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Tilia taquetii C.K.Schneid. |
|---|---|
| 과명 | 피나무과(Tiliaceae) |
| 속명 | 피나무속(Tilia) |
| 이명 | 뽕피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며 뽕나무잎과 비슷하고 난형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갑자기 길어진 첨두이며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5~11cm 너비 1-8㎝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맥액에 갈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45mm로서 털이 없거나 갈색 성모가 있다. 열매가 열리는 잎은 보통잎보다 작으며 길이 3-4㎝에 불과하다. |
| 꽃 | 화경은 길이 4-5c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없거나 갈색 성모가 있으며 3-5개의 꽃이 6월경에 취산화서로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연한 황색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뒷면에는 성모가 산생하며 길이 2-3cm이고 꽃받침잎은 끝에 성모가 있다. 자방은 둥글며 털이 있다. |
| 열매 | 열매는 견과로 긴 도란형이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10월에 익는다. |
| 줄기 | 높이 4-5m 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없거나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
|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지리산 팔공산 등지의 산지에 자란다.) |
|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
| 유사종 | ▶평안피나무(var. grosseserrata Nakai): 잎이 긴 점첨두로서 큰 톱니가 있다. ▶털피나무(T. rufa Nakai) ▶연밥피나무(T. koreana Nakai) |
| 특징 | 산공재로 연하고 가벼우며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내후 보존성은 낮고 접착 표면 마무리는 보통이며 절삭가공 건조 등이 용이하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7: 200 (1909)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
Read MoreNo Image
뾰족잎사철나무
학명 : Euonymus japonicus var. acutus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B0%95%EB%8D%A9%EA%B5%B4%EA%B3%BC(Celastraceae) target=_blank>노박덩굴과(Celast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화살나무속(Euonymus) target=_blank>화살나무속(Euonymus)</a>
특징 : 기본종인 사철나무에 비해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엽선은 예두이다.
-
Read MoreNo Image
뽕잎피나무
학명 : Tilia taquetii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피나무과(Tiliaceae) target=_blank>피나무과(T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나무속(Tilia) target=_blank>피나무속(Tilia)</a>
이명 : 뽕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뽕나무잎과 비슷하고 난형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갑자기 길어진 첨두이며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5~11cm 너비 1-8㎝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맥액에 갈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45mm로서 털이 없거나 갈색 성모가 있다. 열매가 열리는 잎은 보통잎보다 작으며 길이 3-4㎝에 불과하다.
꽃 : 화경은 길이 4-5c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없거나 갈색 성모가 있으며 3-5개의 꽃이 6월경에 취산화서로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연한 황색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뒷면에는 성모가 산생하며 길이 2-3cm이고 꽃받침잎은 끝에 성모가 있다. 자방은 둥글며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 긴 도란형이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4-5m 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없거나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지리산 팔공산 등지의 산지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평안피나무(var. grosseserrata Nakai): 잎이 긴 점첨두로서 큰 톱니가 있다. ▶털피나무(T. rufa Nakai) ▶연밥피나무(T. koreana Nakai)
특징 : 산공재로 연하고 가벼우며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내후 보존성은 낮고 접착 표면 마무리는 보통이며 절삭가공 건조 등이 용이하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뽕모시풀
학명 : Fatoua villosa (Thunb.)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뽕모시풀속(Fatoua) target=_blank>뽕모시풀속(Fatoua)</a>
이명 : 뽕잎풀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 3-9cm 나비2-5cm로서 털이 있고 양면이 거칠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다소 수평하고 엽병은 길이 1-6cm이다.
꽃 :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이고 9-10월에 피며 녹색이고 원줄기 또는 가지의 엽액에서 취산화서가 나와 많은 꽃이 달린다. 수꽃의 화피는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고 봉오리일 때는 안쪽으로 굽는다. 암꽃은 수꽃과 섞여 달리며 4개로 갈라진 화피와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대가 옆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암꽃과 수꽃이 둥근 덩어리모양으로 혼생한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며 지름 1mm정도로서 윗부분이 편평하고 앞뒤와 밑에 살이 붙고 다즙질이며 팽압(膨壓)에 의해 종자를 내보낸다. 열매가 모여 덩어리를 이룬다.
줄기 : 높이 30-80cm이며 녹색이지만 곧게 서고 잔털이 밀생하며 간혹 암자색이 돈다.
분포 : 제주도에서 경기도까지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뽕나무
학명 : Morus alb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뽕나무속(Morus) target=_blank>뽕나무속(Morus)</a>
이명 : 새뽕나무 오듸나무
잎 : 잎는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화서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암꽃 이삭은 길이 5-10mm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암꽃은 4개이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이2mm이며 자방은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액질(液質)이다. 과실이삭은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5cm로 6월에 검붉에 익는다. 산뽕나무에 비해 화주가 짧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뿌리 : 근피(根皮)를 상백피(桑白皮)라 한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100~1 100m 수평적으로 거의 전국에 식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유사종 : ▶처진뽕나무 (for. pendula Dippell) : 가지가 밑으로 처진다. ▶산뽕나무 꼬리뽕나무 섬뽕나무 가새뽕나무 몽고뽕나무 왕뽕나무 돌뽕나무 등이 있다.
특징 : 주두가 씨방보다 길다.
-
Read MoreNo Image
뽀리뱅이
학명 : Youngia japonica (L.)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뽀리뱅이속(Youngia) target=_blank>뽀리뱅이속(Youngia)</a>
이명 : 박조가리나물 박주가리나물 보리뱅이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도피침형이고 질이 연약하며 길이 8~25cm 폭 1.7~6cm로서 털이 있고 밑으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고 정열편은 삼각상 난형으로서 크며 측열편은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경생엽은 0-4개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길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8-12c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많은 꽃이 달려서 산방상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좁은 원주형이고 길이 4-5mm 지름 3-4mm로서 회록색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하는데 외포편은 길이 0.5mm이고 내포편은 8개로서 피침형 둔두이다. 화관은 황색이며 길이 5-8mm 지름 0.7-1.1mm이고 통부는 길이 2-3mm로서 윗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하며 길이 1.5-2mm로서 갈색이고 11-13개의 융기한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흰색이고 길이 3~3.2mm이다.
줄기 : 높이 15-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뻐꾹채
학명 : Rhaponticum uniflorum (L.)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뻐꾹채속(Rhaponticum) target=_blank>뻐꾹채속(Rhaponticum)</a>
이명 : 뻑국채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상 타원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15-50cm로서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진다. 열편은 6-8쌍으로서 서로 떨어져 있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6~9cm로서 원줄기 끝에 한 개씩 곧추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3cm 폭 5c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과 중편은 주걱형으로서 윗부분이 넓고 뒷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밑부분에 털이 많고 내편은 피침상 선형으로서 끝이 약간 넓다. 화관은 길이 3cm이며 통부의 좁은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짧고 홍자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5mm 직경 2mm이고 관모는 여러 줄이 있으며 길이는 2cm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지가 없고 곧게 자란다. 원줄기는 화경상(花莖狀)으로서 줄이 있다.
뿌리 : 땅속으로 굵은 뿌리가 깊게 뻗어 내려간다.
분포 : ▶한국 중국 소련 몽고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외관상 엉겅퀴와 비슷하나 가시가 없고 꽃이 크다.
특징 : `일명` 멍구지`라고도 하며 잎이 엉겅퀴 잎을 닮았으나 더 크고 전혀 가시가 없으며 잎의 앞·뒷면과 줄기 등 모두에 흰털이 뒤집어 씌우듯 나 있어서 쉽게 구별된다.
-
Read More
뻐꾹나리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뻐꾹나리속(Tricyrtis) target=_blank>뻐꾹나리속(Tricyrtis)</a>
잎 :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2~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줄기를 거의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하엽은 털이 없으나 중부 이상의 잎은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거친 털이 많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백색으로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하부에 황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고 줄기 끝과 상부 잎짬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내편은 좁은 피침형으로 평개하며 내편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외측에 선모가 있고 기부가 강하게 뒤로 말린다. 수술대에 털 같은 돌기가 있고 암술 3개로 기페 갈라지고 열편에 둥근 돌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약 3cm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비스듬히 하향하는 털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은 수직으로 들어가며 마디에 잔뿌리를 내고 때로 복지를 뻗는다.
분포 : 경기(광릉)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뺑쑥
학명 : Artemisia feddei H.Lev. & Vanio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뺑대쑥
잎 : 중앙부의 잎은 길이 3-7㎝ 나비 2.8-6.5㎝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2-3쌍이며 선형 둔두이고 표면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서는 밀생하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점차 작아지고 화서의 잎은 선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두화는 길이 2mm 지름 1㎜로서 긴 타원형이고 갈색이며 화경이 없고 총상 원추화서로 달린다. 총포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짧으며 넓은 난형이고 원두이며 중편은 거의 둥글고 내편은 타원형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1mm정도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흔히 자줏빛이 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빗살서덜취
학명 : Saussurea odontolepis Sch.Bip. ex Her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구와각시취 구와잎각시취 국화잎각시분취왕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엽병은 길이 9~12cm로서 날개가 없고 굽은 털이 약간 있으며 엽신은 난형이고 예두이며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7-12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6개 정도로서 넓은 선형이고 둔두이며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톱니가 있다.
꽃 : 두화는 지름 10-13mm로서 줄기 끝이나 상부의 엽액에서 조밀하게 산방화서를 이루어 9~10월에 핀다. 화경에 능선이 있으며 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다. 총포는 길이 11-12mm 나비 4-6mm로서 자줏빛이 돌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5줄로 배열되고 뒷면에 선점이 약간 있으며 외편이 중편보다 짧고 중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진다. 통상화는 자주색이며 길이 10~1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4.5mm 나비 2mm로서 자주색 바탕에 흑색 점이 있고 관모는 2줄로 달리며 길이 7-8mm로서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 60-100cm로서 능선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곧게 서며 회백색을 띠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황해도 이남에서 자라고 서해안의 여러 섬에 분포하며 해안을 따라서는 진남포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빗살새
학명 : Cynosurus cristat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빗살새속(Cynosurus) target=_blank>빗살새속(Cynosurus)</a>
잎 : 잎은 좁은 선형으로 약간 털이 있으며 설편은 2열한다.
꽃 : 꽃은 강경한 원추 꽃차례로 정생하며 반원주형으로 길이는 3~9cm 가량이며 작은 이삭은 족생하며 길이 1.8mm가량이고 그 외부의 것은 빗살모양으로 배열하여 각기 족단(簇團)의 총포를 형성하며 등생(登生)의 작은 이삭은 3~5개 꽃을 착생하며 포영은 2조각으로 끝은 뾰족하고 1맥을 가졌으며 화영 내부(內艀)는 장타원형으로 짧은 까락을 가졌고 부등생 작은 이삭은 포영이나 화영이 모두 강경조습(剛硬조습)하고 끝은 가시처럼 뾰족하다. 수술은 3개이고 짧은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다.
분포 : 각지에 재배하며(수원 화산목장 재배품)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빕새귀리
학명 : Bromus canadensis subsp. yezoensis (Ohwi) V.N.Voroshilo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새귀리속(Bromus) target=_blank>참새귀리속(Bromus)</a>
잎 : 엽초에 털이 없거나 밑에 짧은 털이 있고 대개 마디 사이보다 짧다. 잎은 길이 20-30㎝ 폭 6-10㎜로서 편평하며 양 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없다. 엽설은 길이 0.8mm정도로서 절두이며 털이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15-25㎝이고 가지가 2-3개씩 달려 성기게 퍼지며 가지는 가냘프고 밑으로 처진다. 소수는 길이 1.5-3cm로서 6-7개의 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길이 7.5mm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11mm로서 3맥이 있으며 모두 끝이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13mm로서 7맥이 있고 가장자리 근처에 복모가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70-12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
분포 : 백두산지역을 비롯한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참새귀리(B. japonicus Thunberg): 높이 20-70㎝ 줄기는 밀생 기부가 곧게 서거나 마디가 있다. 엽초와 잎몸에 털이 있고 잎몸은 선형이다. ▶털빕새귀리(B. tectorum L.): 높이 30-60㎝ 엽초와 잎몸은 연모가 있다. ▶꼬리새(B. pauciflorus Hack.): 근경은 짧고 줄기는 연모가 있다. 엽초는 닫혀있고 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빈추나무
학명 : Prinsepia sinensis (Oliv.) Oliv. ex Bea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빈추나무속(Prinsepia) target=_blank>빈추나무속(Prinsepia)</a>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긴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5-8cm 폭 2.5cm로서 표면은 밝은 녹색 뒷면은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없거나 미세한 거치가 있다. 탁엽은 대생하며 가시같다.
꽃 : 꽃은 4월에 잎이 핀 다음 피며 지름 1.7cm로서 황색이고 향기가 있으며 1-4개씩 엽액에 모여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5-10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뒤로 젖혀지며 꽃이 핀 다음 떨어지고 꽃잎은 둥글며 지름 5-6mm이고 수술은 10개가 2줄로 배열된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원형 난상 원형이며 지름 1.5cm로서 8-9월에 자주색으로 성숙하고 핵은 난상 원형으로서 편평하며 열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과육은 달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소지는 회갈색이며 윤채가 있고 길이 6-10mm의 가시가 있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충북 경기 이북 지역 평남 맹산지방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빈도리
학명 :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일본말발도리
잎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폭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형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單毛)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mm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 : 삭과는 지름 3.5-6mm로서 둥글며 성모가 밀생하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소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만첩빈도리 (for.plena SCHNEID.) : 만첩꽃이 핀다.
특징 : 줄기의 속이 비어 있고 꽃이 말발도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빈도리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비파나무
학명 :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파나무속(Eriobotrya) target=_blank>비파나무속(Eriobotrya)</a>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긴 난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15-25cm 폭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갈색 밀모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엽병은 길이 0-10mm이다.
꽃 : 꽃은 백색으로 10~11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원추화서는 가지끝에 정생하며 연한 갈색털로 덮이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다. 향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지름 3-4cm로서 가지끝마다 몇 개씩 모여 달리며 이듬해 6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고 종자는 1-5개이며 흑갈색이고 심으면 바로 발아한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어린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밀모로 덮여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에서 재배한다. ▶제주도 및 남해안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활엽 소교목이다.
특징 : 잎을 비파엽(枇杷葉) 종자를 비파인(枇杷仁)이라 하며 물을 가하여 파괴시키면 벤즈알데히드의 향기를 낸다.
-
Read MoreNo Image
비쭈기나무
학명 : Cleyera japonic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차나무과(Theaceae) target=_blank>차나무과(Th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쭈기나무속(Cleyera) target=_blank>비쭈기나무속(Cleyera)</a>
이명 : 비쭉이나무 빗죽나무 빗죽이나무
잎 : 잎은 2줄로 호생하고 두꺼우며 혁질이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둔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1~12cm 폭은 2~4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진록색에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6월에 피고 지름 1.2-1.5cm이며 백색이지만 황색으로 되고 어린 가지의 기부에 1-3개씩 달리며 화병은 길이 10-20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숙존성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꽃잎은 5개로 길이는 7-10mm이다. 수술은 2줄로 배열되며 20개 정도이고 꽃밥에 투명한 가시털이 있다. 자방은 2~3실로 털이 없고 암술대는 한 개인데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길이는 1cm 정도 된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며 직경이 0.8~1cm 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많다.
줄기 : 수피는 자록색을 띠며 매끄럽다. 어린가지는 각이 져 있고 녹색이며 동아는 한 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고 새발톱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털이 없다.
뿌리 : 측근이 발달되어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 도서지방에서 자란다.(제주도 경남 전남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소교목으로 관엽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비짜루국화
학명 : Aster subulatus Michx.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비자루국화 빗자루국화
잎 : 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밑동이 약간 줄기를 싸고 가장자리는 파상으로 된다.
꽃 : 두상화는 노란빛을 약간 띤 흰색이고 지름 5-6㎜이다. 총포는 3-4줄의 총포편으로 되고 막질이다. 설상화는 희고 관상화는 노란색이고 관모는 화관통보다 길다.
형태 : 1년생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비짜루
학명 :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짜루속(Asparagus) target=_blank>비짜루속(Asparagus)</a>
이명 : 노간주비짜루 노간주빗자루 닭의비짜루 덩굴비짜루 비자루 빗자루
잎 : 잔가지의 것은 작은 막질이고 큰가지나 원줄기에는 밑을 향한 가시처럼 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엽액에 2-6개의 꽃이 모여 달리고 길이 2.5-3mm이며 넓은 종형이고 연한 녹색이다. 소화경은 길이 1-2mm로서 끝에 관절이 있으며 수술은 6개로서 암꽃에도 작은 것이 남아 있다. 꽃밥은 심장형이고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원줄기는 둥글고 능선이 있으며 윗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잔가지의 것은 작은 막질이지만 큰 가지나 원줄기의 것은 밑을 향한 가시처럼 되고 잎모양의 잔가지가 3-7개씩 한군데 뭉쳐서 달리며 좁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한쪽에 능선이 있어 삼각형으로 되고 비스듬히 굽은 잎은 길이 1-2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끝이 무성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원주형.
특징 : 비짜루는 봄에 나오는 어린 순을 `비지깨나물`이라고도 하고 경상도에는 `밀풀`이라 하는 흡사 식용 아스파라거스처럼 연하고 단맛나는 맛있는 산나물이다.
-
Read More
비진도콩
학명 : Dumasia trunc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진도콩속(Dumasia) target=_blank>비진도콩속(Dumasia)</a>
이명 : 산흑두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긴 난형이며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둔한 끝에 소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이 재저이거나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짧은 복모가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선형이고 3맥이 있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소탁엽은 길이 1mm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1-3개가 액생하며 길이 2-5cm로서 화경이 있고 꽃은 8-9월에 피며 길이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고 꽃받침은 통형으로서 끝이 비스듬히 잘리며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도피침형이고 길이 4~5cm 나비 7-8mm로서 연한 자주색으로 익으며 흑색의 둥근 종자가 3~5개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나약하며 자흑색이 돌고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비진도에 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1978년에 김삼식 교수가 비진도에서 처음으로 채집했기 때문에 비진도콩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비자나무
학명 : Torreya nucifera (L.)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주목과(Taxaceae) target=_blank>주목과(Tax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자나무속(Torreya) target=_blank>비자나무속(Torreya)</a>
잎 : 잎은 길이 25mm 폭 3mm이며 우상(羽狀)으로 배열되고 혁질(革質)이며 선형 예첨두로서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갈색이지만 중륵(中肋)과 가장자리는 녹색이며 중륵이 뒷면에만 나타난다. 뒤쪽의 주엽맥 양쪽으로 황백색의 기공선이 있다. 엽병은 길이 3mm이고 6-7년 만에 떨어진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10개 내외의 갈색 포가 있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0mm로서 한 화경에 10여 개의 꽃이 달린다. 암꽃은 한군데에 2-3개씩 달리고 5-6개의 녹색 포로 싸인 불규칙한 난형으로서 길이 6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대가 없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2.5-2.8cm 폭 2cm 두께 3mm정도이며 육질의 종의로 싸여 있는 핵과로 다음해 9-10월에 자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양끝이 좁고 타원형이며 길이 23mm 지름 12mm로서 다갈색이고 껍질이 딱딱하며 내피는 적갈색이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2m에 달한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줄기가 사방으로 퍼지고 노목의 것은 얕게 갈라져 떨어진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해남 대흥사 옆 유적지 제주도 비자림 표고 80-100m 지역 전남 고 흥군 금탑사 주변 백양산 내장산 경남 남해에도 자생지가 발견된 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자웅이주) 수형:난형
유사종 :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 내한성이 강해서 중부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열매 과피는 붉은색으로 익고 잎 뒷면이 분백색을 띤다. ▶변종: 일본에서는 몇가지 변종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관목상으로는 (var. radicans Nakai)가 있다.
특징 : ▶천연기념물 *제39호 - ⓐ소재지:전남 강진 병영면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수령 400년 수고 10m 흉고줄기둘레 5.2m 수관폭 동서15m 남북13.5m. *제111호 - ⓐ소재지: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980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수령:200년 ⓓ나무높이:9.2m 지하고((枝下高) 2m) 가슴높이 줄기둘레 5.6m *제153호 - ⓐ소재지: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2 975 220㎡*제239
-
Read MoreNo Image
비연초
학명 : Delphinium ajac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고깔속(Delphinium) target=_blank>제비고깔속(Delphinium)</a>
이명 : 나래제비풀 )참제비꽃
잎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있으며 손바닥 모양이고 세 장의 소엽이 나온 잎으로 얕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하늘색 분홍색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청색이 강한 자주색 흰색 등으로 피고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이며 꽃잎은 2∼4개이고 작으며 꽃받침은 꽃잎 모양이고 뒤쪽의 1개는 긴 꿀주머니로 변형된다.
특징 : 어떤 종은 독성을 지니고 있어 가축에 해롭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