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Betula chinensis Maxim. |
|---|---|
|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
| 속명 | 자작나무속(Betula) |
| 이명 | 가는개박달나무개박달금강개박달긴잎개박달나무긴잎박달남포박달뚝개박달나무물박달숲박달웅기개박달웅기자작나무짝작이참박달나무화엄개박달나무 |
| 잎 | 잎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첨두이고 아심장저 원저 또는 거의 예저이며 길이 4cm 폭 3cm 정도로서 단거치가 있고 측맥은 6-10(보통 8-10)쌍이며 표면은 간혹 털이 있고 뒷면은 맥을 따라 털이 있으나 지점(脂點)은 없고 엽병은 백색 털이 있다. |
| 꽃 | 꽃은 5월에 피고 유이화서로 암수한그루이며 수꽃 이삭은 가지 끝에서 밑으로 처지고 암꽃 이삭은 난형이며 길이 1.5-2㎝ 폭 1.4㎝정도로서 곧게 선다. |
| 열매 | 과수는 길이 1.5-2.0cm 폭 1.4cm로서 난형이며 실편은 길이 6mm이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털이 많다. 열매는 소견과로 길이 3mm 폭 2mm로서 갈색이고 날개가 거의 없으며 9월에 익는다. |
| 줄기 | 수피는 회색이고 벗겨지며 선상의 피목이 옆으로 배열되고 소지는 자갈색이다. |
|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2 000m의 산중턱 이상에서 자생한다. 경기도 및 강원도 이북에 많이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
| 유사종 | ▶남포개박달(var. angusticarpa H. Winkler): 잎이 심장상 난형이고 열매가 넓은 도피침형으로 진남포에서 자란다. ▶금강개박달(var. landifolia Nak.): 잎이 피침형이고 금강산에서 자란다. ▶웅기개박달(var. collina Nak.): 잎이 타원형으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털이 많고 실편의 길이가 7-8mm 열매의 길이가 2mm 폭이 1.5mm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54:47 (1879)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
Read MoreNo Image
개박달나무
학명 : Betula chinens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작나무속(Betula) target=_blank>자작나무속(Betula)</a>
이명 : 가는개박달나무개박달금강개박달긴잎개박달나무긴잎박달남포박달뚝개박달나무물박달숲박달웅기개박달웅기자작나무짝작이참박달나무화엄개박달나무
잎 : 잎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첨두이고 아심장저 원저 또는 거의 예저이며 길이 4cm 폭 3cm 정도로서 단거치가 있고 측맥은 6-10(보통 8-10)쌍이며 표면은 간혹 털이 있고 뒷면은 맥을 따라 털이 있으나 지점(脂點)은 없고 엽병은 백색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유이화서로 암수한그루이며 수꽃 이삭은 가지 끝에서 밑으로 처지고 암꽃 이삭은 난형이며 길이 1.5-2㎝ 폭 1.4㎝정도로서 곧게 선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5-2.0cm 폭 1.4cm로서 난형이며 실편은 길이 6mm이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털이 많다. 열매는 소견과로 길이 3mm 폭 2mm로서 갈색이고 날개가 거의 없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고 벗겨지며 선상의 피목이 옆으로 배열되고 소지는 자갈색이다.
분포 :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2 000m의 산중턱 이상에서 자생한다. 경기도 및 강원도 이북에 많이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유사종 : ▶남포개박달(var. angusticarpa H. Winkler): 잎이 심장상 난형이고 열매가 넓은 도피침형으로 진남포에서 자란다. ▶금강개박달(var. landifolia Nak.): 잎이 피침형이고 금강산에서 자란다. ▶웅기개박달(var. collina Nak.): 잎이 타원형으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털이 많고 실편의 길이가 7-8mm 열매의 길이가 2mm 폭이 1.5mm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바늘사초
학명 : Carex ud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개바눌사초 잔바늘사초
잎 : 잎은 납작하고 폭 2-3㎜로서 연한 녹색이다.
꽃 : 소수(小穗)는 끝에 1개 달리고 길이 7-10mm로서 윗부분에는 수꽃 밑부분에는 암꽃이 달리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수꽃부분은 2-6개의 꽃으로 되고 길이 2-3mm이며 암꽃부분은 폭 5-6mm이다. 자화영(雌花穎)은 길이 2.2㎜ 폭 1.2㎜로서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연한 구리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1맥이 있다. 암술대는 곧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곧거나 약간 뒤로 젖혀지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3-3.5mm로서 잔맥이 있고 연녹색이며 부리는 약간 길고 끝이 약간 파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고 길이 2mm정도로서 난상 타원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5-50㎝ 지름 1mm정도이며 능각이 예리하고 밋밋하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개밀아재비
학명 : Agropyron chinensis (Trin. ex Bunge)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밀속(Agropyron) target=_blank>개밀속(Agropyron)</a>
이명 : 개보리풀
잎 : 엽초는 밋밋하며 길이 1.5~3mm의 엽이(葉耳)가 있고 엽설(葉舌)이 달린 가장자리에는 길이 2mm 폭 1mm정도의 돌기가 있으며 엽설은 길이 1mm이하로서 절두이다. 잎은 편평하지만 가장자리가 약간 안으로 말리고 길이 7-15cm 폭 3-5mm로서 표면에는 털이 있으나 뒷면에는 털이 없으며 질이 두껍고 굳다.
꽃 : 화수(花穗)는 길이 12-18cm로서 곧고 양쪽 능선에 털이 있으며 소수(小穗)는 길이 15mm정도이고 백록색이며 1개 마디에 2개 또는 1개가 달려 6~7월에 꽃이 핀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털이 없으며 길이 6.2-8.2mm로서 1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9.5mm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거나 짧은 까락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능선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4mm정도이다.
열매 :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길이 3~8mm이며 털이 없고 1맥이 있으며 잔꽃은 4~10개이다. 외영은 피침형으로 길이 7~10mm이며 5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나 까락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능선에 털이 있으며 끝이 약간 갈라졌다.
줄기 : 높이 30-90cm이고 곧게서며 지름은 1.5~2.5mm로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어 번식하며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평양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질이 아주 좋은 목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밀
학명 :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밀속(Agropyron) target=_blank>개밀속(Agropyron)</a>
이명 : 들밀수염개밀
잎 : 잎은 길이 20-30cm 폭 0.5-1cm로서 녹색 또는 분백색이며 끝이 밑으로 쳐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화수(花穗)는 길이 15-25cm로서 끝이 옆으로 처진다. 소수(小穗)는 곧게서거나 화축에 들어 붙지만 꽃이 필 때는 비스듬히 서며 대가 거의 없고 흑자색 또는 녹자색이며 길이 15-25mm로서 5-10개의 꽃이 달린다. 포영은 넓은 도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3-5맥이 있고 까락이 없거나 작은 까락이 발달하며 길이 5-8mm이다. 호영은 길이 9-12mm이고 넓은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잔점이 있으나 털은 없고 가장
열매 : 영과는 익으면 내영(內潁)과 함께 떨어지고 끝에 털이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40~100cm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속털개밀 (A. ciliare var. minus Ohwi)
특징 : 개밀과 거의 같은 장소에서 자란다. 호영에 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개미탑
학명 : Haloragis micrantha (Thunb.) R.Br. ex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AF%B8%ED%83%91%EA%B3%BC(Haloragaceae) target=_blank>개미탑과(Halo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미탑속(Haloragis) target=_blank>개미탑속(Haloragis)</a>
이명 : 개미탑풀
잎 : 잎은 대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일부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 7~15mm 나비 5-10mm로서 가장자리는 연골질로 되어 다소 투명하며 둔한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0.5-1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밑을 향하고 줄기 끝에 총상화서가 원추형을 이루며 화서의 길이는 3~10cm이다. 포는 작으며 소화경은 길이 1/3-1/2mm이고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통은 도란상 구형이며 과시(果時)에는 길이가 1mm정도로서 8맥이 있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통부 길이의 1/2정도이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의 2~2.5배 길이이다. 자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는 4개로서 연한 홍색 털이 밀생하며 8개의 수술에 자갈색 꽃밥이
열매 : 열매는 겉이 밋밋하고 광택이 나며 8개의 줄이 있음
줄기 : 높이가 10-30cm이고 밑부분이 기면서 가지가 갈라지며 보통 적갈색이 돌고 네모진다.
분포 : 전남 및 경남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미취
학명 : Aster tataricus L.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들개미취애기개미취자원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잘 자란 것은 길이 65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큰 것은 길이 20-31cm 나비 6-10cm로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0cm이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도 거의 없어진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2.5-3.3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mm 나비 13-15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설상화는 길이 16-17mm 나비 3-3.5mm로서 하늘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정도이다. 10-11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1-1.5m이지만 재배한 것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짧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분포 : 전국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좀개미취(A. maackii Regel) :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45-80cm)도 작으면서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벌개미취(A. kroaiensis) : 경기 전남 경상도 충청도에 분포 높이 60-100cm 6-10월에 개화하고 담자색 지름 4-5cm 잎은 호생하며 장타원형으로 길이 12-19cm이다.
특징 :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시기는 9월말-10월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늦게 개화하고 야화성이며 줄기가 강건하여 도복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개미자리
학명 : Sagina japonica (Sw.)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미자리속(Sagina) target=_blank>개미자리속(Sagina)</a>
이명 : 개미나물수캐미자리
잎 : 잎은 대생하며 침형이고 길이 7-18mm 폭 0.8-1.5mm로서 약간 편평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은 막질이며 서로 합쳐져서 마디를 둘러싸며 짙은 녹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위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화경 끝에 각 1송이씩 달리지만 가지 끝에 취산화서를 형성하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타원형이고 끝이 뭉뚝하며 짧은 선모가 있다. 꽃잎도 5개이며 난형이고 갈라지지 않으며 꽃받침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끝이 둥글다. 수술은 5-10개이며 자방은 난상 원형으로서 끝에 5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구형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5개로 깊게 갈라져서 종자가 나오며 숙존악이 있다. 종자는 작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 1/3mm정도로서 전면에 잔돌기가 산포되어 있고 짙은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20cm이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여러 대가 한 포기로 되며 윗부분에만 짧은 선모가 있고 다른 부분에는 털이 없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1년 내지 2년초
유사종 : ▶큰개미자리(S. maxima A. Gray): 줄기는 밀생 상부에 짧은 선모가 있다. 밑부분의 잎은 밀생하여 방석같고 선형 길이 2㎝이내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미난초
학명 : Myrmechis japonica (Rchb.f.) Rolf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마난초속(Myrmechis) target=_blank>개마난초속(Myrmechis)</a>
이명 : 개미란
잎 : 잎은 5∼7개가 어긋나고 난형이다. 빛깔은 녹색이고 길이 4∼12mm 나비 3∼8mm로 끝이 둔하고 밑은 둥글다. 엽병은 5∼10mm로 밑부분이 막질이다.
꽃 : 7∼8월에 줄기 끝에 1∼2개의 흰색 꽃이 달린다. 길이는 약 8mm이다. 막질인 포는 넓은 바소꼴이며 길이 4mm 폭 2.5mm이고 씨방에 붙어 있다. 꽃받침잎은 3개이며 바소꼴이고 꽃잎은 줄 모양이고 위 꽃받침의 양쪽에 붙어 있다. 잎술꽃잎은 거꾸로된 전형으로 안쪽에 돌기가 2개 있다.
줄기 : 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긴다.
분포 : 한국(제주) 일본(북부)
-
Read MoreNo Image
개미나리
학명 : Oenanthe javanica var. japonica (Maxim.)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속(Oenanthe) target=_blank>미나리속(Oenanthe)</a>
잎 : 잎은 호생하고 근생엽과 더불어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짧아지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길이 7-15cm로서 1-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이고 길이 1-3cm 폭 7-15mm로서 톱니가 있다. 정소엽(頂小葉)이 잘게 갈라진다.
꽃 : 복산형화서는 7-9월에 원줄기 끝부근에서 잎과 대생하며 5-15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지고 각각 10-25개의 백색꽃이 달린다. 소총포는 6개 정도로서 선형이며 길이 2m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2-5mm이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의 능선이 코르크화된다.
줄기 : 털이 없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퍼지고 원줄기에 능각이 있다.
뿌리 : 가을철에 기는 가지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번식한다.
분포 : 제주도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미나리
특징 : 미나리와 비슷하나 제주도에서 자라고 정소엽이 잘게 갈라짐
-
Read MoreNo Image
개물푸레나무
학명 : Maackia amurensis var. buergeri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릅나무속(Maackia) target=_blank>다릅나무속(Maackia)</a>
이명 : 잔털다릅나무털다릅나무털코뜨래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소엽은 9-11개이고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며 짧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5~8cm로서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꽃 : 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로서 황갈색 또는 회갈색의 짧은 밀모가 있다. 길이는 10-20cm이며 위를 향하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이고 지름 8㎜로서 밀착한다.
열매 : 협과로 9월에 익으며 넓은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3.5~5cm 너비 7~9mm이고 과경은 길이 5~10mm이다. 종자는 길이 6㎜로서 신장형에 가깝다.
줄기 : 직립하나 가지는 분지가 많이 생기고 사방으로 굵게 퍼진다. 껍질은 흙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두껍고 평활하다.
분포 : 전라남도 대둔산으로부터 함경북도 증산에 이르기까지의 각지와 표고 100~1 800m에 자생하며 500m부근이 중심 분포지역이고 중국의 만주 아무르 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다릅나무(M. amurensis Rupr. et Maxim.):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5-8㎝로 양면에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개물통이
학명 : Parietaria micrantha Led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물통이속(Parietaria) target=_blank>개물통이속(Parietaria)</a>
이명 : 애기물통이 웅달물통이 웅달화점초 좀물퉁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막질이고 난형이며 길이 8-25mm 나비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엽병은 길이 5-20mm이고 탁엽이 없다.
꽃 : 꽃은 잡성으로 8월에 피며 녹색이고 엽액에 2-3개씩 달리며 양성화와 수꽃의 화피가 3-4개로 깊게 갈라진다. 포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선모가 있으며 암꽃의 화피는 통같고 열매를 둘러싼다. 수꽃은 화피가 3-4장 수술 3-4개이다. 암꽃의 화피는 통모양으로 4장이고 암술머리는 붓털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난상 원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흑색의 윤채가 있으며 포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줄기는 모여 나고 연하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짧고 굽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함경도 및 평안도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칠보개물통이 (var.coreana HARA) :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함북 칠보산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개묵새
학명 : Festuca takedan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김의털속(Festuca) target=_blank>김의털속(Festuca)</a>
이명 : 큰산묵새
잎 : 근생엽은 길게 자라지만 화경(花莖)에 달리는 잎은 길이 5~10cm 나비 3~4mm로서 밋밋하고 약간 안으로 말리며 엽설은 길이 0.2mm이고 절두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 4~7cm로서 끝이 처지고 좁은 난형 또는 난형이다.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잔이삭은 윤채가 없고 갈색이 돌거나 갈록색이며 길이 7~8mm로서 3~4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4mm 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5mm 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6-8mm이며 3-5맥이 있고 예두로서 잔점이 있으며 뒷면이 거칠고 내영은 호영보다 짧거나 길며 거칠다. 수술은 3개이고
줄기 : 높이 15-30cm이고 밋밋하여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짧게 뻗는다.
분포 : 관모봉의 산정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
Read MoreNo Image
개모시풀
학명 :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시풀속(Boehmeria) target=_blank>모시풀속(Boehmeria)</a>
이명 : 좀모시풀 흰개모시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10cm 나비 12-18cm로서 가장자리의 톱니는 결각상이고 줄기 위로 갈수록 결각은 커져서 끝부분이 주맥의 끝부분과 더불어 크게 3개로 갈라진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난상 타원형으로서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톱니가 그리 크지 않다. 양면에 짧고 거친 털이 퍼져 나 있으며 막질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이삭화서로 달리고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다. 수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밑부분에 웅화서 윗부분에 자화서가 달린다. 수꽃은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화피통으로 싸여 있고 전체에 털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이 가장 길며 여러 개가 모여서 밤송이같이 화서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둔한 능선이 있으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
Read MoreNo Image
개면마
학명 : Onoclea orientalis (Hook.) Hoo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야산고비속(Onoclea) target=_blank>야산고비속(Onoclea)</a>
이명 : 개관중
잎 : 영양엽은 길이 30∼50㎝이고 나비 20∼30㎝이다. 넓은 피침형의 갈색인편이 밀생하며 엽신은 장란형이다. 엽병의 길이는 20∼60㎝이다. 1회 우상열편한다. 우편은 8∼20쌍으로 좁은 피침형이며 우상으로 중렬한다. 열편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포자엽은 영양엽의 틈에 존재하며 엽신은 안쪽으로 향한다. 우편은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려 봉상을 이루고 그 안에 포자낭이 달린다.
줄기 : 마른 엽병의 기부가 남는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비스듬히 자란다. 이엽성의 잎이 속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소련 히말라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머위
학명 : Petasites rubellus (J.F.Gmelin) Toma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머위속(Petasites) target=_blank>머위속(Petasites)</a>
이명 : 산머위
잎 : 근생엽은 신장상 심장형이고 길이 3-5.5㎝ 나비 5-9㎝이다. 양 면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9-11cm로서 꼬부라진 털이 있다.
꽃 : 자화서(雌花序)는 꽃이 진 다음 길이 17-32cm로 자라고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며 포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2cm로서 밑부분의 것은 끝이 둔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뾰족하다. 두화는 8-9개이며 화경은 길이 6cm이고 윗부분에 5-6개의 선상 소포가 있으며 총포는 길이 7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된다. 암꽃의 화관은 길이 7.5-9mm이며 설상부는 길이 1.5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고 통부는 길이 6.5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mm로서 털이 없고 끝이 수평하며 밑으로 좁아지고 관모는 길이 9-11mm로서 백색이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어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머루
학명 :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포도과(Vitaceae) target=_blank>포도과(V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머루속(Ampelopsis) target=_blank>개머루속(Ampelopsis)</a>
이명 : 돌머루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점첨두 아심장저이고 3~5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은 길이 7㎝정도로 둔한 치아상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7cm로서 털이 다소 있거나 없고 덩굴손이 잎과 대생하며 2개로 갈라진다.
꽃 : 취산화서는 잎과 대생하고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소화가 많이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며 녹색이고 화경은 길이 3-4cm이며 화서는 지름 3~8cm 이고 화편의 길이는 3~4cm이다. 꽃받침은 거의 절두이고 5개씩의 꽃잎과 수술 및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원형 또는 편원형이고 지름 8-10mm로서 9월에 밝은 남색으로 익으며 갈색 피목이 있다.
줄기 : 길게 벋으며 가지에 털이 없고 수피는 갈색이며 마디가 굵고 골속이 백색이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200m 사이의 계곡과 산록에 자생한다.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털개머루(for. ciliata T. Lee): 어린가지와 엽병 및 잎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자주개머루(for. elegans Rehder): 잎에 백색 반점이 있고 엽병과 어린 줄기가 자주색이다. ▶가새잎개머루(for. citrulloides Rehder): 잎이 깊게 5개로 갈라진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개맨드라미
학명 : Celosia argente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맨드라미속(Celosia) target=_blank>맨드라미속(Celosia)</a>
이명 : 개맨도램이 들맨드라미 들맨드래미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cm 나비 1-2.5cm로서 밑부분이 밑으로 흘러 엽병이 없거나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며 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8cm 지름 1-2.5cm로서 피침형 또는 원주형이다. 화경이 길고 다수의 잔꽃이 모여난다. 포와 소포는 넓은 피침형이며 백색이고 건막질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꽃이 진 다음 백색으로 되고 길이 8-10mm로서 끝이 뾰족하며 1맥이 있고 밑부분에 가는 맥이 있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합생하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열매 : 과실은 개과(蓋果)로서 난형이며 숙존악보다 짧고 가로로 벌어져 여러개의 종자를 산출하고 끝에 3mm정도의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종자는 여러개씩 들어 있고 지름 1.5mm정도이며 흑색이고 광택이 있다. 종자를 청상자(靑箱子)라 한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40-80cm로서 곧게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원주형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열대 지방에 널리 퍼져있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등 남부지방에 야생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맨드라미(C. cristata L.): 잎은 난형 난상 피침형 길이 5-10㎝ 잎자루는 길다. 꽃은 홍색 황색 또는 흰색 꽃줄기 상부는 닭의 볏 모양이고 중부 이하는 다수의 꽃이 밀착한다.
-
Read MoreNo Image
개맥문동
학명 : Liriope spicata (Thunb.) Lou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맥문동속(Liriope) target=_blank>맥문동속(Liriope)</a>
잎 : 잎은 근경에서 총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30-40cm 폭 4-7mm로서 7-11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좁아지고 짙은 녹색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화경(花莖)은 길이 25-40cm로서 둔한 능선이 있으며 총상화서는 길이 8-12cm로서 1마디에 2-5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5mm로서 중앙 또는 윗부분에 관절이 있으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4mm정도이며 연한 자주색으로서 외화피 3조각은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내화피 3조각은 광타원형이다. 수술은 6개이고 자방은 상위이며 3실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노출된 종자로서 흑색으로 익으며 지름 7mm정도이다.
줄기 :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고 수염뿌리는 가늘게 길며 매우 드물게 끝에 소괴근이 나오는데 기는 가지를 뻗으며 번식한다.
분포 : 제주 전남(흑산도 완도) 전북(백양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 경기(광릉) 평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m Ker-Gawler)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
Read MoreNo Image
개망초
학명 : Erigeron annuus (L.) Per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망초속(Erigeron) target=_blank>개망초속(Erigeron)</a>
이명 : 개망풀넓은잎잔꽃풀망국초버들개망초왜풀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엽병이 길며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4-15cm 나비 1.5-3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으며 엽병은 날개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끝이 좁으며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 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도는 설상화가 둘러싸고 있다. 설상화관은 길이 7-8mm 나비 1mm정도로서 총포보다 약간 길거나 같다.총포는 종꼴로서 길이 6-8mm 넓이 15-17mm이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초질의 피침형으로서 길이 3mm 폭 0.5-1mm이고 뒷면에 벌어진 긴털이 있다.
열매 : 수꽃의 수과는 길이 1.2mm의 피침형으로서 털이 있고 암꽃의 수과에는 짧은 막질의 관모가 있으며 양성화의 수과에는 말질과모와 10-15개의 거센털로 이루어진 관모가 있으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짧고 굵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전세계의 온대 지방에 널리 퍼져 있다. 한국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
유사종 : ▶망초(Erigeron canadensis L.) : 북아메리카 원산의 2년초이다. 원줄기가 곧게 서고 위쪽에서 잔가지가 갈라져 끝에서 작은 꽃이 핀다.
-
Read MoreNo Image
개마쇠서나물
학명 : Picris hieracioides subsp. kaimaensis (Kitam.)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쇠서나물속(Picris) target=_blank>쇠서나물속(Picris)</a>
꽃 : 화관은 짙은 황색이다.
형태 : 총포는 흑색이고 9mm이하이다. 강모는 적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