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귀룽나무

조회 수 1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runus padus L.
과명 장미과(Rosaceae)
속명 벗나무속(Prunus)
이명 귀롱나무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2cm 폭 3-6㎝로서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갈색이며 맥액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로서 털이 없고 밀선이 있다.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처지며 길이 10-15㎝로 털이 없고 밑부분에 잎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5-12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열매 핵과는 둥글며 6-7월에 흑색으로 익고 핵은 주름이 있으며 과육은 떫다.
줄기 어린 가지를 꺾으면 냄새 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세로로 벌어진다. 가지의 신장은 분산형으로 수형은 원개형이다.
뿌리 주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일본의 북해도 중국 몽고 시베리아 유럽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 800m 이하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속리산 오대산등에서도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흰털귀룽(var. pubescens Regel et Tiling)(var pubescens Rehder): 소지와 소화경에 털이 있고 잎 뒷면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서울귀룽(var. seoulensis Nakai): 소화경의 길이가 5-20㎜이다. ▶차빛귀룽(var. rufo-ferruginea Nakai): 잎 뒷면에 갈색털이 있다. ▶털귀룽(var. pubescens for. purdoma Koehne): 소지와 잎 뒷면에만 털이 있다.
특징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귀룽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꽃이 필 때는 나무 전체가 꽃으로 뒤덮인다. 맹아력이 좋으며 생육속도가 빠른 속성수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No Image

    귀리

    학명 : Avena sativ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귀리속(Avena) target=_blank>귀리속(Avena)</a>
    이명 : 귀밀귀보리
    잎 : 잎은 길이 15-30㎝ 폭 6-12㎜로서 편평하고 엽초가 길며 엽설은 짧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0-30cm이고 가지가 윤생하며 다시 갈라진다. 소수(小穗)는 대가 있고 녹색이며 2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밑으로 처진다. 포영은 능선이 없으며 맥이 많고 양쪽으로 벌어지며 호영은 털이 없고 까락은 없거나 1개의 소수에 1개가 있으며 곧추선다.
    열매 : 영과는 내외영으로 싸이고 털이 있으며 한쪽에 홈이 파진다.
    줄기 : 밑부분에서 총생하여 높이가 1m이상에 달하는 것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서 흔히 재배한다.
    형태 : 2년생 작물


    Read More
  2. No Image

    귀룽나무

    학명 : Prunus pad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이명 : 귀롱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2cm 폭 3-6㎝로서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갈색이며 맥액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로서 털이 없고 밀선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처지며 길이 10-15㎝로 털이 없고 밑부분에 잎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5-12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며 6-7월에 흑색으로 익고 핵은 주름이 있으며 과육은 떫다.
    줄기 : 어린 가지를 꺾으면 냄새 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세로로 벌어진다. 가지의 신장은 분산형으로 수형은 원개형이다.
    뿌리 : 주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일본의 북해도 중국 몽고 시베리아 유럽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 800m 이하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속리산 오대산등에서도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흰털귀룽(var. pubescens Regel et Tiling)(var pubescens Rehder): 소지와 소화경에 털이 있고 잎 뒷면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서울귀룽(var. seoulensis Nakai): 소화경의 길이가 5-20㎜이다. ▶차빛귀룽(var. rufo-ferruginea Nakai): 잎 뒷면에 갈색털이 있다. ▶털귀룽(var. pubescens for. purdoma Koehne): 소지와 잎 뒷면에만 털이 있다.
    특징 :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귀룽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꽃이 필 때는 나무 전체가 꽃으로 뒤덮인다. 맹아력이 좋으며 생육속도가 빠른 속성수이다.
    Read More
  3. No Image

    궁궁이

    학명 : Angelica polymorph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귀속(Angelica) target=_blank>당귀속(Angelica)</a>
    이명 : 개강활 백봉천궁제주사약채 천궁 토천궁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길이 20-30cm로서 삼각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대부분 털이 없고 3개씩 3-4회 갈라진다. 소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6cm로서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며 엽병은 백색이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백색으로 8~9월에 피며 큰 복산형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총산경(總傘梗)은 20-40개 내외이며 각각의 길이가 4-6cm로서 끝에 20-40개의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5-15mm로서 산경 윗부분 및 소산경 안쪽과 더불어 안쪽에 백색 돌기가 있으며 총포편은 대개 5개이고 길이 10mm정도로서 선형이다. 화관(花冠)은 소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이고 5개의 수술은 길게 나오며 1개의 자방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납작한 타원형이며 양끝이 오목하고 길이 4-5mm로서 털이 없으며 늑(肋)사이에 1개씩 합생면에 2개의 유관이 있고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80-150cm이며 털이 없고 곧게 자란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다.
    분포 :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경기 평남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꽃바디나물(for. albiflora Max.): 백색 꽃이 핀다. ▶개구릿대(A. anomala Lallemant): 줄기는 속이 비고 털이 없으며 흔히 자줏빛이다. ▶흰바디나물(var. distans Kitagawa): 처녀바디와 비슷하나 잎의 첫번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제주사약채(A. fallax Boissieu): 제주도 한라산에서 나며 꽃은 처음에 칼집같이 생긴 잎 모양의 총포에 싸인다. ▶참당귀(A. g

    Read More
  4. No Image

    굽은노란장대

    학명 : Sisymbrium heteromallum C.A.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란장대속(Sisymbrium) target=_blank>노란장대속(Sisymbrium)</a>

    잎 : 기저부 잎은 로제트형이나 육질은 아니다. 엽병은 길이 1~3(~5) cm이고 엽신은 대체로 도피침형 장타원상 도피침형이고 날개모양 혹은 밑으로 향한 톱니모양의 우상심열이다. 길이는 3~7(~10)cm이고 폭은 (0.5)1.5~4cm이다. 잎측면 결각은 중맥의 각 가장자리에 2~5개가 있으며 정생부의 것보다 더 작고 장타원형 혹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잎끝부분 결각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위쪽의 경생엽은 좁은 피침형 혹은 선형이며 흔히 열편이
    꽃 : 소화경은 가늘고 길이 (0.5~)0.7~1.5cm로서 결실기에 뒤로 젖혀지거나 옆으로퍼진다. 꽃잎은 옅은 노란색이며 좁은 주걱형으로 길이 3~5mm 폭 (0.5~)0.7~1.2(~1.5)mm이다. 수술은 노란색을 띠며 직립하고 길이 2.5~3.5mm이다. 꽃밥은 장타원형으로 0.5~0.6mm정도이다.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좁은 선형이며 가늘고 원주형으로 털이 없고 길이 (5~)6~9.5(~11)cm이고 폭 0.8~1.2 mm이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0.8~1.1mm 폭 0.4~0.5mm이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고 위쪽에 가지를 치며 보통 밑부분에는 연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털이 없다.

    분포 : 한반도(함경남도 함흥) 만주 몽고 시베리아 인도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형태 : 일년생 초본


    Read More
  5. No Image

    굵은들쭉나무

    학명 : Vaccinium uliginosum f. depressum Nakai ex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앵도나무속(Vaccinium) target=_blank>산앵도나무속(Vaccinium)</a>
    이명 : 굵은들쭉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5-25mm 폭 10-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녹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4mm로서 녹백색이고 전년지 끝에 1-4개씩 달리며 호형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고 지름 14mm로서 8-9월에 자흑색으로 익으며 백분으로 덮여 있고 달며 신맛이 있다.
    줄기 : 가지는 갈색이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거나 없다.

    분포 : 한라산과 강원도 이북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유사종 : ▶들쭉나무(V. uliginosum L.):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지름은 6~7㎜. ▶긴들쭉(for. ellipticum Nakai): 열매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3㎝인 것. ▶산들쭉(for. alpinum Nakai):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6~7㎜인 것.

    Read More
  6. No Image

    굴피나무

    학명 :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B%9E%98%EB%82%98%EB%AC%B4%EA%B3%BC(Juglandaceae) target=_blank>가래나무과(Juglan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굴피나무속(Platycarya) target=_blank>굴피나무속(Platycarya)</a>
    이명 : 굴태나무 굴황피나무 꾸정나무 꾸졍나무 산가죽나무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으로 길이 15~30cm로서 7-19개의 대가 없는 소엽으로 되며 엽축(葉軸)과 엽병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0cm로서 긴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약간 낫과 비슷하게 구부러지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양면에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자웅동주이고 취산화서로서 가지 끝에 정생한다. 웅화수는 길이 5-8cm이며 원주형이고 자화수는 길이 2-4cm이고 장타원형이며 꽃잎은 없다.
    열매 : 과수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cm로서 흑갈색이고 털이 없다. 포편은 떨어지지 않으며 피침형이고 견과는 구과모양이며 길이 5mm로서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2m 직경 53cm이지만 일반적으로 높이 3m 직경10㎝정도이다. 수피는 회색으로 얕게 갈라진다. 소지는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지며 황갈색 또는 갈색으로서 뚜렷한 피목이 드문드문 있다. 수피는 물에 잘 썩지 않는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기 이남의 표고 50~1 200m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 소교목.
    유사종 : ▶털굴피나무(P. strobilacea var. coreana Miq.) : 어린가지 잎 및 화경에 긴 갈색 털이 밀생하며 간혹 있다. 경남북지역의 산록 양지에 자란다.
    특징 : ▶한명(漢名)은 필률향(必栗香)이다.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소재 옥천사에는 200년생 이상되는 굴피나무 노목군락이 있다.
    Read More
  7. No Image

    굴참나무

    학명 : Quercus variabilis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구도토리나무 물갈참나무 부업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8-15cm로서 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침상의 예리한 톱니와 9-16쌍의 측맥이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잎 뒷면은 회백색 성상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잎과 더불어 피며 웅화서는 새가지 밑에서 처지고 자화서는 위에서 곧추서며 보통 1개씩 달린다. 수꽃은 3-5개의 화피열편과 4-5개의 수술이 있고 14cm 정도 아래로 늘어진다. 암꽃은 총포로 싸이며 암술대 3개로 새가지 엽액에서 나온다.
    열매 : 견과는 구형이고 뒤로 젖혀진 많은 긴 포린으로 싸이며 다음해 10월에 성숙하고 상반부가 총포(總苞)에서 튀어나와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총포편은 나선상으로 짧은 털이 밀생하고 피침형이며 중하부의 것은 뒤로 쏠리고 상부의 것은 선다. 상수리나무의 견과와 구별하기 어렵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1m이고 줄기는 직립하며 수피는 두꺼운 코르크질이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고 회갈색이며 손가락으로 누르면 연한 탄력성을 느끼게 한다. 소지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중국과 대만 일본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1 200m 지역에서 자란다.(중부 이남 특히 경상도 강원도에 많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유사종 : ▶정릉참나무(Q. acutissisma X variabilis Nakai): 잎의 뒷면에는 대부분 단모가 나 있으나 때로 성상모가 밀생한 것도 있으며 줄기의 코르크가 별로 발달하지 않았다.
    특징 : ▶굴참나무는 활엽수종으로 천연기념물 제 96호 271호 288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96호 - ⓐ소재지: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면적:2 132㎡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제271호 - ⓐ소재지: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면적:1주 32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 000년 ⓔ나무높이:17m *제288호 - ⓐ소재지:경상북도 안동군 임동면 ⓑ면적:1주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500년 ▶잎뒷면이 희고 수피의 콜
    Read More
  8. No Image

    굴거리나무

    학명 :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B4%EA%B1%B0%EB%A6%AC%EB%82%98%EB%AC%B4%EA%B3%BC(Daphniphyllaceae) target=_blank>굴거리나무과(Daphni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굴거리나무속(Daphniphyllum) target=_blank>굴거리나무속(Daphniphyllum)</a>
    이명 : 굴거리만병초청대동
    잎 : 잎은 가지 끝에 모여 호생하며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12-20cm 정도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12-17쌍의 측맥이 있고 맥 사이의 거리가 10-15mm이며 어린 엽병은 길이 3-4cm로서 홍색 연한 홍색 또는 녹색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녹색이 돌고 화피가 없으며 액생하는 길이 2.5cm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수꽃은 8-10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약간 둥근 자방에 2개의 암술대가 있고 자방 밑에 퇴화된 수술이 있으며 꽃은 4-5월에 전년 가지의 엽액에서 핀다. 꽃잎과 꽃받침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긴 타원형이며 지름 1cm로서 10-11월에 암벽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소지는 굵으며 녹색이지만 어린 것은 붉은빛이 돌고 털이 없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전라도 경상도의 도서지방에 자생하며 백운산과 내장산에도 자란다. 안면도에 비교적 큰 굴거리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형태 : 상록활엽소교목.
    유사종 : ▶좀굴거리나무(D. glaucescens Blume) : 전남 대둔산 제주도의 해발 200m이하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잎의 길이가 10cm 이하이고 잎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맥 사이의 거리가 5-8mm이다.
    특징 : ▶생장이 늦고 맹아력이 약하다. ▶천연기념물 ①제91호(굴거리나무 군락) ②소재지: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 231 ③지정사유: 학술 연구 자원 ④면적:360 993㎡
    Read More
  9. 국수나무

    학명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국수나무속(Stephanandra) target=_blank>국수나무속(Stephanandra)</a>
    이명 : 거렁방이나무 고광나무 뱁새더울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2-5cm로서 가장자리에는 결각상 톱니가 있고 잎 표면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 새가지 끝에 길이 2-6cm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많은 소화가 달리고 소화경에는 털이 있고 길이 5-8mm이며 화관은 지름 4-5mm로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첨두이며 거치가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고 5장이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다. 암술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구형이고 지름 2-3mm이며 잔털이 있고 8-9월에 성숙한다. 한개의 골돌에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腺毛)가 있으며 적갈색이다. 줄기가 뿌리 부근에서 많이 나와 덤불을 이룬다.

    분포 :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나비국수(var.quadrifissa T.LEE) : 잎이 거의 비슷하게 5개로 갈라져서 나비같으므로 국수나무와 구별할 수 있으며 서울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개국수나무(S. quadrifissa NAK.)라고도 한다. ▶나도국수나무(Neillia uyeki Nakai):골돌은 복봉선에 따라 갈라지면서 한 개의 열매에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섬국수나무(Physocarpus insularis NAK.):잎은 갈라지지 않고 잎의 뒷면에 털이 없
    특징 : 줄기의 골속이 국수와 같다 하여 국수나무라 한다. 맹아력이 왕성하며 수세가 강건하여 제반입지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다.
    file
    Read More
  10. No Image

    국경찔레

    학명 : Rosa jaluan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2-3cm 폭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의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밑부분이 엽병과 합쳐진다.
    꽃 : 꽃은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2cm정도로서 적색이며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선모가 약간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미요두이며 향기가 있다.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로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3㎜정도로서 백색이며 털이 나 있다.
    줄기 : 가지끝이 밑으로 처지고 흔히 덩굴성으로 되며 소지에 가시가 있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50-1 9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찔레(=털가시나무 var. adenochaeta Ohwi): 잎과 화서에 선모가 많다. ▶좀찔레(=좀가시나무 var. quelpaetensis Nakai): 소엽의 길이가 1-2cm이고 꽃이 작다. ▶제주찔레꽃(R. luciae Fr. et Rockheb.): 소엽은 길이 2-3㎝의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탁엽은 거의 밋밋하다.

    Read More
  11. No Image

    구주피나무

    학명 : Tilia kiusiana Makino & Shira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피나무과(Tiliaceae) target=_blank>피나무과(T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나무속(Tilia) target=_blank>피나무속(Tilia)</a>
    이명 : 좀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이그러진 좁은 난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밑부분이 이그러진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5-8cm 너비 2.5-5.0cm로서 표면의 맥 위에만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짧은 털이 있고 맥액에 황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거치가 있고 엽병은 길이 8-15mm이다.
    꽃 : 꽃은 산방상 취산화서에 20개 이상이 달리며 화서는 가지 끝 부근의 엽액에서 나오고 화경에 포가 있다. 포는 길이 4-6㎝로서 선상이다. 꽃은 양성으로서 연한 황색이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많지만 꽃밥이 없는 수술도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6-7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구형이고 지름 4-5mm이며 갈색 털이 밀생하고 능선이 없으며 10-11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간은 직립하며 원정형의 수형을 이루고 수피는 엷은 갈색이다. 가지가 무성하고 어릴 때는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에 식재되어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특징 : 1930년경 우리 나라에 도입되었다. 생장이 빠르고 천연하종발아가 잘된다.
    Read More
  12. No Image

    구주소나무

    학명 : Pinus sylvest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나무속(Pinus) target=_blank>소나무속(Pinus)</a>
    이명 : 구라파소나무
    잎 : 잎은 2개씩 달리며 길이 3-7㎝로서 비틀리고 회청색이며 횡단면의 수지구가 외위(外位)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수분한 뒤에 3-5년이 지나야 성숙한다.
    열매 : 구과는1-3개씩 모여 착생하며 하향한다. 짧은 대가 있고 길이 3-7㎝로서 흑황색이며 원주상 긴 타원형이고 비후부는 편평하지만 때로는 비후해져 피라밋형으로 되며 제(臍)에 작은 가시 또는 흔적같은 가시가 있다. 종자에는 종자 길이의 3-4배가 되는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가 25-40m에 달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수피는 적색 또는 적갈색으로 얇고 밋밋하지만 밑부분이 흑색으로 됨. 소지는 회황색이며 동아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갈색이고 수지가 묻는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우리나라에는 조림지역 적응시험을 위하여 도입되어 임업시험장에 심어져 있다. ▶분포 지역이 넓어 변이가 많다.
    Read More
  13. No Image

    구주물푸레

    학명 : Fraxinus excelsio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이명 : 구주물푸레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3개이다. 소엽은 난상 장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5~11cm 나비 1.5~3cm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중륵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잡성이며 4~5월에 잎보다 앞서 피고 잎짬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밥은 난형으로 끝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과실은 시과로 피침형 또는 좁은 장 타원형이고 길이 2.5~4cm이다.
    줄기 : 수피는 회흑색이며 어린가지는 회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동아는 암갈색이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Read More
  14. No Image

    구주개밀

    학명 : Agropyron repens (L.) P.Beau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밀속(Agropyron) target=_blank>개밀속(Agropyron)</a>

    잎 : 엽초는 둥글고 털이 없거나 또는 있으며 엽초 구부(口部)에는 초승달 모양의 엽이(葉耳)가 있고 엽설(葉舌)은 높이 1㎜이내이다. 잎새는 길이 5-15㎝ 폭 3-8㎜ 암녹색 또는 백록색이며 윗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핀다. 수상화서(穗狀花序)는 곧게 서며 길이 7-15㎝ 자루가 없는 소수(小穗)가 2열로 빽빽하게 배열한다. 소수는 길이 1-2㎝ 5-7소화(小花)가 달린다. 두 개의 포영(苞潁)은 같은 크기로 담녹색 피침형이며 길이 0.7-1.2㎝ 5-7맥이 있다. 호영(護潁)은 길이 7-11㎜ 피침형 5맥이 있고 대개는 까락(芒)이 없으나 끝에 짧은 까락이 있기도 하다. 내영은 포영보다 조금 짧다. 수술은

    줄기 : 줄기는 높이 40-90㎝이고 곧게 선다.
    뿌리 : 긴 근경(根莖)이 있다.
    분포 : 서울 근교와 중부지방에서 발견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일출되 어 서울 근교와 중부지방에서 발견된다. `가는보리풀`과 생태면도 유사하나 포영이 두 개씩 있어서 구분이 잘 된다.
    Read More
  15. No Image

    구주갈퀴덩굴

    학명 : Vicia sep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잎 : 잎은 호생하고 4-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이 덩굴손으로 되며 소엽은 좁은 난형이고 막질이며 길이 15~30mm 나비 10-15mm로서 끝이 둔하거나 절두이고 때로는 약간 파지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연모가 있다. 탁엽은 반 화살 모양이고 다소 뾰족한 톱니가 있거나 2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길이 15~17mm로서 엽액에 1-2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7-8mm로서 털이 약간 있고 자줏빛이 돌며 열편은 길이가 서로 같지 않고 첫째 열편이 통부 길이의 1/3-2/3이며 꽃잎은 연한 주주색이고 기판에 자주색 줄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길이 3~4cm 나비 8-9mm로서 털이 없으며 6~1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근경은 뻗으며 퍼지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다소 있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목초 자원으로 들여온 것이나 야생상태
    Read More
  16. No Image

    구절초

    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국속(Dendranthema) target=_blank>산국속(Dendranthema)</a>
    이명 : 낙동구절초 넓은잎구절초 서흥구절초 선모초큰구절초한라구절초
    잎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서 절저 또는 심장저에 가까우며 윗부분의 것은 예저로도 되고 가장자리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가장자리가 약간 갈라지거나 거치가 있다.
    꽃 : 두화는 보다 크며 지름이 8cm에 달한다. 꽃은 보통 백색이지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꽃은 향기가 있으며 줄기나 가지 끝에서 한송이씩 피고 한 포기에서는 5송이 정도 핀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6-7mm 지름 1.5c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된다. 가운데의 관상화는 화관이 황색이다.
    열매 : 수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는 2mm 정도로 5개의 줄이 있으며 밑 부분이 약간 굽는다. 종자는 10월 하순경부터 11월초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50cm내외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있거나 또는 없으며 줄기는 곧게 나고 단일하거나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한국(전국의 산야) 중국 북부 몽고 일본(규슈)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며 단일성 식물이다.
    유사종 : 산구절초(C. zawadskii Herbich) 바위구절초(C. zawadskii Herb. var. alpinum Kitamura) 포천구절초(C. zawadskii Herb. var. tenuisectum Kitagawa) 서흥구철조(C. zawadskii Herb. var. leiophyllum T. Lee) 울릉구절초(C. zawadskii Herb. ssp. lucidum Nakai) 낙동구절초(C. zawadskii Herb. ssp. nakdongense Y. Lee) 제주구절초(C. zawadskii Herb. ssp. coreanum Y. Lee)
    특징 : 우리나라에서 흔히 들국화라고 하는 자생식물에는 구절초를 일컫는 것이 보통이나 감국 산국 쑥부쟁이 개미취 등의 국화과 식물들을 총칭한다. 흔히 일반인이 들국화라고 부르지만 들국화라는 식물은 없다. 번식력이 대단히 강한 식물이다. 예로부터 음력 9월 9일 꽃과 줄기를 잘라 부인병 치료와 예방을 위한 약재로 썼다고 하여 구절초(九折草)라 부른다.
    Read More
  17. No Image

    구와취

    학명 : Saussurea ussuriens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각시서덜취 북서덜취 쇠수리취 참수리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길고 난형 긴 타원상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7~18cm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도란형이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다시 얕게 갈라지고 열편 사이의 만부(灣部)는 둥글며 톱니가 없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엽병이 없다.
    꽃 : 8~9월에 개화하고 지름 9~14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4~14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3mm 폭 4~7mm로서 백색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포편은 5~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2mm 정도로서 예두이고 내편은 선형 둔두이다. 화관은 자줏빛이 돌며 길이 11~1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 지름 1.5mm로서 흑자색 점이 있으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9mm 정도로서 갈색이지만 끝부분은 백색이다.
    줄기 : 높이 30-120cm이고 날개와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8. No Image

    구와쑥

    학명 : Artemisia laciniata Wi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국화쑥오랑캐쑥 은쑥
    잎 : 근생엽은 방석처럼 퍼지고 긴 타원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2-18cm 나비 5.5-6cm로서 뒷면에 복모가 있다. 제1차 열편은 8쌍으로서 타원형이며 제2차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중앙까지 갈라지고 소열편은 예두이며 밑부분의 나비가 0.5-0.7mm이고 중축은 밑부분이 나출되며 윗부분이 빗살같다. 줄기의 잎은 근생엽과 같지만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꽃 : 두상화는 둥글고 길이 2.5-4mm 지름 4-6㎜로서 황갈색이며 원추상 총상화서에 달린다. 총포편은 털이 없고 4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넓은 난형으로서 길이 2.5mm정도이고 중포편과 내포편은 넓은 타원형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25-40cm이고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함북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9. No Image

    구와말

    학명 :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와말속(Limnophila) target=_blank>구와말속(Limnophila)</a>
    이명 : 논말
    잎 : 잎은 물 밖에서는 5~8개가 윤생하며 길이 1~2cm 폭 3~7mm로서 중앙 윗부분에서 몇 개로 우열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직접 붙어 있으며 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약간 있다. 수중엽은 1~3회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이 실같이 가늘다.
    꽃 : 8~9월에 개화하며 홍자색이고 1개씩 액생하며 화경이 거의 없고 꽃받침은 길이 5~7mm로서 5개로 중열되며 밑부분에 연모(軟毛)가 드문드문 있고 열편은 피침형이다. 화관은 길이 6~10mm로서 통형이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 4mm 정도이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0.6mm로서 때로는 폐쇄화가 달린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붉은 빛이 돌며 공기 중으로 나와 있는 부분에 다세포의 털이 있고 밑에서 포복지가 뻗으면서 갈라진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수초.


    Read More
  20. No Image

    구와꼬리풀

    학명 : Veronica dahurica Stev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가새꼬리풀 난퇴꼬리풀 털구와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커지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18~25mm 폭 15~22mm로서 가장 크고 우상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톱니가 약간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원저 또는 예저이고 엽병은 길이 13mm 정도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짧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하늘색이고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털이 있으며 톱니가 없고 소화경보다 길다. 꽃받침은 거의 밑부분까지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뒤로 젖혀지고 화관이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2개로서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밀생 또는 산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밀생한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