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oto |
|---|---|
| 과명 | 벼과(Gramineae) |
| 속명 | 강아지풀속(Setaria) |
| 이명 | 강아지풀 좀강아지풀 |
|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5-20㎝ 나비 5-20㎜로서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엽초의 가장자리에 엽설과 더불어 줄로 돋은 털이 있다. |
| 꽃 | 꽃은 7월에 피고 원주형의 수상화서는 길이 2-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며 중축에 퍼진 털이 있다. 소분수(小分穗)에는 1개의 완전화와 퇴화화가 달리고 소수는 뚜렷하지 않으며 소화경 밑에 긴 가시같은 털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0.8mm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양성화의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5맥이 있고 퇴화화의 호영은 5-7맥이 있으며 소수와 길이가 비슷하다. 양성화의 호영에는 잔점과 옆주름이 있고 꽃밥은 흑갈색이다. |
| 줄기 | 높이 20-70cm이고 밑부분에 가지가 갈라져 심하게 굽으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높다. 소지는 길이 6-8mm로서 퍼지고 강모가 길며 밀생한다. |
|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
| 형태 | 일년초이다. |
| 유사종 | 강아지풀 |
| 특징 | 바닷가에서 자란 강아지풀의 생태적인 변형으로 강아지풀에 비해 키가 작다. 내륙지에 이식하면 강아지풀과 같은 모양으로 환원된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Fl. Japan 1499. (1925)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갯메꽃
학명 :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메꽃과(Convolvulaceae) target=_blank>메꽃과(Convolv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메꽃속(Calystegia) target=_blank>메꽃속(Calystegia)</a>
이명 : 개메꽃 해안메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신원형이고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폭 3~5cm로서 기부는 깊게 파여 있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요철이 생긴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잎보다 길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지름 4~5cm인 깔때기 모양이며 엽액의 화경에서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화경은 대개 잎보다 길며 능선이 없고 포는 2개이고 길이 1~1.3cm로서 넓은 난상 삼각형이며 보통 꽃받침보다 짧고 총포처럼 꽃받침을 둘러싼다. 화관은 지름 4-5cm로서 희미하게 5각이 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둥근 삭과는 지름 1.5cm 정도이며 포와 꽃받침에 싸여 있고 속에 검고 단단한 종자가 있다.
줄기 : 뿌리줄기에서 줄기가 갈라져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뿌리 : 희고 굵은 지하경이 모래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독도를 포함한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아시아 유럽 온대에서 열대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과 모든 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갯마디풀
학명 : Polygonum arenastrum Borea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olygonum) target=_blank>여뀌속(Polygonum)</a>
이명 : 이삭마디풀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5~30mm 나비 2~8mm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좁아지며 엽병은 거의 없고 때로 분백색을 띠며 마르면 암갈색이다. 상부의 잎은 작고 떨어지기 쉬워 꽃이 필때는 수상화서 비슷하게 된다. 엽초는 짧고 맥이 많으며 맥을 따라 갈라진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잎짬에 난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세모진 난형이고 윗부분이 화피 밖으로 나온다.
줄기 :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치며 비스듬히 서고 능선이 많다.
분포 : 경기(군자) 황해(몽금포) 함남(덕원)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갯돌나물
학명 : Sedum lepidodi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개돌나물 )
잎 : 비늘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으로 길이 2~3mm 폭 1.0~1.5mm이며 끝부분은 뾰족하다. 두꺼운잎은 송곳모양으로 길이 6~15mm 폭 1.5~2.0mm이며 끝이 뾰족하고 적녹색을 띤다.
꽃 : 꽃은 줄기 끝에 한 개가 달린다. 꽃잎과 꽃받침은 미성숙한다. 암술은 미성숙하고 무성아로 변화한다.
분포 : 한반도(전라남도 관매도)
형태 : 덩굴줄기를 가진다.
-
Read MoreNo Image
갯댑싸리
학명 : Kochia scoparia var. littore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댑싸리속(Kochia) target=_blank>댑싸리속(Kochia)</a>
이명 : 갯대싸리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3맥이 있고 길이 2-5cm 폭 2-8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엽액에 몇 개가 모여 달리고 화병이 없으며 꽃 밑에 잎같은 포가 있고 윗부분의 잎은 흔히 포처럼 작아지기 때문에 전체가 수상화서로 되기도 한다. 양성화와 암꽃이 있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이 핀 다음 자라서 열매를 둘러싸며 뒷면에서 날개같은 돌기가 발달한다. 수술은 5개이고 길게 꽃 밖으로 나오며 꽃밥은 황색이고 자방은 원반형이며 끝부분의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포과(胞果)는 원반형으로서 끝에 암술대가 달리고 그 속에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원줄기가 꾸불꾸불하고 밑동에서 가지가 개출(開出)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분포 : 경기도 인천 앞 바닷가 또는 부전고원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댑싸리(K. scoparia Schrader): 줄기와 가지가 곧게 서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갯대추나무
학명 :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대추나무속(Paliurus) target=_blank>갯대추나무속(Paliurus)</a>
이명 : 개대추나무갯대추
잎 : 잎은 호생하며 지질이고 난상 원형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3.5-6cm 나비 2.5-4.5cm로서 기부에 3개의 큰 맥이 있으며 표면에 털이 있지만 곧 없어지고 뒷면은 어릴 때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3-8cm로서 털이 다소 있고 어린나무에 탁엽이 변하 가시가 있으나 늙으면 없어진다.
꽃 : 취산화서는 소지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화경이 짧고 갈백색 털이 밀생하며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5mm로서 연한 녹색이며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은 각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반구형이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날개로 되고 지름 12-20mm로서 재두이며 백갈색 복모로 덮여 있는 건과乾果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3m에 달하고 지엽이 밀생하며 가지에 갈백색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회백갈색으로 된다.
분포 : 주로 제주도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관목
-
Read MoreNo Image
갯당근
학명 : Daucus littoralis Sib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근속(Daucus) target=_blank>당근속(Daucus)</a>
잎 : 잎은 3회우상복엽이고 털이 있으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큰 산형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잎같으며 뒤로 젖혀지고 갈라진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각 5개이며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가시같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곧추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세로로 능선이 있으며 퍼진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굵으며 곧추 들어가고 황색 감색 또는 적색이다.
형태 : 2년초
유사종 : ▶당근(D. carota L. var. sativa DC.): 카로틴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꽃은 4-6월에 흰색꽃이 핀다.
특징 : 바닷가에서 자라는 본 종은 당근이 퍼져나간 것으로서 당근의 기본종으로 보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갯는쟁이
학명 : Atriplex subcordata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능쟁이속(Atriplex) target=_blank>갯능쟁이속(Atriplex)</a>
이명 : 갯능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삼각형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창검과 비슷하고 가장자리에 크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한군데에 모여 달리지만 가지 전체로서는 수상화서같이 보인다. 꽃잎은 없고 단성화이며 수꽃에 포가 없고 꽃받침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이 각 열편과 대생한다. 암꽃은 2개의 포가 있고 꽃받침은 없으며 자방은 둥글고 2개의 암술대가 있다. 암꽃의 포는 자라서 난상 삼각형으로 되며 길이 6-10mm 폭 5-9mm로서 1개의 포과가 들어있다.
열매 : 열매는 포과이며 종자는 갈색이고 지름 3-4mm로서 원반형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며 털이 없고 곧추서며 가지가 비스듬히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갯능장이(A. gmelini C. A. Meyer): 잎은 피침형 선형 처음에는 흰 가루에 덮이며 길이 5-10㎝ 잎자루는 짧다.
-
Read MoreNo Image
갯꾸러미풀
학명 : Puccinellia nipponic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 target=_blank>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a>
이명 : 개미꾸리꿰미풀 갯꾸렘이풀
잎 : 잎은 길이 10~20cm 폭 2~3mm로서 편평하거나 약간 안쪽으로 말려서 지름이 1mm 정도로 되고 잔점이 있거나 밋밋하며 분녹색이다. 엽설은 백색 막질이고 난형이며 길이 2~3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때로 밑부분이 엽초로 싸이며 분녹색이 돌고 가지는 서거나 중축에 들어붙으며 반윤생하고 길이가 다르며 잔이삭은 길이 4~6mm로서 3~4개의 꽃이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2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3.5mm로서 다소 뾰족하고 밑부분에 복모가 있으며 5맥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2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높이 30-100cm이다.
뿌리 : 근경이 발달하지 않는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각시미꾸리꽝이(P. chinampoensis Ohwi): 높이 25-50㎝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화서의 밑은 약간 꺼칠꺼칠하다. ▶갯겨이삭(P. coreensis Honda): 높이 30-60㎝ 줄기는 곧게 서고 가냘프다. 잎몸은 선형 납작하고 매끈하다.
-
Read MoreNo Image
갯까치수염
학명 : Lysimachia mauritiana 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까치수염속(Lysimachia) target=_blank>까치수염속(Lysimachia)</a>
이명 : 갯까치수영 갯꽃꼬리풀 갯좁쌀풀
잎 : 잎은 호생하고 두터운 육질로 윤기가 돌며 주걱같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2~5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흑색 내선점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아름답게 피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cm로서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지름 1-1.2c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에 흑색 점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쐐기같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지름 4-6mm로서 끝에서 작은 구명이 뚫려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흔히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 빛이 돈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육질의 2년생 초본류
-
Read MoreNo Image
갯기름나물
학명 : Peucedanum japonic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기름나물속(Peucedanum) target=_blank>기름나물속(Peucedanum)</a>
이명 : 개기름나물목단방풍미역방픙보안기름나물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회록색으로서 백분을 칠한 듯하며 2-3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능상 도란형이고 두꺼우며 길이 3-6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고 불규칙하고 깊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초가 터지지 않는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복산형화서로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정생하며 화서는 10-20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끝에 각 20-30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5개이며 소산경은 길이 2-3.5cm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에 털이 있으며 총포는 없고 소총포는 5~10개로서 삼각형 또는 피침형이다. 5개의 수술이 있으며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이며 잔털이 있고 뒷면의 능선이 실처럼 가늘며 늑(肋)사이에 3-4개 합생면에 8개의 유관이 있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곧게 자라며 끝부분에 짧은 털이 있고 가지를 치며 그 밖의 부분은 평활하다.
뿌리 : 뿌리를 산방풍(山防風) 식방풍(植防風)이라 한다. 땅속 뿌리는 굵고 목부분은 섬유질이 많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거문도) 전북 충남(대천) 경남 경북(울릉도)에 야생한다.
형태 : 숙근성 삼년초
유사종 : ▶왕산방풍(P. insolvens) ▶가는기름나물(P. elegans): 줄기는 털이 없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며 3회 깃꼴겹잎이다. ▶백운기름나물(P. hakuunense):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가며 선단에 마른 잎자루 흔적으로 덮이고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기름나물(P. terebinthaceum): 흔히 홍자색이 돈다. 잎은 2회 3출엽 잎자루는 길고 넓은 난형이다. ▶산기름나물(P. deltoideum): 작은잎이 기름나물에 비해 넓다. ▶두메기름나물(P. coreanum): 원줄기는 자줏빛 근생엽은 3출겹잎 갈래는 넓은 난형 다시 얕게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특징 : 희뿌연 회록색의 잎에 연잎처럼 물방울이 떨어지면 데굴데굴 구르는 것이 독특하며 잎의 생김은 목단잎같고 미나리과 식물 특유의 향취도 있는 개성있는 산나물이다.
-
Read MoreNo Image
갯금불초
학명 : Wedelia prostrata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불초속(Wedelia) target=_blank>금불초속(Wedelia)</a>
이명 : 모래덮쟁이털개금불초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질이 두꺼우며 길이 1.3-3.7cm 나비 4-14mm로서 원줄기와 더불어 짧고 굳센 털이 있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윤채가 있으며 3맥이 있고 가장자리의 상반부에 2~3쌍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8m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1개씩 비스듬히 위로 뻗은 가지 끝에 달리고 위를 향해 피며 지름 16-22mm로서 길이 1-7cm의 화경이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5-6mm 나비 10-20mm이고 포편은 1줄로 배열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뒷면에 털이 많고 녹색이다. 설상화는 7~8개이고 암꽃이며 1줄로 배열하고 화관은 길이 8~11mm 폭 4mm이며 통부는 길이 2.5mm이고 화관 뒷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여러 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10-11월에 익고 길이 3.5-4mm 지름 2mm로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이며 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이 좁으며 털이 없고 관모는 끝에 관처럼 돋아 있으며 극히 짧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제주도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긴갯금불초
특징 : 꽃이 금불초와 비슷하여 갯금불초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갯그령
학명 : Elymus mollis Tr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보리속(Elymus) target=_blank>갯보리속(Elymus)</a>
이명 : 개그령 갯보리애기개보리 조선개보리 조선갯보리
잎 : 잎은 분록색이며 길이 20-40㎝ 폭 7-12mm로서 털이 없고 표면은 맥이 튀어올라 거칠지만 뒷면은 밋밋하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고 엽설은 길이 1㎜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25㎝로서 거의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소축은 연모가 있다. 소수(小穗)는 2개씩 달리고 길이 1-2.5cm로서 3-5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예첨두이며 3-7맥이 있고 소화보다 길거나 같으며 뒷면에 털이 있다. 호형은 길이 2cm로서 7맥이 있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피침형 예두이고 내영은 길이 11mm로서 2개의 능선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굵고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갯보리(E. dahuricus Turcz.): 높이 50-100㎝ 잎은 폭 15㎜ 털이 없고 엽설은 길이 1㎜로 막질이다. ▶산갯보리(E. dahuricus T. var. villosulus Ohwi): 갯보리와 비슷하나 마디에 털이 난다. ▶개보리(E. sibiricus L.): 높이 50-80㎝ 줄기는 밀생한다. 잎몸은 납작하고 선상 피침형 양 면에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갯괴불주머니
학명 : Corydalis platycarpa (Maxi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이명 : 갯담초 갯주머니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10-25㎝로서 대개 엽병이 있고 2-3회 3출우상엽이며 열편은 난상 쐐기형이고 결각(缺刻)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15-20㎝로서 황색이고 한쪽이 순형(脣形)으로 벌어지며 다른 한쪽은 거(距)로 되고 총상화서는 길이 5-10㎝이며 끝에 달린다. 포는 피침형으로서 소화경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수술은 6개이며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의 길이가 2㎝정도이고 지름이 3-4㎜이다. 거의 염주모양으로 되지 않는다. 종자가 2줄 또는 거의 2줄로 배열된다.
분포 :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염주괴불주머니
-
Read MoreNo Image
갯골풀
학명 : Juncus haenkei E.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8%ED%92%80%EA%B3%BC(Juncaceae) target=_blank>골풀과(Jun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풀속(Juncus) target=_blank>골풀속(Juncus)</a>
이명 : 갯골
잎 : 잎은 비늘같고 원줄기 밑동에 다소 남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골풀처럼 원줄기 옆에 달리고 포는 원줄기의 연장처럼 보이며 길이 20cm정도 자라는 것도 있다. 꽃은 1개씩 달리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mm정도로서 중앙부는 녹갈색이며 양쪽은 다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1/2정도이고 꽃밥은 수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길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5-6㎜로서 짙은 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종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1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원줄기는 둥글다.
뿌리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갯고들빼기
학명 : Crepidiastrum lanceolatum (Houtt.)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들빼기속(Crepidiastrum) target=_blank>고들빼기속(Crepidiastrum)</a>
이명 : 개고들빼기갯고들백이긴갯고들빼기깃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좁은잎고들빼기
잎 : 잎은 주걱같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5~15cm 폭 1.2~4.5cm로서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윗부분의 잎은 난형이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10-11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밑부분에 잎같은 포엽이 있으며 화경은 길이 3-0mm이다. 총포는 털이 없고 통형이며 길이 6-9mm 나비 3-5mm로서 밑부분에 포편이 있고 외편은 보다 짧으며 1맥이 있고 털이 다소 있으며 내편은 7-8개이다. 소화는 8-12개이고 화관은 길이 9-10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2.5~4mm로서 10-15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백색으로 길이 3~4mm이다.
줄기 : 목질화 된 짧은 원줄기는 근경상(根莖狀)으로 남고 위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제주도와 다도해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갯겨이삭
학명 : Puccinellia coreensis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 target=_blank>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a>
이명 : 고려꾸렘이풀 남꾸렘이풀 조선미꾸리꿰미 참겨이삭
잎 : 잎은 길이 10~20cm 나비 2~3mm로서 편평하고 분녹색이며 엽초에 털이 없고 엽설은 길이 2~2.5mm로서 투명한 막질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20cm로서 중축과 소축이 밋밋하지만 윗부분의 능선에 잔돌기가 있고 잔이삭은 길이 4mm로서 5~7개의 꽃이 달리며 연한 녹색이다. 첫재 포영은 길이 1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1.5mm로서 난상 피침형이고 3맥이 있다. 호영은 막질이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2.5mm로서 끝이 둔하며 희미한 톱니가 있고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으며 2개의 능선이 있고 끝이 톱니같다. 수술은 3개이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총생한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각시미꾸리꽝이(P. chinampoensis Ohwi): 높이 25-50㎝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화서의 밑은 약간 꺼칠꺼칠하다. ▶갯꾸러미풀(P. nipponica Ohwi): 높이 30-50㎝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서고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갯개미취
학명 : Aster tripol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개개미취갯자원
잎 :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밑부분과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5-10cm 나비 6-12mm로서 밑부분이 반 정도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며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포상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두화는 지름 16-22mm로서 여러송이가 느슨한 산방화서를 이루며 밑부분에 포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와 지름이 각 7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5~3mm로서 끝이 둔하고 연모(緣毛)가 다소 있으며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mm 지름 1mm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꽃이 필 때는 길이 약 5mm이나 열매가 맺힐 때에는 길게 자라 14~16mm에 이르며 다갈색이다.
줄기 : 높이 25-10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빛이 돈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갯개미자리
학명 : Spergularia marina (L.) Gris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개미자리속(Spergularia) target=_blank>갯개미자리속(Spergularia)</a>
이명 : 개미바늘나도별꽃바늘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반원주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5-3cm로서 털이 없다. 탁엽은 넓은 삼각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1.5-2mm로서 백색 막질이며 밑부분에서 합생하고 가장자리에 흔히 톱니가 2-3개가 있다.
꽃 : 꽃은 5-8월에 피며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6mm로서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는 막질로서 선모가 있으며 길이 2mm정도이지만 3-4mm로 자란다. 꽃잎은 5개이며 백색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좁은 도란형이며 수술은 5개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길이 5-6m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0.5-0.7mm이고 같은 열매에서 나온 종자라도 날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며 줄기 밑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1-2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갯강활
학명 : Angelica japonica A.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귀속(Angelica) target=_blank>당귀속(Angelica)</a>
이명 : 왜당귀 )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넓은 난상 삼각형이고 1-2회 3출우상복엽이며 털이 없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7~10cm 폭 2-5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이그러진 원저이지만 정열편이 흔히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흐르고 윗부분의 엽초가 부풀어서 타원형으로 된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며 복산형화서로 달리고 산경에 잔털이 있으며 소산화서는 30~40개이고 길이 4-7cm로서 안쪽에 잔털이 있다. 총포는 5-6개이고 소총포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소화경보다 길거나 짧고 소화경은 20-40개로서 길이 5-12mm이며 안쪽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납작한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6-7mm로서 뒷면에 맥이 있고 옆에는 두꺼운 날개모양의 능선이 있으며 맥 사이에 1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줄기 속에 황백색의 즙액이 있고 곁에 암자색의 줄이 있으며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와 거문도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꽃바디나물(for. albiflora Max.): 백색 꽃이 핀다. ▶개구릿대(A. anomala Lallemant): 줄기는 속이 비고 털이 없으며 흔히 자줏빛이다. ▶흰바디나물(var. distans Kitagawa): 처녀바디와 비슷하나 잎의 첫번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제주사약채(A. fallax Boissieu): 제주도 한라산에서 나며 꽃은 처음에 칼집같이 생긴 잎 모양의 총포에 싸인다. ▶참당귀(A. g
-
Read MoreNo Image
갯강아지풀
학명 :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ot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강아지풀속(Setaria) target=_blank>강아지풀속(Setaria)</a>
이명 : 강아지풀 좀강아지풀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5-20㎝ 나비 5-20㎜로서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엽초의 가장자리에 엽설과 더불어 줄로 돋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원주형의 수상화서는 길이 2-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며 중축에 퍼진 털이 있다. 소분수(小分穗)에는 1개의 완전화와 퇴화화가 달리고 소수는 뚜렷하지 않으며 소화경 밑에 긴 가시같은 털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0.8mm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양성화의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5맥이 있고 퇴화화의 호영은 5-7맥이 있으며 소수와 길이가 비슷하다. 양성화의 호영에는 잔점과 옆주름이 있고 꽃밥은 흑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70cm이고 밑부분에 가지가 갈라져 심하게 굽으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높다. 소지는 길이 6-8mm로서 퍼지고 강모가 길며 밀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일년초이다.
유사종 : 강아지풀
특징 : 바닷가에서 자란 강아지풀의 생태적인 변형으로 강아지풀에 비해 키가 작다. 내륙지에 이식하면 강아지풀과 같은 모양으로 환원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