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arex longerostrata C.A.Mey. |
|---|---|
| 과명 | 사초과(Cyperaceae) |
| 속명 | 사초속(Carex) |
| 잎 | 잎은 후에 자라며 나비 2-3㎜로서 납작하고 밑부분의 엽초는 볏짚색이며 섬유 모양으로 갈라진다. |
| 꽃 | 소수(小穗)는 2개로서 곧게 서고 윗부분의 것은 수꽃이며 밑부분의 것은 암꽃으로 된다. 웅화수(雄花穗)는 곤봉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2-3mm로서 갈색이며 자소수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와 지름이 각각 1cm정도로서 대가 있다. 포는 침형이며 밑부분이 통같이 되고 자화영(雌花穎)은 좁은 난형으로서 황갈색이며 뒷면 녹색부에 1맥이 있고 끝부분이 요두로서 짧은 까락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꼬이면서 굵어지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
| 열매 | 과포는 황록색이며 난상 원형이고 길이 7-8mm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부리는 길며 양쪽 가장자리가 거칠고 끝은 길이 1mm정도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삼각상 원형이고 비스듬한 대가 있다. |
|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0-40cm이다. |
| 분포 | 한라산 및 백두산지역의 초원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유사종 | ▶길게 옆으로 뻗는 줄기가 있는 것을 실피사초 var.pallida 라고 하며 원산 이북에서 자란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Cyper. Nov. in Mem. Imp. Sci. Saint Petersbourg 1: 220, t. 11 (1831)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하수오
학명 : Fallopia multiflora (Thunb.) Haralds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덩굴속(Fallopia) target=_blank>닭의덩굴속(Fallopia)</a>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6cm 폭 2.5-4.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짧은 원통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1.5-2mm이지만 꽃이 핀 다음에는 길이가 5-6mm로 된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자방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수과는 3개의 날개가 있으며 꽃받침으로 싸여서 길이 7~8mm쯤 되고 세모진 난형의 열매는 길이 2.5mm쯤 된다.
줄기 : 가늘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때로는 둥근 괴근을 형성하는데 괴근은 여러 개의 가는 줄기로 연결되며 그 길이는 1.4~1.5cm에 달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나도하수오(P. cilinervis): 뿌리는 굵고 목질 줄기는 많이 갈라진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
Read More
하늘타리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과(Cucurbitaceae) target=_blank>박과(Cucurb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타리속(Trichosanthes) target=_blank>하늘타리속(Trichosanthes)</a>
이명 : 자주꽃하눌수박 쥐참외 하눌수박 하늘수박
잎 : 잎은 호생하며 단풍잎처럼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수꽃이 15cm 암꽃이 3cm 정도로 각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잘게 갈라지고 황색이며 수술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7cm정도로서 오렌지색으로 익으며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연한 다갈색이다.
줄기 : 잎과 대생하는 덩굴손이 다른 물체에 잘 붙어 뻗어가고 고구마같은 큰 괴경이 있다.
뿌리 : 지하에 고구마같은 큰 괴근이 있다.
분포 : 중국 몽고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삼정리)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덩굴 식물
유사종 : ▶노랑하늘타리(var. japonica Kit.): 잎과 줄기에 흰털이 있고 열매는 넓은 난상 원형 노란색으로 익는다.
특징 : 중부지방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하는 경우 결실이 잘 안되는 특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dichotoma (L.) Vahl f. dichoto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지기속(Fimbristylis) target=_blank>하늘지기속(Fimbristylis)</a>
이명 : 고려하늘직이 털하늘직이 하눌직이 하늘직이
잎 : 잎은 폭 1.5~4mm로서 작지만 밑부분에 털이 있고 엽초는 녹색이 도는 갈색이며 대개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 일부분에 털이 있다. 7~10월에 개화하고 화서는 2~3회 갈라지며 산형이고 긴 가지는 길이가 5cm에 달한다. 첫째 포는 선형으로서 화서보다 길거나 짧으며 소수는 긴 난형이고 길이 5-8mm 지름 2.5-3mm로서 흑갈색이며 털이 없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며 중륵은 녹색이고 능선과 털이 없으며 끝이 둔하고 짧고 뾰족한 돌기가 있다. 암술대는 길이 2-2.5mm로서 편평하고 털이 있으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다소 구형인 세포가 5-6줄로 바둑판같이 배열되고 크림색으로 익는다.
줄기 : 총생하고 곧게 서며 높이 15~60cm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가는하늘지기 (for.depauperata Ohwi) : 소수가 1-2개이고 잎이 침형이다. ▶털하늘지기 (for.tomentosa Ohwi) : 엽초와 잎에 털이 많다.
-
Read MoreNo Image
하늘바라기
학명 : Heliopsis helianthoides (L.) Swee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바라기속(Heliopsis) target=_blank>하늘바라기속(Heliopsis)</a>
잎 : 잎은 보통 대생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12cm 나비 7㎝로서 표면에 짧고 억센 털이 있어 거칠고 뒷면은 엽맥을 따라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가장자리는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로 되고 예두 절저로서 갑자기 좁아져 엽병으로 흐른다. 엽병은 길이 2cm정도로서 위로 올라가면서 짧아지며 밑부분이 다소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원줄기 끝에 달리는 것이 크고 지름 4㎝정도로서 삼잎국화와 비슷하며 통포는 접시모양이고 포편은 2-3줄이며 외편은 잎같다. 설상화는 1-2줄이고 길이 2cm 나비 5-8cm로서 끝까지 남아 있으며 통상화는 길이 4-5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로서 네모가 지고 줄이 있으며 털이 다소 있거나 없고 관모는 거의 없다.
줄기 : 높이 0.5-1.5m이고 총생하며 원줄기에 털이 없다.
분포 :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꽃은 삼잎국화와 비슷하고 해바라기꽃은 옆을 향하나 이 식물은 하늘을 향하므로 하늘바라기라고 하며 속명의 뜻을 따서 지었다.
-
Read MoreNo Image
하늘매발톱
학명 :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매발톱속(Aquilegia) target=_blank>매발톱속(Aquilegia)</a>
이명 : 골매발톱꽃산매발톱꽃시베리아매발탑꽃하늘매발톱꽃
잎 : 근출엽은 총생하고 엽병은 길며 2회3출하고 소엽은 3심렬하며 열편은 넓은 쐐기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다시 얕게 갈라지고 뒷면은 서릿발같이 희며 기부에 털이 있다. 경생엽은 2개로 윗부분의 것이 작고 1~2회 3출한다.
꽃 : 꽃이 7~8월에 밝은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3개씩 하향하여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벽색이며 꽃잎 5 수술 9~10 암술 2~4개이다. 거는 끝이 가늘어져 안쪽으로 굽으며 둥글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5개이며 길이 2~3cm이고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거의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다소 굵다.
분포 : 낭림산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
하늘말나리
학명 : Lilium tsingtauense Gil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우산말나리
잎 : 잎은 큰 윤생엽과 작은 호생엽이 있다. 윤생엽은 줄기 중앙에 달리며 6-12개씩 달리고 피침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서 급하게 뾰족해진 끝과 점차적으로 좁아진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려 있다 호생엽은 윗부분에 달리고 피침형이며 큰 것은 길이 9cm 폭 2cm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원줄기끝과 바로 그 측지끝에 1-3개의 꽃이 위를 향해 곧추 달리며 지름 4cm정도이다. 화피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4-5㎝로서 황적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밀포하며 갈고리모양으로 약간 뒤로 젖혀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원주형이고 길이 22mm 지름 25mm정도로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1m까지 자란다.
뿌리 : 인경(鱗莖)은 지름 2-3cm로 구상 난형이고 인편에 관절이 흔히 없지만 관절이 있는 것도 비교적 많이 나타난다.
분포 :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짙은 황색꽃이 피는 것을 누른하늘말나리(L. tsingauence var. flavum) ▶화피에 자주색 반점이 없는 것을 지리산하늘말나리 (var.carneum) 라고 한다.
특징 : 말나리와 비슷하나 꽃이 하늘을 향해 개화한다. 자생지에 따라 초장이 짧고 전체적으로 왜소한 왜성종도 나타난다.
-
Read More
하늘나리
학명 : Lilium concolor Salis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잎 : 잎은 호생하며 다닥다닥 달리고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3-10cm 폭 3-6mm정도로서 엽병과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곧추 위를 향해 1-5개가 핀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옆으로 퍼지며 길이 2-5cm로서 도피침형 둔두이고 짙은 황적색이지만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산포한다. 밀구(蜜溝)에 털이 없으며 돌기같은 점이 있고 암술대는 자방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화피와 색이 같다.
열매 : 삭과는 난상의 긴 타원형이며 익으며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털이 없다.
뿌리 : 인경(鱗莖)은 흰색이고 마디가 없으며 다른 나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난형이다.
분포 : 전국의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고산성 식물이며 꽃이 하늘을 향해 피기 때문에 ""하늘나리""라고 한다. 꽃이 작고 산뜻한 느낌을 주어 절화용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등산객들에 의해 무분별하게 남획되어 멸종의 우려도 있으므로 야외에서의 채취는 절대 금한다."
-
Read MoreNo Image
피사초
학명 : Carex longerostrata C.A.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후에 자라며 나비 2-3㎜로서 납작하고 밑부분의 엽초는 볏짚색이며 섬유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2개로서 곧게 서고 윗부분의 것은 수꽃이며 밑부분의 것은 암꽃으로 된다. 웅화수(雄花穗)는 곤봉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2-3mm로서 갈색이며 자소수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와 지름이 각각 1cm정도로서 대가 있다. 포는 침형이며 밑부분이 통같이 되고 자화영(雌花穎)은 좁은 난형으로서 황갈색이며 뒷면 녹색부에 1맥이 있고 끝부분이 요두로서 짧은 까락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꼬이면서 굵어지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황록색이며 난상 원형이고 길이 7-8mm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부리는 길며 양쪽 가장자리가 거칠고 끝은 길이 1mm정도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삼각상 원형이고 비스듬한 대가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0-40cm이다.
분포 : 한라산 및 백두산지역의 초원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길게 옆으로 뻗는 줄기가 있는 것을 실피사초 var.pallida 라고 하며 원산 이북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피뿌리풀
학명 : Stellera chamaejasm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팥꽃나무과(Thymelaeaceae) target=_blank>팥꽃나무과(Thymel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뿌리풀속(Stellera) target=_blank>피뿌리풀속(Stellera)</a>
이명 : 서흥닥나무 처녀풀 피뿌리꽃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10-25mm 나비 3-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잔맥이 뚜렷하고 드문드문 달리며 엽병은 길이 0.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줄기 끝에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길이 8-121mm로서 10맥이 있으며 끝이 4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2mm정도이며 꽃밥 끝이 후부(吼部)까지 나와 있다.
줄기 : 높이 7-8cm이다.
분포 : 황해도 이북(瑞興)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피뿌리풀에 비해 잎이 보다 크고 끝이 뾰족하며 잔맥이 뚜렷하고 드문드문 달리며 꽃이 황색으로서 보다 길고 꽃밥이 거의 밖으로 나온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피막이
학명 :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막이속(Hydrocotyle) target=_blank>피막이속(Hydrocotyle)</a>
이명 : 피마기풀피막이풀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은 길고 신장상 원형이며 밑은 심장형이고 얕게 7-9개로 갈라지며 갈래는 이 모양의 톱니로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 또는 자주색이며 엽액에 3-5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축은 길며 잎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납작하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땅 위로 뻗는다.
분포 : 남부지방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상록초
-
Read MoreNo Image
피마자
학명 : Ricinus commun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마자속(Ricinus) target=_blank>피마자속(Ricinus)</a>
이명 : 아주까리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방패같고 지름 30-100cm로서 장상으로 5-11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은 녹색 또는 갈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8-9월에 원줄기 끝에 길이 20cm정도의 총상화서가 달리고 꽃은 일가화로 연한 황색 연한 홍색이며 수꽃은 밑부분에 달리며 수술대가 잘게 갈라지고 막질이며 꽃밥이 있고 화피열편은 5개이다. 암꽃은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5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자방이 있으며 털이 있고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끝에서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3실이고 대개 겉에 가시가 나며 각 실에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밋밋하며 암갈색 반점이 있고 ricinin 이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나무처럼 갈라지고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원산지에서는 나무처럼 자라는 다년초.)
특징 : 열대 지방인 베트남과 브라질 등지에서 다년생의 목본형임이 확인되었다.
-
Read MoreNo Image
피라칸다
학명 : Pyracantha angustifolia (Franch.)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라칸다속(Pyracantha) target=_blank>피라칸다속(Pyracantha)</a>
잎 : 잎은 호생하고 두꺼우며 선상 타원형이고 둔두 설저이며 길이 5-6cm 폭 5-10㎜로서 뒷면에 짧은 백색 융모가 밀생하며 회백색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단지에서는 속생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4-5mm로서 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이며 가지 윗부분의 엽액에서 산방화서가 발달하고 소화경은 짧으며 꽃받침의 겉부분과 더불어 회백색의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넓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5개로서 도란형이고 때로는 끝이 파진다.
열매 : 열매는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5-6mm로 끝이 약간 들어가고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10-12월에 황적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예리한 가시가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엉키고 수관이 둥글며 어린 가지에 연한 황색의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북 및 경북 이남에서 생육하나 중부지방에서도 곳에 따라 자랄 수 있으나 이때는 잎이 떨어진다.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중부지방에서는 잎이 떨어진다.)
-
Read MoreNo Image
피나물
학명 : Hylomecon vernal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양귀비과(Papaveraceae) target=_blank>양귀비과(Papav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나물속(Hylomecon) target=_blank>피나물속(Hylomecon)</a>
이명 : 노랑매미꽃 매미꽃봄매미꽃선매미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5~7개 갈라진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넓은 난형이며 소엽병이 있고 길이1.5~5cm 폭1.2~3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거치가 있으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5개의 소엽으로 되어 있다.
꽃 : 4~5월에 선명한 황색 꽃이 피며 원줄기 끝의 엽액에서 1~3개의 긴 화경 (花莖)이 나오고 끝에 1송이씩 달린다. 화경에 몇 개의 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2개로 난형이며 길이 16mm 정도로서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4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길이 2.5cm로서 윤채가 있는 황색이며 그 속에 많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3~5cm 직경 3mm 정도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30cm 정도 자라며 근생엽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자르면 황적색의 즙액이 나오고 다세포로 된 곱슬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굵고 옆으로 자라며 많은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만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경기도 이북 산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피나무
학명 : Tilia amurensis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피나무과(Tiliaceae) target=_blank>피나무과(T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나무속(Tilia) target=_blank>피나무속(Tilia)</a>
이명 : 꽃피나무 달피달피나무 참피나무털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급히 길어진 첨두이며 심장저이고 길이 3-9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맥액에 갈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5-6cm이다.
꽃 : 화경은 길이 5cm로서 털이 없고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5mm로서 3-20개씩 엽액에 산방화서로 달리고 담황색이며 향기가 진하고 황색의 많은 수술이 밖으로 튀어나온다. 소화경은 길이 1cm로서 털이 없다. 화경 중앙부에 있는 포는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둔두로서 길이 5cm이고 꽃받침잎은 타원형이며 선단 외면에 성모가 있고 꽃잎은 피침형이며 자방에 백색 융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 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능선이 없고 백색 또는 갈색 털이 밀생하며 길이 0.6m 정도로서 9-10월에 익는다. 또한 열매 대궁에는 프로펠라 모양의 포가 달려있는 것이 특이하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며 회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짧은 단모가 있거나 없다.
분포 : ▶중국과 만주 몽고 아모루에도 분포한다. ▶전라북도와 경상남도 접경인 덕유산으로부터 함경북도 증산에 이르기까지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700m의 계곡과 산록 및 산복에서 야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평안피나무(var. grosseserrata Nakai): 잎이 긴 점첨두로서 큰 톱니가 있다. ▶털피나무(T. rufa Nakai) ▶연밥피나무(T. koreana Nakai):열매가 장란형으로 능선이 있다. 금강산 이북에 자란다. ▶뽕잎피나무(T. taquetii Schneider)
특징 : 맹아력은 왕성하나 생장은 빠른 편이 못 된다. 변재는 담황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심 변재 구분이 희미하고 연륜도 뚜렷하지 않다. 산공재로 연하고 가벼우며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내후 보존성은 낮고 접착 표면 마무리는 보통이며 절삭가공 건조 등이 용이하다.
-
Read MoreNo Image
피
학명 : Echinochloa utilis Ohwi & Yabu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속(Echinochloa) target=_blank>피속(Echinochloa)</a>
이명 : 남돌피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20~40cm 나비 1.5~3cm이며 털이 없고 약간 깔끔거리며 엽설은 전혀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길이 10~25cm이고 가지는 15~25개로 많은 소수가 밀생하며 가지 끝은 화축을 향해 구부러지고 익으면 흑갈색으로 된다. 소수는 넓은 도란형~원형으로 길이 2.5~3.5mm이고 자루는 극히 짧다. 제1포영은 막질로 5맥이고 길이 소수의 1/5~2/3로 소수기부를 감싼다. 제2포영은 5맥으로 맥 위에 강모가 줄지어 나고 길이는 소수와 거의같다. 제1소화는 불염이고 그의 호영은 5~7맥으로 끝이 뾰족하나
줄기 : 줄기의 기부 지름은 약 1.5cm이다.
형태 : 1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풍접초
학명 : Cleome spinosa Jac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풍접초과(Capparaceae) target=_blank>풍접초과(Cappa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풍접초속(Cleome) target=_blank>풍접초속(Cleome)</a>
이명 : 백화채
잎 : 잎은 호생하며 장상복엽이고 소엽은 5-7개이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9c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침상의 탁엽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 또는 흰색이며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포는 단엽같으며 좁은 난형이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길이 6mm정도로서 선상 피침형으로 젖혀지며 꽃잎은 도란형이고 밑부분이 긴 화조(花爪)로 되며 길이 2cm정도이다. 수술 4개로서 감색 또는 홍자색이고 꽃잎보다 2-3배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선형이고 길이 11cm정도로서 하반부가 가늘어져 대같이 되며 종자는 신장형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선모(腺毛)와 더불어 잔가시가 산생한다.
분포 : 뜰에서 재배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전체에 선모와 잔가시가 퍼져 남
-
Read MoreNo Image
풍선덩굴
학명 : Cardiospermum halicacab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target=_blank>무환자나무과(Sapin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풍선덩굴속(Cardiospermum) target=_blank>풍선덩굴속(Cardiospermum)</a>
이명 : 방울초롱아재비 )풍경덩굴 풍선초
잎 : 잎은 호생하고 2회 3출 또는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이 길고 최종소엽은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이 잎보다 길고 꽃이 약간 달리며 엽액에서 자라고 밑부분에서 1쌍의 덩굴손이 자란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밖의 2개가 다소 작고 꽃잎도 4개로서 크기가 각각 다르며 내부 한쪽에 화반이 있고 수술은 8개이며 자방은 3실이다.
열매 : 열매는 꽈리 모양이고 각 실에 흑색 종자가 들어 있으며 한쪽에 심장상의 백색 점이 있다.
줄기 : 길이 2-3m정도 벋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가며 털이 거의 없다.
형태 : 덩굴성 1년초(원래는 다년초)
특징 : 덩굴손이 있어 기어오름. 풍선덩굴이란 속칭 Balloonvine 에서 온 이름이다.
-
Read More
풍선난초
학명 : Calypso bulbosa (L.) Rchb.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풍선난초속(Calypso) target=_blank>풍선난초속(Calypso)</a>
이명 : 애기숙갈난초 주걱난초 풍선란
잎 : 잎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2.5-5㎝ 나비 1.5-3cm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세로로 주름이 지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며 뒷면은 자주빛이 돌고 엽병은 길이 1.5-4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연한 홍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6-15cm이고 밑부분에 2개의 초상엽이 있다. 포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1.2-2.5c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퍼지고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cm 나비 3-4mm로서 연한 홍색 바탕에 갈색이 돈다. 순판은 밑으로 처지며 길이 3-3.5cm로서 백색 바탕에 연한 갈색 무늬가 있고 뒷면이 주머니처럼 부풀어서 앞을 향하며 끝이 거(距)로 되
열매 : 열매는 긴 타원상 방추형이다.
줄기 : 밑동에 위경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타원체이고 끝에서 잎과 줄기가 각각 1개씩 나온다.
분포 : 백두산과 함경 남도 갑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세계에 1종 지상에 나는 1엽란이다.
-
Read MoreNo Image
풍산가문비
학명 : Picea pungsanensis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문비나무속(Picea) target=_blank>가문비나무속(Picea)</a>
이명 : 가문비나무 풍산가문비나무 풍산종비
잎 : 잎은 네모가 지며 길이 12-25mm이지만 보통 20mm로서 구부러지고 엽흔은 도란형이다.
꽃 : 꽃은 자웅이가화 화수는 타원형 6월 개화.
열매 : 구과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55-70mm 지름 25-30mm이며 실편은 도란형이고 끝이 좁은 둔두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연한 녹황갈색이고 뒷면에 세로로 주름이 지며 윤채가 없다. 포는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종자는 난형으로서 암갈색이고 길이 4-4.5mm 폭 1.5-2mm이며 날개는 타원형으로서 연한 황갈색이고 길이 8-9mm 폭 4mm정도이다. 10월에 성숙한다.
분포 : 함경남도 풍산에 난다.
형태 : 고산성 상록교목
유사종 : ▶털가문비 (P. pungsanensis Uyeki var. intercedens T. Lee) : 함경북도에 자라며 가지에 털이 있다.
특징 : 종비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길며 구과 실편이 얇고 표면이 주름지고 끝에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풍란
학명 : Neofinetia falcata (Thunb.) H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풍란속(Neofinetia) target=_blank>풍란속(Neofinetia)</a>
이명 : 꼬리난초
잎 : 잎은 짧은 마디에 2줄로 달리며 호생하고 서로 마주 안으며 넓은 선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6-8mm로서 뒤로 활처럼 굽으며 밑에 환절이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순백색이나 오래 지나면 황색으로 변한다. 화경(花莖)은 밑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길이 3-10cm로서 3-5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 4-7mm이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둔하다. 꽃잎은 3개는 상향하고 측편의 2개는 하향한다. 순판은 길이 7-8mm로서 젖혀지고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작고 원형이며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길이 3-4mm로서 끝이 둔하다. 거(距)는 길이가 4
열매 : 열매는 길이 3cm 정도이고 길이 3~4mm 정도의 대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짧으며 두껍고 구부러지며 단면이 v형인 수 개의 잎이 좌우에서 설 마주 보고 난다.
뿌리 : 밑부분에서 끈같은 뿌리가 돋는다. 백색으로 광택이 약간 나며 국수발 같은 뿌리가 나와 타물체에 착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대만 일본에서 자란다. 남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
유사종 : 우리 나라에는 5종이 자생하고 있다. 이 종에서 관상가치가 있는 것은 완도에서 자생하는 붉은사철란이 있다.
특징 : 현재 전세계 120여 품종 이상이 재배 관상되고 있다. 품종에는 꽃색 꽃의 크기 잎의 변형과 무늬종 향기 등이 다양한 품종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