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runus meyeri Rehder |
|---|---|
| 과명 | 장미과(Rosaceae) |
| 속명 | 벗나무속(Prunus) |
| 이명 | 별벚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1cm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선점이 밀생하며 맥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선이 있다. |
| 꽃 |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1cm로서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5-7㎝이고 소화경에 포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겉에 털과 선점이 있다. 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도란형이며 수술은 암술대와 길이가 같다. 화경은 길고 화주는 짧다. |
| 열매 | 핵과로 둥글고 지름 5-7mm 로서 6-7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매우 떫고 소과경은 길이 5mm이며 핵은 길이 4mm로서 주름이 있다. |
| 줄기 | 수피는 암갈색으로 윤기가 있고 벗겨지지 않는다. 소지는 털이 점차 없어지고 갈색으로 된다. |
|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200~1 700m의 심산에서 자라며 만주 중국등지에도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활엽교목 |
| 유사종 | ▶개벚지나무(P. maackii Rupr.): 수피는 황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옆으로 갈라진다. ▶산개벚지(P. maximowiczii Rupr.): 강원도 심산에서 자라며 자갈색 수피가 있고 곧게 자라며 꽃과 열매가 많다. |
| 특징 | ▶개벚지나무(P. maackii Rupr.)와 산개벚지(P. maximowiczii Rupr.)와의 잡종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TAG •
-
Read MoreNo Image
분개구리밥
학명 : Wolffia arrhiza (L.) Wim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A%B5%AC%EB%A6%AC%EB%B0%A5%EA%B3%BC(Lemnaceae) target=_blank>개구리밥과(Le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분개구리밥속(Wolffia) target=_blank>분개구리밥속(Wolffia)</a>
이명 : 좀분개구리밥
잎 : 단독 또는 2개의 엽상체가 군체를 한다. 엽상체는 상면은 평탄하고 하부는 비대한 몸속에 가장 폭이 넓은 타원체로 되며 난형 또는 반구형이다. 엽상체는 길이 0.03∼0.08cm 너비 0.02∼0.05cm이다.
꽃 : 꽃은 엽상체 표면 중앙 부근의 화공에 1개 달리며 1개의 웅예와 1개의 자예가 있다.
열매 : 종자는 공모양이다. 겨울에는 엽상체가 전분을 저장하여 식아로 되어 물속에 잠겼다가 이른 봄 식아가 떠올라 새로운 엽상체를 싹 틔운다.
분포 : 중부 이남
특징 : 뿌리와 엽맥이 없다. 극히 작은 다년생 부유식물로 다른 부초와 혼생하는 것이 많다.
-
Read MoreNo Image
북통발
학명 : Utricularia ochroleuca R.Hart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통발과(Lentibulariaceae) target=_blank>통발과(Lentib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통발속(Utricularia) target=_blank>통발속(Utricularia)</a>
잎 : 물속 잎의 열편은 폭이 다소 넓고 상반부에는 적어도 가는 이가 있다. 물속의 잎은 1~2개의 벌레잡이 주머니가 있고 잎조각의 끝은 점차적으로 뾰족하고 땅속 잎의 벌레잡이 주머니에는 작은 잎조각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핀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북반구 습원
-
Read MoreNo Image
북점나도나물
학명 : Cerastium holosteoides Fries var. holosteoide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점나도나물속(Cerastium) target=_blank>점나도나물속(Cerastium)</a>
이명 : 물레나물점나도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끝이 좁고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백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5-25mm로서 꽃이 핀 다음 끝부분이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5.5-6.5mm로서 뒷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꽃잎은 5개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으며 깊이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로서 난상 원형이며 자방 끝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원통형이고 수평으로 달리며 길이 8-10mm로서 꽃받침보다 훨씬 길고 연한 황갈색이며 끝에 10개의 톱니가 있다. 종자는 갈색이고 사마귀같은 소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15-25c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자라고 흑자색이 돌며 털이 있고 윗부분에 선모(腺毛)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북선점나도나물(C. furcatum Chamisso & Schlecht. var. koreanum Ohwi): 원줄기에 밑을 향한 2줄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피침형 긴 도란형 길이 1-2㎝이다. ▶점나도나물(C. holosteoides F. var. hallaisanense Mizushima): 전체에 선모가 있고 줄기는 밀생 비스듬히 서며 흑자색이다. ▶큰점나도나물(C. fischerianum Seringe): 전체에 잔털이 많고
-
Read MoreNo Image
북쇠뜨기
학명 : Equisetum arvense var. boreale (Bong.)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속새과(Equisetaceae) target=_blank>속새과(Equis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새속(Equisetum) target=_blank>속새속(Equisetum)</a>
특징 : 기본종에 비해 아래쪽에 있는 큰 가지는 세모가 지고 잎집 조각이 3개 있는 것이다.
-
Read MoreNo Image
북선점나도나물
학명 : Cerastium rubescens var. koreanum (Nakai) Mi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점나도나물속(Cerastium) target=_blank>점나도나물속(Cerastium)</a>
이명 : 고려점나도나물 지이산점나도나물지이점나도나물
잎 : 잎은 대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긴 도란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cm 폭 4-7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5mm로서 퍼진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겉에 털이 있으며 5개이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원주형이며 황갈색이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있으며 끝이 10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갈색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유두상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서며 밑을 향한 2줄의 털이 있으며 흑자색이다.
분포 : 함경남도 운선령 부전 고원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유사종 : ▶점나도나물(C. holosteoides F. var. hallaisanense Mizushima): 전체에 선모가 있고 줄기는 밀생 비스듬히 서며 흑자색이다.
▶큰점나도나물(C. fischerianum Seringe): 전체에 잔털이 많고 선모가 있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밋밋하며 긴 타원형이다.
특징 : 전체에 선모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북선메뛰기피
학명 : Calamagrostis hymenogloss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풀속(Calamagrostis) target=_blank>새풀속(Calamagrostis)</a>
이명 : 북메뚜기풀 북새풀
잎 : 칼날같은 소엽은 가늘고 푸른빛을 띤 회녹색이며 선형으로 편평하거나 말리고 폭 3~5m로 거칠다. 엽설은 난형~피침형이며 예두 혹은 예첨두로 얇은 막으로 되어있고 가장자리는 흔히 거치가 있고 희며 길이는 3~10mm이다. 엽초는 간혹 조금 거칠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8~10cm이고 직립하며 퍼지며 조밀하진 않고 폭이 15~15mm이며 푸른빛을 띤 자주색이며 가지는 반윤생하며 짧고 거칠고 2~10개의 소화가 달린다. 소화는 길이가 약 5mm이고 포영은 비율이 5:4.5mm정도이고 제1포영은 1맥이고 선상피침형이며 제2포영은 3맥이고 피침형이다. 호영은 길이 3.5mm이고 5맥이며 반점이 있고 끝에 4개의 소돌기가 있으며 중맥 아래에 길이 7mm의 까락이 돋고 중간 아래에서 꺾인다. 내영은 작고 짧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부드러우며 하나 혹은 두개의 마디를 가지고 직립한다.
형태 :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북사초
학명 : Carex augustinowiczii Menish. ex Kors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북바위사초 지리사초
잎 : 밑부분의 엽초는 연하며 볏짚색이고 겉에 있는 잎이 달린 엽초와 잎이 없는 엽초는 밤빛이 도는 갈색. 잎은 연약 편평하고 나비 2-4mm이다.
꽃 : 소수는 4-6개이며 정소수는 길이 0.5-1.5㎝ 지름 2-3mm로서 수꽃만 달리거나 윗부분에 암꽃이 달리고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밑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며 길이 1-3㎝ 지름6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짧은 원주형이고 곧추선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초가 없고 자화영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2mm로서 흑자색 또는 흑적색이며 뒷면에 1개의 녹색 맥이 있다. 웅화영은 크고 색이 연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약간 길며 세모진 난형이고 길이 2.5-4mm로서 가는 맥이 많이 있으며 부리는 짧고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 수과는 엉성하게 들어있으며 길이 1.7mm로서 도란상 삼릉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뻗는 줄기는 짧으며 섬세하고 윗부분이 깔깔하다.
분포 : 지리산 금강산 양덕 및 함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북분취
학명 :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8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12~15cm 폭 7~9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중앙 이하가 결각상 또는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서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된다.
꽃 : 두화는 많고 산방상으로 달리며 개화시에는 지름 10mm이다. 총포는 길이 12mm 지름 5mm로서 자줏빛이 돌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총포편은 5줄로 배열되고 외포편은 피침형 예두이며 중포편은 긴 타원형이고 예두로서 흔히 젖혀지며 내포편은 선형 예두이다. 통상화는 길이 11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8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북부싯깃고사리
학명 : Cheilanthes kuhnii f. gracilis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A%B3%BC(Pteridaceae) target=_blank>고사리과(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부싯깃고사리속(Cheilanthes) target=_blank>개부싯깃고사리속(Cheilanthes)</a>
잎 : 잎은 총생하며 길이 20-30cm 나비 -5cm이고 엽병은 쇠줄같으며 자갈색이고 잘 부러지며 밑부분에 인편이 있다. 엽신은 피침형에 가깝고 2회 우상으로 깊에 갈라지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첫째 우편에는 짧은 대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없어지고 소우편은 끝이 둔하며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뒤로 말린 안쪽에 포자낭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쓰러진 엽병과 인편이 있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만주에 걸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부싯깃고사리 C. kuhnii MILDE
특징 : 기본종에 비해 잎이 보다 얇고 연약하다.
-
Read MoreNo Image
북바위고사리
학명 : Cryptogramma crispa (L.) R.Br. ex Ri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A%B3%BC(Pteridaceae) target=_blank>고사리과(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북바위고사리속(Cryptogramma) target=_blank>북바위고사리속(Cryptogramma)</a>
잎 : 잎은 비스듬히 서며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다. 엽병 기부에는 얇고 연한 갈색의 인편이 있다. 포자엽은 길이 30cm 정도 이고 잎몸은 엽병의 1/2길이이고 3회 깃꼴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영양엽은 포자엽보다 작고 2~3회 깃꼴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 긴 타원형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잎맥의 끝에 붙고 포막은 위포막으로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며 막질이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다.
분포 : 한국(중부 북부) 일본 러시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형태 : 하록성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북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grandis var. austrokurilensis (Tatew.)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큰미나리아재비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만주 사할린 캄차카
형태 : 지하에 기는 줄기가 있고 근엽은 보통 소수이며 털은 적다.
특징 : 기본종에 비해 가늘고 높이 25-50cm이며 털은 눕고 암술대는 짧으며 외곡한다.
-
Read MoreNo Image
북관중
학명 : Dryopteris coreanomont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보태면마
잎 : 엽병은 길이 23㎝로서 2가지 형태의 인편이 달리며 큰것은 길이 27mm 폭6-7mm로서 막질이고 작은것은 길이 2-10mm 폭 0.2-0.8mm로서 선형이다. 엽신은 피침형이며 길이가 80㎝에 달하고 우축에 달린 털같은 인편은 곧 떨어진다. 우편은 중앙 이하가 넓으며 길이 12㎝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길게 뾰족해지며 열편은 밑으로 흐르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는 털이 약간 있다.
열매 : 포자낭은 중앙부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지름 1mm정도로서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잎이 총생.
분포 : 함북 보태동에서 자란다.
특징 : 관중과 비슷하지만 열편사이가 넓고 톱니가 약간 깊으며 인편은 우축 뒷면에 약간 남을 뿐이다.
-
Read MoreNo Image
북개벚지나무
학명 : Prunus meyeri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이명 : 별벚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1cm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선점이 밀생하며 맥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선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1cm로서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5-7㎝이고 소화경에 포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겉에 털과 선점이 있다. 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도란형이며 수술은 암술대와 길이가 같다. 화경은 길고 화주는 짧다.
열매 : 핵과로 둥글고 지름 5-7mm 로서 6-7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매우 떫고 소과경은 길이 5mm이며 핵은 길이 4mm로서 주름이 있다.
줄기 : 수피는 암갈색으로 윤기가 있고 벗겨지지 않는다. 소지는 털이 점차 없어지고 갈색으로 된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200~1 700m의 심산에서 자라며 만주 중국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개벚지나무(P. maackii Rupr.): 수피는 황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옆으로 갈라진다. ▶산개벚지(P. maximowiczii Rupr.): 강원도 심산에서 자라며 자갈색 수피가 있고 곧게 자라며 꽃과 열매가 많다.
특징 : ▶개벚지나무(P. maackii Rupr.)와 산개벚지(P. maximowiczii Rupr.)와의 잡종이다.
-
Read MoreNo Image
부추
학명 :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솔 정구지
잎 : 잎은 서며 선형이고 육질이며 길이 30cm내외로 녹색을 띤다.
꽃 : 7-8월에 잎사이에서 길이 30-40㎝의 편평한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큰 산형화서가 피는데 곧게 선 가늘고 작은 화경에 촘촘히 모여 반구상을 이룬다. 총포는 막질이며 꽃은 백색이고 지름 6-7mm로서 화병이 길며 화피가 수평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6개이다. 수술도 6개이지만 화피보다 약간 짧고 꽃밥은 황색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서 도심장형이며 3갈래로 벌어져 6개의 검은색 종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구자라고 한다.
뿌리 : 인경(鱗梗)은 밑부분에 근경이 달리고 좁은 난형이며 바깥 비늘은 검은 황색의 섬유로 둘러싸여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흔히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마늘(A. sativum for. pekinense) ▶산마늘(A. victorials var. platyphyllum)
특징 : 전초에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
Read MoreNo Image
부처손
학명 : 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손과(Selaginellaceae) target=_blank>부처손과(Selagine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처손속(Selaginella) target=_blank>부처손속(Selaginella)</a>
이명 : 바위손
잎 : 잎은 4줄로 밀생하고 난형이며 길이 1.5~2mm로서 끝이 실 같은 돌기로 되고 가장지리에 잔 거치가 있다. 포자엽은 난상 삼각형이며 가에는 잔거치가 있고 가늘며 포자낭은 큰 것과 작은 것이 있다.
열매 : 포자낭수(胞子囊穗)는 잔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네모가 지고 길이 5-15mm 직경 2mm이다.
줄기 : 높이 20cm에 달하며 가지는 평면으로 갈라져 퍼지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습기가 많은 때는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건조할 때는 안으로 말려서 공처럼 되며 습기가 있으면 다시 퍼진다.
뿌리 : 많은 담근체(擔根體)와 뿌리가 엉겨 줄기처럼 형성된 끝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서 자란다.밑에서 파생된 근경은 단단하고 짧으며 밑에 많은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쟈바 소련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 중부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다년초로 관엽식물이다.
유사종 : ▶바위손(S. involvens Spring) ▶개부처손(S. stauntoniana Spring)
특징 : 속명은 고어 `Selago`에서 유래하였으며 종명은 잎의 형태가 위성류(Tamarix)와 비슷하며 가는 침형의 잎을 가졌다는 뜻이다.
-
Read MoreNo Image
부처꽃
학명 :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꽃과(Lythraceae) target=_blank>부처꽃과(Lyth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처꽃속(Lythrum) target=_blank>부처꽃속(Lythrum)</a>
이명 : 두렁꽃
잎 : 잎은 짧은 엽병이 있거나 없고 대생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는 3~4cm 폭은 1cm 내외로서 끝은 뾰족하며 잎가는 거치가 없다.
꽃 : 꽃은 7-8월에 자홍색으로 피고 상부의 엽액에서 3~5개가 취산상으로 달리며 마디에 윤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화서의 포엽은 보통 옆으로 퍼지며 기부가 좁고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은 능선이 있는 원주형으로 상부에서 6개로 얕게 갈라지며 갈라진 중앙에 있는 부속체는 옆으로 퍼지고 부속편은 길이가 약 2mm 정도 된다. 꽃잎은 6개 이고 꽃받침통 끝에 긴 도란형으로 달린다. 수술은 12개이며 길고 짧은 것이 있다.
열매 : 삭과로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직립하고 가늘며 윗부분에서 분지한다.
뿌리 : 많은 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유사종 :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
특징 : 전초에 타닌 및 사리카린이 들어 있다.
-
Read MoreNo Image
부채싸리
학명 : Lespedeza thunbergii var. retus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싸리속(Lespedeza) target=_blank>싸리속(Lespedeza)</a>
잎 : 잎은 3출엽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잎 끝이 현저한 요두로 중륵의 연장인 침상의 돌기가 있고 예저이며 길이 2-6cm로서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액생하는 총상화서 또는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5-2.5cm이고 화관은 홍자색이며 꽃받침잎은 깊게 4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뒤쪽의 1개가 다시 2개로 갈라지며 밑의 것이 가장 길다. 기판은 연한 홍색 진한 홍색 등 변이가 있고 익판은 홍색 또는 자홍색이며 꽃받침통은 자록색 또는 녹색이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7-8mm 나비 4-5mm로서 털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종자는 신장형이고 길이 3mm 나비 4mm로서 밤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겨울동안 지상부가 대부분 말라죽고 높이 1-2m이며 가지에 능선과 더불어 복모가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400m 에 이르는 산록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풀싸리(for.alba T.LEE): 백색 꽃이 피는 것.
-
Read More
부채붓꽃
학명 : Iris setosa Pall. ex Lin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잎 : 잎은 길이 20-40cm 폭 1-2cm로서 칼모양이며 어긋나고 2줄로 배열되어 부채살처럼 벌어지며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엽초로 되며 중륵(中肋)은 뚜렷치 않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30-70cm로서 가지가 갈라지고 여러 개의 포가 있으며 포는 녹색으로서 창같고 소포는 넓은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2-3cm로서 때로는 안쪽에 있는 전엽(前葉)보다 짧으며 막질이다. 소화경은 길이 3-4cm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지름 8cm정도이고 통부가 짧으며 외화피는 넓은 도란형으로 밑부분이 뾰족하고 뾰족한 부분에 황색 맥이 있으며 내화피는 외화피보다 훨씬 작고 피침형 예첨두이다. 수술은 3개이며 암술대는 3개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3cm정도이며 종자는 연한 갈색이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비스듬히 자라며 갈색 섬유로 덮인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제비붓꽃(I. laevigata Fisch.) ▶꽃창포(I. ensata var. spontanes Nak.) ▶타래붓꽃(I. pallassii var. chinensis Fisch.) ▶솔붓꽃(I. ruthenica Ker-Gawl.) ▶난장이붓꽃(I. uniflora var. carinata Kita) ▶금붓꽃(I. ssavatieri Nakai) ▶노랑붓꽃(I. koreana Nakai) ▶각시붓꽃(I. rossii Bak.) ▶
-
Read MoreNo Image
부채마
학명 : Dioscorea nipponic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과(Dioscoreaceae) target=_blank>마과(Dioscor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속(Dioscorea) target=_blank>마속(Dioscorea)</a>
이명 : 단풍잎마 박추마털단풍잎마털부채마
잎 : 엽병이 길며 어긋나고 심장형 난형 또는 광난형으로 길이 5-12cm 폭 5-10cm이며 점첨두(漸尖頭)에 심장저이고 3가닥이 나며 가운데 조각은 난상피침형이며 길지만 옆조각은 짧고 다시 3-5조각이 나기도 한다. 잎표면은 녹색 뒷면은 담록색으로 엽맥이 튀어 나오며 앞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다.
꽃 : 7-8월에 피며 작으며 녹황색이다. 암·수꽃이 딴 그루에서 엽액에 달린 수상화서로 배열되어 있다. 수꽃이삭은 쳐지지 않으며 옆으로 비스듬히 서며 수꽃은 화피가 작은 종꼴로서 끝이 타원형으로 6조각이 나며 수술은 6개로서 화피보다 짧고 꽃통에 붙었다. 암꽃이삭은 갈라지지 않고 밑으로 처지며 화피는 타원형으로 6조각이 나고 자방은 하위이며 3실이고 주두는 3갈래에서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폭 0.6-1mm의 3개의 날개가 있으며 밑으로 처진 축에 위를 향해 달리며 8월에 익는다. 종자는 위쪽에 넓은 날개가 있다.
줄기 : 왼쪽으로 감기며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질기며 옆으로 뻗고 짙은 황갈색이며 살은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원주형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남부 중부 북부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이다.
유사종 : ▶단풍마(Discorea quinqueloba Thunb.)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둥근마(D. bulbifera): 괴근은 크고 둥근 모양이며 바깥 껍질은 검은색이다. ▶참마(D. japonica):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국화마(D. septemloba):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
-
Read MoreNo Image
부채괴불이끼
학명 : Crepidomanes minutum (Blume) K.Iwat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 target=_blank>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괴불이끼속(Crepidomanes) target=_blank>괴불이끼속(Crepidomanes)</a>
이명 : 미선이끼부채이끼
잎 : 잎은 드문드문 나고 엽병은 1~2cm이며 윗부분은 연한 녹색이나 밑부분은 암갈색이다. 엽신은 둥글며 불규칙하게 장상으로 깊이 갈라져 부채살처럼 되고 열편은 다시 갈라져 선형으로 되며 각각 1맥이 있고 녹색이며 맥 위에 선모가 드문드문 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 끝에 1~수개 나며 포막은 컵모양이고 끝이 약간 퍼지며 포자낭탁은 길게 자란다.
뿌리 : 근경은 실 같이 가늘고 옆으로 뻗으며 엽병 기부와 같이 흑갈색의 잔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평남이남)에 분포하며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