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runus persica f. alba (Lindl.) C.K.Schneid. |
|---|---|
| 과명 | 장미과(Rosaceae) |
| 속명 | 벗나무속(Prunus) |
|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5cm 폭 2-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밀선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다. |
| 꽃 |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름 2.5-3.3cm로서 백색이며 1-2개씩 달리고 화병이 짧다. 꽃받침잎은 난형으로 털이 많고 꽃잎은 긴 타원상 원형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5개이며 수술은 많고 자방은 털이 밀생한다. 눈에 잘 띄는 상징적인 고향의 꽃이다. |
|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 5cm이상이며 8-9월에 등황색으로 성숙한다. 핵은 과육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는다. |
| 줄기 | 높이가 6m에 달하며 수피는 암홍갈색이고 소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에 털이 있다. |
| 분포 | 전국의 촌락 부근에 식재하고 있다. |
|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
| 유사종 | ▶만첩백도(for.alboplena): 백도의 만첩이다. ▶만첩홍도(for. rubroplena) : 적색꽃이 만첩인 것. ▶바래복사(for.albescens): 붉은 빛이 도는 백색 비슷한 꽃이 핀다. ▶감복사(for.compressa): 감처럼 편평하다. ▶숭도(var.nectarina): 열매에 털이 없다. ▶용인복사(for.aganopersica): 핵이 잘 떨어지며 밑부분이 들어 가고 끝이 뾰족하며 둥글다. ▶홍도: 홑꽃으로 적색꽃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Ill. Handb. Laubbolzk. 1 : 594 (1906) |
|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
Read More
백산차
학명 :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산차속(Ledum) target=_blank>백산차속(Ledum)</a>
이명 : 북백산차 털백산차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둔저이며 길이 2-7cm 폭 4-12m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주름이 많지만 뒷면은 갈색 및 백색 밀모가 있고 향기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젖혀지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산방화서는 전년지 끝에 달리며 화축에 거친 털이 있고 지점(脂點)이 밀생하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7-10mm로서 백색이며 반 정도 벌어지고 소화경은 가늘며 길이 1-3cm로서 갈색융모가 밀생하고 포는 난형 예두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거나 길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길며 숙존한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4mm로서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5-70cm이고 늙은 가지는 잿빛을 띤 갈색이나 수피조각이 벗겨지면 연한 자갈색이다. 어린 가지에는 갈색의 융모와 황색의 선체가 밀생하고 짙은 향내를 뿜는다.
뿌리 : 뿌리에서 맹아가 많이 나온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함경도 고산지대의 수림 아래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소관목
유사종 : ▶좁은잎백산차 (var.decumbens HULTEN): 잎이 길이 1-2cm 폭 2-3mm이고 뒷면에 백색털이 없다. ▶왕백산차 (var.maximum NAK.): 잎이 길이 7cm 폭 14mm이다. 백산차에 비해 잎이 크며 고산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백산새풀
학명 : Calamagrostis angustifoli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풀속(Calamagrostis) target=_blank>새풀속(Calamagrostis)</a>
이명 : 백두산돌피 백두산새풀
잎 :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cm 나비 2~5mm이고 양쪽 맥 위에 잔돌기가 있으며 엽설은 길이 1~3mm로서 막질이고 엽초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cm 이상이고 가지에 잔 돌기가 있으며 길이 3~3.2mm의 좁은 피침형인 소수가 밀착한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길이 3mm 이하이며 자줏빛이 돌고 제1포영은 1맥 제2포영은 3맥이다. 호영은 길이 3mm로서 자줏빛이 돌고 5맥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뒷면 중앙에서 까락이 나며 기반의 털이 호영보다 짧다. 내영은 길이 1.8mm로 3맥이고 자주색이다.
줄기 : 줄기는 모여나며 마디는 6~7개이다.
뿌리 : 근경은 포복한다.
분포 : 함북(백두산 지역)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백산버들
학명 : Salix xerophila var. fuscescens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드나무속(Salix) target=_blank>버드나무속(Salix)</a>
잎 : 잎 뒷면에 갈색 미모(微毛)가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10cm 폭 4cm로서 첨두에 예저이고 톱니가 있거나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흰빛이 돌고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 4월에 핀다. 화수(花穗)는 잎보다 먼저 전년지(前年枝)에서 액생하고 털이 있는 화축 기부에 2-3개의 소엽이 달린다.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2-3cm이며 포는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있고 수술은 2개 밀선은 1개이다. 자화수(雌花穗)는 길이 1-2cm이며 포는 긴 타원형이고 밀선은 1-2개이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밀모가 있고 짧은 암술대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수(果穗)는 길이 3-7cm이고 열매는 길이 4-8mm로서 털이 있으며 6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5-10cm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분포 : 평남 소백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
Read MoreNo Image
백부자
학명 : Aconitum koreanum R.Raymun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노랑돌쩌귀 노랑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0cm에 이르는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황색 또는 황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줄기상부 또는 그 부근의 엽액에서 7-8개가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0.5-4mm로 짧으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중부에 선상포엽이 2개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쪽의 것은 고깔같으며 앞이마쪽이 나와 있고 옆의 것은 거의 둥글며 옆으로 서고 밑부분의 2개는 비스듬히 밑으로 퍼진다. 꽃잎은 2개로서 길게 자라 뒤쪽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3개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며 길이 1-2cm이고 털이 없으며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어 뾰족하다. 종자는 세모진 타원형이며 매끄럽고 길이 4mm 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서며 화서 이외에는 털이 없다.
뿌리 : 마늘쪽같은 뿌리가 2개 간혹 3개씩 발달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백부자(노랑돌쩌귀) : 약 200종이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지역에 자라며 모두가 유독식물이다. 우리나라에는 약 40종류가 자생하는데 종속지적 지견이 정설적이 아니다.
-
Read MoreNo Image
백미꽃
학명 : Cynanchum atratum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target=_blank>박주가리과(Asclepia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미꽃속(Cynanchum) target=_blank>백미꽃속(Cynanchum)</a>
이명 : 백미 아마존 털개백미 털백미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6-15cm 폭 3-10cm로서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8-12mm이고 후질(厚質)이다.
꽃 : 꽃은 흑자색으로 5-7월에 피며 화병이 있고 꼭대기 엽액마다 모여 달리고 화경(花梗)이 거의 없으며 소화경(小花梗)은 산형(傘形)으로 달리고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피침형이며 화관통보다 짧고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안쪽은 짙은 자주색으로서 털이 없고 끝에서부터 1/2-2/3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둔두이다. 부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원두이
열매 : 골돌과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8cm 지름 1.5cm로서 잔털이 밀생하고 종자에 긴 백색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전체에 털이 밀포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 : 뿌리와 근경을 백미(白薇)라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민백미꽃(C. ascyrifolium Matsumura): 흰색꽃이 핀다. ▶흑박주가리(C. nipponicum) ▶푸른백미꽃(for. viridescens OHWI): 꽃에 녹색이 돈다.
특징 : 세계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약 10종이 분포한다. 식물체에 흰색의 유액이 들어 있다.
-
Read MoreNo Image
백목련
학명 : Magnolia denudata Des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목련과(Magnoliaceae) target=_blank>목련과(Magn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련속(Magnolia) target=_blank>목련속(Magnolia)</a>
이명 : 흰가지꽃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0~15cm 폭 3~7cm로서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두이지만 뾰족해지고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광택이 있는 연녹색이며 엽맥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양성화이며 이른 봄(4-5월) 가지 끝에서 큰 백색 꽃이 피고 꽃은 지름 12-15㎝로서 향기가 짙다. 다른 목련류처럼 꽃잎이 6장이나 바깥 꽃받침 3장이 흡사 꽃잎 같아 9장으로 보인다. 꽃잎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며 도란형에 가깝고 약간 육질이다. 화아는 대형으로 때로는 4㎝까지 되는 것도 있으며 긴 황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홍갈색 골돌로서 길이 8-12cm이고 원주형이며 갈색이 돈다. 9-10월에 익고 화탁이 길게 발달한 집과이다. 종피가 갈라지고 붉은 종자가 흰실에 매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고 높이가 15m에 달하며 어린가지와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식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자주목련(var.purpurascens Rehder et Wilson): 백목련과 비슷하나 꽃잎의 겉이 연한 홍자색이고 안쪽이 백색이다. ▶백자목련(var.purpurascens Rehd. et Wils): 꽃잎의 내면은 흰색이고 외면은 담홍자색이며 남부지방에서 관상수로 심고 있는데 중국 중부지방이 원산이다.
특징 : 이른 봄 잎이 나오기 전에 피는 커다란 흰색 꽃은 청초한 느낌을 주며 4월의 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Read MoreNo Image
백리향
학명 :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리향속(Thymus) target=_blank>백리향속(Thymus)</a>
이명 : 산백리향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5-12mm 나비 3-8mm로서 양면에 오목 들어간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간혹 파상의 톱니가 있고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엽액에 2-4개씩 달리지만 가지 끝부분에서 총생하기 때문에 짧은 수상(穗狀)으로 보이고 소화경은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5mm이며 10개의 늑맥(肋脈)이 있고 5조각으로 갈라지며 위쪽 3개의 열편은 삼각형이고 아래쪽 2개의 열편은 선형이며 털이 있다. 화관(花冠)은 홍자색이며 길이 7-9mm 지름 5mm로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수술은 4개이며 수술대와 꽃받침은 모두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mm정도로서 9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옆으로 퍼진다. 전체에 향기가 있다.
분포 : ▶히말라야 일본 사할린 우수리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표고 900~1 000m 제주 전남 경남 경북 강원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반관목
유사종 : ▶섬백리향(var. japonica Hara): 원줄기가 보다 굵고 지름 7-10㎜이며 잎의 길이가 15㎜이고 꽃의 길이가 10㎜이다.
특징 : 꽃과 전초(全草)에는 `Thymol` `P-Cymene Pinene` `Linalool`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백리향 특유의 향기를 내뿜는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잔디처럼 포복성을 지녀 옆으로 퍼져 나간다.
-
Read More
백령풀
학명 : Diodia teres Walt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령풀속(Diodia) target=_blank>백령풀속(Diodia)</a>
잎 :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이 서로 합쳐져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잎사이에 길이 8mm의 굵은 털이 줄고 돋으며 선형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2~3.5cm 폭 2~5mm로서 뒷면 맥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다소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길이 6mm정도로서 엽액에 달리며 소화경이 없고 꽃받침잎은 길이 1mm정도이며 털이 없고 끝까지 남아 있다. 꽃받침통은 열매를 완전히 둘러싸며 도란형이고 길이 3-3.5m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 꽃받침통 속에 들어 있고 도란형 잔털이 있음.
줄기 : 높이 20-50cm이고 흔히 줄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흑자색이 돌고 짧은 털이 다소 밀생한다.
분포 : ▶일본에 귀화 ▶인천 근해의 섬에 퍼져 있다. 경기도 공릉의 장곡리 강원도 오산리 해수욕장 근처에서도 자라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털백령풀 (var.hirsutior Fern.et Griseb.): 원줄기에 퍼진 털이 있고 열매가 길이 5mm정도이며 긴 털이 있고 백령도에서 자란다.
특징 : 미국에서 들어 왔다.
-
Read MoreNo Image
백량금
학명 : Ardisia crenata Sim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금우과(Myrsinaceae) target=_blank>자금우과(Myrs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금우속(Ardisia) target=_blank>자금우속(Ardisia)</a>
이명 : 그늘백량금선꽃나무왕백량금 큰백량금 탱자아재비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7~12cm 폭 2~4cm로서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끝이 둔하며 좁은 예저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파상의 톱니 사이의 선모는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꽃 : 꽃은 양성화이고 백색이며 지름 8㎜로서 6월에 피는데 화서는 가지 또는 줄기 끝에 산형 또는 복산형으로 달리고 끝이 수레바퀴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첨두로서 흑색점이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이고 수술대는 거의 없다.
열매 : 핵과는 지름 1㎝로서 둥글고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이듬해 6월까지 달려 있고 조건이 좋으면 달린 채로 싹이 튼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대개 원줄기가 하나이지만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뿌리 : 지하의 굵은 뿌리는 3~5개가 모여 덩이뿌리 상태를 이룬다.
분포 : ▶일본 중국 및 인도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의 표고 700m 이하 거문도 홍도등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왕백량금(var. taquetii T.Lee): 원줄기가 높이 2m 내외이고 잎의 길이가 12㎝로서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빨갛게 익은 매혹적인 열매는 8-9개월간 나무에 매달려 있어 관상가치가 있고 주름진 푸른잎은 사철 아름답다.
-
Read MoreNo Image
백두실골풀
학명 : Juncus potaninii Buchena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8%ED%92%80%EA%B3%BC(Juncaceae) target=_blank>골풀과(Jun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풀속(Juncus) target=_blank>골풀속(Juncus)</a>
이명 : 산골풀 왜실골풀
잎 : 밑부분에서 돋은 잎은 길이 3㎝ 나비 1㎜로서 털이 없고 뒤로 다소 젖혀지며 밑부분의 귀같은 돌기는 높이 1㎜정도로서 백색 막질이다.
꽃 : 화경(花莖)에는 2-3개의 잎이 달리고 잎은 화경보다 짧으며 끝에 1개의 두상화서가 달리고 1-2개 간혹 3개의 꽃이 들어 있다. 화서는 길이 4mm 지름 1.5mm로서 볏짚색이며 포는 난형이고 막질이며 화피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모두 길이가 같다. 꽃밥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수술대보다 훨씬 짧고 수술대는 길이 2mm이다.
열매 : 열매는 화피보다 약간 길거나 거의 비슷하며 연한 갈색이고 종자는 길이 1㎜로 양끝에 흰색 꼬리 모양의 부속체가 붙는다.
줄기 : 높이 4-7cm이다.
분포 : 백두산 고지부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백두산자작나무
학명 : Betula ovalifolia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작나무속(Betula) target=_blank>자작나무속(Betula)</a>
잎 : 잎은 원형 또는 난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3cm 폭은 2cm로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지점(脂點)이 있으며 엽맥은 5-7쌍으로서 맥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2-5mm로서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유이화서 암수한그루이다. 수꽃이삭은 밑으로 처지며 길이 5-6cm이고 암꽃이삭은 작은 가지끝에 곧게 서서 달린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2cm로서 곧추선다. 실편의 열편은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잔털이 있고 측편은 위를 향하며 열매는 난상 원형이고 날개는 열매의 폭과 같거나 좁다. 열매는 소견과로 난상 원형이다.
줄기 : 수피는 회백색이고 얇게 벗겨지며 소지에 털은 있고 지점이 없다.
분포 : 함북 농사동(農事洞)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좀 자작나무 (B.fruticosa) :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지점이 있으며 엽맥은 5-7쌍으로서 맥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2-5mm로서 털이 있거나 없다. ▶덤불자작나무 (B.paishanensis) : 가지와 잎 뒷면에 지점이 없고 함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백두산바위취
학명 : Saxifraga laciniata var. takedana (Nakai)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범의귀속(Saxifraga) target=_blank>범의귀속(Saxifraga)</a>
이명 : 덩굴구름범의귀덩굴범의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긴 도란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1-3cm 폭 4-10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뾰족한 톱니가 5-11개 있다.
꽃 : 7-8월에 잎다발속에서 화경이 나와 산방상 취산화서가 발달하여 지름 1cm정도의 백색꽃이 피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피침형이고 젖혀지며 꽃잎은 난상 타원형으로서 밑부분에 황색 밀선(蜜腺)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2개로서 난형이다.
열매 : 삭과의 윗부분에는 2개의 암술대가 남아 긴 부리로 된다.
줄기 : 전체에 선모(腺毛)가 있으며 옆으로 뻗는 포복지가 있다.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구름범의귀(S. laciniata Nak.): 포복지가 없다.
특징 : 구름범의귀와 비슷하나 옆으로 뻗는 포복지가 있음
-
Read MoreNo Image
백두산떡쑥
학명 : Antennaria dioica (L.) Gaert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북떡쑥속(Antennaria) target=_blank>다북떡쑥속(Antennaria)</a>
이명 : 괴쑥 두메떡쑥백두떡쑥 화태떡쑥
잎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의 잎은 끝부분에서 총생하며 주걱형이고 길이 15~25㎜ 나비 5-6m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도 남아 있으며 꽃무늬처럼 퍼지고 주걱형이며 길이 18-35mm 나비 5-8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다소 백색 면모가 있으나 뒷면은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선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3mm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6-25cm로서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백색 면모로 덮여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두상화이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에 몇 개가 밀생하며 총포는 수꽃의 것은 길이 7㎜정도이고 암꽃의 것은 길이 10~14㎜로서 종형이며 열편은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상반부가 백색이다.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열매 : 수과이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벋는다.
분포 : 백두산의 건조한 풀밭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
-
Read MoreNo Image
백두산대극
학명 : Euphorbia hakutosanensis Huru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잎 : 경생엽은 장타원형으로 명확한 잔거치가 있고 끝부분은 약간 뾰족하며 밑부분은 아설저이다. 잎의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중맥에 약간의 털이 있다. 아랫부분과 중간잎은 커서 길이가 6cm 폭이 2cm이고 위로 갈수록 잎은 작아져서 길이 4cm 폭 1cm가 된다.
꽃 : 화서는 정확한 윤생은 아니며 능상 난형이고 드물게 윗부분은 둔두 밑부분은 둔저이고 이형의 작은 거치가 있다. 꽃은 세개로 갈라져 분리되고 작은 거치가 있으며 능상 혹은 대략 원형으로 밑부분 엽연에 털이 소수 있다. 총포는 약간 오목하고 선체는 자루가 없으며 아신장형이다. 총포엽은 난형이고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고 바깥면은 털이 없으나 안쪽면은 아래쪽에 선체와 소수의 털이 있다. 소포엽 안에 수꽃이 자리하고 있으며 털이 거의 없다. 암술대는 아래쪽은 짧
열매 : 삭과는 구형으로 미립의 사마귀같은 돌기가 흩뿌려져 있고 위쪽은 끝이 둔한 원추형(E. lucorum과 비교하여 뾰족하지 않다.)이다.
줄기 : 줄기는 한 개가 올라오며 가늘지만 약간 딱딱하고 털이 없다.
분포 : 한반도(백두산)
형태 : 산형화는 4개이상이고 일반적으로 5개가 방사형으로 갈라지고 다시 짧게 3개씩 갈라진다.
-
Read MoreNo Image
백두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takahashii Mor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용담속(Gentiana) target=_blank>용담속(Gentiana)</a>
잎 : 아래부분의 잎은 난형 또는 주걱형이며 둔저이고 상부의 잎은 선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역간 예두이고 길이는 5mm이다.
꽃 : 꽃은 정단에 단정화로 달리고 짧은 엽병을 가지며 꽃받침은 5개로 천열한다. 꽃받침열편은 선형이며 화통보다 길다. 화관은 깔때기모양이고 황백색으로 5개의 열편을 가진다. 열편은 난형이고 난상부속체보다 2배정도 짧다.
열매 : 삭과는 2개이다.
줄기 : 가늘고 털이 없다. 줄기는 기저부에서 분지되고 원주형이다.
분포 : 한반도(백두산)
형태 : 일년초이다.
특징 : ※ 북한에만 분포하는 종.
-
Read MoreNo Image
백두산고사리삼
학명 : Botrychium lunaria (L.) Sw.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두산고사리삼속(Botrychium) target=_blank>백두산고사리삼속(Botrychium)</a>
이명 : 고사리삼
잎 : 겨울동안에는 잎이 없다. 잎은 1개가 나오며 길이 10-20㎝이고 중앙에서 2개로 갈라져 1개는 포자낭수가 달리는 생식엽이 된다. 영양엽은 짧은 대가 있으며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5-7쌍으로서 부채꼴이며 정열편을 제외하고는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털이 없고 녹색이며 원두이고 넓은 에저로서 맥이 부채꼴로 퍼진다. 포자엽은 영양엽보다 길며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포자낭은 소우편의 좌우에 백빽하게 달린다.
열매 : 포자낭은 황색으로서 좁쌀같으며 대가 없고 익으면 옆으로 갈라진다.
분포 : 無頭峯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백두사초
학명 : Carex peiktusani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늪산사초 백두산사초
잎 : 잎은 나비 2-4mm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자줏빛이 돌고 그물같이 갈라진다.
꽃 : 소수는 3-4개로서 끝이 처지며 정소수는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에 수꽃이 달리고 측소수는 암꽃이며 길이 10-25mm로서 긴타원상 원주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대는 가늘며 소수보다 길다. 포는 잎같고 화경보다 길며 자화영은 난형이고 황갈색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짧은 까락으로 끝남. 암술대는 곧으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짐.
열매 : 과포는 거의 곧추서며 포영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길이 3-3.5mm로서 난형이며 연녹색이고 많은 맥이 있다. 부리는 끝이 적갈색으로 날카롭게 2개로 갈라짐.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세모진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끝이 밑으로 처진다.
분포 : 전국 각지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
백도라지
학명 : Platycodon grandiflorum f. albiflorum (Honda)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라지속(Platycodon) target=_blank>도라지속(Platycodon)</a>
이명 : 백길경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0.5-5mm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은 끝이 퍼진 종형이고 지름 4-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5실이며 암술대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포간(胞間)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도라지 : 기본종 ▶겹도라지 (for. duplex MAK.): 꽃이 겹으로 되어 있다. ▶흰겹도라지 (for. leucanthum HARA) : 백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
-
Read MoreNo Image
백도
학명 : Prunus persica f. alba (Lindl.)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5cm 폭 2-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밀선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름 2.5-3.3cm로서 백색이며 1-2개씩 달리고 화병이 짧다. 꽃받침잎은 난형으로 털이 많고 꽃잎은 긴 타원상 원형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5개이며 수술은 많고 자방은 털이 밀생한다. 눈에 잘 띄는 상징적인 고향의 꽃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 5cm이상이며 8-9월에 등황색으로 성숙한다. 핵은 과육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가 6m에 달하며 수피는 암홍갈색이고 소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촌락 부근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만첩백도(for.alboplena): 백도의 만첩이다. ▶만첩홍도(for. rubroplena) : 적색꽃이 만첩인 것. ▶바래복사(for.albescens): 붉은 빛이 도는 백색 비슷한 꽃이 핀다. ▶감복사(for.compressa): 감처럼 편평하다. ▶숭도(var.nectarina): 열매에 털이 없다. ▶용인복사(for.aganopersica): 핵이 잘 떨어지며 밑부분이 들어 가고 끝이 뾰족하며 둥글다. ▶홍도: 홑꽃으로 적색꽃
-
Read MoreNo Image
배풍등
학명 : Solanum lyrat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지속(Solanum) target=_blank>가지속(Solanum)</a>
이명 : 배풍등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첨두 심장저이고 길이 3~8cm 나비 2~4cm로 보통 기부에서 1~2쌍이 열편으로 갈라진다.
꽃 : 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가지가 갈라져서 백색 꽃이 피고 화경은 길이 1-4cm이며 꽃받침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화관은 수레바퀴 모양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진다. 꽃밥은 길이 3mm정도로서 구멍으로 터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 8mm로서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의 기부만 월동하며 길이가 3m에 달하고 끝이 덩굴같으며 줄기에 선상의 털이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100~500m 수평적으로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울릉도 제주도와 다도해 지방에서 자란다. 일본 오키나와 대만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왕배풍등 S.megacarpum KOISZ.: 줄기에 털이 없고 잎에 연모가 있으며 전혀 갈라지지 않고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속명은 본 속에 속하는 식물이 진정작용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Solamen에서 유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