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모시풀

조회 수 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Boehmeria nivea (L.) Gaudich.
과명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모시풀속(Boehmeria)
이명 남모시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0-15cm 폭 6-12cm로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밑부분은 둔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며 맥 위에 퍼진 털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퍼진 잔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추화서로 엽액에 달리고 화서가 엽병보다 짧다. 수꽃 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 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0cm이다. 수꽃은 황백색으로 화피 4장 수술 4개로 되어 있다. 암꽃은 연녹색으로 통모양의 화피에 싸이고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둥글게 되며 암술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여러 개가 함께 붙어 있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 1-2m이고 둥글며 약간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녹색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퍼진 잔털이 많다.
뿌리 뿌리는 목질로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유사종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개모시풀(B. platanifolia Fr. et Savat.):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특징 섬유자원으로 재배하는 다년초로서 야생상으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rey. Voy. Bot. 499 (1830)
참고문헌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목포용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cryptanthum H.Lev. & Vanio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누른용둥굴레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좁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4㎝로서 양끝이 좁으며 짧은 엽병이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때로는 잎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엽액(葉腋)에 달리며 길이가 13㎜이며 암술이 수술보다 짧고 암술대가 자방 길이의 2배 정도이다. 때로는 화경·포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회녹색이고 화경의 길이 1-2㎝로서 털이 없으며 끝에 2-3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4㎜이다. 수술대는 편평하고 잔돌기가 있다.
    열매 : 장과(漿果)는 둥글며 흑남색으로 익는다.

    뿌리 : 굵은 근경이 뻗는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용둥글레 안민용둥글레
    특징 : 윗부분에 능각이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Read More
  2. No Image

    목포사초

    학명 : Carex genkaiensis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나비 2-6mm로서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며 윤채가 있고 약간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3-7개이며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선형이다.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원주형이고 길이 1-4cm 나비 2.5mm로서 엽초 속 또는 밖으로 나오는 대가 있으며 서로 접근하지만 밑부분의 1-2개는 떨어져 있다. 포는 잎같은 것과 침상의 것이 있고 엽초가 길며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형이고 뒷면에 1맥이 있으며 끝이 둔하고 윗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열매 : 과포는 곧게 서며 막질이고 난상 방추형이며 길이 3-3.5mm로서 연한 녹색 바탕에 맥이 많고 잔털이 드문드문 돋으며 표주박 비슷하고 부리는 짧으며 윗부분이 오그라든다. 수과는 밀접하고 긴 타원형으로서 각 능선이 중앙부에서 약간 들어가며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줄기 : 총생하며 원줄기는 높이 30-50cm로서 둔한 삼각형이고 약간 밋밋하다.

    분포 : 목포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긴목포사초와 비슷하나 자화영의 끝이 둔한 것이 다르다.
    Read More
  3. No Image

    목포대극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var. subulatifolius (Hurus.)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이명 : 목포버들옻 )
    잎 : 잎은 호생하고 밀생 피침형 선상 피침형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고 길이는 4~7cm이다. 중륵이 뒷면 끝까지 돌출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 끝의 잎은 윤생하며 다른 잎과 비슷하다.
    꽃 : 꽃은 5월에 황록색으로 핀다. 배상화서가 달린다. 총포는 잎 모양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cm이다. 선체는 다소 선형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겉은 돌기가 밀생하고 둥근 모양이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4. No Image

    목서

    학명 :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서속(Osmanthus) target=_blank>목서속(Osmanthus)</a>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7~12cm 폭 2.5~4cm인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예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중륵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털이 없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측맥이 솟아 나와 있다. 엽병은 길이 7-15m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 지름 5㎜정도이며 황백색인데 엽액에 뭉쳐 달리고 길이 7-10mm의 소화경이 있으며 9월에 개화한다. 꽃은 작아서 그리 아름답다고는 할 수 없으나 향기만은 비길 데 없이 향기로워서 멀리서도 알아차릴 만큼 짙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개로 갈라지고 화관도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 원두이고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다음해 10월에 암자색으로 결실한다.
    줄기 : 가지에 털이 없고 연한 회갈색이다.

    분포 : 경남 전남지역의 따뜻한 곳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금목서(var. aurantiacus Makino) : 등황색 꽃이 핀다. 금목서가 가장 향기롭다. ▶은목서: 흰빛꽃이 핀다. ▶박달목서: 우리나라 거문도에 자생하는 흰꽃이 핀다.
    특징 :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이루며 맹아력이 좋다.
    Read More
  5. No Image

    목련

    학명 : Magnolia kobus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목련과(Magnoliaceae) target=_blank>목련과(Magn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련속(Magnolia) target=_blank>목련속(Magnolia)</a>

    잎 : 엽아에는 털이 없으나 화아의 포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은 길이 5~15cm 폭 3~6cm이고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며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3-4월 중순부터 잎이 나오기 전에 피고 지름 10cm정도이며 6개의 꽃잎은 백색(백목련은 9개)이지만 기부는 연홍색이고(백목련도 백색이나 기부에 담홍색은 없음) 향기가 있으며 길이 5-8cm정도로서 6-9개이고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잎은 3개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5cm 폭 3-4㎜로서 일찍 떨어지며 수술은 약 30개이고 꽃밥과 수술대 뒷면이 적색이다. 암술의 꽃밥은 붉은 자주색을 띤다. 꽃이 활짝 피어 편평하게 펴져서 산만한
    열매 : 긴 화경에 붙은 타원형의 집과로 길이 5~7cm로서 곧거나 구부러지고 종자는 타원형이며 길이 12-13mm이고 외피는 적색을 띠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0m 지름 1m이고 수피는 진갈색이며 가지는 굵고 털이 없으며 많이 갈라진다.동아에는 털이 없으나 화아의 포에 밀모가 있다.
    뿌리 : 직근과 잔근이 자란다.
    분포 : ▶일본 북해도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한라산의 표고 1 300m의 개미목 부근에 자생하며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유사종 : 백목련 자목련 일본목련 등이 있다.
    특징 : ▶목련의 기본종으로 코브시목련 산목련이라고도 불리운다. 이 꽃은 외국에서 육종개량된 꽃들의 화려함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있다. 원예종이 개발되어서 대목으로 좋으며 매우 중요하다. ▶백목련과 유사하나 6-9개의 꽃잎을 가지며 꽃의 지름이 10cm이하이고 밑부분에 연한 홍색줄이 있는 것이 다르다.
    Read More
  6. No Image

    모시풀

    학명 : Boehmeria nivea (L.) Gaudi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시풀속(Boehmeria) target=_blank>모시풀속(Boehmeria)</a>
    이명 : 남모시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0-15cm 폭 6-12cm로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밑부분은 둔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며 맥 위에 퍼진 털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퍼진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추화서로 엽액에 달리고 화서가 엽병보다 짧다. 수꽃 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 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0cm이다. 수꽃은 황백색으로 화피 4장 수술 4개로 되어 있다. 암꽃은 연녹색으로 통모양의 화피에 싸이고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둥글게 되며 암술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여러 개가 함께 붙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1-2m이고 둥글며 약간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녹색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퍼진 잔털이 많다.
    뿌리 : 뿌리는 목질로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개모시풀(B. platanifolia Fr. et Savat.):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특징 : 섬유자원으로 재배하는 다년초로서 야생상으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Read More
  7. No Image

    모시물통이

    학명 : Pilea mongolica Wed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통이속(Pilea) target=_blank>물통이속(Pilea)</a>
    이명 : 모시물퉁이 푸른물퉁이 푸른물풍뎅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고 끝이 짧은 꼬리처럼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고 밑에서 3맥이 발달하며 길이 1.5-10cm 나비 1-7cm로서 가장자리에 삼각상의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고 기부의 턱잎은 뚜렷하지 않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피며 엽액에 암수꽃이 모여서 길이 1-3cm의 밀산화서(密傘花序)를 형성한다. 수꽃은 꽃잎과 수술이 각각 2개이다.(물통이는 각각 4개이다.) 암꽃은 꽃받침이 깊게 3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잎은 길이가 다르고 긴 것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중륵이 뚜렷하며 암술 1개와 헛수술이 3개 있고 화피는 숙존하여 꽃이 핀 다음 자라서 열매를 감싼다. 암술머리는 솔처럼 되고 암꽃에 3개의 헛수술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한 난형이고 길이 1-1.2mm로서 매끈하며 약간 도드라진 갈색 반점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50cm이고 둥글며 담록색의 반투명한 육질로 매끈하고 식물체에 물기가 많고 털이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이다.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 잎 모양이 모시풀과 같으나 식물체에 수분이 많기 때문에 모시물통이라고 한다.
    Read More
  8. No Image

    모시대

    학명 :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그늘모시대모시때 모싯대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고 계란형 심장형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20cm 나비 3~8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예저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해 엉성한 원추화서로 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녹색이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화관은 길이 2-3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벌어진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타원형의 삭과가 결실한다.
    줄기 : 높이 40-100cm이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의 심산 수림 밑이나 계곡 산기슭 등 다소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한다.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모시대(for. leucantha HONDA)는 백색 꽃이 핀다.

    Read More
  9. No Image

    모새달

    학명 :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새달속(Phacelurus) target=_blank>모새달속(Phacelurus)</a>

    잎 : 잎은 편평하며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0-40㎝ 나비 1-4cm로서 털이 없거나 긴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가장자리가 작은 톱니 모양으로 꺼칠꺼칠하다. 엽초는 둥글며 가장자리와 위끝에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2㎜이다.
    꽃 : 꽃은 6-10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10-25㎝로서 중축에 5-12개의 수상화서가 산방상으로 달리며 잎 뒷면과 더불어 분록색이거나 자줏빛이 약간 돈다. 소수(小穗)는 각 마디에 2개씩 달리고 그 중 1개는 대가 있으며 1개는 대가 없고 화수축에 붙어서 굵은 가지처럼 보인다. 소수는 길이 10mm정도로서 예두이며 까락이나 털이 없다. 대가 없는 포영은 2개의 능각과 4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1개의 능각과 3맥이 있다. 2개의 호영은 비슷하며 3맥이 있고

    줄기 : 높이 80-120cm이고 곧게 서며 가지는 없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황해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가는잎모새달 (var.angustifolius Kitag.): 잎의 나비가 5-8mm이고 화경(花莖)이 가늘다.

    Read More
  10. No Image

    모새나무

    학명 : Vaccinium bracteat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앵도나무속(Vaccinium) target=_blank>산앵도나무속(Vaccinium)</a>

    잎 : 잎은 어긋나며 길이 2.5-6.0cm 폭 1.0-2.5cm인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끝이 예첨두(銳尖頭)이며 밑부분은 점차 좁아져서 예저(銳底)로 된다. 양쪽에 선점(腺點)이 1개씩 있고 뚜렷하지 않은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의 길이는 2-6㎜이다.
    꽃 : 꽃은 밑으로 처지는 길이 2-5cm의 총상화서에 10개 정도 달리며 잔털이 있고 각 꽃마다 숙존하는 피침상의 포가 있다. 화관은 통상 난형으로 길이 5-7mm이고 홍백색이며 겉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끝이 2개로 갈라져서 길게 된다. 6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6mm이며 백분으로 덮여 있고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어린 가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고 어릴 때에는 점모양의 잔털이 있다.

    분포 : 전남 흑산도 이남의 도서지방과 제주도의 표고 600m이하의 산록 양지에서 주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 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특징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는 수종이 많다. 모새나무외에 차나무 참식나무 생달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참가시나무 자금우 광나무 붉가시나무등이 있다. ▶꽃은 은방울모양으로 특이하며 상록성의 초록색 잎과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맹아력이 좋고 수세가 강건하다.
    Read More
  11. No Image

    모밀잣밤나무

    학명 : Castanopsis cuspidata (Thunb.) Schottk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 target=_blank>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a>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긴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0cm로서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거나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미세한 인모(鱗毛)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흔히 연한 갈색으로 되는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1cm이다.
    꽃 : 꽃은 일가화이며 황색이고 5-6월에 피며 암꽃은 새가지의 엽액에 달리고 화피가 5-6개로 갈라지며 수꽃은 수술 10~12개이다. 자화수는 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꽃이 적고 암술대 각각 3개씩이다. 향기가 강하다.
    열매 : 견과는 난상 원형이며 지름 12mm정도로서 흑색이지만 마르면 갈색으로 되고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총포는 횡선으로 나열된 포린으로 덮여 있으며 견과를 둘러싸고 있으나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1m이며 수피는 흑회색으로서 평활하다. 가지가 가늘고 수피는 세로로 갈라진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지방 표고 200~700m 지대와 남쪽 섬에서 자란다.(제주도 남해도 거제도 완도 흑산도 등의 난대림지역)
    형태 : 상록활엽교목 원개형이다.
    유사종 : ▶구실잣밤나무(C. cuspidata Scohtt. var. sieboldii Nakai): 수피는 검은 회색이고 잎은 피침형 긴 타원형 광택이 있고 뒷면에 비늘 모양의 털(鱗毛)이 있다.
    특징 : ▶제주도와 남쪽 섬지방에서 찾을수 있다. ▶천연기념물 제343호로 지정되어있다. ⓐ소재지:경상남도 통영군 육지면의 모밀잣밤나무 숲 ⓑ면적:18 817㎡ ⓒ지정사유:자생지 학술림(이 숲에는 모밀잣밤나무 외에도 굴참나무 굴피나무 개서어나무 팔손이나무 애기등 해변싸리등의 목본 식물과 소엽맥문동 마 억새 하늘타리 애기나리등의 초본 식물이 자라고 있다.)
    Read More
  12. No Image

    모래지치

    학명 : Argusia sibirica (L.) Dand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래지치속 (Argusia) target=_blank>모래지치속 (Argusia)</a>
    이명 : 갯모래지치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7~3m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좁아져 엽병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질이 두껍다.
    꽃 : 꽃은 5~8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과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짧다. 꽃받침은 중앙까지 5열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이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수평으로 퍼지며 후부가 황색이고 수술은 5개이며 자방은 4실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넓은 타원상이고 4개의 둔한 능선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때로 가지가 갈라지며 전주에 백모가 밀생한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도에 나며(충북 제외)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자방이 갈라지지 않고 암술대는 정생하며 핵과가 생기고 해안에 난다.
    Read More
  13. No Image

    모래사초

    학명 : Carex drymophila var. pilifera Ku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곱슬사초 털잎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나비 2.5~4mm이며 회록색이고 엽초는 길며 종종 털이 있다. 기부의 엽초는 소형이고 붉은 자갈색으로 그물 같은 섬유로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3~6개의 소수가 달린다. 위쪽의 1~3개의 소수는 선형으로 길이 2~3cm이고 대가 없이 접근하여 곧추 서며 수꽃이 달린다. 아래쪽 2~3개는 원주형으로 길이 2~4cm이고 떨어져 나며 많은 암꽃이 밀생한다. 아래쪽 포는 엽상으로 엽초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장타원상 난형으로 뒤쪽에 3맥이 있고 짧은 까락이 있다.
    열매 : 과포는 둔한 삼릉형으로 맥이 많고 부리는 2열한다. 수과는 넓은 도란형이고 암술대는 끝이 3열한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한 3각형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거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4. No Image

    모래냉이

    학명 : Diplotaxis muralis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래냉이속(Diplotaxis) target=_blank>모래냉이속(Diplotaxis)</a>

    잎 : 잎은 근생엽과 경생엽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가지에 성긴 총상화서가 달린다. 꽃은 지름 5-8㎜이며 황색이다. 꽃받침은 4개 꽃잎은 4개로 길이 4-8㎜ 수술은 4강웅예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4.5㎝ 지름 1.5-2.5㎜ 잔존주두는 길이 1-2.5㎜이다. 종자는 길이 1㎜로 난형이며 황갈색 또는 회갈색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0-50㎝이다.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가지는 가늘며 곧게 또는 비스듬히 자란다. 경생엽은 없거나 또는 줄기 기부에 생기며 근생엽과 비슷한 크기가 작다.
    뿌리 : 근생엽이 로제트를 이루며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5-15㎝ 조거치(粗鋸齒)가 깊이 갈라진다.
    분포 : ▶북아메리카와 그 외에 남아메리카 호주 아프리카 등지에 귀화되었다. ▶제주도의 김녕해수욕장 주변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Tax.vol.28(4) ▶모래밭에 자라는 생태 특성을 살려서 모래냉이로 하였다.
    Read More
  15. No Image

    모람

    학명 : Ficus oxyphylla Miq. ex Zo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화과나무속(Ficus) target=_blank>무화과나무속(Ficus)</a>

    잎 : 잎은 혁질이고 호생하며 타원상 피침형으로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4-11cm 너비 1.3-4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표면은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엽맥이 그물처럼 튀어나온다. 엽병은 길이 7-20mm로서 잔털이 있다. 5-8쌍의 측맥이 있다.
    꽃 : 꽃은 액생하는 은두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대가 없고 구형이며 지름 1-1.2cm로서 자색에서 자흑색으로 익고 그 속에 많은 소화가 들어 있으며 암꽃은 3-4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암술대를 가진 자방이 있다. 7-8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은화과로 자루가 없고 구형이며 지름 1-1.2cm이고 10월에서 다음해 1월 사이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길이 2-5m 지름 8cm까지 자라며 기근(氣根)을 형성하여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 산다. 어린 가지는 수평으로 자라거나 밑으로 처지며 잔털이 있다. 왕모람에 비하여 과경이 거의 없으며 제주도에서는 해발 600m 이하의 산골짜기에 잘 자란다.

    분포 : ▶일본의 난대 지역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남부 지방의 해안과 섬 지방에 자생한다. 제주도 거제도 남해 흑산도 진도등 남쪽 도서 지방과 해안에 많이 자란다.
    형태 : 상록 만경목(蔓莖木).
    유사종 : ▶왕모람(F. stipulata) : 남쪽섬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1-5cm 열매가 모람보다 크다. ▶천선과(F. erecta) : 남부해안 2-4m 높이로 수피는 회백색 과실은 가을에 익고 흑자색 식용가능하다.

    Read More
  16. No Image

    모란바위솔

    학명 : Orostachys saxatilis (Naka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잎 : 밑부분 잎은 뚜렷한 로제트형을 하고 있으며 잎은 연변이 밋밋하며 흰색의 골질의 부속지를 가지고 있고 크기는 3~6cm×3~6mm이다. 경생엽의 경우 타원형이고 주걱형이며 연변이 밋밋한 흰색의 테두리를 갖고 있으며 끝에 뾰족한 부속지가 있다.
    꽃 : 꽃은 5수성으로 녹색을 띠고 있고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길이는 2mm이다.

    줄기 : 다육질이고 수염뿌리를 갖고 있으며 전체 크기가 30cm 정도이다.

    분포 : 한반도(평안남북도 북부 지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 북한에만 분포하는 종.
    Read More
  17. No Image

    모란

    학명 : Paeonia suffruticosa And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작약과(Paeoniaceae) target=_blank>작약과(Pae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작약속(Paeonia) target=_blank>작약속(Paeonia)</a>
    이명 : 목단 부귀화
    잎 : 잎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지는 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흔히 3-5개로 갈라지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잔털이 있으며 대개 흰빛을 띤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5월에 피며 10개 정도의 꽃잎이 있고 지름 15cm이상이고 새로 나온 가지끝에 크고 소담한 꽃이 한 송이씩 핀다. 꽃색은 자주색이 보통이나 개량종에는 짙은 빨강 분홍 노랑 흰빛 보라 등 다양하며 홑겹 외에 겹꽃도 있다. 화탁이 주머니처럼 되어 자방을 둘러싼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은 8개 이상이고 크기와 형태가 같지 않으며 도란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6개로서 털이 있다.
    열매 : 골돌과는 혁질이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고 7-9월에 익으며 내봉선(內縫線)에서 터져 종자가 나오며 종자는 둥글고 검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굵고 줄기의 직경이 15㎝인 것도 있으며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굵고 희나 잔뿌리가 적다.
    분포 :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재배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약 1 500년 전에 약용식물로 도입되었다. ▶홍색 흰색 등 원예품종이 많다.
    Read More
  18. 모데미풀

    학명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데미풀속(Megaleranthis) target=_blank>모데미풀속(Megaleranthis)</a>
    이명 : 금매화아재비 운봉금매화
    잎 :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서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엽병이 짧고 다시 2-3개로 깊게 갈라진 다음 결각상의 톱니가 생기거나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없고 톱니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이고 포는 잎과 같으며 크기도 비슷하고 경생엽이 없으며 중앙부에서 1개의 화경(花梗)이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화경은 길이 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며 자방과 수술은 많고 떨어진다.
    열매 : 골돌은 길이 12mm로서 길이 3mm정도의 암술대가 있으며 털이 없고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줄기 : 길이가 20-40cm정도이고 총생한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태백산 점봉산 설악산 등 고산·아고산지대의 800m이상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고산성 식물이다. 속명은 희랍어 megas(크다)와 Eranthis(나도바람꽃)의 합성명으로 Eranthis보다 크다는 뜻이며 종명은 참반디속의 잎과 비슷하다는 뜻이다. 번식 및 재배를 통해 경제적으로 이용하기는 어려운 식물이므로 식물원 등의 전문적인 기관에서 전시용 및 보존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2)
    file
    Read More
  19. No Image

    모기방동사니

    학명 : Cyperus haspan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동사니속(Cyperus) target=_blank>방동사니속(Cyperus)</a>
    이명 : 모기방동산이 애기방동사니 연줄방동사니
    잎 : 잎은 축 늘어지고 화경보다 짧으며 잎몸이 대개 없고 폭 2-6cm이다.
    꽃 : 꽃은 8-11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와 지름이 각각 8-15cm로서 산방모양으로 다시 갈라지거나 단순하고 소수가 성글게 달리며 포는 1-2개로서 화서와 길이가 같거나 길다. 가지는 많고 긴 것은 길이 5-10cm이며 소수병(小穗柄)은 끝에 4-5개의 소수가 장상으로 달린다. 소수는 선상 긴 타원형이고 편평하며 길이 5-15mm 폭 1.5-2mm로서 끝이 둔하고 주홍색이며 10-28개의 꽃이 달린다. 인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1.
    열매 : 수과는 인편 길이의 1/3정도이며 백색으로서 세모진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20-30cm이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땅속 깊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습지에서 자랄 때는 가는 지하경이 뻗으면서 마디에서 화경이 1개씩 나와 잎이 없는 엽초로 싸이지만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것은 총생하고 잎이 발달한다.
    Read More
  20. No Image

    모기골

    학명 : Bulbostylis barbata (Rottb.) Ku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기골속(Bulbostylis) target=_blank>모기골속(Bulbostylis)</a>
    이명 : 모기풀
    잎 : 잎은 녹색이며 선형이고 밑부분이 막질로 되며 엽초는 길이 5-20mm 폭 0.3mm로서 연한 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 밑에만 달리고 수 개의 맥이 있으며 줄기보다 짧다.
    꽃 : 꽃은 화경(花莖) 끝에 모여 1개의 두상화서처럼 되고 연한 갈색이며 포는 1-3개로서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2cm에 달하는 것이 있다. 소수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3-8mm로서 꽃이 나선상으로 달리고 전체가 검은 빛이 돌며 지름 2mm이다. 인편은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으로서 뒤로 젖혀진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작은 사마귀같으며 수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열매 : 수과는 밑부분에 가시같은 털이 없으며 세모진 원상 난형으로서 길이 0.5-0.7mm이고 부리는 흑갈색이다.
    줄기 : 여러 대가 한 포기에서 나오며 높이 5-40cm이고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이 없으며 수염뿌리가 있고 잎이 밑부분에만 달린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