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버섯 분류체계
기재문 출처 및 분류기준 :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_ 이태수) 상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시면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 Agaricus porphyrizon P.D. Orton
- 주름버섯과(Agaricaceae)
- 주름버섯속(Agaricus)
-
갓의 지름은 5~8cm로 반구형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때때로 중앙이 울퉁불퉁하다. 표면은 칙칙한 구릿빛 적색에서 핑크갈색으로 되며 방사상의 섬유실이 눌려서 섬유실의 인편으로 되며 나중에 점차 연한 핑크색을 거쳐 백색으로 되지만 중앙은 구릿빛 갈색이지만 표피의 밑은 백색이다. 가장자리는 갈라져서 섬유실의 인편처럼 되며 오랫동안 아래로 말리며 나중에 막질의 톱니상으로 된다.
살은 백색이나 상처 시 약간 노란색으로 되고 두꺼우며 아몬드 같은 맛으로 온화하다.
자루의 살은 상처 시 노란색으로 된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끝붙은주름살로 백색에서 회색-핑크색을 거쳐 흑자색으로 되며 폭은 넓다. 변두리는 톱니상이다.
자루의 길이는 5~8cm, 굵기 5~10mm, 원통형이며 단단하고 속은 차 있다가 빈다. 표면은 턱받이 위는 백색, 그 외는 때때로 핑크색을 띠며 세로줄의 섬유실이 있으며 때로는 약간 세로줄의 홈선이다. 자루는 상처 시 기부 쪽으로 노란색으로 된다. 턱받이는 아래로 축 늘어진 형이고 때때로 갈라지고 찢어진다. - 포자의 크기는 5.5~6×3.5~4.5㎛이고 타원형, 표면은 매끈하고 검은 갈색이며 벽은 두껍다. 담자기는 18~25×6~7.5㎛로 막대형이며 4-포자성이다. 기부에 꺾쇠가 없다.
- 구릿빛 적색~ 핑크갈색
- 여름~가을
- 여름~가을 숲속의 땅에 단생·군생
- 한국(백두산),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 해안
- 식용
"사진출처 : http://www.aranzadi.eus/fileadmin/images/micologia/Eskaneatuak/11_digital/Agaricus_porphyrizon_jml_081117031_8200228a.jpg
"
도감등록수 2465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