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Oxalis bowieana Lodd. |
|---|---|
| 과명 | 괭이밥과(Oxalidaceae) |
| 속명 | 괭이밥속(Oxalis) |
| 이명 | 희망봉괭이밥 |
| 잎 | 소엽은 수평으로 퍼지고 도란형이며 끝이 오므라들고 길이 4∼6cm이다. 잎은 괭이밥과 비슷하지만 훨씬 크고 엽병이 길다. |
| 꽃 | 봄에 심으면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꽃지름 2∼3㎝크기의 짙은 빨간 꽃이 핀다.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긴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3∼10개의 홍색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이다. |
| 뿌리 | 근경은 백색이고 방추형이다. |
| 특징 | 성질은 강건하며 내한성도 강하다. 속에 속한 식물 중 가장 아름답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Cab. (Vols. 1-20, 1818-1833) |
|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Read MoreNo Image
발풀고사리
학명 : Dicranopteris pedata (Houtt.) Nakaik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풀고사리과(Gleicheniaceae) target=_blank>풀고사리과(Gleich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발풀고사리속(Dicranopteris) target=_blank>발풀고사리속(Dicranopteris)</a>
이명 : 발각고사리
잎 : 잎은 드문드문 나고 엽병은 길이20-60cm로서 철사같이 딱딱하며 녹갈색의 윤채가있고 끝이 2갈래로 갈라져서 각각 1쌍의 우편이 달리며 동시에 갈라지는 곳에서도 1쌍의 우편이 달려 모두 6개의 우편으로 된다.우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15-30cm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주맥과 가장자리 중간에 1줄로 배열되며 포막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갈색털이 덮여 있다.
분포 : 제주도 남해도 흑산도 충무 남부이하
형태 : 다년초
특징 : 본종은 풀고사리에 비해 뿌리 줄기에 비늘모양의 인편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
Read MoreNo Image
반들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edioxima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
Read MoreNo Image
반들깃고사리
학명 : Asplenium boreale (Ohwi ex Kurata) Nakaik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
Read MoreNo Image
바늘풀
학명 : Scandix pectenvene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늘풀속(Scandix) target=_blank>바늘풀속(Scandix)</a>
-
Read MoreNo Image
민생열귀
학명 : Rosa silenidiflor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
Read MoreNo Image
민산작약
학명 : Paeonia japonica var. glabr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작약과(Paeoniaceae) target=_blank>작약과(Pae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작약속(Paeonia) target=_blank>작약속(Paeonia)</a>
-
Read MoreNo Image
민물푸레나무
학명 : Fraxinus rhynchophylla var. glabrescen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
Read MoreNo Image
민둥참새귀리
학명 : Bromus racemos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새귀리속(Bromus) target=_blank>참새귀리속(Bromus)</a>
-
Read MoreNo Image
민두메고사리
학명 : Diplazium sibiricum var. glabrum (Tagawa) Sa.Kur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들참빗속(Diplazium) target=_blank>버들참빗속(Diplazium)</a>
이명 : 민묏고사리민새고사리민새발고사리
-
Read MoreNo Image
꽃대
학명 : Chloranthus serratus (Thunb.) Roem. & Schul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target=_blank>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target=_blank>홀아비꽃대속(Chloranthus)</a>
이명 : 두사람꽃대쌍꽃대 쌍동꽃대
잎 : 줄기 밑부분의 잎이 막질의 초상엽으로 된다. 잎은 4개이고 간혹 6개가 접근하여 대생하며 길이 6-20cm 나비 4-9cm로서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8-12mm의 엽병으로 된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4-5월에 피며 꽃잎은 없고 수상화서는 길이 3-5cm로서 보통 2개씩 나온다. 수술대는 3개이며 중앙부의 것이 다소 길고 길이 2.5-3mm로서 밑부분이 합생하여 위쪽만 3개로 갈라지는 넓은 난형의 것으로 되며 안쪽에 꽃밥이 각각 달려있다. 때로는 마디에서 폐쇄화가 나온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mm로서 넓은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라며 간혹 남부 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홀아비꽃대: 아래 위 2매씩의 간격이 없을 정도로 근접해 있어서 4매가 윤생한 것같이 보인다. 이것을 위윤생(僞輪生)이라고 하며 이것이 구별의 포인트가 된다.
-
Read MoreNo Image
꽃담배
학명 : Nicotiana sanderae San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속(Nicotiana) target=_blank>담배속(Nicotiana)</a>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주걱모양이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15-30cm 폭 7-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다소 파상이고 경생엽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엽병이 없고 양쪽 가장자리가 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 황색 연분홍색 또는 자주색으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길이 15-20mm로서 맥이 뚜렷하며 5갈래로 갈라지고 열편은 맥의 연장이며 길이 8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흰색 막질이다. 화관은 길이 7-10cm로서 통부가 길고 꽃받침과 더불어 겉에 선모가 있으며 윗부분이 굵고 가장자리가 얕게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는 통부의 중앙까지 붙어 있고 꽃밥은 후부喉部에서 나타나며 암술대보다 다소 짧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12mm정도로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몇 개씩 한 군데에서 나오며 전체에 선모가 있어 끈적끈적하다.
특징 : 인공잡종으로서 겉모양이 담배와 비슷하나 훨씬 작고 꽃을 보기 위해 심는다.
-
Read MoreNo Image
꽃단풍
학명 : Acer pycnanthum Ko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잎 : 잎은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4-7cm 폭 3-6(8)cm로서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6cm이다. 가을철에 붉게 단풍이 든다. 암나무는 숫나무보다 잎이 더 크고 넓게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화서는 속생하고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꽃받침과 꽃잎의 형태가 거의 비슷하며 적색으로서 특이하기 때문에 꽃단풍이란 이름이 생겼다.
열매 : 시과는 6월에 익으며 길이 2cm정도로서 털이 없고 예각으로 붙어 있으나 직각인 것도 있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가지에는 털이 없으나 마디에는 어릴 때 갈색 털이 다소 있다.
형태 : 낙엽교목: 난대성 수목이다.
특징 : 난대성 수목이다.
-
Read More
꽃다지
학명 : Draba nemorosa L. f. nemoros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다지속(Draba) target=_blank>꽃다지속(Draba)</a>
이명 : 코딱지나물
잎 : 근생엽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4cm 폭 8-15mm로서 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3cm 폭 8-15mm로서 둔두 예저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황색으로 4~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정도이다.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형이며 길이 3mm정도이다. 6개의 수술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짧은 각과(角果)로서 편평하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5-8mm 폭 2mm로서 전체에 털이 있다. 종자를 정력자라고 한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민꽃다지(var. leiocarpa LINDBL.) : 열매에 털이 없는 것이며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
Read MoreNo Image
꽃냉이
학명 : Alyssum martimum 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냉이속(Alyssum) target=_blank>꽃냉이속(Alyssum)</a>
이명 : 꽃황새냉이 매운황새냉이
잎 : 경생엽은 깃 모양으로 깊이 갈라지고 갈래는 선형이다. 근생엽은 총생하고 깃 모양으로 갈리지고 갈래는 둥근 모양이다.
꽃 : 꽃은 연한 홍자색이고 총상화서를 이루며 꽃잎은 꽃받침 길이의 2배 가량이다.
분포 : 한국(북부) 북반구 북부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꽃나비나물
학명 : Vicia unijuga var. apod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잎 : 잎은 2장의 소엽으로 된 접형복엽(蝶形復葉)이다. 소엽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6-8cm이며 가장자리는 보통 밋밋하다. 탁엽은 신장형이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엽액에 둥근 모양으로 된 총상화서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의 협과로서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는 약 60cm이며 줄기는 모가지고 딱딱하며 보통 밀생하고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전국 각처의 높은 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꽃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petaloide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다리속(Thalictrum) target=_blank>꿩의다리속(Thalictrum)</a>
잎 : 잎은 2-3회우상복엽 또는 3출엽이며 최종소엽은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2-3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없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산방상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4-5개로서 길이 3mm정도이며 수술은 꽃밥과 더불어 길이 10mm정도로서 윗부분이 넓고 양쪽에 1개씩의 맥이 있다. 꽃밥은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수술대 끝에 달려있는 돌기같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정도이고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로서 극히 짧은 대가 있거나 없으며 날개같은 능선이 있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털이 없다.
분포 : 남부 지방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꽃괭이밥
학명 : Oxalis bowieana Lod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4%AD%EC%9D%B4%EB%B0%A5%EA%B3%BC(Oxalidaceae) target=_blank>괭이밥과(Oxal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괭이밥속(Oxalis) target=_blank>괭이밥속(Oxalis)</a>
이명 : 희망봉괭이밥
잎 : 소엽은 수평으로 퍼지고 도란형이며 끝이 오므라들고 길이 4∼6cm이다. 잎은 괭이밥과 비슷하지만 훨씬 크고 엽병이 길다.
꽃 : 봄에 심으면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꽃지름 2∼3㎝크기의 짙은 빨간 꽃이 핀다.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긴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3∼10개의 홍색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이다.
뿌리 : 근경은 백색이고 방추형이다.
특징 : 성질은 강건하며 내한성도 강하다. 속에 속한 식물 중 가장 아름답다.
-
Read MoreNo Image
꽃고비
학명 : Polemonium racemosum (Regel)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D%83%EA%B3%A0%EB%B9%84%EA%B3%BC(Polemoniaceae) target=_blank>꽃고비과(Polem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고비속(Polemonium) target=_blank>꽃고비속(Polemonium)</a>
이명 : 함영꽃고비
잎 : 잎은 길이 8-25cm로서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6-12쌍이며 엽병이 없고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1-4cm 폭 4-10(20)mm로서 예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엽축 좌우에 좁은 날개가 있고 밑으로 갈수록 넓어지며 막질로 되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다소 있다. 양면에 털이 거의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 또는 백색이고 화서는 꽃받침과 더불어 퍼진 선모가 밀생한다. 꽃은 줄기 끝이나 그 근처의 엽액에서 나오는 취산상 원추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3-10mm로 선모가 발생하거나 긴털이 있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6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3mm정도이지만 열편 사이는 백색 막질로서 길이 5mm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 맥이 뚜렷하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둔하고 수술은 5개로서 수술대
열매 : 삭과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고 7-8월에 익는다. 종자는 갈색의 방추형으로 길이 2-3mm이다.
줄기 : 높이 60-9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가지가 없고 윗부분에 선모가 밀생하며 긴 털이 섞인다. 밑부분에서 근생엽과 더불어 잎이 다소 총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평북 및 함경도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꽃고비(P. kiushianum Kitamura for. albiflorum Y. Lee for. nov.) - 꽃의 색깔이 흰색인 것.
-
Read MoreNo Image
꽃개회나무
학명 : Syringa wolfii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수꽃다리속(Syringa) target=_blank>수수꽃다리속(Syringa)</a>
이명 : 짝자래 짝짝에나무 털꽃개회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10~16cm로서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짧은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톱니가 없고 연모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전체 또는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1-1.5c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새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20-30㎝로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이다. 꽃은 연한 홍자색이며 길이 1.5-1.8㎝로 짙은 향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통부는 길이 12mm이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소돌기가 있어 안으로 굽거나 뒤로 젖혀지며 꽃밥이 통내에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1.0-1.4㎝의 삭과로 둔두 또는 첨두인데 광택이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4~6m 내외로 자라며 소지에 피목이 있다.
분포 : 전국 고산의 표고 700-1 800m의 산복과 산정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역삼각형.
유사종 : ▶짝짝에나무(var. hirsuta Hatus.): 어린 가지와 소화경 및 꽃받침에 털이 있고 잎 뒷면 맥위에 털이 있으나 화관통의 길이가 8-11㎜이며 중간형이 많다.
특징 : 우리나라 특산으로 고산성식물이다. 꽃의 방향성이 뛰어나고 수수꽃다리와 비슷하나 잎이 긴 타원형이고 잎이 나온 뒤에 개화한다.
-
Read MoreNo Image
꼴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tristachya var. subbispicata (Nees & Meyen) T.Ko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지기속(Fimbristylis) target=_blank>하늘지기속(Fimbristylis)</a>
이명 : 골하늘직이 꼴하눌직이 꼴하늘직이
잎 : 잎은 밑부분에 달리며 폭 1mm로서 화경(花莖)과 같거나 짧고 기부의 엽초는 갈색이다.
꽃 : 7~10월에 개화하며 끝에 1개의 소수가 달리지만 2-3개인 것도 있다. 포는 1개이고 길이 5cm이지만 없을 때도 있다. 소수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25mm 지름 4-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고 맥이 많으며 중앙부가 회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소돌기가 있다. 잔꽃은 바늘모양의 꽃덮이가 없고 암술대가 편평하며 상부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열매 길이의 4배 정도인 4~7mm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 또는 렌즈형이고 길이 1-1.25mm로서 짧은 대가 있으며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60cm이며 작은 군총을 형성하고 곧게 서며 세모지고 매끄럽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