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Vicia pseudoorobus f. albiflora (Nakai) T.B.Lee |
|---|---|
| 과명 | 콩과(Leguminosae) |
|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
| 이명 | 흰꽃큰등갈퀴 |
|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백두산 함경남도 함흥) |
| 특징 | 모종인 큰등갈퀴의 자주색꽃에 비해 꽃 색깔이 흰색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eoul Univ. J(B). 20 : 146 () |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흰털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schrenkii var. lasiogynus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광나무속(Philadelphus) target=_blank>고광나무속(Philadelphus)</a>
이명 : 털고광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으로 현저히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뒤에 미세한 털이 있으며 엽병에 백색의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5~7개씩 달리고 화서에 짧은 털이 많다. 소화경은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많고 꽃받침조각은 난형 꽃잎은 둥글며 수술은 꽃잎보다 짧고 화주는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도원추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회백색이며 2년지에 수피는 벗겨지고 새가지에는 옆으로 퍼지는 털이 있으며 홍갈색을 띤다.
분포 : 경기(광릉) 경남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
Read MoreNo Image
흰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koreana f. alba (Nakai)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터리풀속(Filipendula) target=_blank>터리풀속(Filipendula)</a>
이명 : 흰터리
잎 : 잎은 호생하며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가장 크며 길이 9㎝ 폭 11㎝로서 단풍잎처럼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측소엽은 작으며 4-5쌍이지만 경생엽에는 1-4쌍이 달리고 탁엽은 길이 0.5-1㎝로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많으며 꽃잎보다 훨씬 길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 8-9월에 익으며 앞뒤에 털이 있다. 심피는 5개로서로 떨어져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홈줄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부전고원(赴戰高原)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붉은터리풀(F. koreana Nakai): 적색꽃이 핀다.
-
Read More
흰큰방울새란
학명 : Pogonia japonica f. albif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울새란속(Pogonia) target=_blank>방울새란속(Pogonia)</a>
잎 :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0㎝ 나비 7-132m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붙고 날개처럼 흐른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흰색이며 포는 잎같고 길이 2~4cm, 나비 3~6mm로서 보통 씨방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윗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1.5~2.5mm, 나비 3~5mm로서 끝이 둔하고 옆의 것은 다소 나비가 좁으며 윗부분의 것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입술모양꽃부리는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정열편은 거꿀달걀모양이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육질의 돌기가 있다. 씨방은 길이 1.5cm 정도이다.
열매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큰방울새란(P. japonica Reichb. fil.): 홍자색 꽃이 핀다.
특징 : 흰 꽃이 피는 큰방울새란이다.
-
Read MoreNo Image
흰큰메꽃
학명 : Calystegia sepium f. album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메꽃과(Convolvulaceae) target=_blank>메꽃과(Convolv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메꽃속(Calystegia) target=_blank>메꽃속(Calystegia)</a>
잎 : 잎이 삼각형 모양의 난형이다.
분포 : 경기도 이북
형태 : 다년생 덩굴식물
-
Read MoreNo Image
흰큰등갈퀴
학명 : Vicia pseudoorobus f. albiflora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이명 : 흰꽃큰등갈퀴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백두산 함경남도 함흥)
특징 : 모종인 큰등갈퀴의 자주색꽃에 비해 꽃 색깔이 흰색이다.
-
Read MoreNo Image
흰큰나비나물
학명 : Vicia unijuga var. ouensanensis f. albif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잎 : 잎은 호생하며 한쌍의 소엽으로서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8cm 나비 2-4cm로서 거치가 없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둔저이고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엽액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은 흰색의 접형(蝶形)이고 길이 12-15m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의 선형 조각으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cm 정도로 흡사 완두콩같이 생겼으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여러대가 한군데에서 나와 곧추 또는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원줄기는 능선으로 인하여 네모가 진다.
뿌리 : 땅 속에 단단한 목질의 근경이 있고 뿌리가 건장하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큰나비나물 varouensanensis LEV : 잎의 길이가 10cm 나비가 5cm이다. ▶애기나비나물 var.kausanensis LEV.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전체가 작으며 높은 산에서 자란다. 나비나물은 드물게 콩과식물이면서도 순과 꽃봉오리를 나물로 이용하는 귀한 산채의 하나다.
특징 : 꽃이 흰 큰나비나물.
-
Read MoreNo Image
흰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zollingeri f. albiflora Tu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용담속(Gentiana) target=_blank>용담속(Gentiana)</a>
분포 : 한반도 일본
특징 : 기본종인 큰구슬붕이에 비해 화관이 순백색이다.
-
Read MoreNo Image
흰층꽃나무
학명 : Caryopteris incana f. candida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편초과(Verbenaceae) target=_blank>마편초과(Verbe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층꽃나무속(Caryopteris) target=_blank>층꽃나무속(Caryopteris)</a>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첨두 또는 둔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2.5-8cm 폭 1.5-3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으로서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5-10개씩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20mm이다.
꽃 : 꽃은 흰색이고 취산화서가 윗부분의 엽액에 많이 모여 달려 계단상으로 보인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길이 5-6mm로서 겉에 털이 있고 밑부분의 열편이 가장 크며 다시 실처럼 가늘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끝이 2개로 갈라지고 이강웅예는 암술과 더불어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2mm로서 중앙에 능선이 있으며 숙존성의 꽃받침속에 5개의 열매가 들어 있고 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윗부분이 겨울동안 죽으며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상도 전라도 및 남쪽섬에 분포한다.
형태 : 아관목.
유사종 : ▶층꽃나무 : 기본종
특징 : 흰색 꽃이 피는 층꽃풀이다.
-
Read MoreNo Image
흰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Naka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치마속(Heloniopsis) target=_blank>처녀치마속(Heloniopsis)</a>
꽃 : 총상화서로 흰꽃 또는 연보라색 꽃을 피운다.
줄기 : 줄기가 곧게 선다.
분포 : 우리나라 각처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흰참싸리
학명 : Lespedeza cyrtobotrya f. semialb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싸리속(Lespedeza) target=_blank>싸리속(Lespedeza)</a>
잎 : 잎은 3출엽이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잎 끝은 요두(凹頭) 또는 원두圓頭)이며 원저(圓底)이다.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엽병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 : 화서는 총상이지만 짧기 때문에 두상같이 보이고 화축에 밀모가 있으며 꽃은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서리가 내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피고 소화경은 길이 1-4mm이다. 꽃받침은 중열되고 털이 있으며 점첨두이고 기판과 익판은 백색이며 다소 홍색이 난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길이 8mm이며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원형으로 되며 노목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소지에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의 표고 100-1 400m 사이의 산중턱 양지쪽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선녀싸리(for. alba T.LEE): 꽃이 순백색이다. ▶긴잎참싸리(var. longifolia Nak.): 잎이 타원형이고 참싸리의 화서가 달리는 것.
-
Read MoreNo Image
흰참꽃받이
학명 : Bothriospermum secundum f. albiflor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받이속(Bothriospermum) target=_blank>꽃받이속(Bothriospermum)</a>
분포 : 한반도(평양)
유사종 : 참꽃받이
특징 : 기본종인 참꽃받이에 비해 꽃이 백색이다.
-
Read MoreNo Image
흰참꽃나무
학명 :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var. tschonoski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달래속(Rhododendron) target=_blank>진달래속(Rhododendron)</a>
이명 : 십자참꽃 십자참꽃나무 흰참꽃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끝에서는 총생하며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30mm 폭 4-12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복모와 더불어 연모가 있다. 잎이 가을에 황적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7-8mm로서 백색이며 깔때기모양이고 가지끝에 2-6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3cm로서 백색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침상의 백색 털이 있으며 꽃잎은 4-5개로 갈라지고 통부보다 짧으며 통부는 길이 2-3mm로서 안쪽에 털이 있다. 4개의 수술중에서 2개는 길고 수술대는 중앙이하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암술대는 수술과 길이가 같으며 털이 없다. 자방은 난형이고 갈색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갈색털이 있다.
분포 : 지리산 및 가야산에서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소관목
-
Read MoreNo Image
흰진퍼리잔대
학명 : Adenophora palustris f. leuc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흰꽃모시나물 흰선모시나물흰선잔대흰섬잔대
분포 : 한반도(제주도)
유사종 : 진퍼리잔대
특징 : 기본종인 진퍼리잔대에 비해 꽃잎이 백색이다.
-
Read MoreNo Image
흰진범
학명 :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흰진교
잎 : 근생엽과 경생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밑부분의 잎은 3-7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3-5개로 갈라지고 열편에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꽃 : 꽃은 연한 황백색이며 8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엽액에서 총상화서가 나오고 화서와 소화경에 털이 있으며 포는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뒤쪽의 꽃받침잎은 뒤로 길이 2.8cm정도의 원통상 거가 발달하고 털이 있으며 이마쪽이 수평으로 뾰족해지고 나머지 2개는 옆으로 2개는 밑으로 달린다. 2개의 꽃잎은 밀선으로 되어 뒤쪽의 꽃받침속에 들어 있으며 수술은 많고 뒤로 젖혀지며 수술대 밑부분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자방
열매 : 종자는 삼각형으로서 날개가 있으며 겉에 주름이 진다.열매는 골돌과이다.
줄기 : 비스듬히 자라거나 덩굴로 되어 길이 1m에 달하고 윗부분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맹독성 식물 ▶한국특산식물
-
Read MoreNo Image
흰진달래
학명 : Rhododendron mucronulatum f. albiflorum (Nakai) Oku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달래속(Rhododendron) target=_blank>진달래속(Rhododendron)</a>
이명 : 흰진달내 흰진달래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4-7cm 폭 1.5-2.5cm로서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인편이 약간 있고 뒷면에 인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6-10mm이다.
꽃 : 개화기는 4-5월로 가지끝에서 백색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 꽃은 가지끝의 측아에서 1개씩 나오지만 2-5개가 모여 달리가도 하며 화관은 벌어진 깔때기모양이고 지름 3-4.5cm로서 겉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10개로서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고 암술대가 수술보다 길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원통형이고 길이 2cm로서 10월경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3m이고 소지는 연한 갈색이며 인편이 있다.
형태 : 낙엽활엽성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털진달래(var. ciliatum NAK)는 소지와 잎에 털이 있다. ▶왕진달래(var. latifolium NAK)는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반들진달래(var. maritimum NAK)는 잎 표면에 윤채가 있고 양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있다. ▶한라산진달래(var. taquetii NAK)는 열매가 보다 가늘고 길다.
특징 : 진달래의 변이종으로 알려져 있다.
-
Read MoreNo Image
흰지느러미엉겅퀴
학명 : Carduus crispus f. albus (Makino)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arduus) target=_blank>엉겅퀴속(Carduus)</a>
잎 :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으로 길이 5~30cm이다. 주름이 지고 불규칙한 우상전열이며 소치아상 거치 톱니끝은 가시로 되어있다.
꽃 : 취산화서 줄기 끝에 모여 난다. 지름 2.5cm 꽃자루가 없거나 짧음. 총포 난형 길이 1.5~2cm 총포편 7~8열 겹쳐 배열 끝이 가시화 외중편 뒤로 젖혀지고 내편 곧게 자람. 화상 흰색 인편 밀포 인편 사상. 통상화 양성 끝은 5심열 관모 흰색.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줄기 :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치고 톱니 있는 날개 뚜렷 날개 끝 가시화.
분포 : 유럽 서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시아
-
Read MoreNo Image
흰줄갈풀
학명 : Phalaris arundinacea var. pic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풀속(Phalaris) target=_blank>갈풀속(Phalaris)</a>
이명 : 뱀풀 흰갈풀
잎 : 잎은 길이 20-30㎝ 폭 8-15㎜로서 털이 없고 엽설은 절두이며 길이 2-3㎜이다. 잎에 백색줄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원추화서은 곧추서며 길이 10-17㎝ 지름 1-3㎝이다. 소수는 난형이며 길이 4-5㎜로서 편평하고 끝이 뾰족하다. 포영(包潁)은 길이가 거의 같으며 막질(膜質)로서 3맥이 있고 호영은 난형이며 까락이 없고 길이 3-3.5㎜로서 2개의 퇴화된 꽃이 들어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2㎜이다.
줄기 : 가지가 비스듬히 또는 곧추 1-2개씩 달린다. 소지는 짧으며 소수가 밀착한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흰좀현호색
학명 : Corydalis decumbens f. albifloru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잎 : 괴경에서 나온 잎은 3개씩 2~3회 갈라지고 엽병이 길다. 소엽은 보통 2-3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2cm 나비 3-7mm로서 분백색을 띤 녹색이며 원줄기에는 잎이 2장씩 달리고 엽병이 짧으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15~22mm로서 홍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한쪽이 넓은 순형(脣形)으로 벌어지며 다른 한쪽에 거(距)가 있다. 포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갈라지지 않고 소화경은 길이 5-10mm이며 수술은 6개가 양체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선형이고 길이 15-22mm 지름 1.5mm정도이며 약간 염주형이다. 종자는 흑갈색이고 지름 1.2mm정도로서 겉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 괴경 위에서 5~6개의 원줄기와 잎이 나와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지만 전체는 길이 10-30cm이다.
뿌리 : 괴경은 묵은 괴경 위에 새로 생기고 지름 1cm정도이다.
분포 : 명지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좀현호색과 비슷하나 흰 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흰좀양지꽃
학명 : Potentilla matsumurae f. alb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잎 : 잎은 3출엽이며 소엽은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며 예저이고 길이 1~2cm 폭1-1.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는 편이며 뒷면은 녹색이고 잔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8~10개의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다소 갈색이 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이며 줄기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고 5수성이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5mm 이고 부악편은 타원형으로서 꽃받침과 크기가 비슷하며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끝이 파지며 화탁에 짧은 털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 3mm정도로서 가늘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난형이며 광택이 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1.2-1.5mm이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 산정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제주도 산정에 나는 꽃이 흰 좀양지꽃이다.
-
Read More
흰좀설앵초
학명 : Primula sachalinensis f. albid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앵초속(Primula) target=_blank>앵초속(Primula)</a>
잎 : 잎은 모두 근생엽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mm 나비 7-10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 날개처럼 되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며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뒷면은 황색 가루로 덮여 있으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10-17cm로서 끝에 2-15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넓어지고 동시에 뒤쪽이 부풀며 짧은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고 소화경은 길이 4-10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7-8mm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둔하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뿌리 :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분포 : 낭림산에서부터 백두산지역(표고 2 300m 근처)까지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좀설앵초에 비해 꽃이 흰색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