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노루참나물

조회 수 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impinella gustavohegiana Koidz.
과명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참나물속(Pimpinella)
이명 가령참나물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넓은 난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3.5cm 폭 1.5-3cm로서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밀생하고 끝부분의 잎은 3-5개의 소엽으로 되며 엽병이 없다.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며 복산형화서로서 산경은 10~15개이고 길이 2~3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총포와 작은 총포가 없고 소화경은 길이 5-8mm이다.
열매 열매는 분과로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3mm로서 겉은 밋밋하고 털이 없다.
줄기 높이 3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백색털이 있다.
분포 우리나라 북부 제주도 경기도 함경남도
형태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 Austr. Higo. 84 (Mayeb., 193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No Image

    누른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괭이눈속(Chrysosplenium) target=_blank>괭이눈속(Chrysosplenium)</a>
    이명 : 북괭이눈
    잎 : 잎은 화경에서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난상 원형 또는 거의 둥글지만 화경 밑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길이 3~10cm의 화경 끝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로 거의 둥글고 위를 향하며 밝은 황색이지만 꽃이 진 다음에는 녹색으로 되고 길이 2~3mm이다. 수술은 4개이고 꽃받침과 대생하며 보다 짧다.
    열매 : 열매가 맺을 때 종자의 표면이 돌기가 없이 매끈하다.
    줄기 : 전체에 털이 많고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다.

    분포 : 중부 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2. No Image

    뇌성목

    학명 : Lindera glauca var. salicifolia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9%EB%82%98%EB%AC%B4%EA%B3%BC(Lauraceae) target=_blank>녹나무과(La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생강나무속(Lindera) target=_blank>생강나무속(Lindera)</a>
    이명 : 뇌성나무뢰성나무 잔자목
    잎 : 잎은 길이 5-14㎝ 넓이 1.5-2.5㎝의 도피침형으로 예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로서 중륵 윗부분에 짧고 가는 털이 밀생한다. 두껍고 윤채가 나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호생한다. 엽병의 길이는 6-10㎜이다. 새순은 주홍색이며 단풍은 주홍색 또는 황색이고 새순이 돋을 때까지 낙엽이 지지 않는다.
    꽃 : 암수딴그루로 개화기는 4월로 잎이 필 때 엽액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황색 꽃이 핀다. 화피는 6개로 갈라지며 9개의 수술은 바깥줄에 6개 안쪽줄에 3개있고 안쪽것은 선체(腺體)가 2개씩 있다. 화경은 길이5㎜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12mm정도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이고 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회백색으로 평활하며 어린가지는 붉은빛이 나며 털이 없다. 겨울에도 마른잎이 떨어지지 않는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50-1 100m에 자라며 특히 지리산 줄기를 따라 남부 지방에 많이 자생하며 고성의 바닷가 숲속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백동백(L. glauca Bl.): 잎은 길이 5-14㎝ 나비 1.5-2.5㎝의 타원형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회갈색이고 엽병의 길이는 6-10㎜이다. 새순은 주홍색이며 단풍은 주홍색 또는 황색이다.
    특징 : 감태나무의 변종이다.
    Read More
  3. No Image

    놋젓가락나물

    학명 : Aconitum ciliare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선덩굴바꽃
    잎 : 잎은 어긋나며 엽병이 길고 3-5갈래로 전열(全裂)되며 열편은 능형(菱形)이고 다시 갈라진 피침형의 최종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의 수가 적고 화서축과 소화경에 잔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꽃잎같고 5개로서 뒤쪽의 것이 고깔처럼 밑부분의 것을 내려 덮으며 이마끝이 뾰족하게 앞으로 뻗는다. 측열편은 도란상 원형이고 밑의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수술이 많고 수술대 밑부분이 날개처럼 넓다. 자방은 5개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는 뾰족하며 뒤로 젖혀진다.
    열매 : 과실은 골돌과로서 5개이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 :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면서 길이 2m정도 뻗는다.
    뿌리 : 뿌리는 마늘쪽처럼 생겼다.
    분포 : ▶만주에 분포한다. ▶서울(북한산) 경북(팔공산 일월산 황학산) 전남 전북 충남(계룡산) 강원(백석산 치악산 설악산) 경기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노랑돌쩌귀(A. koreanum) ▶지리바꽃(A. chiisanense) ▶투구꽃(A. jaluense)) ▶진돌쩌귀(A. seoulense)

    Read More
  4. No Image

    논피

    학명 : Echinochloa oryzoides (Ard.) Frit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속(Echinochloa) target=_blank>피속(Echinochloa)</a>

    잎 : 제1포영의 길이는 제2소화 호영 길이의 1/2인 특징을 갖는다. 잎은 길이 10~20cm 정도 나비 8~12mm 정도 되며 엽설은 없다. 짧은 통이 화서축에 배열하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수는 2개의 소화로 되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2~2.5mm 나비 3mm 정도이고 제2포영은 길이 5mm 나비 3mm 정도 된다. 제1소화의 호영은 길이 5mm 제2소화의 호영은 길이 4mm 정도 되며 혁질이다. 내영은 길이 4mm 나비 2mm 정도





    형태 : 1년생 초본


    Read More
  5. No Image

    논뚝외풀

    학명 : Lindernia micrantha D.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밭뚝외풀속(Lindernia) target=_blank>밭뚝외풀속(Lindernia)</a>
    이명 : 고추풀 드렁고추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cm 폭 3~6(8)mm로서 가장자리에 낮고 편평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옆으로 퍼지고 길이 1cm 정도이다. 꽃받침은 길이 4-5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털이 없다. 화관은 길이 1cm정도로서 양순형이고 상순은 얕게 2개로 하순은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중 앞쪽의 2개는 꽃밥 끝이 뾰족하게 자라서 가지처럼 되며 밑부분에 있는 2개의 하순은 암술대 밑에 각각 1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선형이고 길이 10~15mm로서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8-25cm이고 털이 없으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와 경기도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외풀과 비슷하지만 논뚝에서 흔히 자라기 때문에 논뚝외풀이라고 한다.
    Read More
  6. No Image

    논두렁사초

    학명 : Carex autumnalis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단단하고 폭 2.5-3㎜이고 엽초는 검은 갈색이다.
    꽃 : 작은 이삭은 10개 정도이고 수꽃이삭은 줄기끝 쪽에 달리며 이삭자루는 거의 없고 길이 12-20㎜ 폭 1.5-2㎜이다. 양성화 이삭은 줄기옆에 달리고 넓은 선형이다. 꽃이 성기게 달리고 길이 10-30㎜ 폭 1-3㎜로 이삭자루가 있다. 포는 엽초가 길고 가장 아래쪽의 포는 끝에 짧은 강모 모양의 잎몸이 있다. 과낭은 비늘조각의 2배 길이로 길이 3㎜ 폭 1㎜로 타원형이고 희미한 맥이 있으며 끝이 매우 거칠고 뻣뻣한 털이 있거나 없으며 부리는 짧고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줄기 : 줄기는 느슨하게 밀생한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산록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7. No Image

    논냉이

    학명 : Cardamine lyrat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냉이속(Cardamine) target=_blank>냉이속(Cardamine)</a>
    이명 : 논황새냉이
    잎 : 잎은 호생하며 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이 가장 크며 소엽은 3-13개이고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톱니가 없거나 약간 파상이다. 옆으로 뻗는 가지의 잎은 정소엽 뿐이고 원형 아심장저로서 흔히 엽액에서 뿌리가 돋는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백색 십자화 10~30개가 총상화서로 달리고 화서는 꽃이 핀 다음 길게 자란다. 꽃받침은 4개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녹색이며 길이 4mm이다. 꽃잎은 넓은 도란형으로서 길이 8~10mm이다. 수술 6개 중 4개는 길며 암술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과로서 길이 1-2cm의 대가 있으며 길이 2~3cm 폭 1mm이고 비스듬하게 위로 퍼지며 털이 없다. 종자 둘레에는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꽃이 필 때까지는 곧게 서지만 꽃이 지면 기부에서 가늘고 긴 가지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에 털이 없고 포복지를 뻗는다.
    Read More
  8. No Image

    노린재나무

    학명 :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Naka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A6%B0%EC%9E%AC%EB%82%98%EB%AC%B4%EA%B3%BC(Symplocaceae) target=_blank>노린재나무과(Symplo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린재나무속(Symplocos) target=_blank>노린재나무속(Symplocos)</a>

    잎 : 잎은 길이 3~7cm 나비 3~4cm정도로 타원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이고 점첨두 또는 첨두이며 넓은 예저이다. 보통 가장자리에 긴 톱니가 있으나 때로는 뚜렷하지 않고 호생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두색으로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4-8㎝로서 새로 난 가지 끝에 달리며 화경에 털이 있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옆으로 퍼진다. 꽃은 지름 8-10mm이고 5월에 백색으로 핀다. 꽃잎은 장타원형으로 수술이 많고 약 보름간 꽃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은은한 향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8㎜로서 타원형이고 9월에 벽색(碧色)으로 익는다.
    줄기 : 가지는 퍼지고 작은 가지에는 털이 있다.
    뿌리 : 심근성이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인도에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1 950m 까지 자라며 태백산 일대에 드문드문 광범위하게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흰노린재(var. leucocarpa Ohwi): 열매가 흰색으로 익으며 강원도 장전에서 자란다. ▶섬노린재(Symplocos coreana Ohwi): 제주도에서 자란다. ▶검노린재(S. paniculata Miq.): 열매가 검은색이다.
    특징 : 가을에 단풍이 든 잎을 태우면 노란색 재를 남긴다 하여 `노린재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하나의 줄기가 곧게 올라와 많은 가지를 내어 우산모양의 수형을 만든다. 흰꽃이 만발하면 나무 전체가 눈에 덮인 듯한 모양이고 가을에 하늘처럼 푸르게 익는 열매 또한 일품이다.
    Read More
  9. No Image

    노루참나물

    학명 : Pimpinella gustavohegiana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물속(Pimpinella) target=_blank>참나물속(Pimpinella)</a>
    이명 : 가령참나물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넓은 난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3.5cm 폭 1.5-3cm로서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밀생하고 끝부분의 잎은 3-5개의 소엽으로 되며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며 복산형화서로서 산경은 10~15개이고 길이 2~3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총포와 작은 총포가 없고 소화경은 길이 5-8mm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3mm로서 겉은 밋밋하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백색털이 있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제주도 경기도 함경남도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0. No Image

    노루오줌

    학명 : Astilbe rubra Hook.f. & Thomson var. rub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오줌속(Astilbe) target=_blank>노루오줌속(Astilbe)</a>
    이명 : 노루풀왕노루오줌큰노루오줌
    잎 : 잎은 호생하고 3개씩 2-3회 갈라지며 엽병은 길고 정소엽은 긴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짧은 예두이며 둔저 또는 심장저에 가깝고 가장자리에 복거치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소엽은 길이 2-8㎝ 폭 1-4㎝로서 종이같이 얇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줄기끝에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서는 길이 30cm정도로서 많은 꽃이 달리며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꽃잎은 5개로서 선형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3-4mm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줄기가 직립하며 긴 갈색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짧게 뻗어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진퍼리노루오줌(A. divaricata NAK.) ; 제1차 우편의 소엽병과 엽축의 각이 90˚또는 둔각이며 광릉 및 함북에서 자란다. ▶숙은노루오줌(A. koreana NAK.): 노루오줌과 비슷하나 화서가 처진다.
    특징 : 속명 Astilbe는 희랍어 a(無(무))와 stilbe(윤채)의 합성어이며 Aruncus속에 비하여 잎에 윤채가 없음을 나타낸다.
    Read More
  11. 노루삼

    학명 : Actaea asiatica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삼속(Actaea) target=_blank>노루삼속(Actaea)</a>

    잎 : 경생옆은 2-3개이며 엽병이 길고 2-4회 3출복엽이며 최종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과 톱니가 있고 때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3-7cm 폭 2-5cm로서 맥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상부에서 길이 3-5cm의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10-15mm 지름 1mm정도로서 성숙기에 암적색으로 된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꽃이 피면 곧 떨어진다. 꽃잎은 6개이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2-2.5mm이다. 수술은 많고 길이 4mm정도이며 수술대는 실모양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6mm이고 7-8월에 익어 흑자색으로 된다. 소과경은 지름 0.6mm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40-70cm이며 기부에 몇개의 갈색 인편이 있고 털은 없으나 다만 윗부분 화서 부근에 짧은 권모(卷毛)가 있고 갈라지지 않고 2-3개의 큰 잎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홍갈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붉은노루삼 (A.erythrocarpa FISCH.) : 열매가 적색 또는 백색이다.

    file
    Read More
  12. No Image

    노루발

    학명 :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A3%A8%EB%B0%9C%EA%B3%BC(Pyrolaceae) target=_blank>노루발과(Pyr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발속(Pyrola) target=_blank>노루발속(Pyrola)</a>
    이명 : 노루발풀
    잎 : 잎은 1-8개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4-7cm 넓이 2.5-4.5cm이고 둔두 둔저이며 흔히 엽병과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표면은 엽맥부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는 낮은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3-8cm이다.
    꽃 : 화경은 길이 10-25cm로서 능선이 있고 1-2개의 인엽이 있으며 7월에 화경(花莖)은 길이 15-30cm로서 능선이 있으며 1-2개의 인엽이 달리고 윗부분에 2-12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지름 12-15mm로서 백색이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mm로서 소화경보다 길거나 같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가 나비보다 2.5-3배 길며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이 길게 나와 끝이 위로 굽는다.
    열매 : 삭과는 지름 7-8mm로서 편평한 구형 익으면 5개로 갈라지고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는 땅속줄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울릉도 전남(지리산 완도)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북 강원 경기(광릉) 등에 야생한다.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분홍노루발: 꽃은 분홍색 지름 12-15mm 꽃줄기의 길이 20cm 꽃줄기 끝에 7-15송이씩 밑을 향해 총상화서로 달린다.
    특징 : 세계에 약 25종 우리 나라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file
    Read More
  13. No Image

    노루목등갈퀴

    학명 : Vicia cracca f. leuc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이명 : 흰꽃말굴레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노루목)


    특징 : 기본종인 등갈퀴나물에 비해 꽃이 백색이다.
    Read More
  14.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귀속(Hepatica) target=_blank>노루귀속(Hepatica)</a>
    이명 : 뾰족노루귀
    잎 : 잎은 길이 5cm정도로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밋밋하다. 중앙열편은 삼각형이며 양쪽 열편과 더불어 끝이 뾰족하고 이른 봄 잎이 나올 때는 말려서 나오며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마치 노루귀와 같다.
    꽃 : 꽃은 4월에 아직 잎이 나오기 전에 피며 지름 1.5cm정도로서 백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고 화경은 길이 6-12cm로서 긴 털이 있으며 끝에 1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총포는 3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8mm 폭 4mm로서 녹색이고 백색털이 밀생하며 꽃받침잎은 6-8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꽃잎같다. 꽃잎은 없고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황색이고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많으며 퍼진 털이 있고 밑에 총포가 있다.

    뿌리 : 근경이 비스듬히 자라고 많은 마디에서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제주 서울(북한산)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광릉 가평 와야산 천마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섬노루귀(H. maxima Nakai)는 울릉도에 자생하며 개체가 크고 새끼노루귀(H. insularis Nakai)는 제주도 자생으로 개체가 노루귀나 섬노루귀에 비해 작고 꽃과 잎이 같이 나온다.
    특징 : 이속의 식물은 카멜레온처럼 자기가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 내륙지방에서는 자생지에 따라 꽃의 색을 달리하고 남해안 일대와 제주도같이 척박한 지방에서는 식물개체가 작게 변형된 새끼노루귀로 울릉도와 같이 부식질이 풍부하고 연중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개체가 크고 상록성인 섬노루귀로 진화한 것이 아닌가 한다. 다른 식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체가 작은 노루귀는 꽃대가 높이 나와 다른 식물이 자라지 않는 곳에 종자를 최대한 전파시켜 번식한다.
    file
    Read More
  15. No Image

    노랑협죽도

    학명 : Nerium indicum f. lutescen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협죽도과(Apocynaceae) target=_blank>협죽도과(Apocy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협죽도속(Nerium) target=_blank>협죽도속(Nerium)</a>

    잎 : 잎은 윤생하고 선형이며 두껍고 길이 7-15cm 폭 8-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황색이며 가지끝의 취산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은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후부에 실같은 부속체가 있다.
    열매 : 골돌은 선형이고 길이 10cm정도이며 종자에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 및 남부 각지에서 재배하며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유사종 : ▶서양협죽도(N. oleander) ▶만첩협죽도(for. plenum Makino): 꽃잎이 겹으로 된 것.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Makino): 노랑 꽃이 피는 것. ▶흰협죽도(for. leucanthum Makino): 흰꽃이 피는 것.

    Read More
  16. No Image

    노랑해당화

    학명 : Rosa xanthina L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도란형이고 원두 예저로 길이 0.8-1.5cm 폭 0.5-1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4-5cm로서 황색이고 많첩이며 짧은 가지끝에 1개씩 피고 화경에 털이 없으며 꽃받침통이 둥글다. 꽃받침 열편은 좁고 피침형이며 길이 1.5cm로서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수가 많다. 꽃이 황색이기 때문에 노란해당화라고 한다.
    열매 : 열매는 구형으로 지름 1.2cm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홍갈색으로 8-9월에 성숙한다.자방과 꽃잎이 겹으로 되어 종자가 결실할 수 없다.
    줄기 : 가지는 아래로 처지고 곧은 가시와 굽은 가시가 있고 소지는 암갈색이며 가시가 많다.

    분포 : ▶중국 몽고 터키 아프가니스탄에 분포한다. ▶전국의 정원과 사찰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국내에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Read More
  17. No Image

    노랑하늘타리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과(Cucurbitaceae) target=_blank>박과(Cucurb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타리속(Trichosanthes) target=_blank>하늘타리속(Trichosanthes)</a>
    이명 : 섬하눌타리 쥐참외 흰꽃하눌수박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심장형이며 3-5개로 얕게 갈라지지만 밑부분의 잎은 깊게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 6-10cm로서 원줄기와 더불어 백색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고 수꽃은 길이 10-20cm의 화서에 총상으로 달리며 암꽃은 1개씩 달린다. 꽃받침통은 길이 3cm정도이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이 실처럼 쪼개진다.
    열매 : 열매는 넓은 난상 원형이고 길이 10cm로서 황색으로 익으며 과병은 길이 2~3(4.5)cm이고 종자는 긴 타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길이 11-14cm로서 연한 흑갈색이다.
    줄기 : 잎과 대생하는 덩굴손이 자라서 다른 물체에 잘 기어 올라가고 고구마같은 큰 뿌리가 있다.
    뿌리 : 괴근은 고구마 뿌리 모양.
    분포 : 우리나라 남부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하늘타리: 잎 갈래는 톱니가 있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덩굴손은 잎과 대생한다. 꽃은 노란색 열매는 오렌지색으로 익는다.
    특징 : 세계에 약 50종 우리 나라에는 1종 1변종이 분포한다.
    Read More
  18. No Image

    노랑팽나무

    학명 : Celtis edul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A%90%EB%A6%85%EB%82%98%EB%AC%B4%EA%B3%BC(Ulmaceae) target=_blank>느릅나무과(Ul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팽나무속(Celtis) target=_blank>팽나무속(Celtis)</a>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길이 5-9cm 나비3-7cm로서 밑부분이 찌그러진 원저이며 좌우가 서로 같지 않고 가장자리는 기부를 제외하고는 내곡세치(內曲細齒)가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거칠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잔털이 있고 측맥은 3쌍이다. 어린 나무의 엽병은 길이 5-14cm로서 털이 밀생한다. 과지의 잎은 털이 없으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11cm 나비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잡성화로 5월에 핀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등황색이며 길이 13mm 나비 10mm정도이고 먹을 수 있으며 22∼27mm의 과경 끝에 달린다.
    줄기 : 소지는 홍갈색 또는 밤색으로 털이 있으나 차츰 없어진다.

    분포 : 강원도 및 함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팽나무(C. sinensis Pers.) ▶자주팽나무(for. purpurascens Nakai): 어린잎이 자주색에서 자록색으로 되는 것. ▶섬팽나무(for. magnifica Nakai): 도란상 장타원형의 노목에서 길이 11㎝에 이르고 엽병의 길이가 15-16㎜에 달하는 것. ▶둥근잎팽나무(for. rotundata Nakai): 잎이 둥글며 갑자기 끝이 뾰족해지는 것.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Read More
  19. No Image

    노랑투구꽃

    학명 : Aconitum sibiricum Poi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오돌또기
    잎 : 잎은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매우 길며 퍼진 털이 있고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깊게 갈라져서 마치 5개로 갈라진 것 같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에 꼬부라진 털이 나고 뒷면 맥위에 긴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황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과 더불어 꼬부라진 털이 밀생하며 꽃받침 안쪽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같고 황색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고 난상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곧게 서고 전체에 잔털이 밀생한다.
    뿌리 : 굵은 근경이 있다.
    분포 : 강원도와 함경도의 산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며 뿌리는 비대하다. ▶유독식물.
    Read More
  20. No Image

    노랑토끼풀

    학명 : Trifolium campestre Schr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토끼풀속(Trifolium) target=_blank>토끼풀속(Trifolium)</a>

    잎 : 탁엽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은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지며 잎자루는 길이 5-10㎜이다. 소엽은 도란형으로 끝쪽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다.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3㎝ 정도의 가지 끝에 두상화서가 달리며 두상화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1.5㎝ 30개 내외의 길이 5㎜인 접형화로 이루어진다. 꽃받침은 5열되며 열편은 크기가 모두 다르며 아래쪽 열편 3개는 통부보다 길다. 꽃잎은 처음에 황색이며 시들면 담갈색으로 변한다. 기변은 광란형으로 중앙맥의 좌우에 5-8개의 측맥이 있고 맥을 따라 홈이 파인다.
    열매 : 열매는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0-25㎝이며 비스듬히 또는 곧게 자라며 가지를 친다.

    분포 : 북아메리카에 귀화하였다. ▶제주도 구좌읍내 바닷가 공지에서 채집하였다. ▶충남 서산시 서산B지구 방조제에서 큰 군락을 발견하였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애기노랑토끼풀(T. dubium): 두상화서는 5-15개의 꽃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7㎜이다. 접형화는 길이 3-4㎜이고 기변에 희미한 줄무늬가 있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