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alamagrostis neglecta var. aculeolata (Hack.) Miyabe & Kudo |
|---|---|
| 과명 | 벼과(Gramineae) |
|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
| 이명 | 북산새풀 야자피야지산새풀 |
| 잎 | 잎은 녹색이며 안으로 말리고 길이 10-20㎝ 폭 2-5㎜로서 양면이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난형 둔두이며 길이 2-4㎜로서 막질이다. |
|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좁은 난형으로 밀착되며 길이 7-15㎝이고 곧게 선다. 가지는 반윤생하고 털이 있으며 소수(小穗)는 연한 녹색으로서 대개 자줏빛이 돌고 길이 3-4㎜이며 예두이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첫째 것은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3맥이 있고 뒷면은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는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포영과 길이가 비슷하고 5맥이 있으며 중앙 이하에서 호영과 비슷한 길이의 까락이 돋는다. 기반(基盤)의 털은 호영보다 짧 |
| 줄기 | 높이 40-100cm이다. |
| 뿌리 | 근경은 가늘다. |
| 분포 | 우리나라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J. Fac. Agric. Hokkaido Imp. Univ. 26 :140 (1931)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양반풀
학명 : Cynanchum sibiricum (L.) R.B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target=_blank>박주가리과(Asclepia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미꽃속(Cynanchum) target=_blank>백미꽃속(Cynanchum)</a>
이명 : 가는잎새박 긴잎선백미꽃 버들박주가리 조자화
잎 : 잎은 밑부분의 것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총생하고 윗부분의 것은 호생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총생하는 것 같이 보이며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없거나 짧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화경이 짧으며 꽃이 약간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이 짧다.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부화관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표주박같으며 한쪽으로 벌어져서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에 종모가 있어 바람에 날린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잔털이 있다.
분포 : 황해도 평안도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양미역취
학명 : Solidago altissim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역취속(Solidago) target=_blank>미역취속(Solidago)</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로 촘촘히 달리며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 3-10㎝ 폭 3-14㎜ 3맥이 뚜렷하고 양 끝이 뾰족하며 상반부에 소수의 낮은 거치(鋸齒)가 있다. 아래쪽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쪽은 잎자루가 없고 잎 가장자리도 톱니가 없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높이 3.5-5㎜ 황색이고 옆으로 퍼지거나 아래를 향해 굽은 가지에 다수의 꽃이 편측적으로 피며 커다란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룬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으로 높이 3-4㎜이고 총포편(總苞片)은 선형(線形)으로 둔두(鈍頭) 또는 예두(銳頭)이며 3줄로 배열되었다. 설상화(舌狀花)는 자성(雌性)이며 암술머리 끝은 2열(裂)되고 사상(絲狀)이며 꽃은 통부 밖으로 길게 초출된다. 통상화(筒狀花)는 양성(兩性
열매 : 관모(冠毛)는 백색 수과(瘦果) 길이의 3배이다.
줄기 : 지하경(地下莖)이 있으며 줄기는 높이 100-250㎝ 경질(硬質)이고 연모(軟毛)가 밀생하거나 길고 거친 털이 있다. 화서(花序)에서 많은 가지를 친다.
분포 : 순천을 포함한 남부지방에 분포되고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양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ambrosioide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명아주속(Chenopodium) target=_blank>명아주속(Chenopodium)</a>
이명 : 미국형계
잎 : 잎은 어긋나며 장 타원상 피침형 크기 다른 톱니 짧은 엽병. 뒷면 담황색 선점 맥위 다세포털. 중간잎 길이 6~8cm 나비 2~3cm 위쪽 잎 톱니 없고 선형이다.
꽃 : 꽃은 원추화서를 이루며 꽃자루에 잎 모양 포엽 줄져난다. 화피편은 5개이고 난형이며 선점이다. 양성화는 크고 수술은 5개. 자성화는 작고 수술은 퇴화 주두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 종자 둥근 난형 흑갈색 지름 7mm.
줄기 :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치며 위쪽에 성긴 털 있다. 독특한 냄새 난다.
분포 : 북극과 남극을 제외한 전역
-
Read More
양머리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agnicapitatum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target=_blank>복주머니란속(Cypripedium)</a>
잎 : 잎은 난형이며 길이 20cm 너비 12cm 정도이다. 줄기 위쪽으로 가면서 잎은 작아지고 잎의 양 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1.5cm정도 이며 선모가 있다. 등꽃받침은 노란색에 자주색이 섞여 있으며 넓은 피침형이고 곁꽃받침은 2개가 붙어 있으며 넓은 피침형이다. 끝이 2갈래 곁꽃잎은 피침형 황토색이고 입술꽃잎보다 길고 꼬여 있으며 끝부분이 더 많이 꼬인다. 입술꽃잎은 타원형의 복주머니 모양으로 미색 바탕에 희미한 자주색 선이 있으며 안쪽에 털이 모여 난다.
뿌리 : 근경은 길고 뿌리는 흰 수염뿌리이며 줄기 밑의 엽초는 4장이다.
분포 : 한국(백두산)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양덕사초
학명 : Carex stipata Muhle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밝은 녹색이며 나비 3-7mm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연황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흔히 섬유상으로 갈라짐.
꽃 : 수상화서는 길이 3-6㎝로서 원주형이고 소수는 난상 원형이며 길이 6-10mm 나비 4-8mm로서 끝에 수꽃이 약간 달리고 밑부분에 암꽃이 달린다. 포는 작으나 밑부분의 것은 침형으로서 길이 3㎝이다. 자화영은 난형이며 길이 3.5mm로서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색이 연하거나 차갈색이며 뒷면에 1맥이 있다. 암술대는 끝이 2개로 갈라짐.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퍼지며 길이 5mm로서 편평한 넓은 피침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뒷면은 맥이 많으나 표면은 맥이 적고 가장자리는 중앙에서 끝까지 좁은 날개가 있으며 윗부분에 좁은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심장형이며 짧은 대가 있고 긴부리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으며 길이 1.7mm로서 넓은 난상 렌즈형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평남 양덕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양덕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koreanu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광나무속(Philadelphus) target=_blank>고광나무속(Philadelphus)</a>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2mm~115mm 나비 30~74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모양 또는 둥글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에 나며 새가지 끝에서 총상 또는 산방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길이 3~3.5mm이고 꽃잎은 둥글며 길이 10mm 나비 9~11mm이고 화주는 길이 5mm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도원추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2년지의 수피가 결코 벗겨지지 않는다.
분포 : 평남(양덕)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
Read MoreNo Image
양까막까치밥나무
학명 : Ribes nigr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까치밥나무속(Ribes) target=_blank>까치밥나무속(Ribes)</a>
이명 : 검은송이물앵도나무 검은송이수구리
잎 : 잎은 둥굴고 3~5개로 갈라지며 둔두 또는 첨두 심저로서 길이 5~10cm이며 거치는 불규칙하다.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지점이 산재하며 맥상에 엽병과 더불어 턱받이가 있다.
꽃 : 꽃은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지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화서는 길이 2~3cm로서 4~10화가 달린다. 꽃은 담홍색이며 지름이 8mm 포엽은 작고 털이 있으며 소경은 길이 5mm이다. 자방에 털이 있고 꽃받침은 장타원형 둔두로서 털이 있다. 꽃잎은 꽃받침 길이의 반쯤 된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검게 익으며 식용으로 재배한다.
줄기 : 소지에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형태 : 낙엽관목이다.
-
Read MoreNo Image
양귀비
학명 : Papaver somnifer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양귀비과(Papaveraceae) target=_blank>양귀비과(Papav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귀비속(Papaver) target=_blank>양귀비속(Papaver)</a>
이명 : 아편꽃 앵속 약담배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난형으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얼싸안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전체가 회청색이며 길이 3~20cm 가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 외에 홍색 자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고 원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꽃봉우리가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잎은 2개이고 타원상 주형(舟形)이며 길이 1.5-2cm로서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4개이며 길이 5-7cm로서 둥글고 교호로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크다. 많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가 방사형이다.
열매 : 삭과로서 난상 구형이고 길이 4~6cm 지름 3.5-4cm로서 털이 없으며 성숙하면 위쪽 작은 구멍에서 종자가 방출된다.
줄기 : 높이 50-1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이란 터키 이도 중국 내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월년초.
유사종 : 개양귀비(P. rhoeas)
특징 : 설익은 열매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오는 유액(乳液)이 말라 약간 굳어졌을 때 70℃ 이하에서 말린 것을 아편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양국수나무
학명 : Physocarpus opulifolius (L.)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국수나무속(Physocarpus) target=_blank>산국수나무속(Physocarpus)</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2-6㎝로서 아원형 또는 난형이며 둔두이고 원저 아심장저 또는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복거치가 있고 흔히 결각상이지만 3개로 얕게 갈라지기도 하며 3출맥이 있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도 맥 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6월에 피며 새가지 끝의 산방상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가는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통에도 털이 있으나 꽃받침 안쪽에는 밀모가 있으며 꽃잎은 백색이고 지름 1cm정도로서 수술보다 짧다. 자방은 4-5개로서 성모가 있다.
열매 : 4-5개의 자방으로 되어 있는 골돌로서 털이 없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수피는 황갈색인데 오래 되면 벗겨지며 어린가지에는 종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중산국수나무(P. intermedius Schneid.): 열매는 4-5개의 자방으로 되어 있는 골돌로서 양국수나무와 달리 열매에 털이 나 있다.
특징 : 제반조건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 일단 한곳에 정착하면 천연하종발아되어 하나의 큰 군집을 형성하고 맹아력도 좋다.
-
Read MoreNo Image
양구슬냉이
학명 : Camelina sativa (L.) Crant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냉이속(Camelina) target=_blank>냉이속(Camelina)</a>
이명 : 구슬냉이아재비 기름냉이 아마냉이 아마아재비 큰열매아마냉이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으로서 엽병이 없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5cm 폭 1cm이지만 밑으로 갈수록 커지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예두 전저로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백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화서의 길이가 30cm이상 되는 것도 있다. 소화경은 길이 1.5cm정도로서 털이 없고 비스듬히 퍼지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길이 2.5mm로서 녹색이며 꽃잎은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각과는 다소 편평한 도란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같은 능선이 있으며 끝에 길이 2.5mm정도의 암술대가 있다. 종자는 적갈색이고 겉에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60-70cm로서 가지가 갈라지고 원줄기와 잎에 긴 단모와 가지처럼 갈라진 털이 밀생한다.
-
Read MoreNo Image
얇은잎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광나무속(Philadelphus) target=_blank>고광나무속(Philadelphus)</a>
이명 : 넓은잎고광나무 엷은잎고광나무
잎 : 영양지의 잎은 난형이며 길이 10.5cm 폭 6cm로서 치아상의 톱니가 약간 있고 급첨두이며 둔저 또는 원저이고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 맥위와 맥액에는 털이 있다. 과지(果枝)의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4-6.5cm 폭 2-3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약간 퍼져 있고 뒷면에도 털이 퍼져 있다.
꽃 : 꽃은 총상화서에 5-7개(간혹 3개 또는 9개)의 꽃이 달리고 흰색이며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화관은 지름 2.5-3.4cm이다. 꽃잎은 도란상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1.5cm 폭6-10mm이고 수술 25-30개이며 암술대와 화반(花盤)에 털이 없고 암술대는 4개로서 1/2정도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원추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4.5-6mm 지름 5mm이며 거의 위쪽에 꽃받침이 달려 있다. 소과경은 열매 전체의 길이보다 길며 밀모가 있고 종자에 짧은 꼬리가 있다.
줄기 : 높이 1-3m이고 소지에 단복모가 있으며 2년지는 회갈색 또는 갈색이고 벗겨진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야에 난다.
형태 : 낙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얇은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hybrid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명아주속(Chenopodium) target=_blank>명아주속(Chenopodium)</a>
이명 : 얇은잎능쟁이 청명아주 큰명아주 큰잎명아주
잎 : 잎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양쪽 가장자리에 삼각형의 큰 열편이 있고 길이 6-13cm 폭 3-7cm로서 질이 얇으며 뒷면은 명아주처럼 분백색이지만 성장한 잎에서는 없어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황록색으로서 다소 큰 편이며 수상화서는 엽액 또는 줄기나 가지끝에 달리고 꽃이 드문드문 달려 핀다.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2mm로서 뒷면에 1맥이 있고 수술과 더불어 5개이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포과(胞果)는 9월에 익고 흑색 종자는 명아주보다 크다. 잔 요점(凹點)이 있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이다.
유사종 :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좀명아주(C. ficifolium Smith): 전체에 털이 없고 윗부분이 흰 가루에 덮인다. 잎은 삼각상 긴 타원형 삼각상 좁은 난형 길이 2-5㎝이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
특징 : 참명아주와 비슷하지만 결각같은 큰 톱니가 있고 종자가 보다 큰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얇은개싱아
학명 : Aconogonon mollifolium (Kitag.)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싱아속(Aconogonon) target=_blank>싱아속(Aconogonon)</a>
이명 : 얇은잎싱아 엷은개승애 털산승애
잎 : 잎은 호생하며 양끝이 좁고 엽병이 있으며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질이 얇으며 양면과 가장자리에 흰색의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도는 녹색으로서 총상으로 달리는 원추화서이며 소화경은 가늘고 윗부분이 굵어지며 털이 없고 꽃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환절이 있다. 꽃받침 열편은 5개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다소 주름이 진다.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짧고 암술대는 3개로 되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 세모진 넓은 타원형이고 흑갈색이며 광택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줄기는 다소 연하며 곧게 서고 잎을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분포 : 함남 부전고원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왜개싱아(A. divaricatum):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잎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 ▶참개싱아(A. microcarpum): 잎은 난상 타원형 난상 피침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분포한다. ▶싱아(A. polymorphum): 잎자루는 짧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 털과 맥이 있다. ▶긴개싱아(A. ajanense): 왜개싱아에 비해 잎이 길고 좁으며 잔털이 있다.
특징 : 잎은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약밤나무
학명 : Castanea bungean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밤나무속(Castanea) target=_blank>밤나무속(Castanea)</a>
이명 : 약밤 평양밤나무 함종율
잎 : 잎은 호생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배열되며 넓은 피침형 난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10-20cm로서 첨두이며 심장저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치아상의 톱니 끝이 침처럼 뾰족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백색의 성모가 밀생하거나 털이 전혀 없으며 가지 끝의 잎은 대개 털이 있고 선점(腺點)이 없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월에 핌 수꽃은 새가지 밑의 엽액에서 곧추 자라고 잎보다 짧으며 6개로 갈라진 화피와 10개 정도의 긴 수술로 된다. 수꽃 이삭은 15cm 가량되며 유이화서로 꽃이 2-3송이씩 모여 달린다. 암꽃은 화서 기부에서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 달리고 총포로 싸여 있으며 암술대는 길고 좌(座)는 좁으며 내피가 잘 벗겨진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서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나비 2-3cm로서 윗부분에 잔털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각두(殼斗)의 가시는 황색으로 되고 길이 1.5cm로서 복모가 밀생하며 각두 내면에 견모(絹毛)가 있다.
줄기 : 높이 15-20cm 지름 70cm에 달하며 수피는 세로로 깊게 갈라지고 소지는 녹갈색이며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밀생하고 동아는 넓은 난형이며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기슭 마을부근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밤나무(C. crenata Sieb. et Zucc.)
특징 : 밤나무에 비하여 잎의 톱니가 길고 갈라짐이 작으며 껍질이 얇다.
-
Read More
약모밀
학명 : Houttuynia cordat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삼백초과(Saururaceae) target=_blank>삼백초과(Saur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약모밀속(Houttuynia) target=_blank>약모밀속(Houttuynia)</a>
이명 : 삼백초 십자풀어성초즙채집약초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8cm 폭 3-6cm로서 뚜렷한 5출맥이 있고 연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탁엽이 엽병 밑에 붙어 있다.
꽃 : 6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짧은 화경(花莖)이 나와 그끝에 길이 1-3cm의 수상화서가 발달하며 백색의 꽃이 달린다. 포는 4개이고 화서 밑에 십자형(十字形)으로 달려 꽃같이 보이며 길이 1.5-2cm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화피가 없고 3개의 수술이 있어 황색으로 보이며 자방은 1개이고 상위로서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았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3개로 화주 사이에서 갈라져 연한 갈색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원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길이 20-50cm로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고 몇 개의 세로줄이 있다.
뿌리 : 뿌리는 백색이고 연하며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히말라야 쟈바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에 자생하며 중부지방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특징 :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외국에서 개발된 원예종으로 무늬변종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던 병영지 주변에는 항시 약모밀을 재배하여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전초에서 독특한 악취가 난다.
-
Read MoreNo Image
약난초
학명 :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ex Shib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약난초속(Cremastra) target=_blank>약난초속(Cremastra)</a>
이명 : 약란 정화난초
잎 : 잎은 1-2개가 인경 끝에서 나와 겨울이 지나면 마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40cm 나비 4-5cm로서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과 연결된다.
꽃 : 개화기는 5-6월로 잎 옆에서 길이 30-50cm정도의 화경이 나와 곧추 자라며 15-20개의 연한 자줏빛이 도는 갈색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밑을 향해 달린다. 엽신이 없는 초상엽이 있고 화서는 길이 10-20㎝이며 포는 길이 7-10mm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화피열편은 선상 도피침형이며 길이 3-3.5㎝ 나비 4-5mm이고 순판은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기부에 육질의 부속체가 있고 거(距)가 없다. 암술은 길이 2.5cm로서 윗부분이 약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 대가 없고 길이 2-2.5cm로서 밑을 향한다.
줄기 : 위경이 발달하였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원형이고 땅속으로 얕게 들어가며 높이 3㎝이고 옆으로 염주같이 연결된다.
분포 : 내장산 이남 및 해안 도서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감자난(Oreorchis patens Lindl.) ▶두잎약난초(C. unguiculata Finet): 약난초와 닮았으나 잎이 2장이다.
특징 :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39) ▶뿌리에 항생물질이 존재하여 약제로 절리 사용한다. 9월경에 새로운 잎이 나오 상록인 상태로 월동하고 5월경에 묵은 잎이 고사한 후에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야지피
학명 : Calamagrostis neglecta var. aculeolata (Hack.) Miyabe & Kud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풀속(Calamagrostis) target=_blank>새풀속(Calamagrostis)</a>
이명 : 북산새풀 야자피야지산새풀
잎 : 잎은 녹색이며 안으로 말리고 길이 10-20㎝ 폭 2-5㎜로서 양면이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난형 둔두이며 길이 2-4㎜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좁은 난형으로 밀착되며 길이 7-15㎝이고 곧게 선다. 가지는 반윤생하고 털이 있으며 소수(小穗)는 연한 녹색으로서 대개 자줏빛이 돌고 길이 3-4㎜이며 예두이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첫째 것은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3맥이 있고 뒷면은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는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포영과 길이가 비슷하고 5맥이 있으며 중앙 이하에서 호영과 비슷한 길이의 까락이 돋는다. 기반(基盤)의 털은 호영보다 짧
줄기 : 높이 40-100cm이다.
뿌리 : 근경은 가늘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야생팬지
학명 : Viola arvensis Mur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잎 : 잎은 어긋나며 길이 2~5cm 둔거치 변이성 크고 아래쪽 잎 원형에서 난형 위쪽 잎 장 타원형에서 타원형. 탁엽 엽상 빗살모양으로 갈라지고 위쪽 열편 가장 크다.
꽃 : 총상화서. 꽃 길이 1~1.5cm 나비 1cm. 거 짧다. 꽃잎 넓은 피침형 꽃받침 열편보다 짧거나 같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구형 종자 갈색 좁은 도란형 길이 1mm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아래부분 옆으로 누워있다.
분포 :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호주
-
Read MoreNo Image
야산고비
학명 :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야산고비속(Onoclea) target=_blank>야산고비속(Onoclea)</a>
이명 : 야산고사리
잎 : 영양엽과 포자엽의 2형이 있다. 영양엽은 길이 30-60cm로서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20-30cm이며 황록색이 돌지만 기부 근처는 갈색 윤채가 돌고 연한 갈색 인편이 약간 있으며 인편은 난형이다. 엽신은 넓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 15-30cm이고 1회우상으로 갈라지며 끝이 급히 좁아져서 예두의 정엽으로 되고 중축은 밑부분에 뚜렷한 날개가 있으며 우편은 5-10쌍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파상의 톱니
열매 : 소우편의 열편은 3-4개로서 각 1개의 포자낭군을 둘러싸고 익으면 녹색에서 갈색으로 된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군데군데 비늘조각이 달린다. 끝에서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야광나무
학명 : Malus baccata Bork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과나무속(Malus) target=_blank>사과나무속(Malus)</a>
이명 : 당아그배나무동배나무 들배나무 아가위나무 아그배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잔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고 엽병은 길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작은 가지끝에 모여 피고 지름 3.0-3.5㎝로서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소화경은 털이 거의 없고 길이 2-4cm이며 꽃받침잎은 털이 없고 점첨두이며 꽃받침통에 털이 있고 꽃잎은 타원형이며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보통 5개이며 드물게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둥글고 지름 8-12㎜로서 10월에 황색 또는 홍색으로 익으며 소과경은 길이 3-5cm이다. 열매의 끝에 꽃받침이 없다.
줄기 : 가지에 털이 없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분포 : ▶중국 동북부 사할린 우수리강 일본의 북해도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의 표고 100~1 700m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유사종 : ▶털야광나무(var. mandshurica Schneider): 엽병과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경상남북도 및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 자란다. ▶민야광나무(for. jackii Rehder): 잎 뒷면에 털이 없다. ▶개야광나무(for. mincr T.Lee): 가지가 많은 관목인데 잎은 길이 2-5㎝로서 털이 없고 넓은 타원형 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잔톱니가 있고 과경은 길이2-2.7㎝로서 털이 없으며 열매는 지름 7-8㎜이다.
특징 :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야광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새하얀 꽃이 밤에도 빛을 낸다 하여 야광이란 이름이 붙어졌다. 생육이 비교적 더디다. (M. bacca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