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
|---|---|
| 과명 | 벼과(Gramineae) |
| 속명 | 개밀속(Agropyron) |
| 이명 | 털개밀 |
| 잎 | 잎은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15-25cm 폭 4-10mm로서 앞뒷면에 털이 없으며 변두리는 껄껄하다. 엽초는 변두리에 털이 다소 있다. 엽설은 막질로서 길이 1mm이이며 절두로서 갈색이고 털이 없다. |
|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10-2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다. 소수(小穗)는 곧게 서며 5-8개의 소화로 되고 대가 거의 없으며 길이 10-15mm이다. 소수축은 짧은 털이 복생한다. 포영은 긴 타원형이고 5-7맥이 있으며 길이 5-8mm로서 길이가 같지 않다. 호영은 길이 9mm로서 포영보다 길고 간혹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잔점과 5맥이 있고 끝에 길이 10-16mm의 까락이 있어 약간 젖혀지지만 마르면 뒤로 굽는다. 내영은 |
| 줄기 | 높이 30-90cm이며 곧게 서고 단생 또는 총생하며 털이 없다. |
|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
| 형태 | 2년초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Pl. David. 1 : 341 (1884)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속털개밀
학명 :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밀속(Agropyron) target=_blank>개밀속(Agropyron)</a>
이명 : 털개밀
잎 : 잎은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15-25cm 폭 4-10mm로서 앞뒷면에 털이 없으며 변두리는 껄껄하다. 엽초는 변두리에 털이 다소 있다. 엽설은 막질로서 길이 1mm이이며 절두로서 갈색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10-2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다. 소수(小穗)는 곧게 서며 5-8개의 소화로 되고 대가 거의 없으며 길이 10-15mm이다. 소수축은 짧은 털이 복생한다. 포영은 긴 타원형이고 5-7맥이 있으며 길이 5-8mm로서 길이가 같지 않다. 호영은 길이 9mm로서 포영보다 길고 간혹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잔점과 5맥이 있고 끝에 길이 10-16mm의 까락이 있어 약간 젖혀지지만 마르면 뒤로 굽는다. 내영은
줄기 : 높이 30-90cm이며 곧게 서고 단생 또는 총생하며 털이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2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속속이풀
학명 : Rorippa palustris (Leyss.) Bess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갓냉이속(Rorippa) target=_blank>개갓냉이속(Rorippa)</a>
이명 : 속속냉이
잎 : 근생엽은 뭉쳐나 로제트형으로 되고 길이 7-15cm 폭 15-30mm로서 깊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과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6-17cm이다. 꼭대기열편이 가장 크며 난형이고 옆열편은 아래로 점차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이저로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고 톱니가 있으며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지름 5mm가량의 십자화가 총상으로 달리고 화서는 길이 5-1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5-7mm로서 옆으로 퍼지거나 밑으로 약간 젖혀진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다. 꽃잎도 4개이며 주걱모양으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황색이며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단각과는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원주형으로서 길이 4-6mm 폭 2-2.5mm이고 6-7월에 익는다. 소과경은 열매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암술대가 매우 짧다. 종자는 길이 0.5mm가량이고 난형이며 담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많이 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의 난대와 온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특징 : 열매가 개갓냉이나 좀개갓냉이에 비해 보다 짧고 통통하다.
-
Read MoreNo Image
속새
학명 : Equisetum hyemal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속새과(Equisetaceae) target=_blank>속새과(Equis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새속(Equisetum) target=_blank>속새속(Equisetum)</a>
잎 : 퇴화된 비늘같은 잎은 서로 붙어 마디부분을 완전히 둘러싸서 엽초로 되며 끝이 톱니모양이고 각 능선과 교대로 달린다. 엽초 밑부분과 톱니에 갈색 또는 검은빛이 돌며 톱니는 막질로서 길이 3-6mm이고 윗부분이 떨어지며 엽초는 길이 4-8mm이다.
꽃 : 포자 번식하므로 꽃이 피지 않음.
열매 : 포자낭수는 길이 6-10mm로서 원줄기 끝에 곧추 달리고 원추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처음에는 녹갈색이지만 황색으로 변한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지하경에서 여러줄기가 나와 총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짙은 녹색이며 가지가 없고 뚜렷한 마디와 마디사이에는 10-18개의 능선이 있다. 원줄기의 능선에는 규산염이 축적되어 딱딱하기 때문에 나무를 가는 데 사용했으며 목적(木賊)이란 이름이 생겼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지면 가까운 곳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나온다.
분포 : 제주도와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개속새(E. ramosissimum Desf.) ▶물속새(E. limosum L.) ▶능수쇠뜨기(E. sulvaticum L.) ▶개쇠뜨기(E. palustre L.) ▶쇠뜨기(E. arvense L.)
특징 : "상록성 다년초인 양치식물로 속명에서 Equisetum은 라틴어의 ""equus(말)""와 ""saeta(꼬리)""의 합성어이다. 마디에 층층이 돋은 잔가지를 말꼬리로 비유하였다."
-
Read MoreNo Image
속리싸리
학명 : Lespedeza tetralob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싸리속(Lespedeza) target=_blank>싸리속(Lespedeza)</a>
잎 : 잎은 3출엽으로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밑은 뭉뚝하고 끝은 둥글거나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며 톱니는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단생 또는 복생하고 짙은 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서 거의 털이 있다.
분포 : 충북 속리산의 산기슭에 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풀싸리에 비해 줄기는 겨울철에 말라죽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속리기린초
학명 : Sedum zokuri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바위기린초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긴 타원상 도란형 또는 주걱형이고 밑으로 내려가면서 작아져서 비늘같은 잎으로 되며 끝이 둔하고 잎 상반부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엽병은 길이 2-3mm이다.
꽃 : 꽃은 황색이고 화서는 줄기 끝에 달리며 1~6개의 꽃이 피고 큰 것은 지름 10mm 정도로서 화경(花梗)이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mm 폭0.5-0.7mm로서 녹색이다. 꽃잎은 황색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꽃밥은 둥글며 심피는 3-5개가 곧추서고 암술대는 길이 1.5-1.7mm이며 암술머리는 점상(點狀)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3~5개이며 길이 2mm정도이고 퍼진다.
줄기 : 줄기는 근경에서 총생하고 원줄기는 높이 10-18cm로서 털은 없으며 녹색이고 밑부분이 적자색이다.
뿌리 : 근경은 선단이 목질화되고 굵으며 길이 8-20mm로서 선단에 원줄기가 총생한다.
분포 : 충북 속리산 군자산 전남 추자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 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
Read MoreNo Image
속단
학명 : Phlomis umbrosa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단속(Phlomis) target=_blank>속단속(Phlomis)</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나비 10c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갈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윤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여 전체가 큰 원추화서로 되며 각 소화서는 엽액에서 대생하고 다시 분지 위에서 소화경이 대생하여 각각 4-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8mm정도이고 열편은 털 같은 돌기로 되며 잔털이 약간 있고 화관은 순형이며 길이 1.8cm정도이고 상순은 모자형으로서 겉에 우단같은 털이 밀생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 있다. 소포는 길이 7-10mm로서 선형이며 짧은
열매 : 수과로서 광란형으로 꽃받침으로 싸여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며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 뿌리에 비대한 괴근이 4-5개 정도 달린다. 뿌리를 속단(續斷)이라 한다.
분포 : 한국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속단(P. koraiensis)
-
Read MoreNo Image
소태나무
학명 :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태나무과(Simaroubaceae) target=_blank>소태나무과(Simaroub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태나무속(Picrasma) target=_blank>소태나무속(Picrasma)</a>
이명 : 쇠태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5개이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의저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4-10cm 폭 1.5-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 맥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잎은 가을에 황색으로 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새가지의 엽액에서 5-6월에 피며 지름 4-7㎜로서 녹색이 돌고 지름 8-15cm의 취산화서에 달린다. 4-5개의 꽃잎과 수술이 있으며 합생하는 암술대가 갈라진 자방 밑에 달리고 암술머리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며 9월경에 적색으로 성숙하는데 3-4개가 모여서 나고 지름은 6-7mm쯤이며 숙존(宿存)악이 있다.
줄기 : 줄기가 직립하고 가지가 층을 형성하여 수평을 이루며 수피는 적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쓰며 황색 피목이 있다. 어릴때에는 가는 털이 있으며 겨울눈에는 인편이 없고 홍갈색의 가는 털이 많이 나 있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인도 히말라야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지의 표고 100-1 100m의 양지에서 드물게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밑에 흰색 또는 노란색의 얼룩이 들어 있는 변종이 있다.
특징 : ▶천연기념물 제174호(경상북도 안동 송사동)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2 479㎡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20m ⓓ뿌리목둘레:4.65m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물건 방조 어부림은 천연기념물 제150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23 438㎡이고 지정사유는 방풍림의 역사적인 유물이다. 이 어부림을 구성하는 수종에는 팽나무 푸조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 말채나무 느티나무 소태나무 초피나무 갈매나무 윤노리나무 쥐똥나무 생강나무
-
Read MoreNo Image
소철
학명 : Cycas revolut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철과(Cycadaceae) target=_blank>소철과(Cyca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철속(Cycas) target=_blank>소철속(Cycas)</a>
잎 : 잎은 1회우상복엽이고 우편은 호생하며 선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며 길이 8-20cm 폭 5-8c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자화수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0~60cm 폭 10~13cm로서 많은 실편으로 된 구과형이며 인편 뒤쪽에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원줄기에 가까운 양쪽에 3-5개의 배주가 달리며 윗부분에서 황갈색의 털같은 것이 밀생한다. 자생지에서 6~7월에 개화한다.
열매 : 종자는 길이 4cm정도로 편평하고 외종피는 적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익은 종자 말린 것을 무루자(無漏子)라고 한다.
줄기 : 가지가 없고 줄기가 하나로 자라거나 밑부분에서 작은 것이 돋으며 높이 1-4m이고 원주형으로서 엽흔이 겉을 둘러싸며 끝에서 많은 잎이 윤상으로 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남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뜰에서도 자라지만 기타 지역에서는 온실이나 집안에서 재배한다.
형태 : 상록성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유사종 : ▶대만소철(C. taiwaniana): 열편 가장자리가 말리지 않는다. ▶운남소철(C. siamensis): 줄기가 왜소하고 기부가 팽창되어 있다.
-
Read MoreNo Image
소영도리나무
학명 : Weigela praecox (Lemoine) L.H.Bail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5~12cm 나비 2~3cm로서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0-2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1-3개씩 액생하며 꽃받침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가 설 다르게 유합되며 길이 7-10mm로서 털이 있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중앙 이상이 갑자기 넓어지며 길이 3-4cm로서 겉에 털이 있고 5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털이 있을 때도 있으나 밑부분에는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3-18mm로서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 황해도 및 북부지방의 표고 100~1 900m에서 자라며 지리적으로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산소영도리나무(W. praecox L. H. Bailey var. pilosa Nakai):꽃받침통과 자방에 털이 없고 잎 뒷면 맥 위에만 잔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소엽풀
학명 : 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와말속(Limnophila) target=_blank>구와말속(Limnophila)</a>
이명 : 소향풀 참소엽풀
잎 : 잎은 대생하거나 밑부분에서 3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cm 폭 3~7(10)mm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낮은 톱니가 있다.
꽃 : 9~10월에 개화하며 황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7~15mm이고 꽃받침 밑에 소포가 잇다. 꽃받침은 길이 5~7mm로서 5개로 중열되며 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길이 10mm 정도로서 다소 황백색이 돌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짧다.
열매 : 삭과는 넓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은며 종자는 뒷면에 2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0.3mm 정도로서 흑색이고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20-25cm이고 털이 없으며 입상 돌기모 입상(粒狀) 돌기모(突起毛)가 있고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전체에 소엽같은 향기가 있기 때문에 소엽풀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소엽맥문동
학명 : Ophiopogon japonicus (L.f.) KerGaw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맥문아재비속(Ophiopogon) target=_blank>맥문아재비속(Ophiopogon)</a>
이명 : 겨우사리맥문동 긴잎맥문동 좁은맥문동
잎 : 잎은 밑부분에서 총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10-30cm 폭 2-4mm로서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길이 4-5m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7-12cm 폭 1-1.5mm로서 편평하며 예리한 능선이 있다. 총상화서는 길이 1-3cm로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6mm로서 중앙 또는 꽃밑에 관절이 있다. 꽃잎과 수술은 각 6개이며 자방은 중위로서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장과이며 노출된 열매는 짙은 하늘색이고 둥글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 끝이 땅콩처럼 굵어지는 것도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맥문아재비(O. jaburan (Kunth) Lodd.)을 비롯하여 속은 다르나 맥문동 및 개맥문동(Liriope spocata Lour.)이 있다.
특징 : "보통의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에 비해 잎이 특히 작고 가늘게 생겼기 때문에 ""소엽""맥문동이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소엽
학명 :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들깨속(Perilla) target=_blank>들깨속(Perilla)</a>
이명 : 차조기차즈기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광란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 특히 긴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윗쪽 것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아래쪽 것은 2개로 갈라지며 통부의 내외부에 털이 있다. 화관은 짧은 통상 순형이고 하순이 상순보다 약간 길며 2강수술이 있고 포는 소형이다.
열매 : 분과는 꽃받침 안에 들어 있으며 지름 1.5mm로서 둥글다.
줄기 : 높이 20-80cm이고 둔한 사각이 지며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전체적으로 자색을 띤다.
-
Read MoreNo Image
소사나무
학명 : Carpinus turczaninowii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서어나무속(Carpinus) target=_blank>서어나무속(Carpinus)</a>
이명 : 거문소사나무 산서나무 산서어나무 서나무 섬소사나무 왕소사나무 큰잎소사나무
잎 : 잎은 난형이고 길이 2~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겹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많고 측맥은 10~12쌍이다. 소지와 엽병에 털이 많고 탁엽은 선형이다.
꽃 : 꽃은 자웅일가로 수꽃이삭은 밀화 암꽃이삭은 소화이며 5월에 핀다.
열매 : 과실은 견과로 난형이고 과포는 2~5개이며 10월에 성숙한다.
분포 : 전남 충남 경기 황해 강원
형태 :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특징 : 내한성이 강하여 내륙지방에서 월동이 잘되고 양지에서 생장.
-
Read MoreNo Image
소리쟁이
학명 : Rumex crisp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리쟁이속(Rumex) target=_blank>소리쟁이속(Rumex)</a>
이명 : 긴소루쟁이 송구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에 가깝고 길이 13-30cm 폭 4-6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긴 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주름살이 있다.
꽃 : 엷은 녹색의 원추화서로 6-7월에 피며 길고 크며 다수의 녹색 잔꽃이 윤생한다. 화피열편과 수술은 각 6개이고 화주는 3개이며 암술머리가 털처럼 잘게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3릉형(三稜形)이며 3개의 숙존악에 싸여 있고 날개는 난형 또는 심장형이며 거의 톱니가 없고 길이 5mm 가량이며 단단하다. 사마귀같은 혹은 길이 1.5-2mm이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녹색 바탕에 흔히 자줏빛이 돈다.
뿌리 : 뿌리가 비대해진다.
분포 : ▶세계적으로 북미 북아프리카 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참소리쟁이(R. japonicus Houttuyn) ▶수영(R. acetosa): 땅속줄기는 약간 크고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긴 창모양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토대황(R. aquaticus): 잎은 긴 타원상 난형 긴 삼각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호대황(R. gmelini): 잎 뒷면 맥에 흰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어 거칠며 잎자루는 길다.
특징 : 소리쟁이는 `동의보감`에 패독채라고 올라있는데 민간약으로 긴히 쓰이는 약초이기도 하다.
-
Read MoreNo Image
소래풀
학명 : Orychophragmus violaceus (L.) O.E.Schul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래풀속(Orychophragmus) target=_blank>소래풀속(Orychophragmus)</a>
이명 : 제비냉이
잎 : 줄기와 잎은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더부룩하게 무더기로 나며 잎은 깃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깊이 갈라져 있다.
꽃 : 꽃은 봄에 푸른빛을 띤 자주색으로 줄기 끝에 모여 피는데 꽃 지름은 3cm이고 꽃잎은 네 장이다.
형태 : 일년초 또는 이년초이다.
유사종 :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은 제갈채이다.
-
Read MoreNo Image
소란
학명 : Cymbidium ensifolium (L.) Sw.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보춘화속(Cymbidium) target=_blank>보춘화속(Cymbidium)</a>
잎 : 잎은 진한 녹색으로 길이 20~32cm 폭 0.8~1.1cm이며 선형으로 예두 예저이다. 잎의 중앙맥은 뚜렷하고 이면으로 돌출하며 잎의 표면에는 광택이 없고 엽연은 잎의 선단부에만 약간의 거치가 있을 뿐 전체적으로 평활하다. 포엽은 막질 선형이고 예첨두이며 중앙과 양옆에 자주색 줄이 있고 전체적으로 자주색 반점이 있어 약간 붉은 색을 띄며 기부에는 자주색 둥근 띠가 있다.
꽃 : 꽃은 길이 약 30cm의 화경에 4개 내외가 달린다. 꽃받침은 3장으로 육질이며 폭 6~7mm 길이 2.8~3.0cm로 자주색의 5맥이 뚜렷하며 타원형으로 급첨두이고 부관은 아래로 약간 쳐진다. 꽃잎중 2장의 측화판은 도란상긴타원형이며 육질이고 길이 2.5~2.8cm 폭 7mm로 5맥이 있는데 중앙맥은 측맥에 비해 아주 뚜렷하고 진하며 기부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순판은 반 정도가 뒤로 말려 있는 혀 모양으로 급첨두이며 길이는 1.9~2.0cm
뿌리 : 뿌리는 직경 3~5mm의 원통형으로 굵고 매끈하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형태 : 자생란으로 잎이 속생한다.
-
Read MoreNo Image
소나무
학명 :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나무속(Pinus) target=_blank>소나무속(Pinus)</a>
이명 : 솔나무여송육송적송
잎 : 잎은 침엽으로 2개가 속생하고 비틀리며 길이 8-9(14)cm 폭 1.5mm 여름에는 진록색 겨울에는 연두색으로 되며 밑부분에 아린이 있고 2년 후 낙엽된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웅화수는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갈색으로 길이 1cm이며 자화수는 새가지 끝에 2-3개가 윤생하여 달리고 난형으로서 길이 6mm이다.
열매 : 구과는 난형이며 이를 솔방울이라 한다. 길이 4.5cm 직경 3cm로 황갈색이고 실편은 70-100개이다. 종자는 타원형이며 날개가 있고 길이 5-6mm 폭 3mm로서 각 실편에 2개씩 있는데 흑갈색이고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흔히 흑갈색 줄이 있다. 구과는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35m 지름 1.8m이며 가지가 퍼지고 윗부분의 수피는 적갈색이며 노목의 수피는 흑갈색이고 거칠며 두껍다. 동아는 적갈색이다.
뿌리 : 심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중국(온대기후지역)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 300m이하에서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 교목 수형:원추형 원정형
유사종 : ※변종과 품종 ▶반송 (for.muliticaulis UYEKI) : 밑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금강송(forma erecta UYEKI): 태백산 일대에 곧게 자라고 있는 소나무를 Pinus densiflora S. et Z. for. erecta Uyeki로 분류하였는데 이를 금강소나무라 부른다. 우리는 현재 이것을 강송이라 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가 곧고 측지가 짧아서 수관이 좋다. 주로 눈이 많이 내리는 태백산맥계에 난다. 즉
특징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수종이다. *제103호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지정사유:노거수 ⓒ높이:15m(조선시대 피부병으로 명산을 찾아다니던 세조가 법주사로 행차를 할때 가마가 이 소나무의 아랫가지에 걸릴까 염려하여 """"연이 걸린다""""라고 하자 이 소나무는 스스로 쳐들어 왕의 가마가 무사히 지나가게 해 주었다. 이로써 `연걸이소나무`라는 별명도 없게 되었으며 또한 이를 기특하게 여긴 세조가 정2품송의 벼슬을 내려 [정2품송]이라는 이름도 얻게 되었다"
-
Read MoreNo Image
소귀나물
학명 : Sagittaria sagittifola subsp. leucopetala var. edulis (Schltr.) Rataj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택사과(Alismataceae) target=_blank>택사과(Alisma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보풀속(Sagittaria) target=_blank>보풀속(Sagittaria)</a>
이명 : 속고나물 쇠귀나물 자고
잎 : 잎은 한군데에서 총생하고 길이 50-70cm의 엽병이 있으며 밑부분은 큰 화살모양이고 윗부분은 넓은 난형이며 하부열편이 좁고 길며 뾰족하고 다소 벌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자라 꽃이 층층으로 달린다. 꽃은 백색으로 단성화이고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정생한다. 암꽃은 화서 밑부분에 달리며 수꽃은 윗부분에 달리고 꽃받침잎과 꽃받침은 각 3개이며 암술과 수술이 많다.
열매 : 열매는 둥글게 모여 달리고 연한 녹색으로서 편평하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밑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굵은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끝에 굵은 남색의 괴경이 달리고 인편에 둘러싸여 있으며 끝에서 눈이 나온다. 근경을 택사라고 한다.
분포 : 서울 근교(동구능) 및 영천 수원 인천 등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올미(S. pygmaea Miquel) ▶벗풀
특징 : 벗풀과 비슷하지만 식물체와 괴경이 보다 크고 잎 윗부분이 넓은 난형인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소귀나무
학명 : Myrica rubra (Lour.)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귀나무과(Myricaceae) target=_blank>소귀나무과(My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귀나무속(Myrica) target=_blank>소귀나무속(Myrica)</a>
이명 : 속나무
잎 : 잎은 호생 또는 윤생하고 엽병이 없다. 잎은 혁질이고 광택이 있으며 긴 타원상 도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좁은 예저이고 길이 5-1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상반부에 톱이가 있으며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녹색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화피가 없으며 자색이고 4~5월에 피는 암수딴그루이다. 웅화수는 길이 3-4cm로서 각 3-4개의 수술이 있는 많은 소포로 구성되어 포엽에 들어 있다. 자화수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1.2cm로서 각 포에 1개의 암술이 들어 있다. 자방은 1실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지름 1-2cm이며 익으면 암적색으로 되고 사마귀같은 돌기로 덮여 있으며 6~7월에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며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청갈색 반점이 있으며 소지에 털이 약간 있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발달되어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남부 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지아 대만 등의 동남아시아 지방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한라산 산록(표고 3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수형:타원형.
특징 : 잎을 비비면 독특한 냄새가 나는 특징을 지닌다.
-
Read MoreNo Image
소경불알
학명 :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더덕속(Codonopsis) target=_blank>더덕속(Codonopsis)</a>
이명 : 만삼아재비 소경불알더덕 알더덕알만삼
잎 : 잎은 호생하나 측지에서는 4개의 잎이 대생한 것 같이 보이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짧은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2~4.5cm 너비 1.2~2.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백색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잎(열편)은 길이 1-1.5cm 나비 4-6mm로서 녹색이다. 꽃부리(화관)은 종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약간 뒤로 말리고 길이 2-2.5cm로서 안쪽은 짙은 자주색이며 겉은 윗부분이 더욱 짙은 자주색이고 밑부분은 연한색이다.
열매 : 열매는삭과이고 10~11월경에 원추형으로 맺는다.
줄기 : 덩굴
뿌리 : 뿌리는 둥굴거나 더덕 비슷하지만 전체에 털이 있고 괴근 끝이 가늘어지지 않아 둥근 모양이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일본,중국,아무르,우수리
형태 : 덩굴성의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같은 Codonopopsis속 식물로 우리 나라에서는 만삼(C. pilosula)은 해발 1 000m 정도의 능선 밑이나 사면에 주로 서식하는데 뿌리가 가늘고 길어 깊게 자란다.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특징 : 얼핏보기에 만삼같지만 뿌리가 길지 않다. 산지의 낮은 곳 습지에서 자라는 소경불알은 뿌리가 길어지지 않고 둥글게 자란다. 즉 토양을 비롯한 환경조건에 적응하면서 지하부의 형태가 적절히 진화했다고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