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Festuca subulata var. japonica Hack. |
|---|---|
| 과명 | 벼과(Gramineae) |
| 속명 | 김의털속(Festuca) |
| 이명 | 김의털아재비 묵새 |
| 잎 | 잎은 성글게 호생하며 연약하고 편평하며 밝은 녹색이고 길이 20-30cm 나비 5-12mm이며 표면이 거칠고 때로는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2-3mm로서 절두이고 갈색이 돈다. |
|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0-3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돈다. 가지는 2-3개씩 달리며 소수(小穗)는 길이 5-7mm로서 4-5개의 소화로 된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3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4.5-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고 5-6mm이며 끝에서 길이 4-7mm의 까락이 돋는다. 꽃밥은 길이 1mm 정도이다. |
| 열매 | 영과 끝에 잔털이 있다. |
| 줄기 | 높이 60-120cm로서 외대로 자라며 곧게 서고 마디사이는 길다. |
| 뿌리 | 뿌리줄기는 짧고 기며 새싹이 생긴다. |
|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7:713 (1899)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왕모람
학명 : Ficus thunberg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화과나무속(Ficus) target=_blank>무화과나무속(Ficus)</a>
이명 : 애기모람
잎 : 잎은 호생하며 가죽질이고 길이 1-5㎝ 나비 1-2㎝인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길이 5-10㎜인 엽병에는 적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1-5쌍의 엽맥이 있다. 어린 싹의 잎은 1㎝이하로 가장자리에 2-3개의 파형의 거치가 있다. 잎이 소형이므로 애기모람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꽃이 액생하여 7-8월에 피고 수꽃과 암꽃 모두 주머니같이 생긴 은화서(隱花序)속에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거친 털이 있으며 둥근 모양으로 자루가 있고 지름이 2cm 정도된다. 과경이 있는 열매는 모람보다 직경이 큰 15-17㎜이다.
줄기 : 어린싹의 줄기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분포 : 제주도의 표고 600m 이하의 계곡과 들에서 자란다.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왕모람(F. stipulata Thunb.): 잎은 어긋나고 길이 1-5㎝ 나비 1-2㎝인 장타원형인데 둔두 원저이다.
특징 : 여러개로 갈라진 가지에서 기근이 나와 나무나 바위에 붙어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왕머루
학명 : Vitis amurensis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포도과(Vitaceae) target=_blank>포도과(V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도속(Vitis) target=_blank>포도속(Vitis)</a>
이명 : 머래순 머루 멀구넝굴 잔털왕머루 제주새머루털새머루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길이 1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잎은 붉게 단풍이 든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마주 달리며 화경 밑부분에서 흔히 덩굴손이 발달하고 꽃은 6월에 황록색의 꽃이 핀다. 꽃받침은 윤상이며 꽃잎은 5개가 끝부분에서 합쳐지고 밑부분이 갈라져 화탁에서 떨어지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사이에 밀선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송이로 되어 아래로 처지며 지름 8mm로서 9월에 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길이가 10m에 달하고 소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면모로 덮여 있으며 수피는 암갈색으로 된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650m 사이의 계곡과 산록에서 자생한다.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머루(V. coignetiae Pulliat): (Crimson Glory Vine):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있다. ▶섬머루(var. glabrescens Hara):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떨어지고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다래와 더불어 야생열매의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울창한 정글을 만든다.
-
Read MoreNo Image
왕매발톱나무
학명 :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매자나무과(Berberidaceae) target=_blank>매자나무과(Berb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매자나무속(Berberis) target=_blank>매자나무속(Berberis)</a>
잎 : 잎은 새가지에서는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며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3-8cm로서 예리하고 불규칙한 침상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황색이며 지름 1cm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10cm이며 반쯤 처지고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0mm이고 꽃잎은 약간 미요두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에 구(溝)가 있으며 이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cm이다.
분포 : 울릉도 및 강원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섬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 잎이 도피침형이고 길이 1-3cm로서 모상(毛狀)의 톱니가 있으며 가시가 크고 3출하며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서 적색으로 익고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자나무(B. koreana)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a) ▶당매자나무(B. poiretii)
특징 : 가시가 있음. 잎은 넓은 난형 원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있음
-
Read MoreNo Image
왕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큰둥굴레
잎 : 잎이 대나무와 유사하다. 호생엽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지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로서 엽병이 없다.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의 중간부분부터 2-5개씩 엽액에 달리고 길이 15-20mm로서 밑부분은 백색 윗부분은 녹색이며 소화경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화경(花莖)으로 된다. 6개의 수술이 통부 윗부분에 붙고 수술대에 잔돌기가 있으며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다.
열매 : 꽃이 지면 둥근 장과를 맺으며 9-10월경에 흑숙(黑熟)한다.
줄기 : 높이 30-60cm정도이며 6줄의 능각이 있고 끝이 처지며 육질의 근경은 점질이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가 곧게 서는데 윗부분으로 가면서 약간 구부러지고 가지는 없다.
뿌리 : 뿌리는 대나무처럼 옆으로 뻗으며 굵은 육질로 황백색을 띠고 단맛이 있다. 근경에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잎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인 것을 산둥글레 (var.thunbergii HARA.) ▶잎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글레 (var.maximowiczii KOIDZ.) ▶잎은 길이 16㎝ 폭 5㎝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글레 (P.koreanum NAK.)
특징 : 전체가 크며 꽃이 2-5개씩 달린다.
-
Read More
왕대
학명 :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대속(Phyllostachys) target=_blank>왕대속(Phyllostachys)</a>
이명 : 강죽참대
잎 : 잎은 3-7(흔히 5-6)개씩 달리고 길이 10-20㎝ 폭 1.2-2.0㎝로서 피침형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다. 견모(肩毛)는 5-10개가 개출(開出)되어 오랫동안 남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지만 매우 드물게 피며 화서의 길이는 5-10㎝이고 포는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에 달린 엽편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길이 10-30mm이고 각 포에 1-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3c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연모가 있다. 꽃밥은 길이 10mm정도이고 자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길고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밀알모양으로 여름에 결실하는데 죽실 죽미등으로 부른다. 영과(穎果)로서 내외영이 있고 가을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지만 추운 곳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정도밖에 자라지 못한다. 경면(莖面)은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되고 포엽은 일찍 떨어지며 털이 있고 엽편이 있다. 속껍질을 죽여(竹茹)라 한다. 가지는 두세개씩 나온다.
뿌리 :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어나가며 6월에 죽순이 나오는데 죽순 껍질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600m 이하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백양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도에서 난다.
형태 : 상록 목본.
유사종 : ▶포대죽(P. aurea) : 중국 원산으로 여러 곳에서 식재한다. 줄기는 연한 황색이며 마디가 기부에서는 밀집되어 있다. ▶대명죽(Pleioblastus Granineus) ▶한산죽(P. hindsii)
특징 : 대나무는 1년 동안 20m까지도 자라는데 생장은 그것으로 완료되며 이후 2-3년에 걸쳐 더 견고해진다. 한 번 꽃을 피우고 난 후에는 고사하므로 그 지역이 모두 폐죽림이 된다.
-
Read MoreNo Image
왕다람쥐꼬리
학명 : Lycopodium cryptomerin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송과(Lycopodiaceae) target=_blank>석송과(Lyc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송속(Lycopodium) target=_blank>석송속(Lycopodium)</a>
이명 : 섬솔석송 탐라솔석송
잎 : 잎은 총생하며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으로서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12-18mm 폭 1.5-2.0mm이며 표면에는 넓고 약간 도드라진 중륵이 희미하게 나타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약간 밖으로 젖혀지며 끝이 점차 좁아져서 약간 뭉뚝해지고 밑부분이 약간 좁아지는 듯하며 원줄기로 흘러서 능선이 진다. 포자엽은 보통잎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다.
열매 : 포자낭은 가지 또는 원줄기 끝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포자낭수를 만들지 않으며 신장형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끝에서 옆으로 갈라져서 포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추서고 2-3회 갈라진다.
분포 : 한라산 대둔산 및 금강산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긴다람쥐꼬리 (L.integrifolium MATSUDA et NAK.) : 잎이 길이 15-20mm 폭 1.5mm이하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
Read MoreNo Image
왕느릅나무
학명 : Ulmus macrocarpa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A%90%EB%A6%85%EB%82%98%EB%AC%B4%EA%B3%BC(Ulmaceae) target=_blank>느릅나무과(Ul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느릅나무속(Ulmus) target=_blank>느릅나무속(Ulmus)</a>
이명 : 큰잎느릅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15.5cm 폭 2-9cm로서 급첨두(急尖頭)이며 이그러진 예저(銳底)거나 심장저이며 양면이 모두 거칠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3-6m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8-16쌍의 측맥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묵은가지 엽액에 5-9송이씩 모여 붙고 길이 15mm의 양성화이며 화피는 4-5갈래이고 녹색이다.
수술은 4-5개로서 꽃밥은 누른빛이 도는 장미빛이다. 암술은 1개이고 자방하위이며 주두는 2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서 타원형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2-3cm 폭 2-3cm이며 전체에 단모와 더불어 선모가 있고 5-6월에 익는다. 종자는 날개의 아랫부분에 가깝게 있다.
줄기 : 수피는 회흑색이며 얕게 세로로 갈라지고 소지는 연한 황갈색이거나 홍갈색으로 거센 털이 있으며 가지에는 코르크질의 날개가 있다.
뿌리 : 많은 신생근이 잘 생긴다.
분포 : ▶중국 몽골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이북(단양과 화천 이북 평북 함남 강원도 화천저수지 부근)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당느릅(Ulmus davidiana Planchon): 열매에 잔털이 있다. ▶혹느릅(for. suberosa Nakai): 가지에 갈색의 코르크질이 잘 발달되어 있다.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var. coreana Uyeki): 잎에 단거치가 있고 잎 양 면에 털이 없다. 꽃은 9월에 핀다. ▶민느릅(var.laevigata): 소지에 털이 없고 잎 표면에 광택이 있다. ▶난티나무(U.laciniata Mayr): 잎의
특징 : 북반구의 온대에 약 20종 우리 나라에는 6종 1변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왕꽃마리
학명 : Cynoglossum asperrim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섬꽃마리속(Cynoglossum) target=_blank>섬꽃마리속(Cynoglossum)</a>
이명 : 섬꽃마리 왕꽃말이제주꽃마리
잎 : 근엽은 화시에는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3~20cm 나비 7~30m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엷고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지며 가지의 잎은 소형이다.
꽃 :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20cm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뻗으며 하부에는 길이 2mm 정도의 퍼지는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잎과 화서와 더불어 길이 1mm정도의 눕거나 비스듬히 선 털이 있다.
분포 : 제주 전남(보길도 백양산 대둔산) 전북(내장산)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
Read MoreNo Image
왕김의털아재비
학명 : Festuca subulata var. japonica Ha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김의털속(Festuca) target=_blank>김의털속(Festuca)</a>
이명 : 김의털아재비 묵새
잎 : 잎은 성글게 호생하며 연약하고 편평하며 밝은 녹색이고 길이 20-30cm 나비 5-12mm이며 표면이 거칠고 때로는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2-3mm로서 절두이고 갈색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0-3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돈다. 가지는 2-3개씩 달리며 소수(小穗)는 길이 5-7mm로서 4-5개의 소화로 된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3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4.5-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고 5-6mm이며 끝에서 길이 4-7mm의 까락이 돋는다. 꽃밥은 길이 1mm 정도이다.
열매 : 영과 끝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60-120cm로서 외대로 자라며 곧게 서고 마디사이는 길다.
뿌리 : 뿌리줄기는 짧고 기며 새싹이 생긴다.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
Read MoreNo Image
왕김의털
학명 : Festuca rubr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김의털속(Festuca) target=_blank>김의털속(Festuca)</a>
이명 : 쇠털골
잎 : 잎은 길이 10-20cm 지름 1-2mm로서 안쪽으로 접어들며 밑부분의 엽초는 흔히 붉은빛이 돌고 엽설은 길이 0.2mm로서 절두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12cm이고 가지는 적으며 위를 향하고 소수(小穗)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0mm로서 3-7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2.8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4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5.5mm로서 5맥이 있고 끝에서 까락이 돋으며 까락은 길이 2mm로서 잔돌기가 있고 내영은 길이 5mm로서 능선에 잔돌기가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2.5mm이고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무더기로 나며 밑부분이 휘면서 자라고 보통 반반하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총생한다.
분포 : ▶중국 소련 일본을 비롯한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백두산 지역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
Read MoreNo Image
왕그늘사초
학명 : Carex pediformis var. pedunculat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큰그늘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1.5-2.5㎜로서 회청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흑갈색바탕에 부분적으로 자줏빛이 돌고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 : 소수는 3-4개이며 정소수(頂小穗)는 암꽃으로 구성되고 원주형(圓柱形)이며 길이 10-15㎜로서 대가 있다. 포는 통(筒)같고 유두상(乳頭狀)의 돌기가 있으며 회청색이지만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고 자화영은 도란형으로서 밑부분에서 과포를 감싸며 흑갈색이 돌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진다.
열매 : 과포는 세모진 도란형이고 길이 3㎜로서 2개의 능선(稜線)이 있으며 밑부분에 맥이 약간 있고 털이 있으며 뿌리는 짧으며 굽고 끝이 밋밋하다. 수과(瘦果)는 세모진 넓은 난형이며 길이 2㎜이고 암술대는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붙어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뿌리 : 근경이 좀 길게 자라면서 갈라진다.
분포 : 지리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넓은잎그늘사초 (Carex pediformis C.A.)
특징 : 전체가 크고 근경이 좀 길게 자라면서 갈라진다.
-
Read MoreNo Image
왕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vidali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지리괴불나무지이산괴불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 폭 2-5c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굳센 털과 선상의 돌기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1.5cm로서 선상의 돌기가 있고 포는 길이 2-3mm로서 선이 있거나 없으며 소포는 난형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이고 길이 10mm로서 양순이 거의 비슷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는 길이 6-7mm로서 기부가 굵다.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으며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잇고 자방은 중앙 이하가 합쳐지며 선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같으며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중앙까지 서로 합쳐졌고 길이 7mm로서 7-8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종자는 갈색이다.
줄기 : 가지는 회색이고 골속이 차 있으며 어린 가지에 선점이 있으나 없어지고 동아는 난형이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다소 거칠게 벗겨진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지리괴불나무 L.cerasoides Nak.: 어린 가지와 엽병 및 화경에 털이 없으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왕과
학명 : Thladiantha dubi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과(Cucurbitaceae) target=_blank>박과(Cucurb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과속(Thladiantha) target=_blank>왕과속(Thladiantha)</a>
이명 : 주먹외큰새박
잎 : 잎은 호생 잎자루는 길고 얕게 갈라져 손바닥 모양 밑은 얕은 심장형 연둣빛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노란색 원통상 종형 끝이 5갈래 뒤로 젖혀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 길이 4-5㎝ 폭 3㎝가량이다.
줄기 : 전체에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고 줄기는 모가 졌다.
뿌리 : 괴경은 감자 모양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표주박(Lagenaria leucantha Rusby var. gourda Makino): 박과 닮았으나 열매가 작고 길며 중앙부가 잘록한 술병같이 된다.
-
Read MoreNo Image
왕골
학명 : Cyperus exaltatus var. iwasakii T.Ko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동사니속(Cyperus) target=_blank>방동사니속(Cyperus)</a>
이명 : 완초 왕굴
잎 : 줄기 밑부분에 나며 길이는 줄기의 길이 정도이고 기부는 잎집으로 줄기를 싸며 가장자리가 깔깔하고 뒷면의 중앙맥이 뚜렷하다.
꽃 : 화경은 높이 60-200cm이며 화경의 1/4-2/5가 엽초로 싸인다. 꽃은 9~10월에 피며 포는 4-5개로서 잎같고 화서보다 훨씬 길다. 가지는 5-10개로서 긴 것은 길이가 20cm에 달하며 다시 갈라져서 산형으로 퍼져 1-5개의 화수로 갈라진다. 화수는 원주형이고 길이 2-4cm 지름 1-1.3cm로서 소수가 다소 성글게 달리며 황록색이다. 소수는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5-7mm로서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인편은 난형이고 길이 1.7-2mm
열매 : 수과는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연한 볏짚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높이 80~150cm이고 굵고 둔하게 세모지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하며 야생하기도 한다.
형태 : 1년초 내지 2년초
-
Read MoreNo Image
왕고사리
학명 : Deparia pterorachis (H.Christ) M.Kat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target=_blank>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고사리속(Deparia) target=_blank>진고사리속(Deparia)</a>
이명 : 개면마 숫개면마
잎 : 엽병은 굵으며 길이 30-7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밀생하고 위로 갈수록 적어지며 인편은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중축의 것은 좁다. 엽신은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약간 좁아지며 길이 1m 폭 35-45㎝이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20㎝ 폭 3-4㎝로서 대가 없고 끝이 뾰족하며 어릴 때는 양면 맥 위에 다세포의 털이 있다. 소우축에는 날개가 있고 소우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둔두이며 가장자리가 얕게 또는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1줄로 달리고 포막은 긴 타원형 갈고리형 또는 말굽형이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서고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왕고로쇠나무
학명 : Acer mono var. savatieri (Pax)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이명 : 왕고로쇠
잎 : 잎은 대생하고 둥글며 대개 7개로 갈라지고 열편이 넓은 삼각형이며 지름 7~15cm로서 뒷면 맥액에 속생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은 가을철에 황색으로 된다.
꽃 : 산방상 원추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잎과 같이 나오고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지름 5-7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시과는 거의 수평으로 벌어지고 길이 2~3cm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곧게 자라고 웅대하게 퍼지며 껍질은 회청색으로 평활하지만 장령목이 되면서부터 세로로 골이져 갈라지고 어린가지는 회황색으로 얕게 갈라진다. 이른봄에 수액을 받아 약수로 한다.
뿌리 : 천근성(淺根性)이고 사출(射出) 또는 수평으로 발달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800m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긴고로쇠나무(A. mono Max. for. dissectum Rehder) : 잎이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피침형이며 엽병이 매우 길다. ▶집께고로쇠(A. mono Max. for connivens Rehder) : 열매가 예각으로 벌어진다. ▶붉은고로쇠(A. mono Max. for. rubripes T. Lee) : 엽병이 적색이다. ▶털고로쇠(A. mono Max. var. ambiguum Rehder) : 잎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뒷면
특징 : 고로쇠나무와 닮았으나 잎이 대개 7개로 갈라지고 열편이 넓은 삼각형이며 열매가 거의 수평으로 벌어진다.
-
Read MoreNo Image
왕고들빼기
학명 : Lactuca ind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고들빼기속(Lactuca) target=_blank>왕고들빼기속(Lactuca)</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 폭 1-5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결각상이거나 뒤로 젖혀진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결각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작고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20-40cm로서 많은 두화가 달리며 두화는 지름 2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총포는 밑부분이 굵어지고 길이 12-15mm이며 내포편은 8개 정도이다. 두상화서의 꽃은 모두 설상화이다.
열매 : 수과는 편난형(偏卵形)이고 흑색이며 짧은 부리와 더불어 길이 5mm가량이고 관모는 길이 7-8mm로서 백색이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2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며 위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털이 있거나 거의 없다.
뿌리 : 로제트시기에 육질의 역원추형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유사종 : ▶가는잎왕고들빼기 (for.indivisa Hara)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피침형이다. ▶용설채 (var.dracoglossa Kitam.):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배하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왕거머리말
학명 : Zostera asiatica Mi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1%B0%EB%A8%B8%EB%A6%AC%EB%A7%90%EA%B3%BC(Zosteraceae) target=_blank>거머리말과(Zost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거머리말속(Zostera) target=_blank>거머리말속(Zostera)</a>
이명 : 부들말
잎 : 잎은 짧은 가지에서 2줄로 호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150cm 폭 11-1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파지고 부드러우며 녹색이다. 엽맥은 9(10-11)개이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엽초 가장자리에 귀같이 길게 자란 것이 없고 엽설은 높이 1.2mm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녹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화서가 달린다. 화서는 엽초로 싸여 있으며 엽초는 길이 5-8mm이다.
열매 : 종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5mm 지름 3mm정도로서 줄이 없다. 종피(種皮)가 평활하다.
줄기 : 길이 3m정도 자라고 가지는 잎만 달리는 짧은 가지와 화서와 잎이 달리는 가지가 있다. 잎과 화서가 달리는 가지는 편평하고 많은 측지가 나와서 끝에 화서가 달린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굵고 단단하고 길이는 3m정도이다.
분포 : 남부의 얕은 바다에서 난다.
형태 : 다년생 해초
유사종 : ▶수거머리말 Z.caulescens MIKI : 잎 끝이 뾰족하며 열매에 줄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왕갯쑥부쟁이
학명 : Aster magnus Y.N.Lee & C.S.K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왕갯쑥부장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두껍고 털이 없으며 근생엽은 주걱 모양이고 윗부분은 이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다. 길이 15cm 너비 5.7cm정도 이다. 경생엽은 피침형 위쪽으로 갈수록 차츰 작아지며 길이 3.2~8.3cm 너비 0.6~2.5cm이다.
꽃 : 두상화서는 자줏빛을 띤 파란색의 설상화와 노란색의 관상화로 되어 있으며 지름 5~7cm이다. 총포는 포가 4~5줄로 배열되어 있고 포는 위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며 선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13mm 너비 20mm 정도 이다.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다. 설상화는 피침형이고 길이 3cm 너비 5mm정도 길이 4mm 정도으 ㅣ갈색 관모가 있다. 관상화는 길이 11mm 너비 2mm 정도 길이 5mm 정도의 강모 같은 갈색관모가 있다.
열매 : 관상화의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2mm 정도 미세한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붉은 색을 띠고 옆으로 자라다가 곧게 서며 억세고 가지를 많이 친다. 털이 없다.
분포 : 한국(제주도 남부)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왕가래나무
학명 : Juglans mandshurica var. sieboldian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B%9E%98%EB%82%98%EB%AC%B4%EA%B3%BC(Juglandaceae) target=_blank>가래나무과(Juglan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래나무속(Juglans) target=_blank>가래나무속(Juglans)</a>
이명 : 산호두나무 섬가래나무 털호도 털호도나무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奇數羽狀複葉)이고 소엽은 7-17개이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7-28㎝ 나비 10㎝로서 예두이며 이그러진 아심장저이고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으며 맥 위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4월에 핀다. 화축에 털이 있고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10-20㎝이며 수술은 12-14개이고 길게 늘어져서 피며 자화수(雌花穗)에 4-10개의 꽃이 달려서 가지 끝에 핀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4-8㎝의 핵과로 양끝이 좁고 능각(稜角)이 없다. 종자는 끝이 뾰족한 계란형으로 9월에 익는다. 핵의 내부는 2실이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가 굵다. 수피는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굵고 성글게 나오며 소지에 선모(腺毛)가 있다.
분포 : 소백산 속리산 이북의 표고 500m를 중심으로 산기슭에 자라며 중국과 대만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가래나무(J. mandshurica Maxim.): 소엽의 수는 7개 이상이며 거치가 있다. 자화수에 많은 꽃이 달리며 열매는 2실이다.
특징 : 가래나무에 비해 열매에 능선이 없는 것을 왕가래나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