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Moehringia lateriflora (L.) Fenzl |
|---|---|
|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
| 속명 | 개벼룩속(Moehringia) |
| 이명 | 개벼룩이자리 큰장구채홀별꽃 |
|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양끝이 둔하고 길이 1-2.5cm 폭 3-10mm로서 양면 및 뒷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3맥이 있다. |
|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고 길이 1-3cm로서 잔털이 있으며 1-3개의 꽃이 달리고 흔히 중앙부에 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mm로서 중륵에 짧은 털이 있으며 희미한 1-3맥이 있고 꽃잎은 5개이며 백색이고 길이 5-8mm로서 긴 도란형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
|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4-5mm이고 3개로 갈라진 끝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신원형이고 길이 1mm로서 검은색이며 제부(臍部)에 부속체가 있다. |
| 줄기 | 높이 10-20cm이며 줄기는 가늘고 밑동에서 가지를 친다. 밑을 향한 잔털이 있다. |
|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Vers. Darstell. Alsin. (Fenzl, Jul-Sep 1833)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개산초
학명 : Zanthoxylum planispinum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개산초나무 겨울사리좀피나무 사철초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된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2cm 너비 1-2.5cm로서 정소엽이 가장 크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기부에 융모가 있거나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투명한 선점과 더불어 잔 톱니가 있다. 엽병과 엽축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엽병의 기부나 새가지의 기부 근처에 길이 1-2㎝나 되는 한쌍의 가시가 있다.
꽃 : 화서는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이고 액생하며 길이 3-4cm로서 연한 황색의 소화가 달리고 꽃은 암수딴그루로 6월에 개화한다.
열매 : 심피는 붉은 색이 돌며 길이 5mm정도로서 선점이 있고 열매는 공모양의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는 삭과로 9-10월에 적갈색으로 익어서 주옥같은 종의(種衣)를 뒤집어 쓴 흑색의 종자가 옆으로 튀어나온다.
줄기 : 소지에 털이 없으며 탁엽이 변한 길이 1-2㎝정도인 한쌍의 편평한 가시가 있다.
분포 : 남부 지방 난대림의 해발 50-600m 사이에 자생한다.(전남 경상남북도 제주도등지)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개사탕수수
학명 : Saccharum spontaneum var. arenicola (Ohw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탕수수속(Saccharum) target=_blank>사탕수수속(Saccharum)</a>
잎 : 잎은 길이 30~70cm 너비 20~30mm이며 중앙맥은 넓고 백색이다. 엽설은 높이 2~3mm이다.
꽃 : 원추화서를 이루며 중축에 많은 총이 배열한다. 총채모양이다. 유병소수와 무병소수가 쌍으로 달리고 기부에 털이 있고 길이 10~15mm이다.
열매 : 포영은 길이 4~5mm이고 호영은 제 2 소화의 것이 길이 3.5mm이다. 내영은 없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사철쑥
학명 : Artemisia apiacea Hance ex Wal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갯사철쑥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9-15cm 나비 3.5-5.5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옆으로 퍼지며 중축 윗부분이 빗살처럼 되고 제2차 열편은 나비 1.5-2mm로서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로서 긴 타원형이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제1차 열편은 드물게 달리고 소열편은 나비가 보통 0.5mm정도로서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녹황색으로 7~9월에 피며 길이 3.5-4mm 지름 5-6mm로서 반구형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원추상으로 배열하고 한쪽으로 몰려난 총상(總狀)이다. 화경은 길이 2-6mm이다. 총포편은 둥글고 열편은 3줄로 배열되며 긴 타원형으로서 외편은 약간 짧고 중편과 내편은 길이가 같으며 뒷면이 녹색이고 잔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암꽃의 화관은 길이 1.5mm정도이고 양성화의 화관은 길이 1.8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40-1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다.
분포 :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제주 충남 강원 경기 황해도에 야생한다.
형태 : 이년초(월년초)
유사종 : 사철쑥 털산쑥 흰산쑥 더위지기 맑은대쑥 흰사철쑥 참쑥 등이 있다.
특징 : 암꽃과 양성화의 모양이 다르다. 개똥쑥에 비해 두상화서는 반구형이며 크다.
-
Read MoreNo Image
개사상자
학명 : Torilis scabra (Thunb.)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상자속(Torilis) target=_blank>사상자속(Torilis)</a>
이명 : 긴사상자큰사상자
잎 : 밑부분의 경생엽은 길이 5~10cm이고 최종열편이 우상으로 좁게 갈라진다.
꽃 : 화경은 길며 2-4개의 소산경이 갈라지고 소산경은 길이 2-3cm이며 총포는 없거나 1개이고 실처럼 가늘며 소총포는 선형이고 소과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 또는 자주색이다. 겹산형화서로서 작은 산형화서는 2~4개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3~6개씩 달리고 길이 4.5~6mm로서 긴 타원형이며 자줏빛이 돌고 가시같은 돌기 사이에 위를 향한 복모가 있으며 돌기는 퍼지고 끝이 약간 굽은 갈고리같아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히고 잎과 더불어 잔털이 산생(散生)한다.
분포 : 남부지방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사상자
특징 : 사상자와 비슷하나 열매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고 소과경이 보다 길기 때문에 개사상자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개빕새귀리
학명 : Bromus richardsonii Lin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새귀리속(Bromus) target=_blank>참새귀리속(Bromus)</a>
이명 : 빕새귀리 산새귀리
잎 : 잎은 납작하고 길이 20~30cm 너비 8mm 가량이다. 엽초에는 털이 없거나 밑부분에 짧은 털이 있고 엽설은 짧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25cm가량이다. 소수화서는 길이 2.5~4cm 낱꽃은 5~9송이이다. 호영은 길이가 서로 다르고 뾰족하며 제1호영은 길이 6~10mm로 1맥이고 제2호영은 길이 9~11mm로 3맥이다. 밑의 외영은 피침형이고 길이 12~14mm이며 5~7맥으로 가장자리에 긴 털이 나있다.
줄기 : 줄기는 대형이다. 가지는 처지고 길이 5~10cm이다.
분포 : 한국(북부) 중국 동북지방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반도 몽골 동시베리아 북아메리카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비자나무
학명 : Cephalotaxus k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B9%84%EC%9E%90%EB%82%98%EB%AC%B4%EA%B3%BC(Cephalotaxaceae) target=_blank>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 target=_blank>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a>
이명 : 누은개비자나무 눈꺼비자나무 좀개비자나무
잎 : 잎은 선형으로 길이 4cm정도이지만 맹아의 것은 7.5cm에 달하는 것도 있고 과지의 것은 길이 2-2.5cm이며 4-5년만에 떨어진다. 중앙의 엽맥이 두드러지며 뒷면에 2줄로 된 기공선이 있다. 엽병이 없고 2열로 배열되며 비자나무에 비하여 부드러우며 잎끝이 예리하나 만져도 찌르지 않는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4월에 녹색으로 피고 수꽃은 길이 5mm내외로 편구형이며 10여개의 포로 싸인 것이 한 화경에 20-30송이씩 달린다. 암꽃은 길이 5mm이며 2송이씩 한군데에 달리고 10여개의 뾰족한 녹색 포로 싸여 있다.
열매 : 배주는 한 꽃에 8-10개씩 있고 육질의 종의로 싸인 열매는 둥글며 지름 1.7-1.8cm로서 다음해 8-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5mm 폭 10mm로서 갈색이다.열매에는 짧은 자루가 달려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수피는 암갈색이 나고 세로로 갈라져 있다. 가지는 횡장성이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뿌리 : 잔뿌리가 많이 내리고 잔근성이다.
분포 : ▶중국 일본 등의 동부아시아와 히말라야에도 5종이 자란다. ▶경기도와 충북 이남지역(북위 38˚이남)의 표고 100~1 300m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관목 수형: 자생상태에서는 수형이 안잡히나 인위적으로 재배시 원추형이다.
유사종 : ▶눈개비자나무(var. nana Nak.): 뿌리에서 맹아가 돋아 나오는 종류를 눈개비자나무라고 하지만 이는 개암나무의 특성인 것과 같다.
특징 : ▶수형이 깨끗하고 엽폭이 넓어서 다른 침엽수에 비해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며 생장이 빠른 특성 때문에 쉽게 녹화가 가능하다. ▶경남 통영군 한산면 비진도 수포마을앞에 서 있는 것: 수고 6m 흉고직경 22㎝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개비자나무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비름
학명 : Amaranthus livid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름속(Amaranthus) target=_blank>비름속(Amaranthus)</a>
이명 : 비름
잎 : 잎은 호생하며 녹색이지만 흔히 갈자색이 돌고 사각상 난형이며 요두 예저이고 길이 4-8cm 넓이 2.5-4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담록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며 작고 엽액과 원줄기 끝에 모여서 수상화서를 형성하고 전체적으로는 원추화서로 된다. 포는 작으며 꽃받침보다 짧고 꽃받침은 녹색이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5mm정도로서 피침형이다. 수술은 3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포과는 편원형이며 벌어지지 않고 주름이 없으며 꽃받침보다 다소 길다. 종자는 지름 1.2mm정도이며 흑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얇다. 8-9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기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가로 눕거나 비스듬히 서며 연한 녹색이고 능선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북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눈비름(A. deflexus L.):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지고 잎은 난형 좁은 난상 삼각형 길이 1-4㎝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청비름(A. virid
특징 : 청비름과 달리 끝이 둥글다.
-
Read MoreNo Image
개붉가시나무
학명 : Quercus acuta f. subserra (Uyek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7-13㎝로서 원저 또는 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잎 윗부분에 파상의 톱니가 약간 있고 측맥은 9-13쌍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어릴 때는 갈색 면모로 덮여 있으나 없어진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고 웅화서(雄花序)는 새가지의 기부에서 밑으로 처지며 갈황색의 털이 있고 자화서(雌花序)는 윗부분에서 곧추 나와 2-5개의 꽃이 달리며 웅화서처럼 털이 있다. 수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많은 수술이 있고 암꽃은 털로 덮여 있는 총포로 싸여 있으며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반구형이고 5-6개의 동심윤층(同心輪層)이 있으며 견과는 길이 2cm로서 타원형이고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60cm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많은 가지와 무성한 잎이 있어 장대한 수형을 이룬다. 어린 가지에 갈색 털이 밀포한다.
분포 : 완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 잎의 가장자리는 매끈하나 윗부분이 약간 톱니모양인 것도 있다.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목재의 색깔이 붉은 데서 비롯되었다.
특징 : 목재의 색이 붉고 무겁고 잘 쪼개지지 않을 뿐 아니라 보존성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didyma var. lilacina (H. Hara) T.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개불꽃봄까지꽃 지금
잎 : 잎은 밑부분에서는 대생하고 윗부분에서는 호생하며 난상 원형이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와 폭이 각각 6~10mm로서 2-3쌍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짧은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3-6mm로서 길게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다. 화관은 지름 3~4mm이고 통부가 짧으며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이다.
열매 : 지름 5mm 정도의 삭과로서 신장형이고 전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중앙부에 세로로 깊은 홈이 있으며 양단이 둥글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1.2mm로서 희미한 주름이 있다.
줄기 : 높이 5-15cm이고 부드러운 짧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자라거나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동아시아의 난대·아열대에 널리 분포한다. ▶울릉도 서울 경기 전라도 및 경상도 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특징 : 개불알풀은 열매 모양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부처손
학명 :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손과(Selaginellaceae) target=_blank>부처손과(Selagine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처손속(Selaginella) target=_blank>부처손속(Selaginella)</a>
이명 : 바위부처손
잎 : 경생엽은 긴 난형으로서 4줄로 붙지만 가지가 갈라지는 곳에서는 2가지 형태로 되어 평면 위에 4줄로 배열된다. 측엽은 퍼지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난형이며 끝이 가시처럼 예리하고 소지는 잎과 더불어 지름 1-2mm이다. 포자엽은 길이 1.5mm의 난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열매 : 포자낭수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4각주형으로서 길이 5~15mm 지름 1.5mm이다.
줄기 : 지하경의 끝부분이 위로 솟아서 높이 10-25cm의 지상경으로 되며 위에서 가지가 3~4회 우상으로 갈라져서 난형 또는 긴 난형의 잎처럼 퍼져 길이 10cm 나비 5cm내외로 되고 밑부분이 엽병처럼 된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리고 끝부분이 위로 솟아서 지상경이 된다. 가는 뿌리가 엉겨 굵어진 지하경이다.
분포 : 단양 가평 서흥 및 평양(모란봉)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유사종 : ▶부처손(Selaginella tamariscina Spring)
특징 : ▶부처손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잎의 형태가 방사상으로 자라지 않는다. ▶바위손과 비슷하지만 지하경에 잎이 밀착하여 보다 굵은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개보리뺑이
학명 : Lapsanastrum apogonoides (Maxim.) J.H.Pak & K.Brem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보리뺑이속(Lapsanastrum) target=_blank>개보리뺑이속(Lapsanastrum)</a>
이명 : 개보리뱅이 뚝갈나물 애기보리뱅이
잎 : 근생엽은 밀생하며 지면에서 사방으로 퍼지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이 길고 도피침상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10㎝ 나비 1.5-2.6cm로서 양면에 털이 많거나 없으며 가장자리는 결각 모양이다. 경생엽은 1-3개가 서로 떨어져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4-7mm로서 근생엽과 비슷하다.
꽃 : 꽃은 3-5월에 피며 처음에는 엉성한 산방상이지만 가지가 자라서 밑으로 처지고 꽃은 황색으로 모두 설상화이며 화경은 길이 1.5-5cm이다. 총포는 원추형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 3-5mm 나비 3-4mm이지만 길이 5-6mm 지름 5mm로 자라고 외포편은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내포편은 5개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소화는 6-9개이며 화관은 길이 5-6.2mm이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이고 편평하며 긴 타원형이고 줄이 3개 있으며 길이 3-4.5mm로서 끝에 2-4개의 젖혀진 돌기가 있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4-20cm이고 털이 많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지가 밑으로 처진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보리
학명 : Elymus sibiric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보리속(Elymus) target=_blank>갯보리속(Elymus)</a>
이명 : 갯보리 나도개밀
잎 : 엽초는 털이 없이 반반하고 엽설(葉舌)은 막질로서 길이 0.5-1.5mm이다. 잎은 길이 7-15cm 폭 5-8cm로서 다소 편평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이 반반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수상화서는 길이 8-15cm로서 끝이 밑으로 처지며 小穗(소수)는 각 마디에 2개씩 달리지만 양끝에는 1개씩 달리고 흑자색이 돌며 3-4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길이 12-14mm로서 대가 거의 없다. 포영은 털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4.5mm로서 2-3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3맥이 있고 길이 4.7mm로서 모두 끝이 날카롭다. 호영은 5맥이 있으며 길이 8-11mm로서 끝이 갈라지고 그 틈에서 길이 1-2cm의 까락이
줄기 : 뻗는 줄기가 없고 높이 40-80cm로서 곧추서며 단생하거나 총생하고 전체가 분녹색을 띤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의 높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갯보리(E. dahuricus Turcz.): 높이 50-100㎝ 잎은 폭 15㎜ 털이 없고 엽설은 길이 1㎜로 막질이다. ▶산갯보리(E. dahuricus T. var. villosulus Ohwi): 갯보리와 비슷하나 마디에 털이 난다. ▶갯그령(E. mollis Trin.): 근경은 옆으로 뻗고 줄기는 굵고 밋밋하다.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 뒷면은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개병풍
학명 :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병풍속(Astilboides) target=_blank>개병풍속(Astilboides)</a>
이명 : 개평풍골평풍
잎 : 근생엽은 방패모양으로 큰 것은 지름이 80cm에 달하고 가장자리가 7개 정도로 얕게 갈라지며 잔톱니가 있고 장상으로 갈라진 엽맥은 다시 2개씩 차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80~90cm 지름 2cm 정도이고 탁엽은 막질이다.
꽃 : 꽃은 양성이고 6∼7월에 백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로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난형이며 꽃잎은 5개로 도란상 장 타원형이고 수술은 5개로 꽃잎보다 약간 길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고 암술대 사이가 벌어져 많은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줄기는 장대하고 자모가 있다.
분포 : 강원 경기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
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별꽃속(Pseudostellaria) target=_blank>개별꽃속(Pseudostellaria)</a>
이명 : 다화개별꽃 들별꽃미치광이풀 섬개별꽃 좀미치광이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10-40mm 폭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한쪽에 털이 줄지어 돋고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도 5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6mm이며 원두 또는 둔한 절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에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고 지면 가까이에 폐쇄화가 몇 개씩 달리며 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3개로 갈라져서 세립 종자를 산출한다.
줄기 :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뿌리 : 방추형의 괴근이 1-2개씩 달린다. 뿌리를 태자삼(太子蔘)이라 한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남 경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위쪽 잎은 난형 긴 난형이고 아래쪽 잎은 선형 피침형 길이 1.5-3㎝ 양 면에 털이 있다. ▶큰개별꽃(P. palibiniana Ohwi): 방추형의 흰 괴근이 있고 흰 털이 있다. 밑동에 나는 잎은 주걱모양 줄기 위에 나는 잎은 특별히 큰 난형 길이 3-
-
Read MoreNo Image
개벼룩
학명 : Moehringia lateriflora (L.) Fenz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벼룩속(Moehringia) target=_blank>개벼룩속(Moehringia)</a>
이명 : 개벼룩이자리 큰장구채홀별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양끝이 둔하고 길이 1-2.5cm 폭 3-10mm로서 양면 및 뒷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3맥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고 길이 1-3cm로서 잔털이 있으며 1-3개의 꽃이 달리고 흔히 중앙부에 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mm로서 중륵에 짧은 털이 있으며 희미한 1-3맥이 있고 꽃잎은 5개이며 백색이고 길이 5-8mm로서 긴 도란형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4-5mm이고 3개로 갈라진 끝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신원형이고 길이 1mm로서 검은색이며 제부(臍部)에 부속체가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며 줄기는 가늘고 밑동에서 가지를 친다. 밑을 향한 잔털이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벚지나무
학명 : Prunus maackii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이명 : 개벗나무 개벗지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1cm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선점이 밀생하며 맥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선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1cm로서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5-7㎝이고 꽃받침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겉에 털과 선점이 있다. 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도란형이며 수술은 암술대와 길이가 같다.
열매 : 핵과로 둥글고 지름 5-7mm 로서 6-7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매우 떫고 소과경은 길이 5mm이며 핵은 길이 4mm로서 주름이 있다.
줄기 : 수피는 황갈색으로 윤기가 있고 옆으로 벗겨지며 소지는 털이 점차 없어지고 갈색으로 된다. 가지가 정자형으로 자라 수형이 곧아서 기상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200~1 700m의 심산에서 자라며 만주 중국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북개벚지(P. meyeri Rehder): 개벚지와 산개벚지와의 잡종인 듯하며 개벚지나무에 비해 수피가 암갈색이고 벗겨지지 않는다. 소화경에 포가 있으며 화경은 길고 화주는 짧다. ▶산개벚지(P. maximowiczii Rupr.): 강원도 심산에서 자라며 자갈색 수피가 있고 곧게 자라며 꽃과 열매가 많다.
특징 : 맹아력이 좋고 생장도 빠른 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벚나무
학명 : Prunus verecunda (Koidz.) Koehne var. verecu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이명 : 분홍벗나무 분홍벚나무 산벗나무 좀벗나무 털벗나무
잎 : 잎은 난형 넓은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점첨두 원저로 길이 5-8cm 폭 2-4.5cm이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예리하고 잎 뒷면에 미모가 있다.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양면 맥 위에만 남는다. 엽병은 길이 11-18mm로서 털이 없거나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2-4개의 밀선이 엽신기부에 있다. 9-10쌍의 측맥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담도홍색 또는 홍백색을 띠며 잎과 같이 2-3개씩 산형화서를 이루고 꽃잎은 둥글고 길이 2㎝정도로서 끝이 오목하다. 화경(花梗)은 길이 2c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4.3cm로서 털이 없고 포는 길이 5-6mm로서 톱니가 있으며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통은 길이 5.3mm로서 털이 없고 꽃받침잎은 길이 4.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고 꽃잎은 연한 홍색이고 둥글며 길이 2cm로서 요두이다. 수술은 길이7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3.5mm이며 검게 익는다. 핵은 편평하고 연한 황색이다.
줄기 : 소지(小枝)는 자줏빛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처진개벚 (var. pendula NAK.) : 가지가 밑으로 처진다. ▶털개벚 (var. pilosa NAK.) : 소화경에 잔털이 있고 꽃이 순백색이다. ▶많첩개벚 (for. semiplena T. LEE) : 꽃잎이 거의 만첩이다.
특징 : ▶벚나무에 비하여 잎의 뒷면에 미모가 난다. (P.leveilleana var. typica Nakai P. serrulata var. intermedia Nakai)
-
Read MoreNo Image
개버무리
학명 : Clematis serratifolia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개버머리 꽃버무리으아리꽃
잎 : 잎은 대생하고 2회3출복엽이며 소엽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어느정도 치밀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5-6cm로서 짧은 화경(花梗)에 몇 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로서 연한 황색이다. 화피는 긴 타원형이고 약간 뾰족하며 겉에는 털이 없으나 안쪽에는 털이 있고 수술은 많으며 수술대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5mm내외로서 연한 황색 또는 백색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끝에 깃털모양의 긴 암술대가 꼬리처럼 달린다.
줄기 : 길이 2m까지 자라는 덩굴성으로 1년생 줄기는 적자색이다.
분포 : 경북 및 강원도 이북의 표고 100~1 700m 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만경목 수형:만경형
특징 : 여름이 되면 덩굴이 모여나서 연하고 빛나는 잎 사이에서 귀여운 노랑색 등과 같은 꽃이 환하게 피며 개화량이 대단히 많다.
-
Read MoreNo Image
개발나물
학명 : Sium suave Walt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발나물속(Sium) target=_blank>개발나물속(Sium)</a>
이명 : 가는개발나물가락잎풀당개발나물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위로 갈수록 엽병과 잎이 모두 작아지며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소엽은 7~17개로서 쐐기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정소엽 이외에는 소엽병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15cm 폭 7-55m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5-6개로서 선형이며 젖혀지고 총산경은 10-20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지며 각 10여개의 꽃이 끝에 달린다. 소총포는 소화경보다 짧고 젖혀진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거의 둥글고 길이 2.5-3mm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희고 여러 개가 굵은 수염뿌리 같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물개발나물(var. nipponicum Hara): 소엽이 7-9개로서 길이 3-10cm 폭 1-3cm이고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잎이 뚜렷하다. ▶대암개발나물(S. heterophyllum Y. Lee): 감자개발나물과 닮았으나 잎이 이엽성(異葉性)이고 가을철에 주아(珠芽)가 생기지 않으며 누운 줄기 마디에서 방추형의 뿌리가 달린다. ▶감자개발나물(S. ninsi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을철에 잎겨드랑이에 주아가
-
Read MoreNo Image
개박하
학명 : Nepeta catar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박하속(Nepeta) target=_blank>개박하속(Nepeta)</a>
이명 : 돌박하 말들깨
잎 : 잎은 대생하며 삼각상 난형이고 예두이며 심장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2-3.5cm로서 가장자리에 굵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2-4c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침형이다. 화관은 자주색 점이 있으며 전체가 백자색이고 첫째 열편이 가장 크며 4개의 수술중에서 2개가 길다.
열매 :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꽃받침속에 들어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1.5mm로서 흑갈색이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전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둔한 사각형이고 윗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형태 : 다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