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창고사리

조회 수 1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olysis × simplicifrons (Christ) Tagawa
과명 고란초과(Polypodiaceae)
속명 손고비속(Colysis)
이명 외가지창고사리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중앙보다 위에 좁은 날개가 있고 연한 볏짚색이며 밑부분에 인편이 약간. 엽신은 단순하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밑부분이 대개 빗살처럼 깊게 갈라지고 길이 15-35㎝이며 단순한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한 정열편에 있어서는 나비 2-5㎝이다. 첫째 우편은 거의 수평으로 퍼지고 좁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맥이 대개 도드라지지 않으며 뚜렷하지도 않다.
열매 포자낭군은 선형이고 길이가 일정치 않으나 2.5㎝에 달하는 것이 있다.
뿌리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분포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J. Jap. Bot. 25:114 (1950)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처진뽕나무

    학명 : Morus alba f. pendula Dipp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뽕나무속(Morus) target=_blank>뽕나무속(Morus)</a>

    잎 : 잎은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화서에 달리고 장타원형이며 암꽃이삭은 길이 5-10mm이고 광타원형이고 꽃은 4개이며 화주(花柱)는 짧다. 자방은 털이 없다. 산뽕나무에 비해 화주가 짧다.
    열매 : 열매는 액질(液質)이며 6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과실 이삭은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5cm이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다. 소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밑으로 처졌다.
    뿌리 : 근피(根皮)를 상백피(桑白皮)라 한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100~1 100m 수평적으로 거의 전국에 식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특징 : 주두가 씨방보다 길다.
    Read More
  2. No Image

    처진개벚나무

    학명 :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벚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벚나무속(Prunus)</a>
    이명 : 수양벗나무 수양벚 처진개벚
    잎 : 잎은 난형 넓은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점첨두 원저로 길이 5-8cm 폭 2-4.5cm이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예리하고 잎 뒷면에 미모가 있다.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양면 맥 위에만 남는다. 엽병은 길이 11-18mm로서 털이 없거나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2-4개의 밀선이 엽신기부에 있다. 9-10쌍의 측맥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담도홍색 또는 홍백색을 띠며 잎과 같이 2-3개씩 산형화서를 이루고 꽃잎은 둥글고 길이 2㎝정도로서 끝이 오목하다. 화경(花梗)은 길이 2c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4.3cm로서 털이 없고 포는 길이 5-6mm로서 톱니가 있으며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통은 길이 5.3mm로서 털이 없고 꽃받침잎은 길이 4.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고 꽃잎은 연한 홍색이고 둥글며 길이 2cm로서 요두이다. 수술은 길이7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3.5mm이며 검게 익는다. 핵은 편평하고 연한 황색이다.
    줄기 : 소지(小枝)는 자줏빛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없고 가지가 밑으로 처진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유사종 : ▶개벚나무 (Prunus leveilleana Koehne ) ▶털개벚 (var. pilosa NAK.) : 소화경에 잔털이 있고 꽃이 순백색이다. ▶만첩개벚 (for. semiplena T. LEE) : 꽃잎이 거의 만첩이다.

    Read More
  3. 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치마속(Heloniopsis) target=_blank>처녀치마속(Heloniopsis)</a>
    이명 : 차맛자락풀 치마풀
    잎 : 잎은 방석처럼 퍼지며 도피침형이고 길이 6-20cm이며 혁질이고 윤이 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3-10개가 총상으로 달리며 적자색이지만 핀 후에는 자록색이 돌고 화경(花莖)은 높이가 10-30cm로서 포같은 잎이 달리며 새로운 잎이 방석처럼 밑부분의 옆에서 돋는다. 소화경은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1.5-2㎝이고 화피열편은 6개로 도피침형이며 길이 1-1.5㎝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화피보다 길다.
    열매 : 삭과는 마른 화피로 싸이고 위를 향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포간으로 터진다. 종자는 선형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양끝이 좁다.
    줄기 :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음.
    뿌리 : 근경은 짧고 곧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흰처녀치마(H. orientalis (Thunb.) C. Tanaka var. flavida) : 북한산 소백산 태백산 등지에 생육하며 화색이 희다. ▶칠보처녀치마 : 수원의 칠보산에 생육하고 개화시기가 6월경이며 한 포기에서 화경이 2개씩 나온다.
    특징 : 잎이 넓게 퍼지므로 처녀들의 치마폭을 연상하게 한다. 4월초부터 계속적으로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초기에 피는 꽃은 아직까지 기온이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변 환경의 낮은 기온에 적응하기 위하여 꽃대가 낮게 개화하나 점차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꽃대가 점점 높이 자라 약 50cm에 이르는데 이것은 종자가 결실한 후 바람에 의해 가능한한 종자를 멀리에까지 전파시키기 위함이다.
    file
    Read More
  4. No Image

    처녀이끼

    학명 : Hymenophyllum wrightii Bo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 target=_blank>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이끼속(Hymenophyllum) target=_blank>처녀이끼속(Hymenophyllum)</a>
    이명 : 괴불이끼 금강산처녀이끼산괴불이끼
    잎 : 잎은 드문드문 나며 길이 2~5cm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흑갈색의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엽신은 엽병보다 길고 장 타원형 또는 장란형이다. 열편은 선형으로 30~45도 각도로 우축에 붙고 1맥이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 끝에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포막은 2개로 되며 잔톱니가 있다. 환대는 옆으로 발달하며 둘레의 1/2 이상을 차지한다.
    줄기 : 갈색이 도는 녹색이다.
    뿌리 : 짙은 녹색으로 밀집군생하며 철사같이 가는 근경은 옆으로 뻗고 갈색 근모가 난 뿌리가 있다.
    분포 : 제주 지리산 금강산에 나며 일본 사할린 캐나다 알래스카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Read More
  5. No Image

    처녀바디

    학명 :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Makino)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귀속(Angelica) target=_blank>당귀속(Angelica)</a>
    이명 : 개백지 손바디나물 애기백지 좀바디나물처녀백지 흰바디 흰바디나물 흰사약채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고 1회우상복엽이며 3-9개의 우편(羽片)으로 되고 길이 10~25cm이다. 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이거나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길이 2-10cm 폭 7-20mm로서 밑부분의 1-2쌍은 소엽병이 없거나 짧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끝이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초는 원통형이며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린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대산경은 길고 소산경은 8-12개로서 안쪽에 잔돌기가 있으며 중심부의 것이 짧고 총포가 없으며 소총포편은 선형이고 소화경은 길이 3-7mm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납작한 타원형이며 길이 2.5mm로서 뒷면의 능선이 낮고 가장자리의 것은 날개모양이며 9-10월에 익고 늑(肋)사이에 1-2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굵다.
    분포 : 경상북도 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개구릿대(A. anomala Lallemant): 줄기는 속이 비고 털이 없으며 흔히 자줏빛이다. ▶흰바디나물(var. distans Kitagawa): 처녀바디와 비슷하나 잎의 첫번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제주사약채(A. fallax Boissieu): 제주도 한라산에서 나며 꽃은 처음에 칼집같이 생긴 잎 모양의 총포에 싸인다. ▶참당귀(A. gigas Nakai): 전체에 털이 없고 자줏빛이 돌며 뿌리는 크고

    Read More
  6. No Image

    처녀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palustris (Salisb.) Scho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4%89%EC%A4%84%EA%B3%A0%EC%82%AC%EB%A6%AC%EA%B3%BC(Davalliaceae) target=_blank>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target=_blank>처녀고사리속(Thelypteris)</a>
    이명 : 새발고사리
    잎 : 포자엽이 보다 길고 좁으며 열편이 좁고 곧추 자라며 영양엽은 옆으로 퍼지는 것도 있다. 엽병은 흑록색 또는 적자색을 띠고 떨어지기 쉬운 인편이 약간 있다. 엽신은 길이 30~50cm 나비 5~15cm이고 피침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잎뒤에 털과 선모가 있으나 양의 변화가 있다. 우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대가 거의 없다.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뭉툭하며 뒤로 말리는 경향이 있고 소맥은 2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닿는다.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에 달리고 둥근 콩팥모양으로 털이 밀생하나 일찍 떨어진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이엽성인 잎이 드문드문 난다.
    분포 : 거의 전국에 나며 북반구 온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7. No Image

    채진목

    학명 :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ex Wal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채진목속(Amelanchier) target=_blank>채진목속(Amelanchier)</a>
    이명 : 독요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4-8cm 폭 2.5-4cm로서 얕은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어릴때는 면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엽병은 길이 1-1.5cm로서 백색의 연한 털 또는 면모가 있으나 없어지는 것이 많다.
    꽃 : 꽃은 양성화이고 짧은 가지끝에 나오는 산방상 총상화서로 4-5월에 백색으로 핀다. 소화경에 털이 있으며 꽃받침통에 면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열편은 길이 2.5㎝로서 피침형이고 젖혀지며 꽃잎은 꽃받침잎과 더불어 각 5개이고 선형이며 길이 1.0-1.5㎝ 폭 2-3mm로서 원두이다. 수술은 20개이고 꽃받침통보다 약간 길며 자방끝에 털이 있고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둥글며 지름 1cm로 9-11월에 암자색으로 익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소과경은 길이 15-20mm로서 털이 없다. 종자는 한 열매에 3~5개씩 들어있고 편평한 신장형이며 길이 5mm로서 흑갈색이고 끈적거리는 점질의 물질로 채워져 있다. 열매의 끝에는 꽃받침이 붙어 있다.
    줄기 : 가지는 가늘고 길며 적갈색이고 둥근 피목이 산재한다. 수피는 회백색이며 어린 가지는 연모로 덮여 있다가 암자색으로 된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표고 1 100~1 600m의 산복에 자생하고 전국에 생육 가능하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또는 소교목. 수형: 원개형

    특징 : 봄에 순백색의 꽃이 환상적인 감정을 주며 가을에 익는 흑자색의 열매가 아름다워 가정정원이나 공원에 식재할 만하다.
    Read More
  8. No Image

    채송화

    학명 : Portulaca grandiflora Hoo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쇠비름과(Portulacaceae) target=_blank>쇠비름과(Portula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쇠비름속(Portulaca) target=_blank>쇠비름속(Portulaca)</a>
    이명 : 댕명화 따꽃
    잎 : 잎은 어긋나고 육질이며 원주형이다. 잎 끝이 둔하고 잎의 길이는 1-2cm쯤 된다. 잎겨드랑이에 백색털이 속생한다.
    꽃 : 7-10월에 붉은색 흰색 노란색 또는 자주색의 꽃이 피며 가지 끝에 한개 때로는 두개 이상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정도로서 화경이 없으며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받침잎은 두 개로서 넓은 난형이고 막질이며 꽃잎은 다섯개로서 도란형이고 끝은 약간 패어져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대에는 다섯 내지 아홉 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9월에 익는 삭과로서 막질이며 중앙부가 수평으로 갈라지면서 많은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붉은 빛을 띠고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쇠비름(P. oleracea L.): 전체에 털이 없고 적갈색 줄기는 땅을 긴다. 잎은 도란형 길이 15-25㎜ 끝이 둥근 모양이다.
    특징 : ▶줄기를 끊어서 심어도 잘 살아나는 생명력이 강한 화초이며 줄기와 풀잎이 모두 육질이어서 가지가 계속 뻗으면서 꽃이 피는데 그 기간이 대단히 긴 풀이기도 하다.
    Read More
  9. No Image

    채고추나물

    학명 : Hypericum attenuatum Chois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레나물과(Guttiferae) target=_blank>물레나물과(Gutt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레나물속(Hypericum) target=_blank>물레나물속(Hypericum)</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3.5cm 폭 5-10mm로서 투명한 점과 흑색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다소 뒤로 말린다. 흑색 점이 가장자리에서는 규칙적으로 산포하지만 중앙부에는 없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cm로서 황색이고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윗부분에 흑색 점이 있으며 꽃잎은 가장자리가 다소 파상이고 길이 9-15mm로서 5장이며 다소 비뚤어진 모양이다. 수술은 3체이고 암술대는 길이 4-5mm로서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길이 6-9mm이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원줄기는 둥글지만 잎 사이에 희미한 종선과 더불어 흑색 점이 있다. 원기둥 모양이고 곧게 선다.

    분포 : ▶중국 몽골 시베리아 동부지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0. No Image

    창포

    학명 : Acorus calam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천남성과(Araceae) target=_blank>천남성과(A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창포속(Acorus) target=_blank>창포속(Acorus)</a>
    이명 : 왕창포 장포 향포
    잎 : 잎은 근경 끝에서 총생하며 길이 70cm 나비 1-2cm로서 선형이고 평행맥이 있으며 중륵이 뚜렷하고 대검같으나 밑부분이 서로 얼싸안으며 2줄로 나열된다.
    꽃 : 화경(花莖)은 잎과 같으나 약간 짧고 중앙부에 5cm 정도의 수상화서가 6-7월경에 비스듬히 옆으로 달린다. 화축면에서 연한 황록색의 많은 꽃이 밀생하며 꽃은 양성이고 6개씩의 화피와 수술이 있다.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둥근 타원형으로서 둥근 암술머리가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많고 밑부분에서 수염뿌리가 돋는다.
    분포 : ▶일본 중국 동부아시아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석창포(A. gramineus Solander) : 남부지방 계곡의 냇가 습기 있는 바위에 붙어 자란다.
    특징 : "예전에는 민가 주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었으나 경지정리 및 제초제의 사용으로 희귀식물화 하였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a(부정의 접두어)""와 ""coros(장식)""의 합성어로서 꽃의 관상가치가 없다는 뜻이다. 특이한 향을 내는 방향성 식물이다. 꽃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Read More
  11. No Image

    창질경이

    학명 : Plantago lanceola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질경이과(Plantaginaceae) target=_blank>질경이과(Plant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질경이속(Plantago) target=_blank>질경이속(Plantago)</a>
    이명 : 양질경이
    잎 : 잎은 여러 개가 뿌리에서 뭉쳐나고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곧게 서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0-30cm 폭 15~30mm로서 위를 향한 털이 있고기부는 점차적으로 엽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화경(花梗)은 길이 30-60cm로서 끝에 수상화서가 달리고 화서는 처음에는 둥글지만 자라면서 수상으로 된다. 화관은 백색이지만 자주색 꽃밥이 더욱 뚜렷하며 화수(花穗)밑의 포는 모여서 총포처럼 되고 꽃받침잎과 포는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주맥은 녹색이다. 암술대는 꽃 위로 1cm정도 나온다.
    열매 : 타원형의 삭과에 길이 1.5~2mm인 1-2개의 흑갈색 종자가 있으며 종자 앞쪽에 홈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육질이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미 아시아에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2. No Image

    창명아주

    학명 : Atriplex hasta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능쟁이속(Atriplex) target=_blank>갯능쟁이속(Atriplex)</a>
    이명 : 창갯는쟁이
    잎 : 아래쪽의 잎은 대생이고 위쪽은 호생이며 삼각상 난형 또는 능상 난형으로 길이 2~5㎝ 나비 1.5~4㎜이다. 엽질이 엷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의 가장자리는 종종 삼각상으로 퍼지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으로 백분이 있으며 엽병은 1~2㎝이다.
    꽃 : 녹색이며 줄기 끝에 종상화서가 원추상으로 발달하고 소화가 드문드문난다. 화피편은 5개로 장타원형이며 수술은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포과이며 수평으로 달리고 표면에 잔돌기가 약간 있으며 종자는 렌즈모양으로 용골이 없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백분이 약간 덮여 있다.
    뿌리 : 직근을 형성한다.
    분포 : 전국(고찰 농경지에 조금씩 발생하고 있다.)
    형태 : 일년생의 초본식물이다.


    Read More
  13. No Image

    창고사리

    학명 : Colysis × simplicifrons (Christ)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9E%80%EC%B4%88%EA%B3%BC(Polypodiaceae) target=_blank>고란초과(Poly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손고비속(Colysis) target=_blank>손고비속(Colysis)</a>
    이명 : 외가지창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중앙보다 위에 좁은 날개가 있고 연한 볏짚색이며 밑부분에 인편이 약간. 엽신은 단순하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밑부분이 대개 빗살처럼 깊게 갈라지고 길이 15-35㎝이며 단순한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한 정열편에 있어서는 나비 2-5㎝이다. 첫째 우편은 거의 수평으로 퍼지고 좁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맥이 대개 도드라지지 않으며 뚜렷하지도 않다.

    열매 : 포자낭군은 선형이고 길이가 일정치 않으나 2.5㎝에 달하는 것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분포 :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Read More
  14. No Image

    참회나무

    학명 : Euonymus oxyphyllus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B0%95%EB%8D%A9%EA%B5%B4%EA%B3%BC(Celastraceae) target=_blank>노박덩굴과(Celast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화살나무속(Euonymus) target=_blank>화살나무속(Euonymus)</a>
    이명 : 노랑회나무뿔회나무회나무회똥나무회뚝이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3~8cm 너비 2-5㎝로서 점첨두 또는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양면에 거의 털이 없으며 안으로 굽은 톱니 끝이 뾰족하고 엽병은 길이 1-6mm이다.
    꽃 : 취산화서는 화경이 길며 액생하고 여러개 때로는 1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8-9mm로서 가장자리가 연한 녹색이며 내부는 자갈색이고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이 각 5개이며 중앙부에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밑으로 처지고 지름 1cm정도로서 둥글며 마르면 5개의 능선이 약간 나타나고 9-10월에 암적색으로 익으며 5개로 갈라지고 밑으로 처지며 적색 종의 속에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가지에는 털이 없으며 동아(冬芽)는 길이 5-6㎜로서 끝이 뾰족하다.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수직적으로 표고 200~1 600m 수평적으로 함남을 제외한 전국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유사종 : 화살나무(E. alata) 사철나무(E. japonicus) 참빗살나무(E. sieboldianus) 줄사철나무(E. radicans)

    Read More
  15. No Image

    참황새풀

    학명 : Eriophorum angustifolium Hon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황새풀속(Eriophorum) target=_blank>황새풀속(Eriophorum)</a>
    이명 : 가는예자풀 두메예자풀 애기황새풀 예자풀 참예자풀
    잎 : 근엽은 선형으로 줄기보다 짧고 접히거나 편평하며 나비 1.5~4mm로서 윗부분은 세모지고 끝이 둔하다. 경엽은 1~2개로 위로 갈수록 엽초가 없어지고 길이 3~7cm이다. 엽초는 흔히 밑부분의 잎에만 있고 흑색으로서 앞이 갈라진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줄기 끝에 2~5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장 타원형상 난형으로 길이 10~15mm이며 측소수는 대가 있고 밑으로 처지며 대는 편평하고 밋밋하다. 인편은 넓은 피침형으로 1맥이 있고 회록색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게 세모진 도란형으로 길이 2.5~3mm이며 검은 빛이 돌고 끝에 작은 돌기가 있으며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지고 화피 열편은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둔한 3릉상 원주형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함북(백두산 경성)에 나며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6. No Image

    참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multijug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터리풀속(Filipendula) target=_blank>터리풀속(Filipendula)</a>
    이명 : 단풍터리풀
    잎 : 잎은 어긋나며 밑의 잎은 큰 우상 복엽으로 끝 작은잎은 심장상 원형이고 5~7개로 장상 중렬하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결각상 겹톱니가 있으며 곁 작은잎은 크고 작은 것이 3~6렬로 마주나며 난형으로 겹거치가 있고 턱잎은 피침상 장타원형이고 막질이다.
    꽃 : 꽃은 집산상 산방 꽃차례를 이루어 담홍색의 잔꽃을 밀집하여 피며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끝이 뭉뚝하며 3~5개의 꽃잎은 도란상 원형으로 짧은 조가 있고 가장자리에는 가는 요철이 있으며 수술은 다수이고 꽃잎보다 길며 실 모양의 수술대는 담홍색이며 4~5개의 심피는 이생한다.
    열매 : 수과는 장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거의 털이 없고 녹색이다.

    분포 : 일본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7. No Image

    참취

    학명 : Aster scaber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나물취암취작은참취취한라참취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 또는 복거치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과 더불어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예저로서 점차 작아지고 화서의 잎은 길이 3-5c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지름 18-24mm로서 백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9-30m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4-5mm 나비 7-9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외포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정도이며 내포는 좁고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4-5mm이다. 설상화는 길이 11-15mm 나비 3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3.5mm 지름 1m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관모는 흑백색으로서 길이 3.5-4mm이다. 11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 : 근경이 굵고 짧다.
    분포 : ▶일본 북해도 시코쿠 큐슈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개미취 갯쑥부쟁이 등이 있다.
    특징 :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Read More
  18. No Image

    참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반들고사리 제주홍지네고사리
    잎 :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하며 엽병은 길이 20-50㎝로서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밋밋하며 갈색 또는 흑갈색으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가늘어지고 짧아지며 잘 떨어진다. 엽신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0-70㎝ 폭 20-30㎝로서 2회우상복엽이고 표면에 윤채가 있다. 우편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짧은 대가 있으며 우축(羽軸) 뒷면에 주머니같은 인편이 달린다. 소우편은 긴 타원

    열매 : 포자낭군이 상반부에만 1줄로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어린 잎과 포막은 홍자색이 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다.
    분포 : 남쪽 섬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유사종 : ▶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erythrosora O.KUNTZE)

    Read More
  19. No Image

    참줄바꽃

    학명 : Aconitum villosum Rch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가는돌쩌귀 가는돌쩌귀풀 가는돌쩌기 가는잎선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깊게 갈라지기 때문에 5개로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털이 없으나 표면은 엽병의 가장자리와 더불어 꼬부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에 황갈색의 퍼진 털이 밀생하고 중앙부의 소포는 피침형이며 긴 연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겉에 긴 털이 비교적 많이 있다.
    열매 : 골돌은 5개로서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윗부분은 갈라지고 높이가 1m에 달한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유독식물
    Read More
  20. No Image

    참죽나무

    학명 : Cedrela sinensis Jus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멀구슬나무과(Meliaceae) target=_blank>멀구슬나무과(Me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죽나무속(Cedrela) target=_blank>참죽나무속(Cedrela)</a>
    이명 : 쭉나무 참중나무 충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 또는 우수우상복엽으로서 길이 60cm이며 소엽은 10-20개이고 길이 1cm의 소엽병이 있으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8-1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거나 없다. 잎은 식용가능하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40cm이며 가지 끝에서 밑으로 처지고 꽃은 양성으로서 6월에 피며 종형이고 백색이며 향기가 많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5개의 무약웅예(無葯雄蘂)는 5개의 수술과 엇갈려 배열되며 자방은 짧은 자방병(自房柄)이 있고 각 실에 8-10개의 배주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원형이며 길이 2.5cm로서 5개로 갈라지지만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는 9월에 익고 종자는 타원형으로 양쪽에 날개가 있으며 열매가 벌어짐과 동시에 사방으로 흩어진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가 얕게 갈라져서 적색 껍질이 나타나며 가지는 굵고 암갈색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전국 각지의 표고 100~600m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주형(가지의 신장은 상형형).

    특징 : 참죽나무의 순을 `참죽`이라 하는데 대나무처럼 순을 먹는다 하며 붙여진 이름이다. 지엽(枝葉)에 독특한 향기가 있으므로 중국에서는 향춘(香椿)이라 하며 일명 저향(樗香)이라고도 하는데 참죽을 먹는 풍속은 우리 나라와 중국 뿐이다. 맹아력이 좋고 생장이 빠른 편이며 수명이 긴데 우리 나라에는 400여년 된 것도 있다. 변재는 좁으며 노란줄무늬가 있는 갈색 심재는 홍색줄무늬가 있는 갈색으로 심 변재 구분이 뚜렷하고 연륜도 뚜렷하다. 산공재로 나무갗은 거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