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흰이삭사초

조회 수 3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arex metallica H.Lev.
과명 사초과(Cyperaceae)
속명 사초속(Carex)
이명 힌이삭사초
잎은 1-2개씩 달리며 폭 3-6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밑부분의 엽초는 색이 연하지만 흑갈색 섬유로 갈라진다.
소수는 5-10(15)개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며 밑부분의 것은 떨어져 있고 정소수는 곤봉상 원주형이며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지만 수꽃만으로 선형인 것도 있다. 측소수는 암꽃만 있는 것과 밑부분에 수꽃이 있는 것이 있고 원주형이며 길이 2-5㎝ 지름 6mm로 중앙부에서는 한 마디에 1-2개가 달리기도 하고 밑으로 처진다. 첫째 포는 화경보다 길며 밑부분에 초가 있고 자화영은 좁으며 난형이고 길이 4mm정도로 1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열매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며 비스듬히 달리고 막질이며 연한 황록색 바탕에 자갈색 반점이 있고 길이 7mm정도로서 맥과 더불어 짧은 털이 약간 돋는다. 부리는 양쪽 가장자리가 거칠며 끝부분은 백색 막질이고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세모진 넓은 난형이다.
줄기 총생하며 높이 30-70cm이고 큰 포기로 된다.
분포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Repert. Spec. Nov. Regni Veg. 5 : 239 (1908)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흰일월비비추

    학명 : Hosta capitata f. albif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잎 : 잎은 길이가 5∼7cm로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긴 엽병 밑에는 자주색 점들이 있다. 타원형의 포는 길이 2cm 정도로 자주색이다.
    꽃 : 꽃은 7∼9월에 꽃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흰색으로 길이가 4∼5cm이며 안쪽으로 자주색의 맥이 있다. 수술은 6개로 화관의 길이와 거의 같고 암술머리는 둥글다.
    열매 : 10월에 달리는 삭과는 길이가 2.5cm 정도이다. 긴 타원형의 납작한 씨는 길이가 9mm 정도이며 검은색 날개가 달려 있다.


    분포 : 한국



    Read More
  2. No Image

    흰인가목

    학명 : Rosa korean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며 7-11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도란상 타원형이며 둔두 예저로 길이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선상의 예리한 톱니가 있고 총엽병에 선모가 있다. 탁엽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경에 새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관은 백색으로 지름 2.5-4cm이며 꽃받침은 길이 10-15㎝로서 좁고 길다. 꽃잎은 5장으로 넓은 도심장형이고 5-6월에 향기를 발하면서 개화한다. 꽃받침통은 열매가 익을 때 쯤에는 방추형으로 되고 길이 10-20mm로서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이며 꽃받침이 남아 있고 10월에 홍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가지가 많고 소지는 암적색이며 자모가 밀생한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해발 700-1 700m사이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민둥인가목(R. acicularis Lindley) : 꽃잎은 홍색 또는 흰빛이며 열매가 타원형이며 소지에 가시가 없고 줄기의 하부에 가시가 많다. 기수우상복엽은 3-7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엽축에 자모가 있고 탁엽은 화살 모양이며 꽃은 지름 5cm이고 작은 꽃자루에 선모가 밀생하는 것. 강원도 이북에 자란다. ▶붉은인가목(R.marretii Levl.): 화경에 털이 없고 잎은 4-7매의 소엽이며 담홍색의 꽃이 피고 탁엽에도 털이 없고 열
    특징 : 한국 특산으로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3. No Image

    흰이질풀

    학명 : Geranium thunbergii f. pallid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손이풀속(Geranium) target=_blank>쥐손이풀속(Geranium)</a>
    이명 : 쥐손이풀 흰꽃이질풀
    잎 : 잎은 대생한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얕게 3-5개로 갈라져 장상을 이룬다.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윗부분에 톱니가 있으며 잎면에 검은 자색의 반점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흰색이고 윗부분의 잎 사이에 긴 화경을 내어 그 끝에 1-3송이씩 달린다.

    줄기 : 높이는 1m가량이고 전체에 융모가 분포하며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서고 가지를 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4. No Image

    흰이삭사초

    학명 : Carex metallica H.L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힌이삭사초
    잎 : 잎은 1-2개씩 달리며 폭 3-6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밑부분의 엽초는 색이 연하지만 흑갈색 섬유로 갈라진다.
    꽃 : 소수는 5-10(15)개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며 밑부분의 것은 떨어져 있고 정소수는 곤봉상 원주형이며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지만 수꽃만으로 선형인 것도 있다. 측소수는 암꽃만 있는 것과 밑부분에 수꽃이 있는 것이 있고 원주형이며 길이 2-5㎝ 지름 6mm로 중앙부에서는 한 마디에 1-2개가 달리기도 하고 밑으로 처진다. 첫째 포는 화경보다 길며 밑부분에 초가 있고 자화영은 좁으며 난형이고 길이 4mm정도로 1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며 비스듬히 달리고 막질이며 연한 황록색 바탕에 자갈색 반점이 있고 길이 7mm정도로서 맥과 더불어 짧은 털이 약간 돋는다. 부리는 양쪽 가장자리가 거칠며 끝부분은 백색 막질이고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세모진 넓은 난형이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30-70cm이고 큰 포기로 된다.

    분포 :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5. No Image

    흰용머리

    학명 : Dracocephalum argunense f. alb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용머리속(Dracocephalum) target=_blank>용머리속(Dracocephalum)</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거나 길이 1-3mm의 엽병이 있으며 선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2-5cm 폭 2-5m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뒷면 맥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린다. 밑부붕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흔히 난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고 엽액에서 몇 개의 잎이 총생한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2-5cm이고 꽃받침은 길이 12-15mm로서 보통 퍼진 털이 있으며 굵은 맥이 도드라지고 거의 중앙까지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열편 사이가 도드라진다. 화관은 길이 3-3.5cm로서 앙순형이며 꽃밥과 더불어 겉에 털이 있고 통부가 갑자기 굵어지며 상순 끝이 약간 오목하고 하순이 3개로 갈라지며 중앙열편이 가장 크다.

    줄기 : 근경에서 총생하며 원줄기에 밑으로 굽은 백색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6. No Image

    흰용담

    학명 :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f. alb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용담속(Gentiana) target=_blank>용담속(Gentiana)</a>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4-8cm 나비 1-3cm로서 3맥이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을 띤 연록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파상으로 된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길이 4.5-6cm로서 자주색이며 화경이 없고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며 포는 좁은 피침형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12-18mm이고 열편이 고르지 않으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통부보다 길거나 짧고 화관은 종형이며 가장자리가 5개로 갈라지고 열편 사이에 부편이 있으며 수술은 5개로서 화관통에 붙어 있고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시든 화관과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대가 있고 종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양끝에 날개가 있으며 10-11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4개의 가는 줄이 있으며 줄기는 직립하나 개화기에는 옆으로 눕는다.
    뿌리 : 근경이 짧고 성글게 굵은 뿌리가 많이 뻗으며 잔뿌리가 나 있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용담과 닮았으나 흰꽃이 핀다.
    Read More
  7. No Image

    흰왜현호색

    학명 : Corydalis ambigua f. lactico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가늘며 2회 3출로 갈라지고 소엽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10-30mm 폭 2-2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3개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잎은 연하며 회남색이 도는 녹색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17-25mm로서 한쪽으로 넓게 입술처럼 퍼지고 흰색이며 원줄기 끝에서 3-10여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기고 한쪽 옆을 향한다. 포(苞)는 피침형 또는 난상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소화경은 길이 7-12mm이다. 꽃받침잎은 명확치 않고 화관은 4개의 꽃잎으로 되었으며 위판과 아래판의 끝은 오목하게 갈라져서 상(上) 하순(下脣)으로 벌어졌고 화통의 밑은 거(距)로 되었으며 옆으로 곧게 뻗고 아래로 휘어졌다. 수술은 6개로서
    열매 : 삭과는 긴 타원상 선형이며 길이 15-23mm 나비 2.5-3mm이고 종자는 흑색 윤채가 있는 갈색이며 10 여개가 있고 6월에 성숙된다.
    줄기 : 괴경에서 1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10-30cm정도 자라며 윗부분에 2개의 잎이 달린다. 잎이 달린 밑부분에 개의 포같은 잎이 달리고 그 곳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 : 땅속에 지름 1-1.5cm의 둥근 괴경이 있다. 괴경은 속이 약간 누른빛이 돈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8. No Image

    흰왜젓가락나물

    학명 : Ranunculus quelpaertensis var. albifloru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폭 4-10cm로서 3출복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다소 길며 난형이고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3출복엽이고 윗부분의 것이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나 가지끝에 3-4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1.5-6cm이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이 필때 뒤로 젖혀지며 타원형이고 길이 2.5-4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기부에 꿀샘이 있다. 꽃잎은 5개이며 백색이고 길이 4-6mm로서 도란형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고 길이 1-1.5mm이며 꽃밥은 길이 1.5mm정도이다.
    열매 : 취과는 둥글고 화탁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길이 3.5mm정도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곧게 서고 높이 15-80cm이며 비스듬히 선 털이 있거나 털이 거의 없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제주도에 난다.
    형태 : 2년 내지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꽃이 흰 왜젓가락나물이다.
    Read More
  9. No Image

    흰왕갯쑥부쟁이

    학명 : Aster magnus f. albiflorus Y.N.Lee & C.S.K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흰왕갯쑥부장이
    잎 : 잎은 두껍고 털이 없으며 호생한다. 근생엽은 주걱 모양 잎의 상부는 치아상이고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으며 길이 15㎝ 폭 5.7㎝이다. 경생엽은 피침형 위쪽으로 갈수록 차츰 작아지며 길이 3.2-8.3㎝ 폭 0.6-2.5㎝이다.
    꽃 : 두상화서는 흰색의 설상화와 노란색의 관상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름 5-7㎝이다. 총포는 포가 4-5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포는 위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3㎝ 폭 1.8-2㎜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다. 설상화는 피침형 길이 3㎝ 폭 0.5㎝ 길이 4㎜의 갈색 관모를 가지고 있다. 관상화는 길이 1.1㎝ 폭 0.2㎝ 길이 5㎜의 강모 같은 갈색 관모를 가지고 있다.
    열매 : 관상화의 열매는 타원형의 수과이고 길이 0.2㎝ 미세한 털이 있다.
    줄기 : 털이 없고 붉은색을 띠는 줄기는 가로 누워 자라다가 위를 향하며 억세고 가지를 많이 친다. 아래쪽의 줄기는 지름 3-10㎜ 위쪽으로 갈수록 줄기는 차츰 가늘어진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왕갯쑥부장이(A. magnus Y. Lee & C. Kim): 두상화서는 자줏빛을 띤 파란색의 설상화와 노란색의 관상화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 : 왕갯쑥부장이와 비슷하나 꽃이 흰색이다.
    Read More
  10. No Image

    흰오이풀

    학명 : Sanguisorba stipulata f. alba (Trautv. & Mey.)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이풀속(Sanguisorba) target=_blank>오이풀속(Sanguisorba)</a>
    이명 : 가는오이풀 흰가는오이풀 )





    분포 : 강원도 설악산 등지에서 드물게 발견되었고 동강의 강가에서 여러 개체를 찾아볼 수 있다.



    Read More
  11. No Image

    흰오리방풀

    학명 : Isodon excisus f. albiflorus (Sakata)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박하속(Isodon) target=_blank>산박하속(Isodon)</a>
    이명 : 흰꽃오리방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끝이 거북꼬리같고 길이 2-5cm로서 꼬리를 제외한 길이와 폭이 각각 5-8cm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날개가 있는 엽병으로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이 거북꼬리처럼 되지 않는다.
    꽃 :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며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5-20c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화관은 통부가 짧고 길이 8-12mm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꽃받침속에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 여러 대가 같이 자란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오리방풀 (Isodon excisus (MAX.) KUDO) ▶지리오리방풀 (var. coreanus T.LEE) : 잎의 나비가 길이보다 길다. ▶둥근오리방풀 (var. Chiisanensis T.LEE ): 톱니가 넓은 치아상이다.

    Read More
  12. No Image

    흰여로

    학명 : Veratrum versicolor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로속(Veratrum) target=_blank>여로속(Veratrum)</a>
    이명 : 백여로파란여로
    잎 : 잎은 줄기 하반부에서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20-3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 엽초와 연결되며 뒷면 맥위에 갈고리모양의 돌기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줄기끝에 성긴 총상 원추화서에 달리고 백색이며 꽃의 포는 피침형으로 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화경(花梗)은 소포나 화피의 약 2배 길이로 털이 있다. 화피열편이 각각 6개이고 황백색이며 후에 녹황색으로 되고 암술은 황백색이다.
    열매 : 열매는 황갈색의 삭과로 타원형이고 유독식물이다.
    줄기 : 높이는 곧게 1m정도 자란다. 근경 윗부분과 원줄기 밑부분은 엽초가 썩어서 남은 섬유로 덮여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밑부분에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갈색꽃이 피는 것을 붉은여로 (for.brunnea) ▶녹색꽃이 피는 것을 푸른여로 (for.viride) 라고 한다.
    특징 : V.versicolor for.albidum Nak. 라고도 한다.
    Read More
  13. No Image

    흰여뀌

    학명 :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lapathifoli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명아자여뀌명아주여뀌 보태기여뀌 큰개여뀌
    잎 : 잎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0.8-3.5cm로서 표면에 검은 점이 있고 가장자리와 양면 중륵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탁엽보다 짧고 탁엽은 초상으로 털이 거의 없거나 짧은 연모가 있으며 마디가 굵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수상화서는 길이 1-4cm로서 곧게 서지만 다소 굽는 것도 있고 화피는 길이 2.5-3.5mm로서 4-5개로 갈라지며 맥이 뚜렷하고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수술은 5-6개로 화피보다 짧고 화주는 2개이다.
    열매 : 수과는 편원형으로 윤채가 있고 지름 2-3mm로서 흑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털이 없고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시베리아극동부 북미 유럽 등 각지에서 자란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솜흰여뀌 (var.salicifolia MIYABE) : 잎 뒷면에 백색 선모가 있고 신의주 서울(북한산) 부전고원 및 구례에서 자라고 기본종과 분포가 같다고 생각된다.
    특징 : 잎 가장자리와 양면 중륵에 잔털이 있다.
    Read More
  14. 흰얼레지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얼레지속(Erythronium) target=_blank>얼레지속(Erythronium)</a>

    잎 : 잎은 좁은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5~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바탕에 자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4~5cm이며 강하게 뒤로 말리고 기부에 W자의 짙은 자색 무늬가 있으며 그 밑에 밀선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삼릉형이다.
    줄기 : 줄기는 중부에 드물게 3개의 잎이 달리며 긴 엽병이 있으나 지하로 묻혀 지상에는 엽신만이 나타난다. 땅 속 깊이 들어 있는 통상 장 타원형의 인경은 길이 5~6cm 나비 약 1cm이며 기부에 전년도의 인경의 밑부분이 붙어 있고 외피는 황갈색을 띤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제주 제외) 일본 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15. No Image

    흰억새

    학명 : Miscanthus sinensis var. albifloru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억새속(Miscanthus) target=_blank>억새속(Miscanthus)</a>






    분포 : 한국(제주도)


    특징 : 억새와 닮았으나 화수가 희고 처진다.
    Read More
  16. No Image

    흰양귀비

    학명 : Papaver amurense (N.Busch) N.Busch ex Tol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양귀비과(Papaveraceae) target=_blank>양귀비과(Papav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귀비속(Papaver) target=_blank>양귀비속(Papaver)</a>
    이명 : 흰개양귀 흰아편꽃
    잎 : 잎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엽병은 길며 장 타원형이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전년도의 엽병이 남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긴 화경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2개로 타원상 주형 꽃잎은 4개가 교호대생하며 도란상 원형 수술은 다수 주두는 합쳐져서 방추형으로 된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도란형이고 위쪽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전체에 굵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함북(웅기 두만강 연안)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Read More
  17. No Image

    흰앵초

    학명 : Primula sieboldii f. albif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앵초속(Primula) target=_blank>앵초속(Primula)</a>

    잎 : 잎은 뿌리에 총생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1-4배 길며 연한 털이 있고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4-10cm 나비 3-6cm로서 털이 있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흰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15-40cm로서 털이 있으며 끝에 7-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돌기같은 털이 산생한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8-12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 길이의 1/2-2/3이다. 화관은 지름 2-3cm이고 통부는 길이 10-13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파진다.
    열매 : 삭과는 원추상 편구형이고 지름 5mm 정도 된다.
    줄기 :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뿌리 : 짧은 근경이 옆으로 비스듬히 서며 잔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특별한 육종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도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작물로 이용할 수 있다.
    Read More
  18. 흰애기풀

    학명 : Polygala japonica f. leuc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원지과(Polygalaceae) target=_blank>원지과(Polyga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지속(Polygala) target=_blank>원지속(Polygala)</a>
    이명 : 흰영신초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3cm 나비 4~15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둔하며 엽병이 극히 짧고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에 짧은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관은 나비형 비슷하며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가 날개처럼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수술은 8개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편평하고 양측에 날개가 있으며 두 조각으로 갈라지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하며 기부에서 분지하여 비스듬히 올라간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차이나 필리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19. 흰애기낚시제비꽃

    학명 : Viola grypoceras var. exilis f. albiflor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애기낚시제비꽃흰낚시제비꽃 흰좀낚시제비꽃
    잎 : 근생엽은 심장형 또는 편심형이며 길이 1-2cm로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7cm로서 털이 없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빗살처럼 깊게 갈라지며 경생엽은 이와 비슷하지만 엽병이 짧다.
    꽃 : 화경은 높이 6-10cm로서 뿌리에서 돋거나 원줄기에서 액생하고 위쪽에 포가 있으며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향기가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밋밋한 반원형이고 꽃잎은 길이 12-15mm로서 털이 없으며 거는 길이 6-8mm이다.

    줄기 : 낚시제비꽃에 비해 전체가 작고 원줄기는 다소 눕는다.
    뿌리 : 근경은 마디가 밀접하다.
    분포 : 전국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낚시제비꽃 (V. grypoceras A.GRAY) : 기본종 ▶애기낚시제비꽃 (var.esilis NAK.) : 원줄기가 다소 눕는다. ▶흰낚시제비꽃 (for.albiflora MAK.) : 기본종 중에서 백색꽃이 피는 것.

    file
    Read More
  20. No Image

    흰알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f. albiflorum (Nakai) T.B.Lee ex T.B.Lee & T.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target=_blank>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a>
    이명 : 흰밥풀





    분포 :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