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Dryopteris sacrosanta Koidz. |
|---|---|
|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
| 속명 | 관중속(Dryopteris) |
| 이명 | 애기쪽제비고사리 좀족제비고사리 |
| 잎 | 엽병에 달린 인편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인편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 엽신이 얇고 소우편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짐. 우축에 달린 인편의 밑부분은 주머니처럼 되지 않고 소우편 중륵 뒷면에 주머니 같은 작은 인편이 섞여 있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밑부분이 3회 우상 비슷하게 갈라지고 우편은 곧으며 서로 겹칠 정도로 배게 달리고 표면은 윤채가 그리 나지 않으며 밑부분의 소우편에 대가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
| 열매 | 포자낭군은 소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달린다. |
|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특징 | 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엽병에 달린 인편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인편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인 것이 다르며 또 큰 족제비 고사리보다는 엽신이 얇고 소우편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8 : 108 (1924)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야고
학명 : Aeginetia ind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열당과(Orobanchaceae) target=_blank>열당과(Orobanc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야고속(Aeginetia) target=_blank>야고속(Aeginetia)</a>
이명 : 담배대더부살이 사탕수수겨우사리 )
꽃 : 꽃은 9월에 피며 소화경은 털이 없고 끝에 한 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주형(舟形)이며 한쪽이 갈라지고 길이 2-3cm로서 뒷면 위쪽에 다소 능선이 있으며 화관은 통부가 길고 길이 3-3.5cm로서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져서 다소 순형으로 되며 다소 육질이다. 수술은 4개로서 통부에 붙어 있고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1~1.5cm로서 1실이며 적갈색의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줄기 : 줄기가 짧기 때문에 거의 지상으로 나타나지 않고 몇 개의 적갈색 인편이 호생한다.
분포 : 한라산과 아시아의 동남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기생식물
특징 : 엽록소가 없고 전체가 갈색을 띤다.
-
Read MoreNo Image
앵초
학명 : Primula sieboldii E.Morr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앵초속(Primula) target=_blank>앵초속(Primula)</a>
이명 : 깨풀 연앵초 취란화
잎 : 잎은 뿌리에 총생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1-4배 길며 연한 털이 있고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4-10cm 나비 3-6cm로서 털이 있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15-40cm로서 털이 있으며 끝에 7-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돌기같은 털이 산생한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8-12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 길이의 1/2-2/3이다. 화관은 지름 2-3cm이고 통부는 길이 10-13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파진다.
열매 : 삭과는 원추상 편구형이고 지름 5mm 정도 된다.
줄기 :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뿌리 : 짧은 근경이 옆으로 비스듬히 서며 잔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설앵초(P. modista var. faruiae Takeda): 제주 전라도 경남 평북 함북등지에서 자생하며 5-6월 담자색으로 개화한다. 초장은 15㎝가량 잎은 주걱모양의 근출총생엽(根出叢生葉)이다. ▶좀설앵초(P. sachalinensis Nakai) ▶큰앵초(P. jesoana Miq.) ▶털큰앵초(P. jesoana Miq. var. pubescens Takeda et Hara.) ▶종다리꽃(cortusa matthioli var. (Al.Richt) T.Lee)
특징 : 특별한 육종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도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작물로 이용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앵도나무
학명 : Prunus tomentos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벚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벚나무속(Prunus)</a>
이명 : 앵도 앵두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타원형이고 급점첨두 원저이며 길이 5-7cm 폭 3-4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융모가 밀생한다. 엽병은 길이 2-4mm로서 짧고 털이 있다. 잎은 주름이 많다.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지름1.5-2cm로서 백색 또는 연홍색이고 둥글며 1개 또는 2개씩 모여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mm정도로서 밀모가 있다. 꽃받침통은 원통형이며 꽃받침열편은 톱니같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연한 홍색 또는 백색으로 도란형이고 자방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핵과 구형으로 잔털이 있고 지름 0.5-1.2cm이며 붉은 색으로 6월에 성숙한다. 소과경은 긴 것은 길이 4mm정도이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수피가 흑갈색이고 소지에 융모가 밀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중국 원산으로 우리 나라에는 1 600년대에 도입되었다.
-
Read MoreNo Image
애기흰사초
학명 : Carex mollicula Boo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자리사초
잎 : 잎은 호생하고 편평하며 폭 4-8mm로서 3맥이 뚜렷하고 넓은 선형이며 줄기보다 길게 나오고 주름지며 밝은 녹색이고 털이 있다. 밑부분의 엽초는 연한 황갈색이고 흔히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3-6개로서 대가 없으나 밑부분에 떨어져 있는 것은 짧은 대가 있으며 정소수는 수꽃이지만 끝에 암꽃이 달리기도 하고 길이 1.5-3cm이며 측소수는 암꽃이고 길이 1.5-3cm 지름 4mm로서 짧은 원주형이며 1-3개가 줄기옆에 다닥다닥 붙는다. 첫째 포는 화경(花莖)보다 길며 초가 없고 암꽃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5mm로서 뒷면 녹색부에 1맥이 있다. 자화영(雌花穎)은 피침상 난형이며 끝이 날카롭다. 암술대는 곧고 암술머리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수평하거나 약간 뒤로 젖혀지고 좁은 난형이며 길이 3-4mm로 털이 없고 맥이 약간 있다. 긴 부리 끝은 백색 막질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고 길이 1.5㎜로서 세모진 넓은 난형이고 끝이 꼬부라진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곧게 서며 총생하지만 옆으로 뻗는 줄기가 있으며 능선이 날카롭고 흔히 중앙에 1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은 길게 기는 가지를 낸다.
분포 : 제주도 완도 백양산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황새풀
학명 : Scirpus hudsonianus (Michx.) Fer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랭이속(Scirpus) target=_blank>고랭이속(Scirpus)</a>
이명 : 예자풀
꽃 : 소수는 1개이며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로서 성숙하면 좁은 난형으로 된다. 포는 없으며 5-10개의 꽃이 달리고 적갈색이 돈다. 인편은 떨어지며 둔두이고 중륵이 밋밋하며 밑부분의 것은 길이 4-5mm로서 타원형이고 3맥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좁고 긴 타원형이고 1맥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4mm로서 끝이 3개로 갈라진다. 화피열편은 바늘같이 가늘며 6개이고 길이가 2㎝에 달하며 백색이고 밋밋하다.
열매 : 수과는 좁은 도란형이고 길이 1.3mm로서 편평한 삼릉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 10-30cm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짧게 뻗으며 예리한 능선이 있고 밑부분에 엽신이 없는 엽초가 있다.
분포 :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애기향유
학명 : Elsholtzia saxatilis (Kom.) Nakai ex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유속(Elsholtzia) target=_blank>향유속(Elsholtzia)</a>
이명 : 바위향유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장란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10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화서로 달리며 한쪽으로 치우쳐 빽빽이 난다. 포는 넓은 난형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자색을 띤다. 꽃받침은 5열하고 화관과 더불어 잔털이 있으며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11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자색을 띠며 미모가 있고 강한 향기가 있다.
분포 : 북부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해바라기
학명 : Helianthus debilis Nu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해바라기속(Helianthus) target=_blank>해바라기속(Helianthus)</a>
잎 : 잎은 마주나기(아래쪽) 어긋나기(위쪽) 심장형 또는 긴삼각형 양면 짧고 거친 털 거친 톱니 긴 엽병이다.
꽃 : 두화 지름 5~9cm. 설상화 황색 18~30개 자성 또는 무성 관모 2~4개 인편상. 통상화 흑자색 다수 양성 관모 2개. 총포편 3열 배열 끝 미상으로 뾰족 거친 털. 화상 인편 길이 10~13mm 끝 흑자색 3열.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10mm 나비 3mm이다. 편평하고 관모 탈락 털 밀생한다.
줄기 : 위쪽 많이 분지. 거친 털 있음. 담록색 또는 담자색 얼룩.
분포 : 북아메리카 일본
-
Read MoreNo Image
애기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autumnalis (L.) Roem. & Schul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지기속(Fimbristylis) target=_blank>하늘지기속(Fimbristylis)</a>
이명 : 각시하늘지기 애기하늘직이 좀하늘지기 한들하늘지기
잎 : 잎은 화경(花莖)보다 짧고 부드러우며 폭 1.5-2mm로서 털이 없고 엽초는 거의 2줄로 배열되며 능선이 있고 윗가장자리 뒷면에 잔털이 있다.
꽃 : 화서는 2-3회 갈라져서 소수가 성글게 달리며 길이 3-7cm이고 포는 2-3개로서 선형이며 화서보다 약간 짧다. 가지는 가늘고 털이 없으며 소수는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7-16개의 꽃이 달리고 길이 3-6mm 지름 1.5mm로서 능각이 있으며 적갈색이다. 인편은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1.5-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은 녹색이고 3맥이있으며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다. 암술대는 길이 1.5mm정도로서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0.7mm정도로서 긴 도란형이고 흰색이며 세모진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30cm이며 압축되었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
애기풀
학명 : Polygala japonica Hou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원지과(Polygalaceae) target=_blank>원지과(Polyga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지속(Polygala) target=_blank>원지속(Polygala)</a>
이명 : 아기풀 영신초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2cm로서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엽병이 매우 짧다.
꽃 : 4-5월에 짧은 총상화서가 나와 접형화 비슷한 연한 홍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의 꽃받침잎이 날개모양으로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앞면에 해당하는 꽃잎 뒷면에 갈라진 열편이 있으며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씨방은 2실이며 화주(花柱)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편평한 원형이고 2개의 포가 있으며 넓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초본성 반관목으로서 높이가 20cm에 달하고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난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전북(익산) 경남(거제도)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초본성 반관목
-
Read MoreNo Image
애기탑꽃
학명 : Clinopodium gracile (Benth.) Kuntz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층층이꽃속(Clinopodium) target=_blank>층층이꽃속(Clinopodium)</a>
이명 : 실충층이꽃 탑꽃 탑풀
잎 : 잎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1-3cm 폭 8-20m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선점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8-15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서 총생하여 층을 이루며 꽃받침의 길이 3.5-4mm로서 맥 위에 짧은 털이 있고 화관의 길이 5-6mm이며 하순이 다소 길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납작한 도란상 원형이며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원줄기가 뿌리에서 총생하여 옆으로 자라다가 곧게 선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탑꽃과 비슷하나 줄기가 연약하여 애기탑꽃이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카나리새풀
학명 : Phalaris minor Ret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풀속(Phalaris) target=_blank>갈풀속(Phalaris)</a>
잎 : 잎은 엽초와 엽신의 길이가 비슷하며 엽신의 길이 5-20㎝ 나비 3-7㎜ 엽설(葉舌)은 높이 2-5㎜이다.
꽃 : 줄기의 끝에 장타원형의 원추화서가 달리며 백록색 또는 황록색을 띤다. 원추화서는 길이 1.5-4㎝이고 지름 0.8-1.5㎝이며 소수(小穗)는 길이 4.5-6㎜로 포영(苞潁)의 중앙 용골부의 날개에 커다란 톱니가 있다. 양성 소화는 길이 2.8-3.3㎜이며 꽃밥은 길이 1.5-2㎜이다.
줄기 : 줄기는 기부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다발을 이루며 높이 20-50㎝이다.
분포 : 지중해 연안으로부터 코카사스 소아시아 중앙아시아 히말라야에 분포하며 일본에 귀화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카나리새풀(P. canariensis): 원추화서는 길이 2-6㎝이고 지름 1.2-2.2㎝이며 소수(小穗)는 길이 6-9㎜ 포영의 중앙 용골부의 날개에 톱니가 없다. 양성 소화(兩性小花)는 길이 3.5-5㎜이며 꽃밥은 길이 3㎜이다.
특징 : ▶원추화서가 `카나리새풀`에 비하여 소형이므로 `애기카나리새풀`로 국명을 신칭하였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천일사초
학명 : Carex subspathacea Worms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긴자루사초
잎 : 밑동의 엽초에는 잎몸이 거의 없다. 잎은 연하고 줄기보다 길다.
꽃 : 작은 이삭은 2-3개이고 수꽃이삭은 줄기끝에 1-2개 달리고 종모양이며 길이 10-30㎝이고 암꽃이삭은 줄기옆에 1-3개 달리고 곧게 서며 긴 타원형이다. 이삭자루는 없고 길이 10-15㎜ 포는 잎모양으로 이삭보다 길다. 암꽃의 비늘조각은 난형이고 검은 자갈색이 끝이 뾰족하며 길이 3㎜ 폭 2.2㎜이다. 수꽃의 비늘조각은 긴 타원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우리나라 서해안의 염전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천마
학명 : Hetaeria sikokiana (Makino & F.Maek.) Tu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애기천마속(Hetaeria) target=_blank>애기천마속(Hetaeria)</a>
잎 : 잎이 없으며 초상엽은 얇은 막질이고 길이 4-10㎜로서 1맥이 있다. 밑동은 줄기를 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3-5㎝의 수상화서에 5-10송이의 꽃이 달리고 포는 막질이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8㎜로서 곧추선다. 꽃받침잎은 긴 난형이며 1맥이 있고 중앙부의 것은 길이 2.5-3㎜이며 측엽은 길이 3.2-4.5mm이고 꽃잎은 넓은 선형이며 중앙부의 꽃받침과 길이가 같다. 순판은 길이 6㎜정도이고 현부(舷部)는 정자형(丁字形)이며 끝부분이 사각형이고 밑부분이 부풀며 안쪽에 둥근 돌기가 2개 있다. 암술대의 안쪽 윗부분에 2개의 각
줄기 : 땅속줄기는 기며 통통하고 땅위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선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가지를 치고 소인편이 있다.
분포 : 백양산 정상근처와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부생식물
특징 : 세계에 약 65종 우리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참반디
학명 : Sanicula tuberculat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반디속(Sanicula) target=_blank>참반디속(Sanicula)</a>
이명 : 애기참바디
잎 : 근생엽은 원신형이며 폭 3~7c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다시 2~3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cm이다. 경생엽은 2개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근생엽보다 작으며 그 사이에서 1-3개의 소산화서가 발달한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은 길이 1~3cm로서 끝에 소산화서가 달리고 소총포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4~10mm로서 옆으로 퍼지고 수꽃은 10개 내외이며 길이 2~3mm의 화경이 있고 꽃받침잎보다 2~3배 길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다.
열매 : 열매는 1~4개씩 달리고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3.5mm정도로서 윗부분에 곧은 가시가 있으나 밑부분의 것은 혹처럼 튀어나올 정도이다.
줄기 : 높이 8-20cm이다.
뿌리 : 근경이 굵고 짧다.
분포 : 전라남도 완도 경상남도 통영 경기도 광릉·가평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중의무릇
학명 : Gagea hiensis Pasch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중의무릇속(Gagea) target=_blank>중의무릇속(Gagea)</a>
이명 : 애기중무릇 작은애기물구지
잎 : 잎은 1개만이 근생하며 길이 10-20cm 폭 2mm로서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약간 안쪽으로 말린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8-15cm로서 윗부분에 2개의 포엽과 2-5개의 꽃이 위를 향해 산형으로 달린다. 밑부분의 포는 길이 2-3cm로서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넓고 윗부분의 것은 길이 7-15mm이며 소화경은 길이 1-2.5c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황색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길이 7-9mm이고 둔두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열편 밑부분에 붙어 있고 보다 짧다. 암술 1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둥근 삭과이며 지름 5mm정도이다.
뿌리 : 이른 봄에 소인경(小鱗莖)에서 싹이 나와 높이 10cm정도 자란다. 인경(鱗莖)은 넓은 난형이고 길이 8-10mm로서 회피는 흑갈색이이며 뿌리에서 1개의 잎이 나온다.
분포 : 중부이남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좁쌀풀
학명 : Euphrasia coreanalpina Nakai ex Y.Kimu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좁쌀풀속(Euphrasia) target=_blank>좁쌀풀속(Euphrasia)</a>
이명 : 고려깨풀 둥근잎깨풀산좁쌀풀 아기좁쌀풀 조선좁쌀풀
잎 : 경생엽은 길이 4mm 정도로서 밑부분의 것이 곧 떨어지고 끝이 둔한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2~3쌍의 둔한 또는 둥근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 근처에 잔돌기가 있다.
꽃 : 6~8월에 개화하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포는 난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3.5~6mm로서 2~4쌍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화관은 길이 4mm 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 정도로서 성숙한 꽃받침보다 길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10-15cm이고 가지는 없으며 밑을 향한 털이 있다.
분포 : 厚昌 雲仙嶺 및 赴戰高原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특징 : 애기좁쌀풀이란 작은 또는 연약한 좁쌉풀이란 뜻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족제비싸리
학명 : Amorpha brachycarpa E.J.Pal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족제비싸리속(Amorpha) target=_blank>족제비싸리속(Amorpha)</a>
잎 :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길이 5-12cm로서 퍼진다. 소엽은 15-45개이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7-20mm로서 양면에 회색 털이 밀생하며 소엽의 간격이 족제비싸리에 비해 좁다.
꽃 :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3-15cm로서 꽃이 밀생하고 꽃은 5-6월에 피며 벽자색이고 꽃받침에 털이 있으며 기판은 쐐기같은 도란형이고 길이 5mm정도이다.
열매 : 협과는 뒷면이 곧으며 길이 4mm정도로서 털이 밀생하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소지는 능선이 있으며 털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형태 : 아관목
-
Read MoreNo Image
애기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sacrosanta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애기쪽제비고사리 좀족제비고사리
잎 : 엽병에 달린 인편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인편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 엽신이 얇고 소우편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짐. 우축에 달린 인편의 밑부분은 주머니처럼 되지 않고 소우편 중륵 뒷면에 주머니 같은 작은 인편이 섞여 있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밑부분이 3회 우상 비슷하게 갈라지고 우편은 곧으며 서로 겹칠 정도로 배게 달리고 표면은 윤채가 그리 나지 않으며 밑부분의 소우편에 대가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달린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엽병에 달린 인편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인편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인 것이 다르며 또 큰 족제비 고사리보다는 엽신이 얇고 소우편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제비란
학명 : Platanthera mandarinorum var. maximowicziana (Schltr.)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난초속(Platanthera) target=_blank>제비난초속(Platanthera)</a>
이명 : 두메제비난초 제비난초 제비란
잎 : 잎은 피침형 긴 타원형 또는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6-12㎝ 나비 10-25㎜로서 밑부분의 것이 가장 크며 점차 작아져서 포엽과 연결된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화서는 길이 5-12㎝이고 포는 피침형으로서 길이 10-14㎜이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4-5㎜로서 3맥이 있고 측열편(側裂片)은 긴 타원형이며 젖혀지고 길이 6-8㎜로서 3맥이 있다. 꽃잎은 사란형(斜卵刑)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지면서 길어지고 육질이며 중앙부의 꽃받침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순판(脣瓣)은 길이 11-15㎜로서 넓은 선형이고 끝이 둔하며 거(距)도 길이 2-3㎝로서 끝이 둔하다.
줄기 : 높이 20-40cm이며 곧게 서고 어느 정도 모가 지고 날개는 없다.
뿌리 : 뿌리는 튼튼하고 괴근성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산제비란: 높이 20-40cm 잎은 긴 타원형 꽃은 연한 녹색 수상화서를 이루고 가운데 꽃받침은 길이 4-5mm 옆꽃받침은 6-8mm이다.
특징 : 북반구 온대 지방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6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장대
학명 : Arabidopsis thaliana (L.) Heyn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애기장대속(Arabidopsis) target=_blank>애기장대속(Arabidopsis)</a>
잎 : 근생엽은 도피침형이고 총생하여 옆으로 퍼지고 길이 2~4cm 폭 3-15m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2개로 갈라진 털이 있으며 경생엽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드문드문 달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의 십자화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서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길이 2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3-3.5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과로서 비스듬히 퍼지거나 곧추서며 길이 15-20mm 지름 0.5mm이고 소화경은 열매일 때는 길이 6-8mm이다. 종자는 타원형이며 길이 0.5mm이고 가장자리가 둔하다.
줄기 : 높이 15-35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분포 : 경기도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특징 :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