이 있고 길이 4-5mm로서 백색이거나 붉은 빛이 돈다. 포는 얇은 막질이며 난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꽃잎은 6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둥글다. 꽃이 지면 파처럼 까만 씨가 결실한다.
    줄기 : 높이 5-12cm이다.
    뿌리 : 인경(鱗梗)은 넓은 난형이며 백색이고 길이 6-10mm이며 외피가 두껍고 파상으로 꾸불꾸불해지는 횡세포로 되며 2-6개의 새끼(자구)를 형성한다.
    분포 : ▶일본 중국 몽골 등 동북아시아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유사종 : ▶산달래(Allium grayi Regel) : 산지의 초임이나 들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 깊은 산의 볕이 드는 숲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잎은 손바닥처럼 넓고 2-3장씩 달린다.
    특징 : 달래는 독특한 맛과 특유의 향취를 지닌 향신채로 달래초나물에서 물씬한 봄내음을 즐기게 해주던 산나물이었으나 근래에는 재배되어 겨울내내 즐길 수 있어 계절감각을 느낄 수 없게 된 것이 못내 아쉽지만 예나 지금이나 식욕을 돋구어 주는데는 변함이 없다.
    file
    Read More
  9. No Image

    달구지풀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토끼풀속(Trifolium) target=_blank>토끼풀속(Trifolium)</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길이 2-4cm 폭 0.5-1cm이다. 잎뒷면의 주맥에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탁엽은 막질로 줄기를 감싼다.
    꽃 : 두상화서는 길이 5-30mm로서 10-20개의 꽃이 부채살 처럼 달리고 꽃은 6-9월에 피며 짙은 홍색이고 엽액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5개의 피침형 조각으로 갈라지며 10맥이 있고 첫째 열편이 가장 길며 꽃잎이 꽃받침 보다 2배정도 길다. 기판은 타원형에 원두이고 익판은 장원형이며 용골판은 익판보다 짧다.
    열매 : 협과는 선상 장원형으로 4-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여럿이 뭉쳐나와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다소 네모지고 비스듬히 자라며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다.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땅속에 원주형의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주달구지풀 var.alponum NAK. : 한라산정 근처에서 자라며 전체가 작다.

    file
    Read More
  10. No Image

    단풍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palmata (Pall.)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터리풀속(Filipendula) target=_blank>터리풀속(Filipendula)</a>
    이명 : 강계터리풀 단풍터리흰터리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긴 엽병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1회우상복엽이며 심장저이고 정소엽이 가장 크고 장상으로 5-7개로 갈라진다.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0-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맥 위에 회백색의 짧은 융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측소엽은 작은 것과 큰 것이 교대로 달리며 3-6쌍이고 톱니와 결각이 있으며 윗부분의 잎 중에는 측소엽이 없는 것이 있고 탁엽은 피침상 긴 타원형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홍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많은 꽃들이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4-5개로 길고 둥글며 길이 3mm가량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잎보다 훨씬 길다. 암술은 6-8개이다.
    열매 : 수과는 4-5개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1. No Image

    단풍취

    학명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취속(Ainsliaea) target=_blank>단풍취속(Ainsliaea)</a>
    이명 : 괴발딱지 괴발땅취 장이나물좀단풍취
    잎 :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윤생한 것처럼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갈라지는 것이 있고 길이 6-12.5cm 나비 6.5-19cm로서 양면과 엽병에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3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지름 1-1.5cm로서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4mm로서 붉은빛이 돌며 포는 많고 여러줄로 배열되며 그 속에 3개의 통상화가 들어 있고 화관은 길이 16-17mm로서 백색이며 통부는 길이 7.5mm이고 열편이 불규칙하다.
    열매 : 수과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9mm 지름 2mm로서 양끝이 좁고 자주색 바탕에 종선이 있으며 관모는 10-11mm로서 갈색 또는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줄기 :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곧게 서고 긴 갈색 털이 드물게 있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가야단풍취 var.subapoda Nak.: 잎의 결각이 얕고 가야산에서 자라지만 우리 나라의 것을 본 변종으로 본다.

    Read More
  12. 단풍제비꽃

    학명 :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단풍씨름꽃 단풍오랑캐
    잎 : 잎은 밑동에 밀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깊게 장상으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길이 16.5cm 폭 4.5cm로서 크게 3개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으로 흘러서 긴 대로 되고 2개로 갈라진 측열편 밖에서부터 길이 7cm 폭 3cm인 것 길이 11.5cm 폭 3.5cm인것 등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흰색이고 향기가 나며 잎 사이에서 길게 난 화경 끝에 달리며 중앙 밑부분에 실같은 포가 2개 있으며 포는 길이 1c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털이 없으며 부속체는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깊게 갈라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5장이며 측판에 털이 있고 거는 길이 6mm정도로서 기둥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10-16mm이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남산제비꽃과 태백제비꽃의 잡종성을 지니고 있으며 잎은 태백제비꽃의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는 것에서부터 밑부분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 것 및 남산제비꽃의 열편이 훨씬 넓어진 것 등 변이가 심하다.
    file
    Read More
  13. No Image

    단풍잎돼지풀

    학명 :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돼지풀속(Ambrosia) target=_blank>돼지풀속(Ambrosia)</a>
    이명 : 세잎돼지풀 큰돼지풀
    잎 : 잎은 대생하며 단풍잎 처럼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각 20~30cm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엽병으로 흐르며 양면에 강모가 있고 열편은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끝이 밋밋하지만 길게 뾰족해지고 엽병은 길이 6cm정도로서 표면에 홈이 지며 가장자리와 더불어 백색 털이 있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1개 내지 여러 개가 두상으로 뭉쳐서 밑부분에 달리며 위에서 많은 수꽃이 핀다. 수꽃의 포는 접시모양이고 화경이 있으며 규칙적이고 한쪽에 3개의 능선이 있으며 암꽃의 포는 뾰족한 타원체로서 1개의 꽃이 들어 있고 갈라진 암술대가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며 길이 6-12mm로서 끝에 길이 2-4mm의 돌기가 있고 능선에 4-10개의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1m이상 지름 2~4mm에 이르며 거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유럽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중부지방의 포천 문산 운천 등지에서 발견되었고 점차 남하하여 현재 서울 근교까지 퍼져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둥근잎돼지풀 for.integrifolia Fern.: 잎이 갈라지지 않으며 춘천 근처에서 자란다.
    특징 : 미국에서 들어온 종이다.
    Read More
  14. No Image

    단풍버즘나무

    학명 : Platanus Xhispanica Munch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즘나무과(Platanaceae) target=_blank>버즘나무과(Plat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즘나무속(Platanus) target=_blank>버즘나무속(Platanus)</a>
    이명 : 단풍잎쥐방울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상 원형으로 나비 10~20cm로서 5~7개로 깊게 갈라진다. 중앙 열편은 길이가 나비보다 길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거나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3~8cm로서 기부에 어린 동아를 완전히 싸고 있다.

    열매 : 과실은 두상의 구과로 2~6개가 긴 과병에 달려 있어 마치 방울처럼 보이고 수과 윗부분이 뾰족하기 때문에 구과의 표면은 돌기가 많은 것 같이 보인다.





    특징 : 잎이 중렬하고 과실이 보통 2개씩 달리는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의 잡종이다.
    Read More
  15. No Image

    단풍박쥐나무

    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쥐나무과(Alangiaceae) target=_blank>박쥐나무과(Alang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박쥐나무속(Alangium) target=_blank>박쥐나무속(Alangium)</a>
    이명 : 개박쥐나무단풍잎박쥐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2cm 폭 5-12cm로서 5(간혹 3)개로 중앙까지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아심장저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주맥 분기점에 밀모가 있으며 기부에 장상 맥이 있다.
    꽃 : 취산화서는 액생하고 2-3개의 꽃이 달리며 털이 없고 꽃은 처지며 소화경과 환절로 되어 있고 꽃받침통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절두이다. 꽃잎은 5개이며 황색 또는 연황색이고 길이 22mm로서 뒤로 말리며 수술이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타원상 원형이며 붉은 빛이 도는 흑색으로 익고 길이 10mm이다.
    줄기 : 어린 가지에 짧은 잔털이 있다.

    분포 : 전라남도 백양산 경상남도 거제도 옥녀봉에서 자란다. ▶일본 구주지역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박쥐나무(A. platanifolium var. macrophyllum Wanger.): 잎은 길이와 폭이 7-20㎝인 원형이나 끝이 3-5개로 얇게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다. ▶누른대나무(for. velutinum T. Lee): 잎의 양면에 누런 털이 있는 것.
    특징 : 세계에 약 20종 우리 나라에는 1종 1변종이 분포한다.
    Read More
  16. No Image

    단풍마

    학명 : Dioscorea quinquelob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과(Dioscoreaceae) target=_blank>마과(Dioscor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속(Dioscorea) target=_blank>마속(Dioscorea)</a>
    이명 : 국화마
    잎 : 긴 잎자루의 기부에 1쌍의 작은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폭은 4-10cm이며 잎몸은 길이 10cm 내외로서 손바닥 모양으로 5~9개로 갈라지는데 엽육중에는 침상의 결정이 있고 중앙 열편만 끝이 가늘고 뾰족하며 측열편은 원두이고 보다 작으며.밑부분은 심장저이다.엽병은 길고 및부분 양쪽에 각각 1개씩의 소돌기가 있다. 잎은 마르면 검게 변색한다.
    꽃 : 6~7월에 개화하고 암·수 그루가 다르다. 엽액에서 화수가 자라고 소화가 많이 달리며 화수는 길이 5-15㎝이고 꽃덮이조각은 6개이고 수평으로 퍼지며 황록색이다. 수꽃에는 짧은 꽃자루가 있고 6개의 수술이 있다.또 마르면 적갈색이 된다.화피는 수평으로 퍼지고 암꽃 화서는 밑으로 드리우며 꽃에 자루가 없다.
    열매 : 길이 15mm 정도의 삭과로서 3개의 날개가 있으며 넓은 도란형이며 밑으로 처진 총상화서에 위를 향해 달린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길이 약 3mm이고 둘레 전체에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물체에 감기면서 길게 뻗는다.
    뿌리 : 돌기같은 털이 있고 뿌리는 굵으며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전국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이다.


    Read More
  17. No Image

    단풍딸기

    학명 : Rubus palmatus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예첨두이며 심장저 또는 재저이고 길이 3-7cm 폭 2.5-4cm로서 3-5개로 갈라지지만 간혹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열편은 예두이거나 길게 뾰족해지며 양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선형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3cm정도로서 백색이며 엽액에서 자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밑을 향한다. 꽃받침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넓은 타원형으로서 옆으로 퍼지고 수술이 많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황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털은 없으나 가시가 많다.

    분포 : 안면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Read More
  18. No Image

    단풍나무

    학명 : Acer palmat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이명 : 내장단풍 산단풍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원형에 가깝지만 5-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심장저이고 복거치가 있고 길이 5~6c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엽병은 길이 3-5cm이다.
    꽃 : 산방화서에 털이 없고 꽃은 잡성 또는 일가화로서 4-5월에 피며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5개의 흔적이 있지만 수꽃은 없고 수술은 8개(4개는 길고 4개는 짧다) 꽃받침잎은 5개이다. 수꽃과 암꽃이 동일 화서에 있다.
    열매 : 시과는 길이 1.5c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고 날개는 긴 타원형으로 예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진다.
    줄기 : 소지는 털이 없으며 적갈색이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전라도 제주도와 대둔산 백양산의 표고 100~1 600m사이의 계곡과 산기슭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형.
    유사종 : ▶내장단풍(var. nakaii Uyeki) : 잎이 9(간혹 7)개로 갈라지고 잎 뒷면 맥액에 갈색 털이 있으며 시과가 수평으로 벌어진다. ▶털단풍(var. pilosum Nakai) : 잎이 7-9개로 갈라지고 엽병 잎 뒷면 중륵 화경 및 소지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열매의 날개가 도란형이다. ▶아기단풍(A. micro-sieboldianum NAK.) : 잎 표면에는 털이 있으나 뒷면에는 없고 길이 32-65mm이며 화경에 털이 있고 열매가
    특징 : ▶생장 속도가 빠르고 맹아력이 좋다. ▶변재는 엷은 황색 줄무늬가 있는 백색 심재는 담갈암록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심 변재의 구분이 뚜렷하고 연륜은 분명치 않다. 산공재로 나무갗은 곱고 치밀하며 목리는 통직하다.
    Read More
  19. No Image

    단천향나무

    학명 : Juniperus davuricus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다우리아향나무
    잎 :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다. 잎은 침상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서 표면은 매우 희며 중륵보다 백선이 넓고 길이 6-8㎜ 나비 1-1.5㎜이며 예첨두로서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扁球形)으로서 지름 10㎜이며 유합(癒合)된 4개의 실편에 소돌기가 있다. 종자는 보통 3개 이고 난상 원형으로서 2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5-6㎜이다. 열매는 침엽만 다린 가지에도 달린다.
    줄기 : 가지가 위를 향하고 일년지는 녹색 이년지는 적갈색이다. 과지(果枝)에는 인엽(鱗葉)이 있다.

    분포 : 함북 무산군(茂山郡) 함남 갑산군(甲山郡) 및 단천군(端川郡)에서 자란다.
    형태 : 포복성상록수(匍匐性常綠樹)이다
    유사종 :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남쪽 해안 지대에 자생하며 포복성이나 가지는 위를 향하며 잎이 대부분 침엽인 점이 다른데 눈향나무와 함께 정원수로 쓰인다. ▶향나무(J. chinensis L.) ▶뚝향나무(J. chinensis L. var. horizontalis Nakai): 향나무에 비해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이다.

    Read More
  20. No Image

    단양쑥부쟁이

    학명 :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단양쑥부장이 솔잎국화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5.5cm 나비 1-3m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두화는 지름 4cm정도이고 화경에 선상의 잎이 많이 달리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8-10mm 나비 16-20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설상화관은 2줄로 달리고 길이 2cm 나비 3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털이 밀생하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붉은빛이 돈다.
    줄기 : 초년도의 줄기는 높이 15cm에 달하고 잎이 총생하며 화경(花莖)은 전년도의 줄기에서 계속 자라고 높이 30-50c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단양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