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itrus junos Siebold ex Tanaka |
|---|---|
| 과명 | 운향과(Rutaceae) |
| 속명 | 귤속(Citrus) |
| 이명 | 산유자나무 유자 |
|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6-9㎝로서 긴 난상 타원형으로 긴 점첨두 둔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
| 꽃 | 꽃은 백색으로 엽액에 1개씩 달리고 때로는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5-6월에 개화한다. 20개 정도의 수술은 5체 또는 밑부분에서 통상으로 합쳐지며 환상의 화반이 있다. |
|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고 외피는 울퉁불퉁하며 지름 4-7cm로 향기가 있고 외피와 신맛이 강한 내부가 잘 떨어지지 않으며 중심부가 비어 있고 10-11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
| 줄기 | 높이가 4m에 달하며 가지에 길고 뾰족한 가시가 있다. |
| 분포 | 전남 등 남부 지방에 식재. |
|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
| 특징 | 본(本) 속(屬)중에서 가장 추위에 강하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iebold Sens. Tor. Hy. akun. Kin. Ronbunshu 65 (1924) |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TAG •
-
Read MoreNo Image
누운괴불이끼
학명 : Crepidomanes birmanicum (Bedd.) K.Iwat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 target=_blank>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괴불이끼속(Crepidomanes) target=_blank>괴불이끼속(Crepidomanes)</a>
이명 : 좀난장이이끼좀난쟁이이끼털담쟁이이끼
잎 : 잎은 드문드문 나며 엽병에 중축과 더불어 좁은 날개가 있다. 엽신은 엽병보다 길고 길이 10-20cm로서 난상 피침형이며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황록색을 띠지만 마르면 녹색에서 흑록색으로 된다. 우편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소우편도 호생한다. 열편은 선상 긴타원형으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끝에 달리고 포막은 원통형이며 끝이 약간 퍼지고 밑부분이 잎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날개 같이 된다.포자낭탁은 길게 자라며 통부보다 3배 정도 길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뻗으며 흑갈색 잔털로 덮여 있다.
분포 : 제주도·진도·홍도·속리산·설악산 및 금강산 계곡의 그늘지고 습한 바위 겉이나 고목 밑동에 붙어 자라는 상록초본. 일본 대만 중국남부까지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상록초본
-
Read MoreNo Image
녹화죽백란
학명 : Cymbidium lancifolium var. aspidistrifolium (Fukuy.) S.S.Y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보춘화속(Cymbidium) target=_blank>보춘화속(Cymbidium)</a>
잎 :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혁질이며 끝이 뾰족하고 긴 엽병이 있다. 잎의 길이(엽병 포함)는 20-30cm 폭 2-3cm로서 잎 끝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수장의 초상엽이 호생한다.
꽃 : 담록색 꽃이 핀다. 화경(花莖)은 10-15cm정도로서 수장의 초생엽이 호생한다. 꽃은 2-4송이식 달이고 담녹색이며 포는 막질이고 가는 피침형이며 길이 8-15mm이다. 꽃받침은 가는 피침형이고 길이 20-25mm 폭 2.5-3mm이다. 곁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폭이 넓으며 끝이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얕게 3갈래이다. 가운데 꽃잎은 삼각형이고 흰색이며 내면에 수 개의 큰 자갈색 반점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13mm가량이고 약간 굽으며 꽃밥은 둥글고 화분괴는 삼각상 구형으로 2개이다.
줄기 : 위구경(僞球莖)은 염주 모양으로 늘어서고 수직의 비늘잎과 1-3장의 잎이 난다.
분포 : 제주도
유사종 : ▶죽백란(C. lancifolium Hook.): 잎끝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꽃은 2-4송이씩 달리고 연녹색이다.
특징 : 잎의 모양이 대나무 잎과 비슷하기 때문에 죽백란이라 하며 죽백란과 비슷하나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세계에 약 70종 우리 나라에는 4종이 분포한다. 나무 또는 땅 위에 나는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노랑할미꽃
학명 : Pulsatilla koreana f. flava (Y.N.Lee)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할미꽃속(Pulsatilla) target=_blank>할미꽃속(Pulsatilla)</a>
-
Read MoreNo Image
넓은잎개갈퀴
학명 : Asperula maximowixzii f. latifolia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갈퀴속(Asperula) target=_blank>개갈퀴속(Asperula)</a>
이명 : 큰갈퀴아재비
-
Read MoreNo Image
넓은고로실나무
학명 : Acer pseudosieboldianum var. ambigu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이명 : 넓은당단풍
-
Read MoreNo Image
남방고사리
학명 : Ctenitis sinii (Ching)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남방고사리속(Ctenitis) target=_blank>남방고사리속(Ctenitis)</a>
-
Read MoreNo Image
남도현호색
학명 : 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
Read MoreNo Image
남구절초
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M.Lee & H.J.Cho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국속(Dendranthema) target=_blank>산국속(Dendranthema)</a>
-
Read MoreNo Image
나도황기
학명 : Hedysarum vicioides var. japonicum (Fedtsch.) B.H.Choi & Ohash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묏황기속(Hedysarum) target=_blank>묏황기속(Hedysarum)</a>
이명 : 그물나도황기두메황기
-
Read MoreNo Image
나도좀진고사리
학명 : Deparia pseudoconilii (Serizawa) Seriz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target=_blank>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고사리속(Deparia) target=_blank>진고사리속(Deparia)</a>
-
Read MoreNo Image
유홍초
학명 :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메꽃과(Convolvulaceae) target=_blank>메꽃과(Convolv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유홍초속(Quamoclit) target=_blank>유홍초속(Quamoclit)</a>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통부보다 길고 끝이 돌기처럼 뾰족해지며 녹색이고 화관통은 길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거의 수평으로 퍼지고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대가 꽃밖으로 나온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서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종자는 선형이고 길다.
줄기 :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덩굴성 1년초.
유사종 : ▶둥근잎유홍초(Q. angulata): 유홍초보다 잎이 갈라지지 않기 때문에 둥근잎유홍초라고 한다.
특징 :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유카
학명 : Yucca glorios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설란과(Agavaceae) target=_blank>용설란과(Agav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유카속(Yucca) target=_blank>유카속(Yucca)</a>
이명 : 실잎나무 육까
꽃 : 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피는데 높이 1m 안팎의 꽃줄기에 많이 달린다. 포는 어긋나고 꽃은 지름 5∼8cm로서 밑을 향하여 반쯤 벌어진다. 화피는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6개이며 두껍다. 수술 6개 암술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대개 맺지 못하지만 간혹 달리는데 모양은 긴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하나이거나 몇 개로 갈라진다. 잎이 밑동에서 모여 나며 줄 모양 바소꼴이고 사방으로 퍼진다. 빛깔은 청록색이고 딱딱하며 뒤로 처지며 끝이 뾰족하다. 길이 70∼100cm 나비 3∼7cm이다.
분포 : 한국(남쪽지방)
-
Read MoreNo Image
유채
학명 : Brassica nap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추속(Brassica) target=_blank>배추속(Brassica)</a>
이명 : 호무 호무우
잎 : 잎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진다. 끝이 둔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엽병에 자줏빛이 도는 것도 있다.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둘러싸고 넓은 피침형이며 잎자루가 없고 끝은 가늘고 갈라지지 않는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
꽃 : 꽃은 3∼4월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가지 끝에 달린다. 약 10cm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은 끝이 둥근 도난형이고 ?이 10mm이며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의 배같고 4개로 갈라지며 길이 6mm이다. 성숙한 이삭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 35∼45cm이고 한 이삭에 30∼40개의 열매가 달린다.
열매 : 열매는 각과로서 길이 8cm 가량의 원통 모양이다.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지며 보통 20개 가량의 짙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끝에 긴 부리가 있고 원주형이며 익으면 흑갈색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곁가지가 나온다.
분포 : 한국(제주와 남부지방) 일본 중국 등지
-
Read MoreNo Image
유전마름
학명 : Trapa bicornis var. koreanus Y.H.Chung & K.H.Cho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름과(Trapaceae) target=_blank>마름과(Trap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름속(Trapa) target=_blank>마름속(Trapa)</a>
열매 : 열매의 높이 2∼2.7cm 너비 4.3∼5.6cm이다.
형태 : 일년생 부엽식물이다.
특징 : 악통의 높이는 0.4∼0.8m 뿔의 두께는 1∼1.3cm 길이는 1.7∼2.5cm 축과의 각도는 85∼110°이다.
-
Read MoreNo Image
유자나무
학명 : Citrus junos Siebold ex Tanak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귤속(Citrus) target=_blank>귤속(Citrus)</a>
이명 : 산유자나무 유자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6-9㎝로서 긴 난상 타원형으로 긴 점첨두 둔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백색으로 엽액에 1개씩 달리고 때로는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5-6월에 개화한다. 20개 정도의 수술은 5체 또는 밑부분에서 통상으로 합쳐지며 환상의 화반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고 외피는 울퉁불퉁하며 지름 4-7cm로 향기가 있고 외피와 신맛이 강한 내부가 잘 떨어지지 않으며 중심부가 비어 있고 10-11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4m에 달하며 가지에 길고 뾰족한 가시가 있다.
분포 : 전남 등 남부 지방에 식재.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특징 : 본(本) 속(屬)중에서 가장 추위에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유성사초
학명 : Carex korshinskyi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양지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1-2mm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갈적색 그물처럼 갈라짐.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30㎝이다. 소수는 2-3개로서 대가 없고 서로 인접해 있으나 첫째 소수만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정소수는 수꽃으로 되며 길이 15-20mm로서 곤봉상 선형이고 측소수는 암꽃으로 되며 길이 6-10mm로서 난형. 포는 비늘같고 연한 갈자색이며 끝이 짧은 까락으로 되고 자화영은 난형이며 적갈색으로 과포를 감싸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넓게 흰빛이 도는 막질이다. 암술대는 짧으며 굽고 밑부분이 굵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비스듬히 퍼지고 혁질이며 황색 윤채가 있고 평활하며 길이 4mm정도로 도란형이고 2개의 능선과 약간의 맥이 있으며 부풀은 삼각형으로 갑자기 좁아져 짧은 부리로 되고 부리끝은 백색 막질이며 중앙부가 파진다. 수과는 길이 2mm정도로 둔하게 세모진 타원형이다.
뿌리 : 근경이 길게 뻗으면서 화경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유명난초
학명 : Liparis fujisanensis F.Mae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리난초속(Liparis) target=_blank>나리난초속(Liparis)</a>
꽃 : 꽃이 보통 진한 자줏빛을 띤다.
특징 : 유명난초는 아직까지 학계에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옥잠난초속 식물로써 최근 유명산 제주도 등지에서 보고된 바 있다. 지리산에서는 1999년에 노고단 부근에서 발견하였다. 그 동안 일본의 후지산 등지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
Read More
유령란
학명 : Epipogium aphyllum (F.W.Schmidt) Sw.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유령란속(Epipogium) target=_blank>유령란속(Epipogium)</a>
이명 : 개난초 위령란 유령난 육란 호설란
잎 : 초상엽은 막질이고 길이 6-10mm로서 맥이 없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2-8개의 연한 갈색 꽃이 드문드문 옆을 향해 달려 총상화서를 이루고 포는 좁은 난형이며 얇은 막질이고 길이 6-10mm로서 젖혀지며 맥이 희미하다. 꽃받침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5㎜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꽃잎은 ?峙似㎞?길이가 비슷하고 피침형이다. 순판과 거(距)는 위쪽에서 옆을 향하며 안쪽에 홍자색 반점과 4-6개의 도드라진 종선이 있고 3개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난형이며 작고 중앙열편은 다소 뒤쪽이 부풀며 가장자리가 잔
줄기 : 높이 7-20cm이고 육질이며 2-3개의 초상엽이 달린다.
뿌리 : 뿌리가 굵고 짧으며 산호처럼 갈라진다.
분포 : 북부 지역(부전고원에서부터 백두산지역까지)에서 자란다.
형태 : 균근 기생식물
특징 : 세계에 약 7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엽록소가 없는 부생란으로 꽃줄기는 단순하고 소수의 초상엽이 붙는다.
-
Read MoreNo Image
유럽큰고추풀
학명 : Gratiola officina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큰고추풀속(Gratiola) target=_blank>큰고추풀속(Gratiola)</a>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이며 잎자루는 없고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으로 길이 20-50㎜ 폭 3-8㎜로 3행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미세한 거치가 3-4개씩 있으며 혹은 밋밋한 것도 있다 .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의 위쪽 엽액에서 쌍을 지어 달린다. 꽃자루는 잎의 길이와 비슷하고 사상(絲狀)구조로 연약하다. 꽃받침은 5개의 열편으로 기부 근처 가까이 깊이 갈라지며 열편은 크기가 다르고 꽃자루와 함께 미세한 선모(腺毛)와 털이 혼생된다. 화관(花冠)은 나팔 모양이며 길이 10-18㎜로 흰 바탕에 적자색 줄무늬가 있고 표면에 미세한 털이 덮이고 끝이 4열되며 각 열편은 요두(凹頭)이고 위쪽의 열편 내부에는 긴 털이 밀생되며 2개의
열매 : 열매는 난형으로 2실(室)이며 길이 3-4㎜로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줄기 : 무모(無毛)로 줄기는 네모지며 곧게 자라고 높이 15-40㎝이며 중간부 위쪽의 엽액(葉腋)에서 가지 또는 꽃이 달린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북으로 폴란드 독일에 자라며 국내에서는 1999년 5월 22일 춘천 소양 제1교 아래 강가의 습지에서 밭뚝외풀과 미국외풀 등의 습지식물과 함께 혼생되는 큰 군락을 발견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국명은 같은속 식물로 큰고추나물이 자생되므로 `유럽큰고추나물`로 명명하였다. ▶자생식물인 큰고추풀(Gratiola japonica Miq.)에 비하여 `위쪽에서 가지를 치고 줄기가 4능(陵)이 뚜렷하며 잎에 거치가 있고 꽃자루가 잎의 길이와 비슷하게 길
-
Read MoreNo Image
유럽쥐손이
학명 : Erodium moschatum L'H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국화쥐손이풀속(Erodium) target=_blank>국화쥐손이풀속(Erodium)</a>
잎 :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며 2회 우상복엽이며 길이 20㎝가 되는 것도 있다. 3-6대의 소엽이 있고 소엽은 난형으로 중거치가 심열하고 양면에 조모가 산생한다. 탁엽은 백색의 막질이고 삼각상이다. 잎새 전체 모습이 도피침형이어서 꽃이나 열매가 없을 때는 장미과 식물인 ""개소스랑개비""와 비슷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의 마디에서 10-15㎝의 긴 꽃자루 끝에 6-12개의 꽃이 핀다. 1.5-2㎝의 작은 꽃자루가 있고 꽃받침 길이 5-9㎜ 끝에 짧은 봉상(棒狀)돌기가 있고 5맥이다. 조모가 밀생하고 꽃잎은 5개이고 담홍색이다. 수술은 5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2-4.5㎝이고 성숙하면 5분과된다. 분과는 길이 5㎜이고 한 방향으로 조모가 밀생한다. 끝쪽 홈에 선점(腺點)이 산생한다.
줄기 : 상처를 주면 향기가 난다. 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누우면서 직립하고 높이 20-50㎝ 조모(粗毛)가 산생한다.
분포 : 북미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용산가족공원에서 채집되었다. 서울과 수인산업도로변에 자라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국화쥐손이(E. stephanianum):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반관목모양을 하며 줄기는 직립하고 잎은 2-3회 우상으로 세열되며 열편이 선형이고 잎새 전체 모습이 3각형을 이루고 있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