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Gnaphalium uliginosum L.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왜떡쑥속(Gnaphalium) |
| 이명 | 솜떡쑥 |
| 잎 | 근생엽은 경생엽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쓰러지고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도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둔두이며 길이 4-5cm 나비 3-5mm로서 양면에 털이 밀생하고 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화서의 잎도 크기에는 차이가 없다. |
| 꽃 | 꽃은 5-7월에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다닥다닥 붙어 총상으로 달리지만 둥글게 되고 화서는 지름 1-1.5cm이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2mm 나비 5mm정도이며 포린은 3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은 보다 짧으며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지만 안쪽 것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
|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0.7mm정도로서 점이 있고 관모는 길이 1.5mm정도로서 백색이다. |
|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오며 잎이 원줄기 끝까지 달리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다. |
|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
| 형태 | 일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
Read MoreNo Image
외잎승마
학명 : Astilbe simplicifoli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오줌속(Astilbe) target=_blank>노루오줌속(Astilbe)</a>
잎 : 근생엽은 단엽이며 넓은 또는 좁은 난형이고 흔히 3-5개로 갈라지며 길이 3-8cm 폭 2-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c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총상으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5-20cm로서 화경(花莖)에 짧은 선모가 있고 가지는 벌어진다. 소화경은 길이 1-5mm이며 꽃받침열편은 길이 1.5mm로서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꽃이 필 때는 벌어지며 꽃잎은 선상 주걱형으로서 수술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밑을 향해 달리고 길이 3-4mm이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대개 줄기에 1개의 마디가 있으나 잎이 달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
분포 : 압록강 상류 연안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외잎물쑥
학명 : Artemisia selengensis f. subintegra (Pamp.)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가는잎물쑥
잎 :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길이 2.5-5cm이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선상 피침형으로 되고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물쑥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꽃 :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3mm 지름 2-2.5mm로서 종형이고 원줄기 끝에 엽액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전체가 좁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로서 길이 1.2mm이고 중편은 넓은 난형 외편은 긴 타원형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 갈색이며 길이 1.5mm정도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20cm에 달한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물쑥 : 기본종
특징 : ▶물쑥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외대잔대
학명 : Adenophora racemosa J.Lee & S.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잎 뒷면이 백녹색이고 털이 아주 드물거나 없다.
꽃 : 원추화서가 없다. 화관이 곤상이고 화반(花盤)은 구형이다.
분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북대사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넓은잔대(A.divaricata var. manshurica) ▶왕잔대(A.tyosenensis): 화관이 넓은 종형이고 화반이 긴 원통형이다. ▶금강모시대(A.pulcher Kitamura)
특징 : ▶출전:Kor.J.Plant Tax.vol.20(2) 1990 6
-
Read MoreNo Image
외대으아리
학명 : Clematis brachyur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고치대꽃
잎 : 잎은 대생하고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엽병과 소엽병은 길고 덩굴손처럼 다른 물체를 감는다. 소엽은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가 대개 밋밋하다.
꽃 : 꽃은 일가화 또는 이가화로서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고 화피열편은 4-5개이며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2-20mm로서 백색이며 옆으로 퍼지고 털이 없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비교적 적다.
열매 : 수과는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없고 날개가 있으며 끝에 돌기같이 짧은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기가 대부분 곧게 서고 세로줄이 있다. 기부는 목화한다.
뿌리 : 뿌리를 위령선(威靈仙)이라 한다.
분포 : ▶중국과 코카서스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180~700m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덩굴성 낙엽 반관목.
유사종 : 조희풀 만사초 으아리 큰위령선 좀으아리 참으아리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외대쇠치기아재비
학명 :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Ha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외대쇠치기아재비속(Eremochloa) target=_blank>외대쇠치기아재비속(Eremochloa)</a>
잎 : 잎은 편평하고 끝은 둔하며 폭이 3㎜가량이다.
꽃 : 줄기 끝에 외줄로 된 수상화서의 길이는 5㎝가량 폭은 약 2㎜ 작은이삭은 화축 마디에 대생하며 자루가 있는 작은이삭은 퇴화하여 1개의 납작한 자루로 된다. 자루가 없는 작은이삭은 화축 한쪽에 기와 모양으로 늘어서고 길이는 약 4㎜이로 2송이의 낱꽃으로 되고 그 중 제2 낱꽃이 결실하며 제1호영의 윗부분에 넓은 날개가 있다.
줄기 : 키는 20㎝가량이다.
뿌리 : 땅속줄기가 발달한다.
분포 : 중국 양쯔강 이남과 베트남에서 난다. ▶제주도 서남부 바닷가 언덕에서 난다.
특징 : ▶속명 Eremochloa에서 Eremos는 고립 chloe는 풀 ophiuroides는 쇠치기풀과 닮았다는 종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외대치기아재비라는 이름을 붙였다.
-
Read MoreNo Image
외대바람꽃
학명 : Anemone nikoens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람꽃속(Anemone) target=_blank>바람꽃속(Anemone)</a>
이명 : 세송이바람꽃
잎 : 근생엽은 1-2회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난형이며 끝이 다소 뾰족하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엽병과 더불어 털이 없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지름 4cm정도이며 잎처럼 생긴 총포는 대가 있고 1회3출하며 길이 2-5cm로서 근생엽과 비슷하고 화경은 1개이며 길이 5-7cm로서 털이 있고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2-3cm 폭 1-1.5cm로서 백색이지만 연한 붉은 빛이 도는 부분도 있고 꽃밥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1.5mm이고 암술대는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0-30cm이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고 옆으로 길이 1-6cm정도 자라며 선단에서 화경(花莖)이 나온다.
분포 : 중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바람꽃 종류는 분재가 까다로우므로 재배법을 철저히 익혀 둘 필요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왜현호색
학명 : Corydalis ambigua Cham. & Schleh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이명 : 산현호색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가늘며 2회 3출로 갈라지고 소엽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10-30mm 폭 2-2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3개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잎은 연하며 회남색이 도는 녹색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17-25mm로서 한쪽으로 넓게 입술처럼 퍼지고 자줏빛이 도는 하늘색이며 원줄기 끝에서 3-10여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기고 한쪽 옆을 향한다. 포(苞)는 피침형 또는 난상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소화경은 길이 7-12mm이다. 꽃받침잎은 명확치 않고 화관은 4개의 꽃잎으로 되었으며 위판과 아래판의 끝은 오목하게 갈라져서 상(上) 하순(下脣)으로 벌어졌고 화통의 밑은 거(距)로 되었으며 옆으로 곧게 뻗고 아래로 휘어졌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상 선형이며 길이 15-23mm 나비 2.5-3mm이고 종자는 흑색 윤채가 있는 갈색이며 10 여개가 있고 6월에 성숙된다.
줄기 : 괴경에서 1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10-30cm정도 자라며 윗부분에 2개의 잎이 달린다. 잎이 달린 밑부분에 개의 포같은 잎이 달리고 그 곳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 : 땅속에 지름 1-1.5cm의 둥근 괴경이 있다. 괴경은 속이 약간 누른빛이 돈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충북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잎왜현호색(F. lineariloba Kitag.) : 마지막 열편이 선형으로 된 것.
-
Read MoreNo Image
왜천궁
학명 : Angelica genuflexa Nutt. ex Torr. & A.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귀속(Angelica) target=_blank>당귀속(Angelica)</a>
이명 : 돼지천궁
잎 : 근생엽과 경생엽은 엽병이 있고 1-2회 3출우상복엽이다. 소엽은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10cm 폭 1-3cm로서 양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윗부분의 잎은 작아지며 엽초는 부풀어져 커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복산형화서로 달리고 화경 윗부분에 산경 및 소화경과 더불어 돌기같은 잔털이 밀생한다. 소산형화서는 50~60개이고 총포편은 없으며 소총포편은 선형이고 소화경보다 짧거나 같으며 소화경은 30-50개로서 길이 10-18mm이고 자방에 잔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1.5-2mm이다.
열매 : 열매는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파지며 길이 4-5mm로서 털이 없고 분과의 가장자리에 넓은 날개모양의 늑(肋)이 있으며 늑 사이에 1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줄기 : 높이 80-200cm이고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강원도 금강산 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꽃바디나물(for. albiflora Max.): 백색 꽃이 핀다. ▶개구릿대(A. anomala Lallemant): 줄기는 속이 비고 털이 없으며 흔히 자줏빛이다. ▶흰바디나물(var. distans Kitagawa): 처녀바디와 비슷하나 잎의 첫번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제주사약채(A. fallax Boissieu): 제주도 한라산에서 나며 꽃은 처음에 칼집같이 생긴 잎 모양의 총포에 싸인다. ▶참당귀(A. g
특징 : 왜천궁이란 일본산의 천궁이라는 뜻이지만 일본산이 아니다.
-
Read MoreNo Image
왜지치
학명 : Myosotis sylvatica Ehrh. ex Hoff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꽃마리속(Myosotis) target=_blank>개꽃마리속(Myosotis)</a>
이명 : 숲꽃마리 숲물망초
잎 : 근생엽은 주걱모양이며 밑부분이 길게 엽병처럼 길어지고 끝이 둥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2-6cm 폭 7-12mm로서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하늘색이고 지름 6-8mm이며 총상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10-25cm로서 포가 없으며 밑부분에 잎이 달린다. 꽃받침은 소화경보다 짧고 퍼진 털이 있으며 깊게 5갈래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2-3mm에서 5mm로 자라며 끝이 둔하고 화관은 지름 6-8mm이며 통부가 짧고 통부 윗부분에 황색 소돌기가 있다.
열매 : 소견과이고 분과는 난형이고 밋밋하며 길이 1.5mm로서 복면에 1개의 능선이 있고 짙은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곧게 서며 퍼진 털이 산생한다.
분포 : 평북 및 함북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에 강모가 있다.
-
Read More
왜졸방제비꽃
학명 : Viola sacchalinensis H.Boissie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북졸방제비꽃 사하린오랑캐 왕졸방제비꽃 참졸방나물 참졸방제비꽃
잎 :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신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3-4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엽신보다 2-3배 길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탁엽이 중열(中裂)한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액생하며 연한 자주색이고 꽃받침잎은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끝이 날카롭고 부속체는 반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길이 10-15mm이고 측판에 털이 있으며 거(距)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4-6mm이다.
열매 : 삭과는 원줄기 윗부분의 화경이 짧은 폐쇄화에서 맺히며 난상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2-5cm이며 원줄기는 근두에 몇 개씩 나서 비스듬히 서며 과시(果時)에는 높이 10-25cm이고 마르면 갈색점이 생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함경남도 부전 고원 및 갑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
왜제비꽃
학명 : Viola japonica Langsd. ex G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알록오랑캐 얼룩왜제비꽃 왜오랑캐 작은제비꽃 좀제비꽃 주걱오랑캐
잎 : 잎은 총생하며 난형 삼각상 좁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2-5cm 폭 1.5-3.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과 엽병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여름철의 잎은 길이 8cm이고 엽병은 길이 2-8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있다.
꽃 : 화경은 높이 6-12cm이며 보통 털이 없고 꽃은 4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자주색이고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7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부속체는 타원형으로서 때로는 둔한 톱니가 있다. 꽃잎은 길이 1-1.5cm로서 끝이 둥글며 측열편에 털이 있거나 없고 거(距)는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 난상 타원형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왜젓가락나물
학명 : 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섬젓가락나물 왜젓가락풀 재주젓가락나물 젓가락나물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폭 4-10cm로서 3출복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다소 길며 난형이고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3출복엽이고 윗부분의 것이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나 가지끝에 3-4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1.5-6cm이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이 필때 뒤로 젖혀지며 타원형이고 길이 2.5-4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기부에 꿀샘이 있다. 꽃잎은 5개이며 황색이고 길이 4-6mm로서 도란형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고 길이 1-1.5mm이며 꽃밥은 길이 1.5mm정도이다.
열매 : 취과는 둥글고 화탁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길이 3.5mm정도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곧게 서고 높이 15-80cm이며 비스듬히 선 털이 있거나 털이 거의 없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동아시아의 한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울릉도와 제주도 및 일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2년 내지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왜우산풀
학명 : Pleurospermum camtschaticum Hoff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누룩치속(Pleurospermum) target=_blank>누룩치속(Pleurospermum)</a>
이명 : 개반디개우산풀누룩치 누리대왕우산바디왜우산나물 우산풀
잎 : 근생엽과 원줄기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넓은 난상 삼각형이며 3출엽으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20~40cm이며 최종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엽병과 털이 없으며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15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이나 가지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며 원줄기 끝의 화서가 가장 크고 길이 7-15cm의 소산경이 많이 나와 반구형으로 된다. 총포 및 소총포는 녹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이고 잎모양으로서 수가 많으며 소화경은 길이 1.5-3cm이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며 길이 6-7mm이다. 분과의 능선에 작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전체에 털이 없고 원줄기 윗부분에서 굵고 짧은 가지가 나온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한국 생육지: 전남 경북 강원 경기의 산간지역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왜승마
학명 : Cimicifuga japonica (Thunb.) Spre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승마속(Cimicifuga) target=_blank>승마속(Cimicifuga)</a>
이명 : 개승마 산승마큰산승마 황새승마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1-2회 3출복엽이다. 소엽은 넓은 난형 또는 둥근 심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 기부는 심장형이고 길이 6-10cm 폭 5-10cm로서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겹총상화서에 흰색으로 달리고 길이 20-35cm의 화서는 밑부분이 흔히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고 화경은 없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일찍 떨어지고 꽃잎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많으며 길이 8mm정도이고 수술대는 실같으며 꽃밥은 넓은 타원형이고 심피는 1-2개로서 털이 없다. 암술은 1-2개 자방은 좁고 길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1-2개이고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60-80cm이고 원줄기는 화경(花莖)같으며 보통 잎이 달리지 않는다.
분포 : 제주도 및 거제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왜솜다리
학명 : Leontopodium japonicum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다리속(Leontopodium) target=_blank>솜다리속(Leontopodium)</a>
이명 : 솜다리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무렵에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4~6.5cm 폭 5~14mm로서 엽초가 없고 표면에 면모가 있거나 없으며 뒷면에 회백색 면모가 있다. 포엽은 드물게 달리고 윗부분의 잎보다 작으며 표면에 황회색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회백색이며 두화는 잡성으로서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총포는 길이 4-5mm 나비 5mm정도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축모(縮毛)가 밀생한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mm정도로서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25-55cm이고 줄기는 총생하며 곧게 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고 윗부분까지 잎이 달리며 백색 면모로 덮여 있다.
분포 : 소백산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왜방풍
학명 : Aegopodium alpestre Led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왜방풍속(Aegopodium) target=_blank>왜방풍속(Aegopodium)</a>
이명 : 개미나리 개방풍 북방풍
잎 :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삼각형으로 2-3회 3출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으로 길이 1-2.5cm 폭 8-20mm이고 점첨두에 설저이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깊은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10-20cm이고 밑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큰 산형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긴 화경끝에서 1-3개가 발달하고 산경은 8-12개로서 길이 2-3cm이며 소산화서에 10여개의 꽃이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5-8mm 폭 1.5-2mm로서 단면은 오각형이며 능선이 가늘고 유관이 없다. 꽃은 8월에 백색으로 핀다. 총포편과 소총포가 없으며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로서 밑부분이 둥글다.
열매 : 열매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이고 분과의 단면은 오각형이며 능선이 가늘고 유관이 없다.
줄기 : 높이 30-70cm이며 가는 포복지가 뻗으며 마디가 흔히 굵어지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속이 비어 있다.
뿌리 : 지하경은 짧게 옆으로 자라고 포복지가 뻗어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몽골 인도 러시아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왜박주가리
학명 : Tylophora floribund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target=_blank>박주가리과(Asclepia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왜박주가리속(Tylophora) target=_blank>왜박주가리속(Tylophora)</a>
이명 : 나도박주가리 양반박주가리 양반풀 좀양반풀
잎 : 잎 표면 맥위에만 곱슬털이 약간 있을 뿐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며 삼각상 피침형이고 길이 2.5-8cm 폭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엽병은 길이 1-2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4-5mm로서 흑자색이며 액생하는 화서는 가지가 갈라져서 잎보다 길고 소화경은 길이 4-7mm이다. 꽃받침열편은 5개로서 난상 삼각형이며 작고 화관은 통부가 짧으며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안쪽에 털이 없으며 부화관의 열편은 편구형으로서 짧고 곧게 서며 밑부분이 퍼지고 암·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수평으로 퍼지고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4-5cm로서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다.
뿌리 : 근경이 짧고 뿌리가 수평으로 퍼진다.
분포 : 중부지방(경기도 광릉 소요산)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남서부와 동부아시아 태평양의 섬 오스트레일리아에 다수 종 아프리카에도 수종 우리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왜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franchetii H.Boissie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실젓가락나물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길이 2-2.5cm 폭 2.5cm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쐐기형이며 측열편도 2-3개로 갈라지고 모두 결각상 및 큰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엽병이 짧거나 없으며 중앙부의 것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도란형이며 길이 6-7m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잔털이 있고 꽃잎도 5개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10-12mm이다.
열매 : 수과는 둥글며 길이 2mm정도로서 짧은 털이 밀생하고 암술대는 짧으며 꼬부라진다.
줄기 : 털이 약간 있고 길이가 10-25cm정도 된다.
뿌리 : 방추형의 괴근이 있다.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계룡산 및 강원도 이북의 산지(해발 약 1 000m)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구름미나리아재비(R. borealis Trautvetter)는 한라산의 해발 1 500m이상되는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고 높이 20cm 미만으로 자라며 5월에 노란색 꽃이 핀다. ▶개구리갓(R. ternatus Thunb)은 제주도의 습지에 자생하며 높이 15-25cm로 4-5월경에 노란색 꽃이 핀다.
특징 : 식물체의 크기는 비록 작으나 선명하고 윤기있는 노란색의 화색이 관상가치가 매우 높다. 속명 Ranunculus는 라틴어 Rana(개구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수생식물이 개구리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는 뜻에서 pliny에 의해 붙여진 것이고 종명 ternatus는 `3出(출) 3數(수)`의 뜻으로 잎이 3개로 갈라지는 것을 나타낸다.
-
Read MoreNo Image
왜모시풀
학명 : Boehmeria longispica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시풀속(Boehmeria) target=_blank>모시풀속(Boehmeria)</a>
이명 : 개모시풀 모시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12~19cm이며 끝은 꼬리처럼 다소 길고 밑은 둥글며 양면에 털이 있고 엽질이 약간 두꺼우며 거칠거칠하고 위로 갈수록 톱니는 점차 커지며 3주맥이고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꽃 : 꽃은 자웅일가로 7∼9월에 연한 녹색을 피며 수상화서는 잎짬에서 나오고 하부에 수꽃화서 상부에 암꽃화서가 달리며 꽃은 구상으로 모인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작고 무배생식을 한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총생하고 둔한 모가 있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왜떡쑥
학명 : Gnaphalium uliginos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왜떡쑥속(Gnaphalium) target=_blank>왜떡쑥속(Gnaphalium)</a>
이명 : 솜떡쑥
잎 : 근생엽은 경생엽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쓰러지고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도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둔두이며 길이 4-5cm 나비 3-5mm로서 양면에 털이 밀생하고 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화서의 잎도 크기에는 차이가 없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다닥다닥 붙어 총상으로 달리지만 둥글게 되고 화서는 지름 1-1.5cm이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2mm 나비 5mm정도이며 포린은 3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은 보다 짧으며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지만 안쪽 것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0.7mm정도로서 점이 있고 관모는 길이 1.5mm정도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오며 잎이 원줄기 끝까지 달리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