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onicera ruprechtiana Regel |
|---|---|
|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
| 속명 | 인동속(Lonicera) |
| 이명 | 물괴불나무 털괴불나무 털괴뿔 |
|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도란형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에 융모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5-8mm로서 융모가 있다. |
|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cm로 잔털이 있고 곧으며 2개의 꽃이 달리고 포는 가늘며 선형이고 길이 2cm정도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털이 있으며 소포는 난형이고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화관은 길이 1.5-1.8cm로서 통부는 짧고 겉에 털이 없으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고 기부가 사마귀처럼 되며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고 수술대는 암술대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자방은 서로 떨어져 있고 털이 없다. |
| 열매 |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며 지름 5-7mm이고 9-10월에 홍색 또는 황홍색으로 성숙한다. |
|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가지의 골속은 비었고 소지에 융모가 있다. |
|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에 자생한다. |
| 형태 | 낙엽 관목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Gartenfl. 19 : 68 (1870)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물푸레나무
학명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이명 : 광능물푸레나무 떡물푸레나무 민물푸레나무 쉬청나무
잎 :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대생하며 소엽은 5~7개이고 난형 넓은 난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5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인데 중륵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파상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 : 꽃은 자웅이가화이나 때로는 양성화도 섞여 있으며 5월에 피고 화서는 새가지에서 액생하고 원추화서 또는 복총상화서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거나 거의 밋밋하며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수꽃은 2개의 수술과 꽃받침잎이 있으며 암꽃은 2-4개의 꽃잎과 수술 및 암술이 있고 꽃잎은 도피침형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4cm 되는 시과로서 날개는 피침형 또는 긴 피침형이고 둔두 혹은 미요두이거나 약간 뾰족하며 9월에 익는다. 종자결실의 풍흉이 심하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는 교목이지만 보통 관목상이며 소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동아에 털이 있거나 없다. 대체로 직립하고 껍질은 세로로 갈라지는데 흰색의 가로 무늬가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와 중부 이북 낮은 지대에 자라며 표고 100~1 500m 지대에 많이 분포한다. → 제주도 대둔산 백양산 내장산 덕유산 설악산 묘향산 비래봉 등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들메나무(F. mandshurica Rupr.): 꽃이 전해에 자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쇠물푸레나무(F. sieboldiana Blume): 잎 뒤의 맥 위에 털이 나고 뒷면이 담녹색이다.
특징 : ▶천연기념물 제286호(파주 적성면)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면적:1주 441㎡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50년 ⓔ나무높이:13.5m ▶가지를 꺾어 물 속에 넣으면 물을 푸르게 만든다 하여 물푸레란 이름이 붙여졌다. 수세가 강건하고 뿌리목에서 움싹이 잘 돋아난다. 맹아력이 강하고 천연하종발아는 잘 되나 생장이 빠른 편이 못 된다. ▶변재는 황백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명확치 않으나 연륜은 뚜렷하다.
-
Read MoreNo Image
물통이
학명 : Pilea peploides (Gaudich.) Hook. & Ar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통이속(Pilea) target=_blank>물통이속(Pilea)</a>
이명 : 물퉁이 물풍뎅이
잎 : 잎은 대생하며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6-10mm로서 양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파상의 톱니가 있고 3맥이 있으며 표면에 옆으로 나열된 결정선(結晶線)이 있고 뒷면에 갈색 선점(腺點)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길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7-8월에 피며 녹색이고 엽액에 뭉쳐서 달리며 암꽃이 수꽃보다 많고 섞여 있다. 수꽃은 화피가 4개로 갈라지며 4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가 3개로 갈라지며 그 중 1개는 크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난형이며 납작하고 길이 0.5cm정도이며 연한 갈색이다.
줄기 : 다소 총생하고 원줄기는 연녹색이며 높이 5-10cm이고 반쯤 투명하고 부드럽고 털이 없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monglic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 다소 밀생하고 전체에 털이 없다.
-
Read More
물칭개나물
학명 : Veronica undulata W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물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원줄기를 다소 감싸고 길이 4~7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총상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5-12cm로서 화경이 짧고 소화경은 퍼지며 길이 4-6mm이고 포는 넓은 선형이며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도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둥근 삭과이며 지름 약 3mm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다소 육질이며 어릴 때는 군생하고 곧게 선다.
분포 : ▶아시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물참새피
학명 : Paspalum distich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새피속(Paspalum) target=_blank>참새피속(Paspalum)</a>
이명 : 갈래참새피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고 엽초는 대개 털이 없고 절간(節間)보다 짧다. 엽설(葉舌)은 높이 2㎜이고 잎새는 길이 5-10㎝ 폭 6-8㎜ 털이 없다.
꽃 : 꽃은 6-9월에 핀다. 화서(花序)는 2개의 총(總)으로 이루어지며 총은 길이 4-9㎝ 2열(列)로 담녹색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소수는 장타원형 길이 3㎜ 미모(微毛)가 산생한다. 제1포영이 없거나 또는 인편상이며 제2포영은 3-5맥 소수와 같은 길이이다. 제1소화는 불임성(不稔性) 제2소화는 양성이며 임성(稔性)이다. 암술머리는 흑자색이며 꽃밥은 길이 1.5㎜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높이 20-40㎝ 기부는 광범위하게 포복하며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분포 : 열대 아시아로부터 북아메리카 열대 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 발견되었고 목포와 전주에서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서는 1994 년 6 월 제주도 용수리에서 채집되었다. 그리고 `털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가 남부지방에 귀화되었다. ▶이변종은 엽초와 마디에 긴 털이 밀생하며 총(總)이 2-3개인 것이 특징이다.
-
Read MoreNo Image
물참대
학명 : Deutzia glabrat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댕강말발도리 댕강목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2-14cm 폭 1-4.5cm로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거나 3-4개로 갈라진 성모가 산생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다.(매화 말발도리나무는 잎의 양면에 5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음)
꽃 : 꽃츤 5-6월 피고 지름 8-12㎜로서 백색이며 많은 꽃이 산방화서에 달리며 털이 없다. 꽃받침과 꽃잎이 각각 5개이고 1개의 암술을 10개의 수술들이 둘러싸고 있다. 화반(花盤)에 털이 없고 암술대는 3개(간혹 2개)이다. 꽃받침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지름 4㎜의 종형으로 9월에 성숙된다. 그 안에는 작은 종자들이 무수히 많이 들어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한다. 어린 가지는 붉은 빛이 돌며 늙은 가지의 수피는 회색 또는 흑회색으로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표고 100-1 300m 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역삼각형
특징 : 수세가 강건하며 맹아력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물참나무
학명 :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Blume) H.Ohash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물가리 물가리나무 소리나무 털깃옷신갈
잎 : 잎은 호생하고 신갈나무와 같이 도란형이며 갑자기 좁아져서 이저로 끝나는 것이 가장 많고 도란상 타원형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이저에서 심장저 원저를 거쳐 예저로 되는 것이 있으며 길이 2.5-16cm로서 3-16쌍의 깊은 파상 톱니가 있고 표면은 주맥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는 것이 많으며 뒷면은 털이 없는 것이 많으나 단모와 성모가 있는 것도 흔히 있고 주맥 위에 단모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엽병은 길이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다. 수꽃 이삭은 길게 늘어지고 암꽃 이삭은 짧고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 : 각두는 얕은 또는 깊은 반구형이며 중간형의 포린으로 덮여 있으나 신갈나무의 것이 강하게 나타나고 깊이 4-16mm 지름 6-25mm이다. 견과는 중간형이며 길이 5-28mm 지름 4-18mm이고 긴 타원형이다.
줄기 : 소지는 지름 2-6mm이고 털이 거의 없으나 간혹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제주도와 지리산 중턱 및 산등성이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잡종으로서 신갈나무에 비해 잎의 톱니가 깊고 끝이 뾰족하며 측맥은 10-15개이다.
-
Read MoreNo Image
물질경이
학명 : Ottelia alismoides (L.) Per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라풀과(Hydrocharitaceae) target=_blank>자라풀과(Hydrochar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질경이속(Ottelia) target=_blank>물질경이속(Ottelia)</a>
이명 : 물배추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며 엽병이 있고 얇으며 처음 나온것은 도피침형 나중 나온 것은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자갈색을 띤 녹색이며 길이 10~25cm 폭 2~15cm이고 끝이 둔하며 5~9개의 평행맥이 측맥으로 연결되어 그물모양을 이루고 가장자리에 주름과 더불어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화경(花莖) 끝에서 포에 싸인 1개의 꽃이 9월에 피며 포는 통처럼 되고 닭벼슬같은 날개가 있으며 길이 4cm정도이다. 꽃은 양성이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3개이며 수술은 6개이다. 꽃잎은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3.5cm로서 백색 바탕에 연한 홍자색이며 기부에 작은 부속체가 있다. 자방은 하위로서 포로 싸여 있으며 6-9실이고 암술머리는 6개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5cm로서 타원형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있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가 없다.
뿌리 : 뿌리줄기가 없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수생 1년초
-
Read MoreNo Image
물지채
학명 : Triglochin palustr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채과(Juncaginaceae) target=_blank>지채과(Junc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지채속(Triglochin) target=_blank>지채속(Triglochin)</a>
이명 : 솔장포
잎 : 잎은 선형이고 횡단면은 반원형으로서 부드러우며 길이 13-22㎝ 폭 1㎜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엽초끝은 막질로 되어있으며 엽설의 길이는 1㎜이다.
꽃 : 7-8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15-40cm의 화경(花莖)이 자라 윗부분에 자줏빛이 도는 녹색꽃이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3mm이지만 4-8mm로 자라고 화피와 수술은 각 6개이며 암술은 1개로서 3개의 합생심피(合生心皮)로 되고 암술대가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선형이고 길이는 8-10㎜ 지름 1.2mm로서 밑부분이 3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각 심피에 1개씩 들어 있다.
줄기 : 밑부분이 굵고 잎이 총생하며 포복지가 뻗는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지역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물잔디
학명 : Pseudoraphis ukishib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잔디속(Pseudoraphis) target=_blank>물잔디속(Pseudoraphis)</a>
이명 : 선물잔디
잎 : 잎은 선형이며 길이 3-5㎝ 나비 2-4㎜로서 분록색이고 엽설은 절두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총상화서는 길이 3-6cm로서 잎 사이에서 환전히 나오지 않으며 꽃이 진 다음 1-2개의 잎과 더불어 젖혀진다. 중축은 밋밋하고 가지는 길이 2.5cm로서 중앙보다 밑부분에 1개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소수는 대가 없으며 점첨두이고 길이 4-5mm로서 1-2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가지 끝이 굳은 털로 끝나므로 까락같이 보인다. 첫째 포영은 길이 0.5mm정도이고 둘째 포영은 가장 길며 7맥이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3개로 갈라지며
줄기 : 총생하고 사방으로 퍼져서 물 위에 뜨며 물이 마르면 진흙 위에 퍼지고 길이 60cm이상 자라며 끝부분이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물잎풀
학명 : Hygrophila salicifolia (Vahl) Nee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target=_blank>쥐꼬리망초과(Ac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잎풀속(Hygrophila) target=_blank>물잎풀속(Hygrophila)</a>
이명 : 꽃망초 망초 물망풀물버들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5-15mm로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波狀)이다.
꽃 : 9월에 개화하고 화경이 없고 엽액에 모여 달리며 포엽과 소포엽이 꽃받침보다 짧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넓은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화관은 연한 자주색이며 길이 1-1.2cm로서 통부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입술같이 된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열매는 끝이 뾰족하며 길이 1-1.2cm이고 2개로 갈라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4각형이며 가지가 적고 마디 밑부분이 굵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많은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물옥잠
학명 : Monochoria korsakowii Regel & Maa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옥잠과(Pontederiaceae) target=_blank>물옥잠과(Pontede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옥잠속(Monochoria) target=_blank>물옥잠속(Monochoria)</a>
잎 : 잎은 밑부분에서 돋은 것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줄기와 더불어 스폰지같은 구멍이 많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자줏빛이 난다. 엽신은 심장형이며 점첨두이고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4-15cm로서 질이 연하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원추화서는 길이 5-15cm로서 밑부분에 엽상의 포가 있고 꽃은 소화경이 있으며 지름 2.5-3cm로서 청자색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수평으로 퍼지고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5cm 폭 8mm 가량이다. 수술은 6개로서 5개는 작고 황색이지만 1개는 크고 자주색이며 수술대에 갈고리같은 돌기가 1개 있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가늘며 수술보다 긴 자방은 성숙함에 따라서 밑을 향하기 때문에 처진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cm 정도이며 육질이고 3능상으로 밑으로 처지며 끝에 암술대가 숙존하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 :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수초이다.
특징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의 늪지식물은 천연기념물 제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3 911㎡정도이고 이곳에 나는 늪지식물은 자라풀 줄풀 세모고랭이 방울고랭이 창포 개구리밥 물옥잠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붕어마름 털개구리나리 애기마름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물오리나무
학명 : 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리나무속(Alnus) target=_blank>오리나무속(Alnus)</a>
이명 : 덤불오리나무 물갬나무산오리나무 참오리나무 털떡오리나무 털물오리나무
잎 : 잎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4cm 로서 예두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5-8개로 얕게 갈라지며 복거치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맥위에 잔털이 있고 뒷면은 회백색으로서 갈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맥 위에만 남으며 엽병은 길이 2-4c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수꽃은 가지 선단에 2-4개가 달리며 암꽃은 수꽃 밑에 3-5개씩 모여 달리고 3-4월에 개화한다.
열매 : 과수는 보통 3-4개씩 달리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1.5-2cm로서 짧은 대가 있거나 없고 익으면 흑갈색으로 되며 실편은 떨어지지 않고 소견과는 좁은 날개가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60cm이며 수피는 평활하며 회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밀생하나 점차 없어지고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중부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민물오리나무(for. glabra T. Lee): 어린가지에 처음부터 털이 없으며 잎 뒷면에 털이 없거나 맥위에만 잔털이 있다.
특징 : 제1차 천이식생의 선구 역할을 하는 사방조림 수종으로 물갬나무와 함께 많이 식재되었고 맹아력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물여뀌
학명 : Persicaria amphibia (L.) S.F.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개구리낚시
잎 : 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5cm 폭 2-6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부분은 심장저이다. 엽병은 물속의 것은 길며 지상부의 것은 짧고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며 중앙에서 엽병 밑부분이 붙어 있다. 물에 뜨는 잎은 가래잎처럼 보이고 육지에서 난 포기의 잎은 피침형으로 털이 있다. 엽병이 턱입초 중부 이상에 달리는 것으로 구별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3-4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연한 홍색이고 수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와 길이 2-4cm로 자라며 화경이 있고 때로는 옆에서 작은 화서가 발달한다. 소화경은 소포보다 길며 수술은 5개이고 화피보다 다소 길다.
열매 : 열매는 둥근 렌즈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흑갈색이다.
줄기 : 원줄기가 진흙 속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지상에서 자라는 것은 곧추서서 많은 잎이 달리지만 물속에서 자라는 것은 엽액에서 꽃이 피는 짧은 화경이 나오고 모두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길게 가로 뻗어가면서 번식한다.
분포 :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우리 나라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바늘여뀌(P. bungeana): 짧은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가시여뀌(P. fauriei): 줄기는 적색 선모가 밀생 잎은 줄기와 함께 짧은 가시털이 있다.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특징 : 지상에 자라는 것은 곧추서서 많은 잎이 달리지만 물속에서 자라는 것은 엽액에서 꽃피는 짧은 화경이 나온다.
-
Read MoreNo Image
물엉겅퀴
학명 :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섬엉겅퀴 울릉엉겅퀴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는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로 되지만 원줄기를 감싸거나 밑으로 흐르지 않고 길이 20~30c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가 대개 밋밋하고 치아상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끝에 길이 1~2mm의 가시가 있고 때로는 5~6쌍의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11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두상화는 지름 2.5~3cm로서 꽃이 필 때 처지며 화경이 있다. 총포는 종형이고 밑부분이 들어가며 거미줄같은 털이 있는 것도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편과 중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좁아져서 가시로 끝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퍼지거나 젖혀진다. 화관은 길이 16~20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3.5mm로서 네모가 지고 관모는 길이 13~15mm로서 오갈색(汚褐色)이다.
줄기 : 높이 1-2m이고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거나 없다.
분포 : 울릉도 성인봉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물억새
학명 :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억새속(Miscanthus) target=_blank>억새속(Miscanthus)</a>
이명 : 큰억새
잎 : 잎은 길이 40-80cm 넓이 1-3cm로서 밑부분의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을 띤다. 엽초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엽설은 길이 0.5-1mm이고 끝은 둥글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5-40cm 폭 5-12cm로서 산방상이고 화서축은 원추화서 길이의 1/2정도이며 마디 부근에 털이 있다. 가지는 길이 20-40cm이고 소수(小穗)는 2개씩 달리며 길이 5-6mm로서 피침형 예첨두이고 길고 짧은 대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길이 10-15mm의 백색털이 속생한다. 첫째 포영은 길이 4-5mm이며 윗부분에 긴 털이 있고 둘째 포영은 주형(舟形)으로서 3맥이 있다. 첫째 외영은 선상피침형으로 3맥이고 털이
줄기 : 높이 1-2.5m이고 곧추서며 털이 없으나 마디에는 긴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땅속으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대형의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넓은잎물억새 (for.latifolius Adati) : 잎의 나비가 3-5cm이다. ▶가는잎물억새 (var.gracilis Y.Lee) : 잎의 나비가 5-10mm이고 첫째 포영에 2맥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물양지꽃
학명 :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세잎딱지 세잎물양지꽃
잎 : 근생엽은 꽃이 필때 말라 없어지고 경생엽은 3출엽으로서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지만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엽병 밑에는 피침형의 탁엽이 있다. 소엽은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4-7cm 폭 2-3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복거치가 있으며 줄기와 엽병에 퍼진 털이 있고 잎에 복모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황색이고 가지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부악편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거나 약간 짧으며 소화경 윗부분과 꽃받침 밑부분에 융모가 있다. 암술과 수술은 많고 화탁에 짧은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1mm정도로서 연한 색이고 털이 없으며 잔주름이 있다.
줄기 :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나고 많은 가지를 낸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물앵도나무
학명 : Lonicera ruprechtian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물괴불나무 털괴불나무 털괴뿔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도란형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에 융모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5-8mm로서 융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cm로 잔털이 있고 곧으며 2개의 꽃이 달리고 포는 가늘며 선형이고 길이 2cm정도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털이 있으며 소포는 난형이고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화관은 길이 1.5-1.8cm로서 통부는 짧고 겉에 털이 없으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고 기부가 사마귀처럼 되며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고 수술대는 암술대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자방은 서로 떨어져 있고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며 지름 5-7mm이고 9-10월에 홍색 또는 황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가지의 골속은 비었고 소지에 융모가 있다.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마디꽃
학명 : Rotala indica (Willd.) Koehn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꽃과(Lythraceae) target=_blank>부처꽃과(Lyth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디꽃속(Rotala) target=_blank>마디꽃속(Rotala)</a>
이명 : 개마디꽃마디풀새마디꽃새마디풀참마디꽃
잎 : 잎은 대생하며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가 5-10mm 폭은 3-5mm이다. 가장자리가 투명한 연골질이고 끝이 둥글며 엽병이 없다.
꽃 : 연한 홍색이고 지름이 2mm가량되는 꽃이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이 없다. 소포는 2개이고 선형이며 꽃받치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길이는 약 1.5mm이고 위부분이 4개로 갈라진다. 열편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잎은 작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형이고 꽃받침보다 밖으로 나가지 않으며 암술대는 길이 0.6mm정도 된다
줄기 :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다가 비스듬히 서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때대로 홍자색이다.
분포 : 중부 이남 논밭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일년초.
형태 : 일년초
-
Read MoreNo Image
들배나무
학명 : Pyrus uyematsuan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나무속(Pyrus) target=_blank>배나무속(Pyrus)</a>
이명 : 들배
-
Read MoreNo Image
물쑥
학명 :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뿔쑥
잎 :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쯤되면 없어지며 길이 2.5-5cm이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나비 6-1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줄기 중부의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질이 두꺼우며 길이 4-7cm 폭 3-9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우상으로 3-5가닥 깊게 갈라진다. 잎표면은 털이 없으나
꽃 :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3mm 폭 2-2.5mm로서 종형이고 원줄기 끝 엽액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전체가 좁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종형이고 짧은 소화경이 달리며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로서 길이 1.2mm이고 황갈색이며 중편은 넓은 난형 내편은 긴 타원형이다. 가장자리의 8-12개 꽃은 암꽃으로 화관은 길이 1mm정도이고 중앙의 10-12개 꽃은 양성화로서 화관의 길이는 2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 갈색이며 길이 1.5mm정도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며 담록색 또는 홍자색을 띠고 털이 없이 매끈하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외잎물쑥 for.simplicifolia Pampan.: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