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ngelica tenuissima Nakai |
|---|---|
|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
| 속명 | 당귀속(Angelica) |
| 이명 | 고번 |
|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윗부분에서는 엽병 전체가 엽초로 되어 굵어진다. |
|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큰 산형화서에 달리고 총산경은 15-20개 소화경은 20-22개이다. 포엽은 0-2개로서 총산경보다 짧으며 피침형이고 소포는 1-5개가 소화경보다 길며 꽃받침잎은 절두로서 밋밋하고 꽃잎은 5개로서 도란형이며 안으로 굽고 백색이다. 자방은 타원형이며 길이 0.5-1.5mm로서 녹색이고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이다. |
| 열매 |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
|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향기가 강하다. |
| 뿌리 | 뿌리를 복수초근(福壽草根)이라 한다. |
| 분포 | 일본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 경기(광릉 천마산)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
| 형태 | 다년초. |
| 유사종 | ▶왜당귀(A. acutiloba Kitagawa): 일본 원산으로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하는 다년초이다. 원줄기와 잎자루는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
| 특징 |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강하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TAG •
-
Read MoreNo Image
고삼
학명 :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삼속(Sophora) target=_blank>고삼속(Sophora)</a>
이명 : 너삼넓은잎능암느삼도둑놈의지팡이 뱀의정자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15-40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기수우상복엽으로서 길이 15-25cm이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4cm 폭 7-15mm로서 양면 또는 뒷면에만 복모가 있으며 가장 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길이 15-18mm로서 연황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통같고 겉에 복모가 있으며 길이 7-8 mm로서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겉에 복모가 있고 기판은 숟가락형이며 익판보다 길다. 수술은 10개로 기부가 합착될 뿐이다.
열매 : 협과는 선형으로 부리가 길고 길이 7-8cm 나비 7-8mm로서 짧은 대가 있다. 3-7개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 사이 부분이 다소 잘룩하고 8-9월에 익지만 갈라지지 않는다. 종자는 밤갈색으로 둥글며 지름 5mm가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 빛이 돈다.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어린 가지는 털이 있으나 후에 없어진다.
뿌리 : 땅속 깊히 내린 원주상의 굵은 황갈색 뿌리는 맛이 매우 쓰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고산잔대
학명 : Adenophora triphylla var. gakusanensis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특징 : 잔대에 비해 키가 작고 꽃은 은방울꽃 모양으로 피고 약간 밀집한다.
-
Read MoreNo Image
고산봄맞이
학명 : Androsace lehmanniana Spre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봄맞이꽃속(Androsace) target=_blank>봄맞이꽃속(Androsace)</a>
이명 : 백두산봄마지 큰산봄맞이꽃
잎 : 잎은 연한 황록색이며 넓은 도피침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엽병처럼 되고 길이 5~12mm 나비 2-5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윗부분에 표면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3~7cm로서 그 끝에 2~4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고 포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4mm이며 소화경은 길이 3-5mm로서 잔선모가 섞여 있다. 꽃받침은 잔모양이고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곧추서며 화관은 지름 5-7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수평으로 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꽃받침속에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가 갈라져 그 끝에 잎이 윤생상으로 달리고 어릴 때는 긴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백두산 지역 표고 2 500m근처)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고산바디
학명 : Coelopleurum saxatile (Turcz.) Drud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천궁속(Coelopleurum) target=_blank>산천궁속(Coelopleurum)</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 복엽이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잎 밑동은 넓은 싸개골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백색으로 복산형 화서를 이루고 소산형 화서가 20여 개의 꽃이 되며 총포편은 송곳 모양이다.
꽃 : 꽃은 7~8월에 핀다.
열매 : 과실은 분과로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뿌리가 굵고 둥글고 목질이며 밤색을 띤다.
분포 : 대개는 북부 지방 부전 고원 및 백두산 등지의 고원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고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wootchliana W.K.Pai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용담속(Gentiana) target=_blank>용담속(Gentiana)</a>
이명 : 고산구슬봉이
잎 : 근생엽은 로제트상으로 되나 종종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도란형으로 끝에 급하게 뾰족해지는 비늘막이 형성되며 기부는 초상 잎자루는 없고 길이0.6-2.0㎝ 나비 0.5-1.0㎝로 뚜렷한 1개의 맥이 있다. 경생엽은 중간마디 이하의 것은 근엽과 유사하나 작고 상부의 것은 선형 또는 좁은 주걱형으로 줄기에 밀착하며 선단은 뾰족하고 그 끝은 가시 같이 되어 길이 0.6-1.0㎝ 나비 1-3.5㎜이며 가장자리는 다소 넓은 막질로 되어 투명하게 된다.
꽃 : 꽃은 줄기 가지 선단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0.8-1.8㎝이고 꽃받침은 길이 0.9-1.2㎝로 화관의 1/2 길이이며 끝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선단은 뾰족하고 길이가 약 2-3.3㎜로 크기가 균일하며 가장자리는 막질로 되고 악통보다 짧다. 화관은 길이 1.6-2.0㎝로 통상 깔데기형이며 5-6월에 하늘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화통 내부에 짧고 균일한 짙은 자색줄이 있으며 끝은 5개의 열편으로 갈린다. 열편은 난형이며 선단은 점차 뾰족해 지고 길이 약 2.7-4㎜이다. 부화관은 원두로 선단에 몇 개의 치아상 톱니가 있다. 수술은 화관에 부착하며 약은 선상타원형으로 길이 0.6-1.8㎜ 암술은 1개로 짧은 자루가 있으며 주두는 둘로 갈라져 반곡하고 성숙하면서 덩굴손형으로 말린다. 자방은 단실자방이다.
열매 : 삭과는 긴 자루가 있어 화관 밖으로 돌출하고 종자는 난상타원형으로 표면은 망상이며 망강의 길이가 짧고 망강 표면은 평활하다.
줄기 : 줄기의 횡당면은 원형 줄기는 뿌리목에서 1-수개 또는 다수가 나오며 가지를 치거나 드물게 치지 않고 돌기가 없으며 높이 5-11㎝이다.
뿌리 : 뿌리는 주근형이며 세장하며 밑부분에서 잔뿌리가 나온다.
분포 : 평북 강원도 경남에서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고산성 식물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5(1)
-
Read MoreNo Image
고사리새
학명 : Catapodium rigidum (L.) C.E.Hub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사리새속(Catapodium) target=_blank>고사리새속(Catapodium)</a>
잎 : 잎새는 선형(線形)으로 길이 4-7㎝ 폭 1.5-2㎜로 노쇠하면 윗면으로 말린다. 엽초는 융합되지 않았으며 원통형(圓筒形)으로 잎새와 같은 길이이다. 엽설(葉舌)은 막질(膜質)이며 길이 1.5-2㎜로 위쪽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화서(花序)는 경질(硬質)이며 응축(凝縮)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고 길이 5-10㎝ 폭 2.5㎝ 가지는 길이 2㎝에 이른다. 소수(小穗)는 4-10개의 소화(小花)로 이루어지며 길이 5-8㎜이다. 포영(苞穎)은 2개이며 제1포영이 길이 1.5㎜ 1맥 제2포영이 길이 2㎜ 3맥이다. 호영(護穎)은 길이 2-3㎜ 3맥이며 망(芒)은 없고 배면(背面)이 둥글며 끝이 예두(銳頭) 또는 원두(圓
줄기 : 줄기는 직립하거나 아래쪽이 지면을 따라 눕기도 하며 높이 15-40㎝이다.
분포 : 전라남도 광양의 황금동 부근 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1753년 Linnaeus에 의하여 Poa rigida로 원기재된 종이다. 현재 북미 중미 남미 중도 아시아 호주 등지에 귀화되었으며 Sugimoto(1982)는 일본에 귀화되었음을 밝혔다.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등록되는 속(屬)이며 본속(本屬)은 편측성 원추화서(片側性 圓錐花序)를 이루며 제1포영이 1맥 제2포영이 3맥으로 크기가 다르며 호여에 망(芒)이 없는 점이 타속(他屬)과 구별점이다. ▶들판 전역에 독새풀과 동일한 생태적
-
Read MoreNo Image
고사리삼
학명 :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사리삼속(Sceptridium) target=_blank>고사리삼속(Sceptridium)</a>
이명 : 꽃고사리
잎 : 잎은 두꺼우며 윤채가 있다. 나엽은 엽병이 길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2-3회 깊게 가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신은 길이 5~10cm로서 삼각형 또는 오각형이며 양쪽 밑 우편에 긴 엽병이 있다. 소우편은 긴 난형 또는 난형이고 우편 바깥쪽 밑의 소우편이 가장 크며 각 열편은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서 끝이 둥글고 나비 2-3mm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포자엽은 나엽보다 훨씬 길고 윗부분이 잘게 갈라져서 각 가지에 좁쌀같은 포자낭이 달리고 뿔모양의 원주형으로 길이 5cm 내외이다.
열매 : 포자엽은 나엽보다 훨씬 길고 윗부분이 잘게 갈라져서 각 가지에 좁쌀같은 포자낭이 달리며 9-11월에 익는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굵은 육질의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1개의 잎이 나와 2개로 갈라져서 나엽과 실엽으로 된다. 근경은 거칠고 짧고 크며 다육인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히말라야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남덕유산) 경남 경북(죽령) 강원(치악산. 금강상) 경기(광릉) 황해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양치류.
유사종 : ▶늦고사리삼(Botrychium virginianum (L.))
-
Read MoreNo Image
고사리
학명 :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He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사리속(Pteridium) target=_blank>고사리속(Pteridium)</a>
이명 : 북고사리참고사리층층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80cm로서 연한 볏짚색이며 우편 밑을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나 땅에 묻힌 밑부분은 흑갈색이고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난상 삼각형의 잎은 딱딱한 혁질이며 길이와 나비는 50cm이상인데 3회 우상으로 복생하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약간 뒤로 말리고 소우편 끝이 갈라지지 않고 길게 자라며 엽맥은 2개씩 2-3회 갈라진다. 첫째 우편은 특히 크고 엽신 길이의 2/3을 차지한다. 실엽의 최
열매 : 적갈색의 낭퇴는 잎 뒷면의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서 생긴 포막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은 연필 크기만하고 단단하며 가로로 뻗는데 지름 약 1cm 길이 약 30cm이고 황록색으로 매끈하며 아래는 검은색으로 통통하다.
분포 : ▶지리적으로 일본 오키나와 중국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남-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의 양치류
특징 : 고사리는 메마른 땅에서도 자라지만 척박한 땅이나 건조한 땅 직사광선 밑 등에서는 가늘고 짧고 억센 것이 생산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
Read MoreNo Image
고비고사리
학명 : 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B9%84%EA%B3%A0%EC%82%AC%EB%A6%AC%EA%B3%BC(Hemionitidaceae) target=_blank>고비고사리과(Hemionit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target=_blank>고비고사리속(Coniogramme)</a>
이명 : 참고비고사리
잎 : 잎이 드물게 나고 2회우상복엽이며 엽병은 길이 40~70cm로서 연한 녹색이고 밋밋하며 뒷면에 자줏빛이 돈다. 엽신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길이 50-70cm 넓이 30~40cm로서 7~8쌍의 우편으로 갈라지고 하부의 1-3쌍의 우편들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꼬리처럼 된며 짧은 대가 있다. 소엽에 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맥은 2개씩 가라져서 나란히 퍼
열매 : 포자낭군은 황색이며 측맥을 따라 줄지어 나지만 엽연(葉緣)에는 이르지 않고 5mm정도 떨어진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막질인 다갈색 인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고비
학명 : Osmunda japonic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B9%84%EA%B3%BC(Osmundaceae) target=_blank>고비과(Osmun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비속(Osmunda) target=_blank>고비속(Osmunda)</a>
이명 : 가는고비
잎 : 어린 잎은 나선형으로 꾸부러져 나오며 적색 바탕에 백색의 면모로 덮여 있고 엽병은 주맥과 더불어 광택이 나며 처음에는 적갈색 털로 덮여 있지만 커지면서 곧 없어진다. 잎은 신선한 녹색으로 2회 우상복엽이이고 우편은 길이 20~30cm로서 첫째 것이 가장 길다. 소우편은 옆으로 퍼지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0cm 폭 1~2.5cm로 예두 또는 둔두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일그러지며 엽병이 없다. 성숙한 잎은
열매 : 포자- 생식엽의 소우편은 선형으로 되어 포자낭이 밀착한다. 여름철에 영양엽의 일부가 생식엽으로 변하는것도 간혹 있으나 일정하지는 않다.
줄기 : 근경에서 여러 대가 나와 높이 60-100cm정도 자란다.
뿌리 : 주먹 같은 근경이 있으며 많은 실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월남 인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 중부의 산지 습한 곳으로 그늘이 진 주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식물이다.
특징 : 잎이 신선한 녹색이라 쾌적하고 신선감을 준다.
-
Read MoreNo Image
고본
학명 : Angelica tenuissim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귀속(Angelica) target=_blank>당귀속(Angelica)</a>
이명 : 고번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윗부분에서는 엽병 전체가 엽초로 되어 굵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큰 산형화서에 달리고 총산경은 15-20개 소화경은 20-22개이다. 포엽은 0-2개로서 총산경보다 짧으며 피침형이고 소포는 1-5개가 소화경보다 길며 꽃받침잎은 절두로서 밋밋하고 꽃잎은 5개로서 도란형이며 안으로 굽고 백색이다. 자방은 타원형이며 길이 0.5-1.5mm로서 녹색이고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향기가 강하다.
뿌리 : 뿌리를 복수초근(福壽草根)이라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 경기(광릉 천마산)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왜당귀(A. acutiloba Kitagawa): 일본 원산으로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하는 다년초이다. 원줄기와 잎자루는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특징 :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고마리
학명 :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ex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고만이 꼬마리조선꼬마리줄고만이큰꼬마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창검같으며 길이 4-7cm 폭 3-7cm이고 표면은 누은 털이 성글게 있으며 변두리에 짧은 연모(緣毛)가 밀생한다.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측열편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엽병은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아래로 향한 가는 가시가 있으며 엽초는 길이 5-8mm로서 가장자리에 짧은 털과 더불어 흔히 소엽같
꽃 :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리며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선모가 있다. 소화경은 매우 짧고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지름 5-6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백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것과 흰빛이 도는 것이 있다. 수술은 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자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윤채가 없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길이가 1m에 달하며 상부는 비스듬히 서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아래로 향한 가시가 있으며 털은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1년초이다.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특징 : 줄기는 모가 지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난다.
-
Read MoreNo Image
고로쇠생강나무
학명 : Lindera obtusiloba f. quinquelobum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9%EB%82%98%EB%AC%B4%EA%B3%BC(Lauraceae) target=_blank>녹나무과(La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생강나무속(Lindera) target=_blank>생강나무속(Lindera)</a>
잎 : 잎은 심장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인데 윗부분의 것은 5갈래로 갈라지고 가운뎃부분은 3갈래로 갈라지며 아랫부분의 잎은 달걀처럼 생긴 둥근 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자웅이가로 2∼3월에 잎보다 먼저 노란색으로 피며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줄기 : 수피는 매끄럽고 잿빛을 띤 갈색이다.
분포 : 한국
-
Read MoreNo Image
고로쇠나무
학명 :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이명 : 개고리실 단풍나무 섬고뢰쇠 신나무 우산고로쇠 울릉단풍나무참고로실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둥글며 5-7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지름 7~15cm로서 뒷면 맥액에 속생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은 가을철에 황색으로 된다.
꽃 : 산방상 원추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잎과 같이 나오고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지름 5-7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시과는 예각으로 벌어지고 길이 2~3cm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곧게 자라고 웅대하게 퍼지며 껍질은 회청색으로 평활하지만 장령목이 되면서부터 세로로 골이져 갈라지고 어린가지는 회황색으로 얕게 갈라진다. 이른봄에 수액을 받아 약수로 한다.
뿌리 : 천근성(淺根性)이고 사출(射出) 또는 수평으로 발달한다.
분포 : ▶중국과 일본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8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형 또는 타원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유사종 : ▶긴고로쇠나무(A. mono Max. for. dissectum Rehder) : 잎이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피침형이며 엽병이 매우 길다. ▶집께고로쇠(A. mono Max. for connivens Rehder) : 열매가 예각으로 벌어진다. ▶붉은고로쇠(A. mono Max. for. rubripes T. Lee) : 엽병이 적색이다. ▶털고로쇠(A. mono Max. var. ambiguum Rehder)(var. paxli Honda a
특징 : 맹아력은 보통이다. 변재는 옅은 갈색 심재는 홍색의 줄무늬가 있는 엷은 갈색으로 구분이 되며 연륜도 뚜렷하다. 산공재로 무겁고 강하며 나무갗과 목리는 치밀하고 내후 보존성 접착성은 보통이다. 절삭가공은 약간 곤란하고 할열이 용이하며 건조는 곤란하고 도장 표면마무리는 양호 휨가공이 잘된다.
-
Read More
고려엉겅퀴
학명 :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곤드래구멍이도깨비엉겅퀴 독깨비엉겅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는 말라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있고 난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밑부분이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15~35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고 긴 타원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엽병이 짧으며 가장자리에 바늘같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지름 3~4cm인 자주색 두상화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위를 향해 1개씩 달린다.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20mm 나비 20-30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점질이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5~19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3.5-4mm이고 관모는 길이 11-16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가 곧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잎고려엉겅퀴 var.niveo-araneum Kitam : 잎 뒷면이 모시풀같이 백색이다.
-
Read MoreNo Image
고려공작고사리
학명 : Adiantum coreanum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고사리과(Lindsaeaceae) target=_blank>비고사리과(Linds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공작고사리속(Adiantum) target=_blank>공작고사리속(Adiantum)</a>
이명 : 조선공작고사리
잎 : 잎몸은 넓은 난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분포 : 한국(함북) 특산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
Read MoreNo Image
고려개보리
학명 : Elymus coreanus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보리속(Elymus) target=_blank>갯보리속(Elymus)</a>
이명 : 갯밀관모개보리마양초상원초애기개밀
잎 : 엽초는 마디 사이보다 길고 열려 있으며 긴 털이 있다. 잎몸은 납작하고 폭 5-9㎜으로 양 면에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0.3㎜이고 막질이다.
꽃 : 화서 밑에 긴 털이 있다. 화서는 길이 8-10㎝이고 다소 마디가 있으며 소축에 긴 털이 있다. 작은이삭은 낱꽃 3-4송이 호영은 송곳 모양 용골 모양이고 맥은 꺼칠꺼칠하며 서로 다르고 3맥에 꺼칠꺼칠한 까락이 있다. 제1호영은 길이 9㎜(까락 포함) 제2호영은 길이 10㎜(까락 포함)이다. 결실성 외영은 피침형으로 5맥이고 끝 부분만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길이 15㎜(까락 포함)이다. 내영의 길이는 9㎜로 섬모가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
줄기 : 줄기는 밀생하고 가지가 없고 밑이 구부러지며 마디는 3-4개이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고란초
학명 :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9E%80%EC%B4%88%EA%B3%BC(Polypodiaceae) target=_blank>고란초과(Poly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란초속(Crypsinus) target=_blank>고란초속(Crypsinus)</a>
잎 : 잎은 단엽이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한 것이 많지만 잘 자란 것은 2-3개로 갈라진다. 잎이 3개로 갈라질 때는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고 길이 5-15cm 나비 2-3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다소 흰빛이 돌고 주맥과 측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가장자리가 약간 두꺼워져서 검은빛이 돌고 측맥 사이가 들어가기 때문에 파상으로 되며 측열편은 짧고 작다. 길고 가느다란 선형의 엽병은 길이 5~25cm 정도로 털이 없고 단단하며 광택
열매 : 황색의 낭퇴(囊堆)는 둥글며 잎 뒤쪽의 각 지맥(支脈) 사이에 두 줄로 나며 황색으로 익고 포막은 없다.
뿌리 : 근경은 비교적 길게 뻗으며 여러개가 총생하고 갈색 인편으로 덮여 있다. 인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분포 : ▶일본 만주 오키나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상록 착생식물 양치류.
-
Read MoreNo Image
고들빼기
학명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들빼기속(Crepidiastrum) target=_blank>고들빼기속(Crepidiastrum)</a>
이명 : 빗치개씀바귀씬나물애기벋줄씀바귀좀두메고들빼기참꼬들빽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2.5-5cm 나비 14-17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3-6c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크게 감싸며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연황색의 두화(頭花)는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5-9mm이고 포는 길이 0.5-0.7mm로서 2-3개이다. 총포는 길이 5-6mm 중앙부의 지름 3mm이며 외포편은 1줄로 배열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0.5-1.5mm로서 둔두이다. 화관은 황색이고 길이 7-7.5mm 나비 1.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5-2mm이고 잔털이 다소 있다.
열매 : 수과는 흑색이며 편평한 원추형이고 길이 2.5-3mm로서 12줄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3mm정도이고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2-80c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자줏빛이 돌며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초이다.
유사종 : 왕고들빼기 가는잎 고들빼기 이고들빼기 등이 있다.
특징 : 흔한 들풀이지만 쓴나물이라고도 하고 황화채(黃花菜)라고도 한다.
-
Read More
고깔제비꽃
학명 : Viola rossii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고깔오랑캐
잎 : 뿌리에서 2~5개씩 모여나며 성숙한 잎은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길이 4-7cm 폭 4-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0-25cm이며 탁엽은 서로 떨어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7-10mm이다.
꽃 : 화경은 높이 10-15cm이고 4-5월에 1개의 홍자색 꽃이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7-8mm이고 부속체는 둔한 사각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5개이며 길이 15-20mm로서 원두이거나 약간 파지고 측열편은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거는 짧고 굵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둥글고 낭상(囊狀)이다. 수술은 5개이고 1개의 자방과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갈래로 벌어지며 털이 없고 길이 1-1.5cm로서 뚜렷하지 않은 갈색반점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이 필 무렵에는 양쪽 밑부분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므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평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 collina) ▶제비꽃(V. mandshurica) ▶삼색제비꽃(V. tricolor)
특징 : 잎이 활짝 피기 전의 모습이 고깔같아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