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자루나도고사리삼

조회 수 1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Ophioglossum petiolatum Hook.
과명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속명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이명 나도고사리삼 좀줄고사리 줄고사리
공통 자루는 길이 2~10cm이다. 영양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난형 긴 타원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길이 1.5cm 너비 1~3cm 기부가 갑자기 좁아지고 엽병이 있거나 없다. 영양엽의 기부가 포자엽의 자루를 둘러싸지 않는다. 잎은 막질이고 잎맥은 그물맥이 뚜렷하나 작은 맥은 발달하지 않는다. 포자엽은 길이 6~16cm 포자낭 이삭은 길이 2~4cm 끝이 뾰족하다.
뿌리 땅속줄기는 짧고 지름 3mm정도이다.
분포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등 열대
형태 하록성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Exot. fl. 1:56 (1823)
참고문헌 1) 나도고사리삼속 4종의 국명과 자루나도고사리삼의 생육지 (정정체 & 임형탁, 2000)

  1. No Image

    자운영

    학명 : Astragalus sinic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황기속(Astragalus) target=_blank>황기속(Astragalus)</a>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9-11쌍이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20mm 나비 3-15mm로서 끝이 둥글거나 파지며 엽병은 길이 2-5cm이고 탁엽은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화경은 길이 10-20cm로서 액생하며 끝에 7-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12mm로서 홍자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2mm이다. 꽃받침은 길이 4mm로서 백색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통부보다 짧다.
    열매 : 협과는 흑색으로 익으며 길이 2-2.5cm 지름 6mm로서 털이 없고 2실로 되며 종자는 누른빛이 돈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백색 털이 다소 있으며 줄기는 밑동에서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다가 곧추선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에서 재배.
    형태 : 월년초.
    유사종 : 자주황기(A. dahuricus) 개황기(A. henryii) 황기(A. membranaceus) 애기황기(A. uliginosus)

    Read More
  2. No Image

    자아만아아리스

    학명 : Iris german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잎 : 잎은 검상(칼모양)이다.
    꽃 : 꽃의 크기는 6~8cm 정도이다. 5개의 꽃이 피고 향기가 있는 것도 있으며 외화피는 자색으로 구부러져 밑으로 쳐져있다. 조부는 담색으로 갈색의 무늬가 있으며 기부로부터 반 정도에 걸쳐서 황색 수염이 있다. 내측꽃잎은 도란형의 돔모양으로 직립하고 짙은 등자색이며 개화기는 4~5월이다.



    분포 : 유럽전역에 넓게 분포한다.
    형태 : 기원이 불분명한 자연잡종


    Read More
  3. No Image

    자병취

    학명 : Saussurea chabyoungsanica H. T. 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잎 : 근생엽은 꽃이 피기 전에 마른다. 밑의 경생엽은 긴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또는 귓불 모양이며 길이 12cm 정도 너비 1.5~2cm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 모양이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다.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진다.
    꽃 : 꽃은 분홍빛을 띤 자주색으로 타원형의 두상화서가 산방상으로 화축 위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관모는 2줄이며 갈색이고 길이 6~7mm이다.
    줄기 : 줄기에 털이 빽빽이 나고 잎면에 갈색 털이 있다.

    분포 : 한국(강원도 자병산 육백산 석개재)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4. No Image

    자반풀

    학명 : Omphalodes kramer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반풀속(Omphalodes) target=_blank>자반풀속(Omphalodes)</a>
    이명 : 털개지치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개화시 없어지고 경생엽은 긴 타원형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7-15cm 폭 1-2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지름이 3mm정도이며 총상화서는 원줄기끝에 달리며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며 잎이 있고 꽃이 성기게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0mm로서 꽃이 핀 다음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이 진 다음 길이가 5mm에 달하며 좁은 난형이고 겉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로 분과는 4개이며 편평한 원형이고 지름 2-3mm로서 중앙부가 들어가며 가장자리에 구자(鉤刺)가 줄로 돋아 있다.
    줄기 : 화서와 더불어 길이 20-4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난다.

    분포 : 전라남도 지리산 피아골
    형태 : 다년초


    Read More
  5. No Image

    자목련

    학명 : Magnolia liliiflora Des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목련과(Magnoliaceae) target=_blank>목련과(Magn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련속(Magnolia) target=_blank>목련속(Magnolia)</a>
    이명 : 까지꽃나무
    잎 : 잎은 도란상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8~18cm 폭 4-11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은 길이 7~15mm이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암자색이고 종모양이다.잎이 핀 다음 5-6월까지 산발적으로 피기도 한다. 화아에 짧은 털이 있고 꽃받침열편은 3개로 소형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3cm 폭 7-8mm로서 기부가 뒤로 젖혀지고 윗부분이 안으로 오므라든다. 꽃잎은 6개로 겉은 짙은 자주색이고 안쪽은 연한 자주색이며 길이10cm 폭 3-4cm로서 피침형이거나 긴 타원형이다. 꽃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다. 윗부분에 암술군이 있고 그 아래에 수술이 무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5-7㎝이며 난상 타원형이고 갈색이며 익으면 백색 실같은 종병(種柄)에 매달린 종자가 나온다.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보통 3-4m이나 15m까지 달하는 것도 있으며 뿌리 근처에서 큰 가지가 많이 나온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이다.
    유사종 : ▶일본목련(M. obovata) ▶목련(M. kobus)
    특징 : 경남 범어사에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가 현존하고 있다.
    Read More
  6. 자리공

    학명 : 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리공과(Phytolaccaceae) target=_blank>자리공과(Phytolac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리공속(Phytolacca) target=_blank>자리공속(Phytolacca)</a>
    이명 : 상륙 장녹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0~20cm 폭 5-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5-2.5cm이다.
    꽃 : 꽃은 회색의 총상화서로서 6~7월에 피고 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길이 5-12cm로서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화경이 짧고 꽃잎은 없다. 소화경은 길이 10-12mm이고 꽃받침열편은 5개로서 난형이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밥은 엷은 홍색이다. 자방은 8개로서 윤생하고 1개씩의 암술대가 밖으로 젖혀진다.
    열매 : 과실은 장과이며 자흑색이다. 과수(果穗)는 곧게 서며 8개의 분과가 서로 인접하여 윤상으로 나열되고 자주색의 즙액이 있으며 흑색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육질이고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원주형이고 곧게 선다.
    뿌리 : 뿌리가 비대하며 덩어리를 형성한다. 뿌리를 상륙(商陸)이라 한다.
    분포 :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운봉) 경남 경북 충북 경기 강원(설악산) 평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섬자리공(P. insularis Nakai)

    file
    Read More
  7. No Image

    자루나도고사리삼

    학명 : Ophioglossum petiolatum Hoo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target=_blank>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a>
    이명 : 나도고사리삼 좀줄고사리 줄고사리
    잎 : 공통 자루는 길이 2~10cm이다. 영양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난형 긴 타원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길이 1.5cm 너비 1~3cm 기부가 갑자기 좁아지고 엽병이 있거나 없다. 영양엽의 기부가 포자엽의 자루를 둘러싸지 않는다. 잎은 막질이고 잎맥은 그물맥이 뚜렷하나 작은 맥은 발달하지 않는다. 포자엽은 길이 6~16cm 포자낭 이삭은 길이 2~4cm 끝이 뾰족하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고 지름 3mm정도이다.
    분포 :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등 열대
    형태 : 하록성 다년초이다.


    Read More
  8. No Image

    자란초

    학명 : Ajuga spectabil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개나물속(Ajuga) target=_blank>조개나물속(Ajuga)</a>
    이명 : 자난초 큰잎조개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작으며 위로 갈수록 커지고 넓은 타원형이며 큰 것은 길이 17cm 나비 9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와 털이 나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이고 줄기끝 또는 엽액에 길이 3cm정도의 총상화서로 밀칙하여 달린다. 꽃받침통은 도란형이고 10맥이 있으며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다소 있고 열편은 선형이며 길이 5mm로서 3맥이 있고 화관은 짙은 자주색이며 통부는 길이 15mm로서 위로 갈수록 넓어진다. 정열편은 끝이 둔하고 길이 1.5mm 나비 3mm로서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있으며 첫째 열편이 3개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다소 파진다. 수
    열매 : 소견과는 둥글고 주름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로 원줄기에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의 해발 500m 이상 되는 곳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약간 고산성식물 특성을 지닌다.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08)
    Read More
  9. 자란

    학명 : Bletilla striata (Thunb.) Rchb.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란속(Bletilla) target=_blank>자란속(Bletilla)</a>
    이명 : 대암풀 대왕풀 백급
    잎 : 잎은 길이 20-30cm 나비 2-5cm로서 밑부분에서 5-6개가 서로 감싸면서 원줄기처럼 되고 긴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로 되며 세로로 많은 주름이 있다.
    꽃 : 5-6월에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나와 50㎝ 정도 자란 다음 6-7개의 홍자색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엽은 길이 2-3㎝로서 꽃이 피기전에 1개씩 떨어진다. 꽃은 지름 3㎝이며 화피열편은 같은 형태로서 길이 2.5-3㎝ 나비6-8mm이고 끝이 뾰족하며 비스듬히 반 쯤 벌어지고 맥이 있다. 순판은 쐐기 비슷한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악간 안쪽으로 말리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은 거의 둥글고 가장자리가 파상으로서 안쪽에 5개의 도드라진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넓적한 둥근 위경이 줄지어 붙어있다.
    뿌리 : 난상의 구형 구경은 높이 4cm이고 육질로 속은 백색이다.
    분포 : 전남 해남 진도 및 유달산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얼핏보기에 새우난과 비슷하며 홍자색의 꽃을 피우는데서 자란이라고 부르고 있다.
    file
    Read More
  10. No Image

    자라풀

    학명 :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라풀과(Hydrocharitaceae) target=_blank>자라풀과(Hydrochar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라풀속(Hydrocharis) target=_blank>자라풀속(Hydrocharis)</a>
    이명 : 수련아재비
    잎 : 잎은 원형이고 기부는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지름 3.5-7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중앙부에 기포가 있어서 물에 뜨기 쉽고 거북등처럼 생긴 그물눈이 있다. 긴 엽병의 기부에 탁엽이 있다. 탁엽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5-3.5cm이며 엽액에서 유엽이 돋는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8~9월에 물 위에서 피며 수꽃은 1개의 포 안에 2-3개씩 들어 있고 3개씩의 꽃받침잎과 꽃잎 및 6-9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한 포 안에서 2개씩 생기지만 1개만이 발달하며 백색 꽃잎은 밑부분에 누른빛이 돈다. 헛수술은 6개이고 자방은 하위로서 6실이며 6개의 암술대는 각 2개씩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육질로서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가 길게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마디에는 처음에 2개의 막질 탁엽만이 있다.

    분포 : 제주 전남 완도 경기 덕적도 강화도 경남 우포늪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이다.

    특징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의 늪지식물은 천연기념물 제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3 911㎡정도이고 이곳에 나는 늪지식물은 자라풀 줄풀 세모고랭이 방울고랭이 창포 개구리밥 물옥잠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붕어마름 털개구리나리 애기마름등이 있다.
    Read More
  11. No Image

    자두나무

    학명 : Prunus salicina Lindl. var. salicin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벚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벚나무속(Prunus)</a>
    이명 : 오얏 오얏나무 자도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급한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8cm 폭 3-5cm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단거치와 복거치가 혼재하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약간 있지만 없어지거나 엽액에 약간 남으며 엽병은 길이 1-2㎝이고 털이 없으며 엽신의 기부 또는 엽병의 상부에 2-5개의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대개 3개씩 달리며 지름 1.5-2.2cm로 백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꽃받침 열편은 긴 난형으로 톱니가 약간 있으며 꽃잎은 길이 1cm로 긴 도란형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 또는 구형으로 밑부분이 들어가고 자연생은 지름 2.2㎝이지만 재배종은 길이가 7㎝에 달하며 한쪽에 홈이 있고 6-7월에 황색 또는 적자색으로 익고 과육은 연한 황색이다. 핵은 도란형이며 양끝이 약간 좁고 결이 거칠다.
    줄기 : 소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윤채가 있다.

    분포 : 전국 표고 100-300m인 인가 부근에서 과수로 심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서양자두나무(P. domestica): 잎 뒷면과 화경에 털이 있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흑벽색이다. ▶열녀목(var.columnalis Uyeki): 가지가 곧추서서 수형이 빗자루같이 된다.
    특징 : 우리 나라에는 약 1 500년전 경에 도입되었다.
    Read More
  12. No Image

    자금우

    학명 :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금우과(Myrsinaceae) target=_blank>자금우과(Myrs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금우속(Ardisia) target=_blank>자금우속(Ardisia)</a>

    잎 : 잎은 엽병이 있고 대생하거나 윤생 또는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잎가에는 잔 거치가 있으며 진록색으로 광택이 있다. 잎의 길이는 6~13cm 폭은 2~5cm이고 잎의 뒷면의 주맥은 붉은 자주색이 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6월에 피고 전년생 가지의 엽액 또는 포액에서 화경이 나와 산형화서에 백색의 작은 꽃이 아래로 늘어지고 화서에 선모가 있으며 화경은 길이 10mm이하이고 2-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로서 연모가 있으며 화관은 수레바퀴모양이고 백색이며 5개로 갈라진 열편은 첨두로서 흑색 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으로 장과이며 직경이 10mm정도로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다음해 꽃이 필 때도 달려있다.
    줄기 : 높이 15-20cm이며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어린 가지의 끝 부근에 선모가 있고 다른 부분에는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 끝이 지상으로 올라와서 지상경으로 되고 뿌리가 지하경에 몇 개씩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울릉도 제주도 및 남해안의 따뜻한 산림의 가장자리에 야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
    유사종 : ▶산호수(A. pusilla DC.) : 제주에 분포하며 수고 5-8m 잎길이 3-4cm 열매 5-6mm정도 된다.
    특징 : 잎은 상록성으로 군생하고 열매는 9월부터 붉은 진주처럼 익어 밝고 아름답게 빛나며 이듬해 5월까지 나무에 붙어있다.
    file
    Read More
  13. No Image

    자귀풀

    학명 : Aeschynomene ind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귀풀속(Aeschynomene) target=_blank>자귀풀속(Aeschynomene)</a>

    잎 : 잎은 엽병이 짧고 20-3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10~15mm 폭 2~3.5m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7-12mm로서 약간 윗부분에 달린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 달리고 1-2개의 잎과 2-3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7월에 피고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며 포는 탁엽과 비슷하지만 보다 작고 소포는 꽃받침 밑부분에 달리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5mm정도로서 막질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대개 털이 없고 편평한 선형이며 길이 7~8mm의 대와 더불어 길이 3-5cm 나비 5mm이고 6-8개의 마디가 있으며 익으면 마디사이의 양쪽에 주름이 생긴다.
    줄기 : 높이 50-80cm로서 줄기는 연하고 윗부분은 속이 비어 있으며 흔히 원줄기 엽축 및 화경에 반구형의 기반이 있는 잔털이 드문드문 돋는다.

    분포 : 전국 각 처.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분절이 있어 차풀과 크게 구별할 수 있음.
    Read More
  14. 자귀나무

    학명 : Albizia julibrissin Dur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귀나무속(Albizia) target=_blank>자귀나무속(Albizia)</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의 우수2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낫같고 원줄기를 향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6-15㎜ 넓이 2.5-4㎜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인편은 7-12쌍이며 우편축의 양측에 약 15-30쌍의 소엽이 대생하고 있다. 우편측 양쪽의 소엽은 낮에는 나래처럼 펴져 있고 밤에는 서로 합쳐진다.
    꽃 : 소지 끝에서 길이 5㎝정도의 화경(花梗)이 자라서 15-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해질무렵 활짝 핀다. 6~7월경에 피고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연녹색이고 끝이 그리 뚜렷하지 않게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종형이고 길이 6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이고 길이 3cm로서 상반부는 홍색 하반부는 백색이며 암술이 보다 약간 길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연분홍색의 꽃이 우산형으
    열매 : 9~10월에 콩깍지 같은 긴 열매가 익으며 길이 15cm 정도의 편편한 꼬투리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줄기 : 줄기가 굽거나 사선으로 자라며 약간 드러눕는다. 큰 가지가 드문드문 나와 퍼지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다.
    뿌리 : 직근과 잔근이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에 자생하는 난대성 수종으로 중부 이남 황해도 이남 등의 표고 50~700m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역삼각형
    유사종 : ▶왕자귀나무(A. coreana Nakai): 제주도나 목포 유달산에서 자라는 특산 식물이다. 자귀나무에 비해서 내한성이 약하고 소엽은 길이 20-45㎜ 너비 5-20㎜이다. 난대지역에서 자란다.
    특징 :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자귀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송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 074㎡정도이다. ▶질감이 섬세하며 분홍색의 여름꽃이 드문 시기에 핀다. 콩깍지 모양의 열매는 겨울 내내 달려 있다.
    file
    Read More
  15. No Image

    잎새바위솔

    학명 : Orostachys spinosus (L.) C.A.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이명 : 누른꽃바위솔 )
    잎 : 첫해의 근생엽은 무더기로 모여난다. 근생엽은 긴 원형(너비 2~7mm)이며 끝부분에 반달모양으로 된 백색의 연한 부속물이 있으며 끝가운데에 길이 2~4mm의 백색 연한 가시가 있다. 이듬해에 근생엽들사이에서 꽃대가 자란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은 없다. 엽신은 피침형(길이 1~2.5cm 너비 2~5mm)이며 끝에 연한 가시가 있다.
    꽃 : 꽃은 7~8월경 줄기끝에 수상화서를 이루고 많은 꽃이 빽빽히 모여 피며 양성화이다. 화경은 짧거나 없다. 포엽은 피침형이며 끝에 가시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난형이고 끝에 한개의 가시가 있다. 꽃잎은 5개이며 꽃받침잎보다 2~3배 길며 황색을 띤 녹색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좀 길거나 같다. 꽃밥은 황색이다. 밀선은 5개이며 암술도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과이며 둥근피침형(길이 5~6mm 너비 1mm)이며 곧추 서고 털은 없으나 안쪽에만 드물게 짧은 털이 있으며 열매의 부리는 곧은 송곳모양(길이는 열매의 1/3정도)이다. 열매는 9~10월경에 익으며 종자는 난상 긴원형(길이 1mm 너비 0.2mm)이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6. No Image

    잎갈나무

    학명 : Larix olgensis var. koreana (Naka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잎갈나무속(Larix) target=_blank>잎갈나무속(Larix)</a>
    이명 : 계수나무 이깔나무
    잎 : 잎은 선형으로 짧은 가지의 것은 길이 15-30mm 폭 1-1.5mm이며 긴 가지의 것은 길이 10-15cm 폭 2.8mm이다. 단지에 있어서는 20-30개가 총생하고 부드러우며 표면에 기공선이 없거나 있다.
    꽃 : 꽃은 모두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구과는 난형 타원형 또는 원통형으로서 길이 15-35mm 지름 15-25mm이며 실편(實片)의 끝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실편은 25-40개로서 다갈색이며 폭이 7-12mm이고 절두 요두 또는 원두이며 바깥면에 서모와 종선이 있다. 포편은 실편 길이의 1/2이상이고 침형 또는 삼차형(三叉形)이이며 종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4mm 지름 2mm이고 날개는 폭이 좁으며 길이 2mm정도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3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거나 밑으로 처지며 수피는 암회갈색이고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분포 : 금강산이북 북부지방에 자라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침엽 교목.

    특징 : ▶결이 곧으며 적지에서는 생장이 빠르므로 좋은 조림수종이지만 자연적으로는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Read More
  17. No Image

    잇꽃

    학명 : Carthamus tinctori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풀속(Carthamus) target=_blank>담배풀속(Carthamus)</a>
    이명 : 이꽃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피침형으로서 톱니 끝이 가시처럼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모양이 엉겅퀴와 같으나 붉은빛이 도는 황색이고 두화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길이 2.5cm 지름 2.5-4cm이다. 총포는 잎같은 포엽으로 싸여 있고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다. 잔꽃은 가는 통형(筒形)이며 현부(舷部)는 5갈래로 갈라지고 심화(心花)는 관모(冠毛)가 있으나 변화(邊花)에는 없다. 관상화를 건조한 것을 홍화(紅花)라 한다.
    열매 : 수과는 백색이고 길이 6mm정도로서 윤채가 있으며 짧은 관모가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게 털이 없다.

    분포 : 중국 일본 티벳 등지에서 다량 재배되고 있다.
    형태 : 2년초


    Read More
  18. No Image

    입술망초

    학명 : Peristrophe japonica (Thunb.) Breme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target=_blank>쥐꼬리망초과(Ac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입술망초속(Peristrophe) target=_blank>입술망초속(Peristrophe)</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2~10cm 폭 1~2.5cm 정도의 긴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표면에는 털이 있고 주맥위에는 누운 털이 있다.
    꽃 : 꽃은 순형으로 길이 2~3cm 정도의 크기이다. 자색의 꽃잎은 2장으로 자웅동체입니다. 윗입술과 아랫입술로 나누어져 있으며 윗입술은 뒤로 약간 말린다. 1개의 암술과 2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안쪽에는 적갈색의 얼룩무늬가 있고 외부에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사각형으로 드문드문 분지하며 털이 있다. 비교적 가늘기 때문에 직립 하는 힘은 그다지 강하지 않다.

    분포 : 전남(화순 광주)



    Read More
  19. No Image

    임계청닭의난초

    학명 : Epipactis papillosa var. imkoeensis Y.N.Lee & K.S.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난초속(Epipactis) target=_blank>닭의난초속(Epipactis)</a>

    잎 : 잎은 타원형으로 큰 잎은 길이 8cm 너비 3cm정도 이다. 잎맥이 11개 정도이며 잎가와 잎맥 뒤에 유두상 돌기가 있따.
    꽃 : 꽃은 황록색을 띈 흰색으로 총상화서를 이룬다. 지름 6mm정도이다. 밑의 포는 피침형으로 밑꽃보다 훨씬 길고 길이 7cm 너비5mm 정도 이며 가운데맥이 뚜렷하다. 꽃잎은 녹백색이고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2.5mm 너비 1mm정도이고 가운데 맥이 뚜렷하며 측맥은 희미하다. 입술꽃잎은 타원형으로 길이 3mm정도이며 3개의 녹색맥 유두상 돌기가 맥 위에 있고 ?은 주머니가 입술꽃잎의 아래쪽에 있으며 입술꽃잎 끝부분이 세모져 있지 않다

    줄기 : 줄기는 곱슬곱슬한 털로 덮이고 길이 20~25cm 3개 정도의 초상엽과 4장의 잎이 달린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있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20. No Image

    일월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Sakata ex Uyeki & Sak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애기개현삼 우단현삼 털개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과 엽병에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는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화서에 털이 밀생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형 예두로서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원줄기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북 일원산과 평북 대흥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