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aulophyllum robustum Maxim. |
|---|---|
| 과명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
| 속명 | 꿩의다리아재비속(Caulophyllum) |
| 이명 | 가락풀나물 개음양곽 줄기잎나물 |
| 잎 | 근경 윗부분에서 2개의 잎이 호생하며 각 2-3회 3출하고 제1차 엽병은 길지만 제2차 엽병은 짧다. 소엽은 막질이며 장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4-8cm 폭 2-4cm로서 끝이 뽀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개로 갈라진다. |
| 꽃 | 6-7월에 원줄기 끝에 원추화서가 달리고 많은 꽃이 피며 꽃은 지름 10-12mm로서 녹황색이고 화경이 있다. 꽃받침잎은 6개이고 도란형이며 대형이고 길이 6-8mm로서 꽃잎 같으며 꽃잎은 꽃받침잎과 대생하고 작어져서 밀선같이 되며 꽃받침 겉에 3-4개의 소포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편열되며 암술이 1개이고 자방은 1실 2난자로서 꽃이 핀 후 씨방은 즉시 터져서 난자를 노출한다. 자방은 꽃이 핀 다음 자라지 않기 때문에 종자가 밖으로 나출되어 |
| 열매 | 열매가 파열되어 종자가 노출된 상태로 성장하므로 종자가 열매같이 보인다. 종자는 길이 4-6mm 지름 6-7mm로서 굵은 대가 있고 하늘색이다. |
|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 40-80cm이며 분빛이 도는 회청색이고 줄기가 곧게 선다. |
| 뿌리 | 근경은 비후하고 수염뿌리가 많다. 근경은 옆으로 낡은 원줄기의 밑부분과 연결되며 그 끝에서 새순이 나와 곧추 자라고 밑부분이 인엽으로 싸여 있다. |
| 분포 | ▶일본 사할린 만주 우수리 아무르에 분포한다. ▶전북 및 중부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특징 | 세계에 2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전체에 털이 없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Prim. fl. amur. p. 33 (1859)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
Read MoreNo Image
꿩의바람꽃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람꽃속(Anemone) target=_blank>바람꽃속(Anemone)</a>
잎 :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15cm의 엽병이 있고 2회3출엽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엽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5mm 폭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윗부분에 불규칙하고 둔하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다소 긴 털이 있을 뿐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3-4cm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15-20cm로서 처음에는 긴 털이 있고 화경 기부에 3개의 3출엽이 윤생하여 총포로 되었다. 화경(花梗)은 길이 2-3cm로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8-1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2cm정도로서 백색이지만 겉은 연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여럿이고 수술대는 길이 5-8mm이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길이 1mm정도이다. 암술대는 30개에 이르며 자방에는 잔털이 밀생하고 휘어졌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5월에 익으며 암수대가 꼬리모양으로 달린다.
줄기 : 줄기의 높이는 10-15cm이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굵고 길이 1.5-3cm로서 방추형이며 옆으로 자라고 갈색이며 선단에 막질의 인편이 몇 개 있고 매끈하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꿩의다리아재비
학명 : Caulophyllum robust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매자나무과(Berberidaceae) target=_blank>매자나무과(Berb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다리아재비속(Caulophyllum) target=_blank>꿩의다리아재비속(Caulophyllum)</a>
이명 : 가락풀나물 개음양곽 줄기잎나물
잎 : 근경 윗부분에서 2개의 잎이 호생하며 각 2-3회 3출하고 제1차 엽병은 길지만 제2차 엽병은 짧다. 소엽은 막질이며 장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4-8cm 폭 2-4cm로서 끝이 뽀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개로 갈라진다.
꽃 : 6-7월에 원줄기 끝에 원추화서가 달리고 많은 꽃이 피며 꽃은 지름 10-12mm로서 녹황색이고 화경이 있다. 꽃받침잎은 6개이고 도란형이며 대형이고 길이 6-8mm로서 꽃잎 같으며 꽃잎은 꽃받침잎과 대생하고 작어져서 밀선같이 되며 꽃받침 겉에 3-4개의 소포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편열되며 암술이 1개이고 자방은 1실 2난자로서 꽃이 핀 후 씨방은 즉시 터져서 난자를 노출한다. 자방은 꽃이 핀 다음 자라지 않기 때문에 종자가 밖으로 나출되어
열매 : 열매가 파열되어 종자가 노출된 상태로 성장하므로 종자가 열매같이 보인다. 종자는 길이 4-6mm 지름 6-7mm로서 굵은 대가 있고 하늘색이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 40-80cm이며 분빛이 도는 회청색이고 줄기가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비후하고 수염뿌리가 많다. 근경은 옆으로 낡은 원줄기의 밑부분과 연결되며 그 끝에서 새순이 나와 곧추 자라고 밑부분이 인엽으로 싸여 있다.
분포 : ▶일본 사할린 만주 우수리 아무르에 분포한다. ▶전북 및 중부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세계에 2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전체에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Regel & Til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다리속(Thalictrum) target=_blank>꿩의다리속(Thalictrum)</a>
이명 : 가락풀 )아시아꿩의다리 한라꿩의다리
잎 : 잎은 호생하고 하부의 것은 엽병이 기나 위로 갈수록 짧아져 없어지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제1 제2 마디에 소탁엽이 있다. 소엽은 도란형 또는 심원형이고 길이 1.5~3.5cm 나비 1~3cm로서 3~4개로 갈라지며 끝이 둥글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 또는 대홍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조각은 4~5개로 조락성이며 수술은 많고 환상으로 배열한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5~10개씩 달리고 3~4개의 익상 돌출물이 있으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분지하며 원줄기는 능선이 있으며 속이 비었고 녹색 또는 자주색 바탕에 분백색이 돈다.
분포 : 전도에 나며 구아대륙의 북온대 및 아한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꿩고사리
학명 : Plagiogyria euphlebia (Kunze) Me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꿩고사리과(Plagiogy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고사리속(Plagiogyria) target=_blank>꿩고사리속(Plagiogyria)</a>
이명 : 버들잎고사리 버들잎쥐꼬리섬꿩고사리 암꿩고사리큰꿩고사리
잎 : 잎은 나엽과 실엽의 2가지가 있고 나엽은 높이 30-50㎝이며 엽병은 흑갈색이고 밑부분이 갑자기 굵어져 세모가 지며 뒷면 양쪽에 피목같은 돌기가 있다. 엽신은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중축에 2줄의 홈이 있고 뒷면이 둥글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파상 위쪽은 뚜렷한 톱니가 있고 짧은 대가 있으며 측우편과 정우편은 모양이 비슷. 실엽은 나엽보다 길고 곧추서며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보다 좁으며 대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2개로 갈라진 엽맥의 가지에 달리고 뒤로 젖혀진 잎가장자리로 덮인다. 환대는 비스듬히 포자낭의 둘레를 완전히 돈다.
뿌리 : 근경은 덩어리처럼 비스듬히 자라며 잎이 총생.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
Read MoreNo Image
꿩고비
학명 :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B9%84%EA%B3%BC(Osmundaceae) target=_blank>고비과(Osmun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비속(Osmunda) target=_blank>고비속(Osmunda)</a>
잎 : 잎은 곧추서고 끝 부분이 약간 뒤로 젖혀지며 어릴 때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솜털로 덮이지만 나중에 없어지며 포자낭이 붙는 잎조각의 솜털은 검은 색이 많다. 영양엽은 길이가 30∼80cm 폭이 10∼25cm이고 황록색이며 1회우상복엽니다. 잎조각은 자루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 잎조각은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포자엽은 영양엽보다 작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포자낭군이 입체적으로 달린다. 포자낭은 적갈색이고 측맥이 2개로 갈라진
줄기 : 뿌리줄기는 굵고 지름이 5∼8cm이며 끝에서 잎이 뭉쳐난다.
분포 : 한국·사할린·일본·타이완·중국·아무르·우수리·쿠릴열도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
꿀풀
학명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꿀풀속(Prunella) target=_blank>꿀풀속(Prunella)</a>
이명 : 가지골나무 꿀방망이 붉은꿀풀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2~5cm로서 거치가 있거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3cm 정도이지만 윗부분에는 없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양순형으로서 적자색이며 길이 1.5-2cm정도이다. 수상화서는 길이 3~8cm로서 꽃이 조밀하게 밀착하여 핀다. 포는 편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7~10mm로서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겉에 잔털이 있고 하순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중앙 열편에 거치가 있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6mm 정도로 황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꼬투리는 마른채 가을까지 선채로 남아 있다.
줄기 : 높이 20-3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모여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전체에 짧은 백색의 털이 있다. 꽃이 지면 원줄기에서 포복하는 가지가 나와 옆으로 뻗어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많이 뻗는다.
분포 : ▶한국(전국 산야) 일본 대만 유럽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흰꿀풀(P. vulgaris L. for. albiflora Nakai) : 백색 꽃이 핀다. ▶붉은꿀풀(P. vulgaris L. for lilacina) : 적색 꽃이 핀다. ▶두메꿀풀(P. vulgaris L. var. aleutica Fern.) : 원줄기가 밑에서부터 곧게 서고 포복지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원줄기 밑에 달린다.
특징 : 꿀풀은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꿀풀이라고 불리우는데 사실 벌들이 많이 찾아온다.
-
Read MoreNo Image
꾸지뽕나무
학명 :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꾸지뽕나무속(Cudrania) target=_blank>꾸지뽕나무속(Cudrania)</a>
이명 :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2-3개로 갈라지는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난형인 것이 있다. 갈라지는 잎은 둔두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은 예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6-10cm, 너비 3-6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는 융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25mm로서 털이 있다.
▶잎은 모양은 생육장소가 비옥하면 감나무 잎보다 크고 결각도 적으나 바위틈이나 산비탈의 척박지에서 자라는 것은 잎이 작고 결각이 심하며 잎끝이 꼬리처럼 길게 뻗어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핀다. 웅화서는 소화가 많이 모여 달리고 둥글며 황색이고 지름 1cm정도로서 짧고 연한 털이 밀포한 길이 10-12mm의 대가 있다. 자화서는 지름 1.5cm 정도로서 타원형이다. 수꽃은 3-5개의 화피 열편과 4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4개의 화피 열편과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 2.5cm로서 육질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수과는 길이 5mm정도로서 흑색이다. 과육은 달고 식용가능하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으로 벗겨지고 가지에 길이 0.5-3.5cm의 가지가 변형된 가시가 있으며 소지에 털이 있다. 가지에 피목이 발달되어 있고 오래된 수피는 황회색을 띠며 세로로 찢어져 떨어진다.
뿌리 : 뿌리는 황색이다.
분포 : ▶중국 일본에도 있다. ▶황해도 이남 해발 100-7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또는 관목.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꾸지뽕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닥나무속(Broussonetia) target=_blank>닥나무속(Broussonetia)</a>
이명 : 닥나무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로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단거치 또는 복거치가 있다. 표면은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린다.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 12m 지름 60cm로서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말레이지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700m 지역에서 자란다. 울릉도와 경북 동해안에 많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이지만 보통 관목상태이다.
유사종 : ▶마주잎꾸지나무(for.oppositifolia NAK.): 잎이 대생한다. ▶민꾸지나무(for.luncida T.LEE):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 가 돈다. 지리산 지역에서 자란다.
특징 :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한지제조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꽝꽝나무
학명 : Ilex crenata Thunb. var. cren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잎 : 잎은 호생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긴타원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5~3cm 폭은 6-20m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록색이고 작은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꽃은 이가화(二家花)로서 5~6월에 작은 흰색 꽃이 피며 수꽃은 3~7개씩 짧은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은 엽액에 한송이씩 달리고 화경이 길며 퇴화된 4개의 수술과 1개의 4실 자방이 있다.
열매 : 구형의 핵과는 지름 6-7mm로서 10-11월에 흑색으로 익고 길이 4-6mm의 과경이 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히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가지와 잎이 무성하고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 잔근성이며 잔뿌리는 많지 않다.
분포 : ▶중국 남부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변산반도와 거제도 보길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한라산에서는 1 800m까지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열매의 색깔이 노랑인 것 또는 분홍색인 것이 품종 또는 변종으로 취급되고 있다. ▶좀꽝꽝나무(var. microphylla Max.): 잎 길이 8-14mm이고 타원형 또는 광타원형이다.
특징 : ▶부안 중계리의 꽝꽝나무 군락은 분포 북한지로서의 성격도 인정되지만 그것보다 이 군락이 일제시대 때 천연기념물도 지정될때에는 건생식물 군락으로 더 가치가 인정되었다. (천연기념물 제124호-ⓐ소재지: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면적:4 231㎡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가지가 치밀하고 잎이 밀생하여 좋은 수형을 이루며 수세가 강건하고 맹아력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꽈리
학명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Hor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꽈리속(Physalis) target=_blank>꽈리속(Physalis)</a>
이명 : 꼬아리 때꽐
잎 : 잎은 호생하지만 한군데에서 2개씩 나오며 그 틈에서 꽃이 피고 넓은 난형이며 엽병이 있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2cm 나비 3.5-9cm로서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잎 사이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4cm이고 꽃받침은 짧은 통형이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화관은 복형(輻形)이며 약간 누른빛이 돌고 지름 1.5cm정도이며 가장자리가 5개로 약간 갈라지고 꽃이 핀 다음 꽃받침은 길이 4-5cm로 자라 난형으로 되며 열매를 완전히 둘러싼다.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 1.5cm정도로서 꽃받침으로 둘러 싸이고 적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다.
줄기 : 높이 40-90cm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지하경이 길게 벋어 번식한다. 근경 및 뿌리를 산장(酸漿) 등려근(登呂根)이라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꽃황새냉이
학명 :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냉이속(Cardamine) target=_blank>냉이속(Cardamine)</a>
이명 : 털냉이
잎 : 근생엽은 한군데에서 돋으며 2-3쌍으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큰 톱니가 있으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갈라지며 소엽은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거친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5-7월에 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흰색 또는 붉은 자주색 십자화가 많이 달리고 꽃받침은 4개로서 난형 예두이며 꽃잎도 4개이고 꽃받침보다 길어서 길이 1cm정도이며 도란형이고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각 길이는 3cm정도로서 위를 향하며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분포 : 경남 경기 강원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꽃향유
학명 : Elsholtzia splenden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유속(Elsholtzia) target=_blank>향유속(Elsholtzia)</a>
이명 : 붉은향유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엽병으로 흐르며 길이 1-7cm 나비 0.8-4cm로서 양면에 털이 드물게 있고 특히 맥위에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분홍빛이 나는 자주색이며 많은 꽃이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수상화서를 이루고 화서는 길이 2-5cm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바로 밑에 잎이 있다. 포는 신장형이고 끝이 갑자기 바늘처럼 뾰족해지며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6mm정도로서 통상 순형이고 상순의 끝이 오목 들어가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2강수술은 길게 나오며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엽병과 더불어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다.
뿌리 : 몇 개의 뿌리가 사방으로 뻗고 다시 잔뿌리가 나 있다.
분포 : 한국 만주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 중부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으로 관화식물.
유사종 : ▶애기향유(E. saxatilis) ▶향유(E. ciliata (Thunb.) Hylander)
특징 : 방향성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꽃하늘지기
학명 : Bulbostylis densa (Wall.)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기골속(Bulbostylis) target=_blank>모기골속(Bulbostylis)</a>
이명 : 꽃하눌직이 꽃하늘직이 실하늘지기 실하늘직이
잎 : 줄기보다 많고 짧으며 실모양이고 폭 0.3-0.5㎜이다. 엽초는 연한 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1-4㎝이고 끝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5-40㎝로서 가늘며 각각 2-3개의 잎이 밑부분에 달린다. 화서는 산형이고 화경끝에서 화축이 2-3회 갈라지고 각 소화경 끝에 1개의 소수가 달린다. 정소수는 대가 없고 측소수는 길이 3-5mm 지름 1.5mm로서 대가 있으나 모두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포린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막질이고 길이 2mm로서 털이 없으며 중륵은 녹색이지만 그 밖의 것은 갈색이고 윗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암술대는 길이 0.7㎜
열매 : 수과는 세모진 도란형이며 길이 0.8mm로서 황백색이다.
뿌리 : 근경이 없고 수염뿌리가 많으며 잎과 화경이 뿌리에서 총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꽃패랭이꽃
학명 : Dianthus superbus-chinensi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패랭이꽃속 (Dianthus) target=_blank>패랭이꽃속 (Dianthus)</a>
꽃 : 전체 모양이 특히 꽃잎의 끝이 날카로운 톱니 모양으로 갈라져 패랭이꽃과 술패랭이꽃의 중간형이고 기공(氣孔)의 크기가 양종의 기공보다 크게 나타난다.
분포 : 강원도 철원의 묘장동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카네이션(D. caryophyllus L.): 전체가 분백색 줄기가 곧게 선다. 잎은 선형 꽃은 향기가 있다. ▶흰패랭이꽃(D. chinensis L. for. albiflorus T. Lee for. nov.): 흰 꽃이 피는 패랭이꽃이다. ▶섬패랭이꽃(D. littorosus Makino ex Nakai): 꽃은 목 부분까지 고루 분홍색이며 꽃잎이 술패랭이꽃에 비해 덜 갈라진다. ▶구름패랭이꽃(D. superbus L. var. spe
특징 : 패랭이꽃과 술패랭이꽃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된다.
-
Read MoreNo Image
꽃파대가리
학명 : Kyllinga diflora Y.C.Oh & S.S.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파대가리속(Kyllinga) target=_blank>파대가리속(Kyllinga)</a>
잎 : 잎은 보통 1~3개로 가느다란 줄모양의 진한 갈색의 엽초로 싸여있다. 잎 길이는 62~185mm로 줄기보다 2배 더 길며 너비는 1.2~3.4mm이다. 진한 갈색의 엽초는 엽설이 없고 길이는 8~28mm 너비는 1.3~4.2mm이다.
꽃 : 화서는 알모양의 두상화서로 2개의 낱꽃을 가진 다수의 꼬마이삭이 있으며 화축은 없고 성숙한 꼬마이삭은 갈색이다. 꼬마이삭은 소화축이 없는 2개의 낱꽃이 피며 낱꽃의 모양은 피침상 좁은 난형으로 길이 1.1~2.5mm 너비 0.9~1.9mm이다. 포는 잎모양으로 보통 3개이며 한 개는 매우 짧고 두 개는 길다. 길이는 27~113mm로 화서보다 길고 줄기와 비슷하거나 길다. 너비는 1.2~3mm로 잎과 비슷하다.
열매 : 한 개의 꼬마이삭의 인편은 총 4개로 바깥쪽에 한 개의 작은 조각과 두개의 수과 사이의 인편 한 개 두껍고 늑이 발달한 두 개의 큰 조각이 수과를 감싸고 있다. 연한 갈색의 막질이고 여러 개의 줄무늬에 녹색반점이 있다. 가장 큰 인편의 중륵에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구부러져 있다. 암술머리는 길이가 수과의 2배정도로 암술대의 중간 정도에서 2갈래로 나뉘어진다.
줄기 : 줄기 횡단면은 2줄의 깊은 홈을 가진 주름진 삼각형으로 길이는 35~87mm이고 너비는 0.3~2.1mm로 줄기의 길이가 잎길이의 1/2정도이다.
뿌리 : 지하경의 마디와 마디사이가 아주 좁아 거의 붙어 있는 모양이다.
분포 : 한반도(경기)
-
Read MoreNo Image
꽃치자
학명 : Gardenia jasminoides var. radicans (Thunb.)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치자나무속(Gardenia) target=_blank>치자나무속(Gardenia)</a>
이명 : 좀치자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4~8cm 나비 1-2cm로서 양끝이 좁고 두꺼우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에서 소화경이 자라서 1~2송이씩 달리며 꽃받침통에 6개의 희미한 능선이 있고 열매를 완전히 둘러싸며 끝에 6개의 꽃받침열편이 남아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5㎝로서 긴타원형이며 세로로 6-7개의 능각이 있고 9월에 황홍색으로 익으며 꽃받침통에 싸여있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가지가 많으며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면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지방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 관목.
유사종 : ▶치자나무(G.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잎은 긴타원형이고 길이 3-15㎝로서 엽병은 짧다.
특징 : 치자나무와 비슷하나 잎과 꽃이 작으며 기본 변종은 꽃잎이 많첩으로서 천엽치자라고 하지만 모두 같은 변종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치자에 비해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꽃치자라고 하며 중부지방에서도 온실에서 가꾸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꽃층층이꽃
학명 :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Maxim.)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층층이꽃속(Clinopodium) target=_blank>층층이꽃속(Clinopodium)</a>
이명 : 자주층꽃 층층이꽃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긴 탄형이고 둔두 원저이며 길이 2-4cm 나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20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다수의 꽃이 층층으로 조밀하게 달리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5-8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6~8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붉은 빛이 돌며 털이 많다. 화관은 길이 8~12mm로서 붉은 빛이 돌며 겉에 잔털이 있고 순형으로 하순은 깊게 3개로 갈라지며 짙은 반점과 털이 있다. 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6mm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다.
줄기 : 높이 15-40cm이고 전체에 짧은 백색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자라다가 위로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층층이 (var.shibetchense KOIDZ.): 전체가 녹색이고 붉은빛이 돌지 않으며 꽃이 백색이고 꽃받침에 짧은 선모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꽃창포
학명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이명 : 꽃장포 들꽃장포 들꽃창포
잎 : 잎은 길이 20-60cm 나비 0.5-1.2cm로서 2줄로 늘어서고 중륵이 뚜렷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달리며 적자색이고 안쪽에 황색 줄이 있다. 꽃 밑부분은 갈색 엽초상의 포 2개가 자방을 둘러싼다. 외화피는 3개이며 굵은 화경위에서 현부가 밑으로 처지고 타원형 원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맥이 있고 밑부분은 황색이다. 내화피는 3개이며 외화피와 호생하여 곧추서고 피침형 둔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외화피 색과 같다. 암술대는 곧추서고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끝에 곧은 삼각상의 열편이 있고 그 밑에 암술머리가
열매 : 삭과는 길이 2.5~3cm이고 갈색이며 뒤쪽에서 터지고 종자는 편평한 적갈색이다. 열매 선단에 끝이 뾰족한 부리가 있다.
줄기 : 높이 60-120cm 지름 6mm정도로서 털이 없고 곧추서며 때로는 가지가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으며 1-3개의 줄기잎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갈색 섬유로 덮여 있고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기본종은 내화피가 넓고 뒤로 젖혀진다. ▶한택 식물원에서 선발된 왜성종은 초장 60cm 정도로 키는 작으나 꽃은 더 크고 화색도 더 짙은 형질특성을 지닌다. ▶대청부채(I. dichotoma Pallas) : 대청도 백령도의 해안가 절벽에 자생하며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데(지정번호 식-26)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양에서 쉽게 재배할 수 있고 종자번식도 손쉽게 할 수 있는 식물이다. ▶부채붓꽃(I. setosa Pallas
특징 : "▶잎의 크기가 대형이며 창포와 비슷하게 생겼으므로 """"꽃이 피는 창포""""라는 의미에서 이와같은 이름이 붙여졌으나 창포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꽃참싸리
학명 : Lespedeza xnakai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싸리속(Lespedeza) target=_blank>싸리속(Lespedeza)</a>
잎 : 잎은 3출엽이며 소엽은 넓은 타원형이고 약간 요두이며 예저로서 표면에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싸리나 참싸리와 구별하기 어렵다.
꽃 : 화서는 액생하는 총상화서로서 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길며 싸리의 화경처럼 가늘고 꽃은 싸리와 같으며 길이 1cm정도이다. 꽃받침은 길이 6mm정도로서 반 이상 깊이 갈라지고 열편 끝이 참싸리의 것처럼 뾰족하다.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싸리 참싸리
특징 : 강원도 운간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싸리와 참싸리의 잡종으로 여겨지며 참싸리에 비해 화서의 길이가 잎보다 긴 것이 특색이고 고양싸리와 혼동되기 쉬우나 잎표면에 털이 적으므로 구별된다.
-
Read MoreNo Image
꽃쥐손이
학명 : Geranium eriostemon Fisher ex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손이풀속(Geranium) target=_blank>쥐손이풀속(Geranium)</a>
이명 : 낭림쥐소니털손잎풀털쥐손이 흰털쥐손이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5-7각상 원형이고 폭 8-12cm로서 5-7개로 반 또는 그 이상 갈라지며 표면에 복모 뒷면에 퍼진 털이 있다. 열편은 사각상 도란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고 서로 떨어진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5-4cm로서 원줄기 끝에 10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곧으며 퍼진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홍자색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맥 위에 선모 또는 복모가 있으며 수술대 밑부분에 긴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밀색하며 5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 전체에 퍼진 역모(逆毛)가 밀생하며 원줄기는 세로로 홈이 있고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분포 :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털쥐손이( var.hypoleucum NAK.) : 잎 뒷면에 백색 선모가 밀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