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좀명아주

조회 수 1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과명 명아주과(Chenopodiaceae)
속명 명아주속(Chenopodium)
이명 좀능쟁이 청능쟁이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좁은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장자리에 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나 가장 밑의 톱니는 열편과 비슷하고 엽병이 있다.
7월에 수상화서가 모여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많은 양성의 녹색 소화가 달리고 꽃받침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며 꽃잎과 소포는 없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열매는 포과로서 뒷면에 능선이 있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1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높이 30-60cm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이 백분으로 덮여 있다.
분포 ▶중국 일본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1년생 초본
유사종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 모양의 톱니 흰색 가루로 덮인다. ▶버들명아주(C. virgatum Thunb.): 잎은 다소 두껍고 피침형 난상 원형 길이 1-4㎝ 어릴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 Brit. 1 : 276 (1800)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좀민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aestivalis (Retz.) Vah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지기속(Fimbristylis) target=_blank>하늘지기속(Fimbristylis)</a>
    이명 : 여름하늘지기 하늘직이
    잎 : 잎은 줄기보다 짧은 좁은 줄모양(너비 0.5~1mm)이며 가장자리는 안으로 조금 말리고 앞뒷면에 털이 성글게 있다. 엽초는 짧으며 연한 쇠녹색이고 겉면에 긴 털이 있다.
    꽃 : 포는 3~5개이고 좁은 선형(길이 약 3cm)이고 긴 것은 거의 화서만하거나 좀 짧으며 털이 성글게 있다. 화서는 1~2회 우산살 모양으로 갈라지며 길이가 서로 다른 3~7개의 화경(길이 1~3cm) 끝에 한 개~몇 개의 소수가 달리며 그 중 한 개의 소수에는 꼭지가 없다. 소수는 난형 긴둥근난형 또는 선상타원형(길이 2.5~6mm 너비 1~5mm)이고 모가 났으며 많은 꽃이 핀다. 인편은 나선형으로 붙으며 긴타원형이거나 난형(길이 1mm)인데 윗부
    열매 : 도란형(길이 0.6~0.6mm)인데 앞뒤가 볼록하며 윤기가 나는 황색을 띠고 거의 매끈하며 6각형의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납작하게 세모지며 매끈하고 밑부분에 몇 개의 잎이 있다.

    분포 : 한반도(남부 중부) 중국 러시아 일본 동남아시아 인디아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식물체는 포기져 나며 뿌리줄기는 없고 수염뿌리가 내린다.


    Read More
  2. No Image

    좀민들레

    학명 : Taraxacum hallaisan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한라민들레 할라산민들레
    잎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산상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길이 5-14.5cm 나비 0.9-2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4-6쌍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두상화는 모두 황색 설상화이며 화경은 꽃이 필 때는 잎과 길이가 같지만 점차 길어진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9-13mm로서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으며 회포편은 내포편 길이의 1/2 정도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내포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화관은 길이 13-18mm이며 통부는 길이 4.5-5.5mm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이고 길이 3mm 나비 1mm이며 부리는 길이 6mm이고 밑부분이 울툭불툭하며 줄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굵은 근경이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제주도의 해발이 낮은 지대에서부터 해발 1 700m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보통 민들레에 비하여 초장이 짧고 전체적으로 왜성이므로 ""좀""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다. 다화성이다."
    Read More
  3. No Image

    좀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arv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잎 : 잎은 마주나며 근생엽은 나비 3~8mm 긴 엽병이 있다. 윤곽은 난형 기부까지 3전열하고 각 열편에서 다시 3심열한다. 최종 열편은 선형 장 타원형 또는 결각상 열편이다.
    꽃 : 꽃은 총상화서를 이룬다. 꽃의 지름은 8mm 긴 꽃자루가 있다. 꽃의 길이는 5~8mm이며 도란형이고 광택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수과 4~8개 모여나고 편평하며 길이 5~8mm이다. 가장자리에 좁은 폭으로 비후되고 옆면은 자상돌기 끝에 수과 1/2크기의 송곳 모양 부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지 많이 치며 곧게 선다. 털이 없거나 위쪽으로 단모가 있다.

    분포 : 북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Read More
  4. No Image

    좀미꾸리광이

    학명 : Torreyochloa pallida Chur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좀미꾸리광이속(Torreyochloa) target=_blank>좀미꾸리광이속(Torreyochloa)</a>

    잎 : 잎몸은 길이 12㎝ 폭 4㎜로 납작하고 얇다. 엽설은 막질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는 3-6㎜이다.
    꽃 : 원추화서는 연녹색으로 길이 5-15㎝이고 가지는 위로 꾸불꾸불 올라가다가 약간 퍼진다. 작은이삭은 낱꽃 4-7송이 길이 6㎜ 폭 2㎜로 좌우로 납작하고 호영은 서로 다르며 막질이다. 제1호영은 길이 1.2㎜ 1맥 제2호영은 길이 1.6㎜ 3맥이고 외영은 길이 2.2㎜ 7맥이다. 끝이 톱니 모양으로 꺼칠꺼칠하다. 내영은 용골이 2개이며 위가 꺼칠꺼칠하고 외영과 거의 같다. 수술 3개 꽃밥의 길이 0.6-1㎜ 인피는 2개로 밑이 떨어지고 절두형

    줄기 : 줄기는 가냘프고 밑이 땅을 기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호수와 강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Read More
  5. No Image

    좀물뚝새

    학명 : Sacciolepis indica (L.) Chas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뚝새속(Sacciolepis) target=_blank>물뚝새속(Sacciolepis)</a>
    이명 : 물뚝새 이삭피
    잎 : 잎은 길이 4~10cm 폭 2~4mm로서 털이 없고 하부는 엽초를 이룬다. 엽설은 길이 약 1.5mm로서 막질이며 짧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6cm 폭 4-6mm로서 연한 녹색이다. 중축은 밋밋하고 소화경은 끝이 다소 굵어진다. 소수(小穗)는 밀생하고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피침형이다. 첫째 포영은 길이 1.5-2mm로서 5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소수와 길이가 비슷하며 9맥이 있다. 부실호영(不實護穎)은 둘째 포영과 길이가 같고 9맥이 있으며 양성화의 호영은 내영을 감싸고 3맥이 있으며 내영이 훨씬 작다.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높이 20-35cm이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서 굽었다가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물뚝새 (var.oryzetorum Mak.): 밑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잎의 길이가 10-30cm이며 화수는녹색 바탕에 흑자색이 돈다.

    Read More
  6. No Image

    좀목형

    학명 :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편초과(Verbenaceae) target=_blank>마편초과(Verbe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순비기나무속(Vitex) target=_blank>순비기나무속(Vitex)</a>
    이명 : 좀순비기나무 풀목향
    잎 : 잎은 대생하며 5개 때로는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2-8㎝로서 뒷면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잎의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며 엽병은 길이 3-4㎝이다.
    꽃 : 개화기는 7-9월이고 총상 원추화서는 가지 끝이나 끝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표면에 털이 있으며 자주색이고 후부에 융모가 있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지름 2mm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온다.

    분포 : 중부 이남의 낮은 산 계곡과 산의 양지바른 바위 틈 대구 동촌 유원지 주변의 절벽에서 자라며 중국의 중동부 및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목형(V. cannabifolia Sieb. et Zucc.):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고 중국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특징 : 줄기와 잎에 방향유(芳香油)가 있다.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와 하나의 수형을 이룬다.
    Read More
  7. No Image

    좀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명아주속(Chenopodium) target=_blank>명아주속(Chenopodium)</a>
    이명 : 좀능쟁이 청능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좁은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장자리에 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나 가장 밑의 톱니는 열편과 비슷하고 엽병이 있다.
    꽃 : 7월에 수상화서가 모여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많은 양성의 녹색 소화가 달리고 꽃받침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며 꽃잎과 소포는 없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뒷면에 능선이 있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1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이 백분으로 덮여 있다.

    분포 : ▶중국 일본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 모양의 톱니 흰색 가루로 덮인다. ▶버들명아주(C. virgatum Thunb.): 잎은 다소 두껍고 피침형 난상 원형 길이 1-4㎝ 어릴

    Read More
  8. No Image

    좀머귀나무

    학명 : Zanthoxylum fauriei (Naka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5~30cm로서 기수우상복엽이며 엽병은 길이 약 3cm이다. 소엽은 7-11쌍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7.5cm정도로서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병과 가시에 붉은빛이 돈다. 소엽은 소엽병이 없고 길이 4~8cm 나비 1~2cm로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차츰 좁아지고 끝이 패어지며 투명한 점이 있고 미세하게 둔한 톱니가 있으며 각각의 쑥 들어간 곳에 투명한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피고 길이 12cm의 화경이 있는 산형상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둥글고 미세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약 2mm이다.
    열매 : 삭과는 구형이고 지름 5-6㎜로서 11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색으로 광택이 나며 향기가 적고 매운맛이 있는데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된다.
    줄기 : 가지는 굵고 어릴 때는 적색을 띠며 종종 백분(白粉)이 있고 불규칙적으로 가시가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민머귀나무(var.inermis T.Lee) : 가시가 없으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대부분의 줄기가 셋으로 갈라져 3지목(三枝木)같은 인상을 준다.
    Read More
  9. No Image

    좀맥문동

    학명 : Liriope minor (Maxi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맥문동속(Liriope) target=_blank>맥문동속(Liriope)</a>

    잎 : 잎은 근경에서 빽빽이 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30∼40cm 나비 4∼7mm로서 7∼11맥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꽃줄기의 길이는 25∼40cm로서 둔한 능선이 있다. 맥문동에 비해 매우 작다. 화피는 6장으로 길이는 약 4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검은색으로 익으며 둥근 모양이고 지름 약 7mm이다.
    줄기 : 꽃줄기의 높이는 약 40cm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고 수염뿌리의 끝이 굵어지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사종 : 개맥문동이라고도 한다.

    Read More
  10. No Image

    좀매자기

    학명 : Scirpus planiculmis F.Schmid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랭이속(Scirpus) target=_blank>고랭이속(Scirpus)</a>
    이명 : 새섬매자기 작은매자기 졸매자기
    잎 : 잎은 화경(花莖) 밑부분에 1-3개씩 달리며 폭 2-5mm로서 윗부분의 것은 화경보다 길고 선형이며 납작하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화서는 화경끝이나 옆에 달리며 3-6개의 소수로 되고 1-2개의 가지가 있으나 거의 없어져 둥근 화서로 되며 때로는 1개의 소수만이 달린다. 포는 1-2개로서 화서보다 길고 소수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8-15mm로서 갈색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7-9mm로서 중륵이 있으며 겉에 짧은 털이 있고 2개로 갈라진 끝의 중앙에는 까락이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2-4개로서 떨어지기 쉬우며 수과 길이의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3.5-4mm로서 갈색으로 익고 광택이 있으며 볼록렌즈상이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100cm이며 세모지고 기부에 황갈색의 엽초가 있다.
    뿌리 : 옆으로 뻗는 지하경의 마디에서 1개씩 대가 나오고 때로는 밑부분이 커져 지름 8-30mm인 과경으로 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남 완도 대흑산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1. No Image

    좀딸기

    학명 : Potentilla centigran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애기풀딸 좀풀딸 풀딸 풀딸기
    잎 : 탁엽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소엽은 3개이고 길이 1-2.5cm 폭 7-20mm로서 뒷면은 녹백색이며 맥위에 복모가 다소 있고 6-11쌍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황색이고 1개씩 정생하지만 겉으로 보기에는 잎과 대생한 것 같고 끝에서는 2-3개가 산방상으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5개이며 끝이 뾰족한 좁은 난형이고 부악편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잎은 길이 3mm로서 넓은 도란형이고 끝이 파지며 꽃밥은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난형이고 털은 없으며 불규칙한 줄이 약간 있고 암술대는 선형이며 길이 0.7mm정도이다.
    줄기 :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뿌리가 내리고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경상 북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2. No Image

    좀딱취

    학명 : Ainsliaea apiculata Sch.Bi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취속(Ainsliaea) target=_blank>단풍취속(Ainsliaea)</a>
    이명 : 좀땅취 털괴발딱지 털괴발딱취
    잎 : 잎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 밑에서 밀생하며 난형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1~3cm로서 양면에 긴 털이 있으며 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 끝이 둔하며 흔히 정열편이 길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화경이 짧으며 포는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많으며 총포는 길이 10-15mm이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1mm정도로서 난형이고 내편은 선형이며 소화가 흔히 폐쇄화로 된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정도로서 짧은 털이 밀생하고 편평한 도피침형이며 관모는 길이 7mm정도로서 갈색이고 깃털은 길이가 거의 같다.
    줄기 : 높이 8-30cm이고 마디가 있으며 털이 다소 많고 단순하거나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자라고 마디가 있다.
    분포 : 백양산을 비롯한 남부지방이나 제주도 등지의 해안근처 산야의 계곡 주변의 음습한 곳에 생육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특징 : 속명은 이탈이아의 식물학자 Whitelaw Ainslie를 기념하여 붙여졌다.
    Read More
  13. No Image

    좀돌피

    학명 :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속(Echinochloa) target=_blank>피속(Echinochloa)</a>

    잎 : 엽신은 길이 10~30cm이고 나비 7~10mm이며 엽설은 없다.
    꽃 : 총이 중축을 따라 배열하며 원추화서를 이룬다. 소수는 2개의 소화로 되어있고 제1포영은 0.6~0.8mm 나비 0.4~0.5mm이며 제2포영은 길이 2.2~3mm 너비 1.8mm이다. 제 1소화의 호영은 길이 2mm이고 제2소화의 호영은 길이 2mm이며 혁질이다. 내영은 길이 2~2.5mm 나비 1mm이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4. No Image

    좀도깨비사초

    학명 : Carex idzuroe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납작하고 연하며 폭 4-8㎜로서 3맥이 뚜렷하고 횡맥이 많으며 밑부분의 엽초는 연질이고 연한 색에 검은 흑자색의 작은 부분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총생하고 높이 40-60㎝로서 삼각형이며 약간 밋밋하다. 소수(小穗)는 4-5개로서 끝의 1-2개는 수꽃이며 길이 2-4cm 지름 2mm로서 선형이고 옆의 2-3개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3cm 지름 7-10mm로서 곧추서며 서로 떨어져서 대가 없거나 밑부분의 것에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초가 있거나 없으며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흑황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녹색이며 3맥이 있다. 암술대는 중앙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고 세모진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1.2㎝ 폭 3.5mm로 검은 회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맥이 많다. 부리는 길고 백색 막질이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며 길이 3mm로서 떨어진다.
    줄기 : 연하며 삼각기둥 모양이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5. No Image

    좀댕강나무

    학명 : Abelia serr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고 4각상 좁은 난형 또는 4각상 난형으로 길이 1~2.5cm 나비 5~10mm이며 끝은 급히 좁아져 둔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고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특히 뒷면 맥 위에 퍼진 털이 밀생하고 엽병이 짧다.
    꽃 : 꽃은 5~6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서 길이 약 2.5mm의 화경이 나와 2~8개가 모여 달리며 밑에 포와 소포가 있다. 꽃받침 조각은 보통 2개 드물게 3개이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화관은 길이 13~18mm이고 내면에 긴 털이 있으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약간 편평하다.
    줄기 : 새 가지는 적갈색 2년지는 연한 갈색이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분포 : 경기(소요산)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Read More
  16. No Image

    좀담배풀

    학명 : Carpesium cernu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풀속(Carpesium) target=_blank>담배풀속(Carpesium)</a>
    이명 : 여우담배풀
    잎 :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9-25cm 나비 4-6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로 되고 양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복거치 또는 파상의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약간 작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거나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거나 둔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지름 15-18mm로서 모두 관상화이고 줄기 끝과 원줄기 끝에 밑을 향한 두상화서로 달리며 화경이 길고 포엽은 많으며 길이 2-5cm로서 선상 피침형이다.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고 길이 7-8mm로서 바깥 것은 잎같으며 나비가 넓고 백색 털이 있으며 안쪽 것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다.
    열매 : 수과는 선형이고 길이 4.5-5mm 나비 1mm정도이지만 끝부분의 것은 길이 1mm정도이며 점성의 부리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초


    Read More
  17. No Image

    좀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D%EC%9D%98%EC%9E%A5%ED%92%80%EA%B3%BC(Commelinaceae) target=_blank>닭의장풀과(Commel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장풀속(Commelina) target=_blank>닭의장풀속(Commelina)</a>
    이명 : 가는닭의밑씻개 가는잎달개비 산닭개비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나비 1cm정도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갑자기 좁아져 막질의 엽초와 연결되며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백록색으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나온 화경 끝의 총포 안쪽에 달리며 하나씩 나와서 핀다. 총포는 앞같거나 접혀서 합쳐진 조개껍질 같으며 겉에 9~10맥이 있고 맥위에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이 각각 3개이고 헛수술이 4개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마르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추 자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낸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Read More
  18. No Image

    좀다람쥐꼬리

    학명 : Lycopodium selago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송과(Lycopodiaceae) target=_blank>석송과(Lyc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송속(Lycopodium) target=_blank>석송속(Lycopodium)</a>
    이명 : 애기다람쥐꼬리 애기석송 애기솔석송 좀솔석송
    잎 : 잎은 중간에서 윗부분이 좁아진다. 잎은 총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지만 윗부분은 안쪽으로 굽어져서 원줄기와 평행해지며 중륵이 없고 길이 3-5mm 폭 0.7-1mm로서 밑에서는 양쪽 가장자리가 거의 평행해지지만 위에서부터 1/3정도에서 좁아져 끝이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넓지 않다.

    열매 : 포자낭은 신장형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린다.
    줄기 :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거나 밑에서 여러개로 갈라져서 속생하며 높이 3-10cm로서 잎과 더불어 지름 4-12mm이고 윗부분 끝에 무성아(無性芽)가 달린다.
    뿌리 : 원줄기의 밑부분은 비스듬히 자라기 때문에 땅에 닿는 곳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설악산 및 북부의 고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다년초

    특징 : 다람쥐꼬리와 비슷하지만 잎은 중간에서 윗부분이 좁아진다.
    Read More
  19. No Image

    좀다닥냉이

    학명 : Lepidium ruderal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닥냉이속(Lepidium) target=_blank>다닥냉이속(Lepidium)</a>
    이명 : 미륵냉이
    잎 : 근생엽(根生葉)은 2회 깃꼴겹잎이고 경생엽(莖生葉)은 1회 깃꼴겹잎 갈래는 선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개의 톱니가 있다.
    꽃 : 5-6월경 가지 끝에 총상화서(總狀花序)가 달리며 백색이다. 꽃받침잎은 선형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단각 넓은 타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로서 겉에 그물 무늬가 있다.
    줄기 :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퍼진다.

    분포 : 충무의 바닷가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콩말냉이(L. virginicum): 근생엽은 톱니가 있고 경생엽도 톱니가 있다. 열매의 길이는 2.5-3㎜이다.
    특징 : ▶충무 앞 미륵산록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미륵냉이라고 한다.
    Read More
  20. No Image

    좀네잎갈퀴

    학명 : Galium gracilens (A.Gray)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퀴덩굴속(Galium) target=_blank>갈퀴덩굴속(Galium)</a>
    이명 : 좀잎갈키덩굴 참갈퀴
    잎 : 잎은 4개씩 윤생하며 선상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6-12mm 나비 1.5-2.5mm로서 중륵과 가장자리에 비스듬히 퍼진 백색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화서는액생 또는 정생하고 소수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은 네잎갈퀴의 소화경(1-3mm)보다 다소 길고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합쳐지고 분과에 인편같은 소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30-40cm이고 연약하다.

    분포 : 남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네잎갈퀴에 비해 보다 연약하기 때문에 좀네잎갈퀴라고 하며 잎이 선상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인 것이 다르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