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thyrium nakaii Tagawa |
|---|---|
|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
| 속명 | 꼬리고사리속(Athyrium) |
| 이명 | 금강고사리 |
| 잎 | 잎은 근경 끝부분에서 1-3개씩 나와 곧추 자라고 얼핏보기에 비늘고사리 같다. 중축과 엽병 표면에 홈이 파지며 밑부분이 인편으로 덮이고 인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으로 젖혀진다. 엽신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21-49.4㎝ 폭 20-40㎝로서 삼각형 비슷하다. 우편은 호생하며 첫째 우편이 가장 크고 피침형으로서 길이 20-27㎝ 폭 7-10㎝이다. 소우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대가 없고 밑으로 흐르며 표면은 녹색 |
| 열매 | 포막은 신장형 비슷하지만 개고사리형에 가까우며 길이 1mm 정도이다. |
|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엽병 기부가 차례로 남아서 붙어 있다. |
| 분포 | 금강산 표훈사(表訓寺)에서 장연리(長淵里)로 가는 도중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195 (1933)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개구리밥
학명 : Spirodela polyrhiza (L.) 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A%B5%AC%EB%A6%AC%EB%B0%A5%EA%B3%BC(Lemnaceae) target=_blank>개구리밥과(Le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구리밥속(Spirodela) target=_blank>개구리밥속(Spirodela)</a>
이명 : 머구리밥 부평초
잎 : 식물체는 잎처럼 생긴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5-8mm 폭 4-6mm로서 원두 또는 둔두이며 뒷면은 자줏빛이 돌고 5-11개의 장상 맥이 있다.
꽃 : 꽃은 백색이며 7-8월에 피는 것이 간혹 있고 엽상체의 뒷면에서 생긴다.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1개의 포 안에서 생기며 수꽃은 1개의 수술로 되고 암꽃은 1개의 암술로 되며 화피가 없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병모양이다.
줄기 : 가을철에 모체에서 생긴 둥근 동아는 물속에 가라앉았다가 다음해에 다시 물위에 떠올라 번식을 시작한다.
뿌리 : 뿌리는 길이 3-5cm로서 뒷면 중앙에서 5-11개가 나오며 1개의 유관속이 있고 끝에 근관(根冠)이있다.
분포 : ▶구대륙의 온대와 북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식물체는 넓은 도란형의 엽상체이다.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의 늪지식물은 천연기념물 제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3 911㎡정도이고 이곳에 나는 늪지식물은 자라풀 줄풀 세모고랭이 바울고랭이 창포 개구리밥 물옥잠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붕어마름 털개구리나리 애기마름등이 있다.
-
Read More
개구리발톱
학명 :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구리발톱속(Semiaquilegia) target=_blank>개구리발톱속(Semiaquilegia)</a>
이명 : 개구리망 섬개구리망 섬향수꽃 섬향수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소엽은 길이 1-2.5cm로서 2-3개로 깊게 갈라지고 각 열편에 둔한 결각이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화경(花莖)과 더불어 잔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5mm정도로서 백색 바탕에 약간 붉은 빛이 돌며 화경은 근생엽보다 약간 길며 윗부분이 갈라져서 끝에 밑을 향한 백색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길이 5-6mm로서 좁고 긴 타원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길이 2.5-3mm로서 밑부분이 통같고 극히 짧은 거(距)가 밑에 있다. 수술은 9-14개이며 안쪽의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암술은 3-4(때로는 5)개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대가 없다.
열매 : 골돌은 피침형이고 길이 5-6mm이며 털이 없다. 종자는 흑색으로서 둥글고 겉에 주름이 진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덩어리모양이다.
분포 : 제주도와 호남지방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기부에 짧은 거가 있다. ▶수술은 9-14개이나 안쪽의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가웅예)이다.
-
Read MoreNo Image
개구리미나리
학명 : Ranunculus tachiroe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개구리자리 미나리바구지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경생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없어지며 잎은 2회 3출복엽이고 길이 3-6cm 폭 7-12mm이다. 첫째 소엽은 엽병이 있으나 둘째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2-3개씩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황색이고 소화경에 1개씩 달려서 전체가 취산상으로 되며 지름 1-1.5cm 내외. 꽃받침잎은 5개로서 연녹색이며 겉에 털이 약간 있고 난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도 5개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밑부분에 인편같은 작은 밀선이 있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이고 모여서 지름 1cm정도의 둥근 취과로 되며 도란상 원형이다. 암술대 끝이 거의 구부러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에 퍼진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적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BUNGE) : 꽃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기부에 꿀샘이 있다.
특징 : 젓가락나물에 비해 잎이 가늘고 털이 적으며 화탁의 길이가 5mm이하인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개구리갓
학명 : Ranunculus ternatus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좀미나리아재비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신원형 또는 난형이며 3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소엽은 신원형 또는 삼각상 도란형이며 때로는 엽병이 있고 길이 1-2cm 폭 5-15mm로서 둔한 톱니 또는 결각이 있으며 다시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경생엽은 1-4개로서 엽병이 없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다소 선형이고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황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5-3cm이며 꽃받침잎은 1-4개로서 엽병이 없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다소 오목하고 길이 3-3.5mm로서 뒷면에 털이 있다. 꽃잎은 도란형이며 5개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는 꽃받침의 2배인 6-7mm로서 조부(爪部)에 밀선이 있고 수술대는 길이 1.8mm로서 털이 없다. 화탁은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둥글고 길이 1.2mm로서 털이 없으며 여러 개가 모여 길이 6mm가량의 집합과(취과)를 이룬다.
줄기 : 높이 10-25cm이며 기부에서 갈라지고 털이 있다.
뿌리 : 방추형의 작은 괴근이 있다.
분포 : 설악산 및 한라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곽향
학명 : Teucrium japonicum Hou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곽향속(Teucrium) target=_blank>곽향속(Teucrium)</a>
이명 : 가지개곽향 좀곽향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0cm 폭 2~3.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8mm로서 연한 홍색이고 총상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3-10cm로서 때로는 밑부분에서 갈라진다. 열매가 달렸을 때의 꽃받침은 길이가 약 4~5mm로서 털이 거의 없으나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고 간혹 선모도 섞여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순형이며 윗부분의 것이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5mm로서 주름이 진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털이 적으며 옆으로 뻗는 포복경이 있고 흔히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으며 네모지고 곧게 선다.
분포 :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꽃받침 속에 벌레가 들어 있어 커지는 것이 하나의 특색이다.
-
Read MoreNo Image
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thyr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thyrium)</a>
이명 : 골개고사리물개고사리 새고비 털새고사리
잎 : 잎이 비교적 배게 나오고 엽병 기부와 더불어 적갈색의 피침형 인편이 달린다. 엽병은 길이 20~40cm로서 우축과 더불어 보통 홍자색이 돌며 엽신은 길이 30-50cm 폭 20-30cm로서 삼각상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윗부분이 좁아져서 예첨두로 되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이고 대가 거의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길게 자라며 6~10쌍이고 소엽병이 있다. 중축과 우편의 축은 짙은 보라색이다. 소우편은 길이 1~3cm로서 난상 긴 타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축과 가장자리의 중간부에 많다. 포막은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 톱니가 있다.
뿌리 : 땅속으로 뻗는 근경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갓냉이
학명 : Rorippa indica (L.) Hier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갓냉이속(Rorippa) target=_blank>개갓냉이속(Rorippa)</a>
이명 : 갓냉이 개갔냉이 선속속이풀 쇠냉이 줄속속이풀
잎 : 근생엽은 한군데서 총생하여 퍼지고 길이 5-10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피침형으로서 갈라지지 않으며 톱니가 있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작은 십자화가 총상으로 달리고 꽃받침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황색이며 주걱형 비슷하고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 좁은 선형이며 길이 1.5~2.2cm 폭 1.2mm이고 약간 안으로 굽으며 약간 옆으로 뻗는 길이 5-8mm의 대 위에 달리고 끝에 굵고 짧은 암술대가 있으며 종자는 황색이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건강한 식물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좀개갓냉이와 함께 자라며 속속이풀과 좀개갓냉이에 비해 길고 가느다랗다.
-
Read MoreNo Image
개감초
학명 : Glycyrrhiza pallidiflor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초속(Glycyrrhiza) target=_blank>감초속(Glycyrrhiza)</a>
이명 : 가시감초가시쓴감초
잎 : 잎은 어긋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기주우상복엽이다. 소엽은 7~17장이고 달걀 모양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잎겨드랑이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의 협과로 끝이 뾰족하다. 6~8개의 종자가 있다.
줄기 : 가지에 털이 적다.
뿌리 : 뿌리가 땅속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
Read MoreNo Image
개감채
학명 : Lloydia serotina (L.) Rch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감채속(Lloydia) target=_blank>개감채속(Lloydia)</a>
이명 : 두메 산무룻
잎 : 근생엽은 보통 2개씩 달리며 길이 7-20㎝ 폭 1mm정도로서 선형이다. 경생엽은 2-4장이 달리고 선형이며 길이 4-35mm로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위로 말리며 위쪽의 것일수록 작다.
꽃 : 화경은 길이 7-15㎝로서 2-4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7월에 피고 넓은 종같으며 길이 10-13mm 지름 1.5cm정도이고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거의 비슷하며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지만 뒷면의 맥이 때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아래쪽으로 수술대에 붙는다. 자방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2-2.5mm로서 자방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로 갈색이고 길이 6-7mm로서 넓은 도란형이다.
뿌리 : 인경(鱗莖)은 원주형이고 외피는 연한 황갈색이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감수
학명 :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이명 : 감수능수버들산감수산개감수산참대극좀개감수참대극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이 좁으며 길이 3-6cm 폭 0.7-2cm로서 중륵이 뒷면으로 나오고 톱니가 없으며 포엽은 삼각상 난형 또는 난상의 광타원형이다. 원줄기 끝에서는 5개의 피침형 잎이 윤생하며 그 윗부분에서 5개의 가지가 갈라진다.
꽃 : 총포엽은 녹색이며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 1-4cm 폭 0.8-2.5c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다. 소화서는 1개의 꽃처럼 보이며 소총포는 유합하여 단지처럼 되고 길이 3mm로서 갈자색이며 그 속에 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된 몇 개의 수꽃이 있다. 선체는 초생달같고 홍자색이며 암술대는 길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꽃은 녹황색으로 7월에 피며 소총포(小總苞)는 도원추상 종형(鐘形)이고 열편은 난형이다.
열매 : 삭과는 구형(球形)이고 광택이 나며 지름 3mm로서 3각편 개열하여 난원형의 평활한 종자를 방출한다. 종자는 길이 2.3mm정도로서 밋밋하다.
줄기 : 높이 20-40cm이며 털이 없고 녹색이지만 홍자색이 돌며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는 수염뿌리로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일본 사할린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경기 황해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
특징 : 유독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개갈퀴
학명 : Asperula maximowiczii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갈퀴속(Asperula) target=_blank>개갈퀴속(Asperula)</a>
이명 : 갈퀴아재비개갈퀴아재비수레갈퀴아재비
잎 : 잎은 4~5개가 윤생하지만 2개는 탁엽이며 타원형이고 3맥이 뚜렷하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엽병의 날개로 되며 길이 4-6cm 나비1-2cm로서 엽맥 위에 털이 있고 가지의 잎은 훨씬 작으며 대개 4개씩 윤생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이나 엽액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포는 선형이고 길이 6-7mm 나비 1mm정도이다. 화관은 깔대기모양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수술은 4개가 후부(喉部)에 달리고 수술대가 가늘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달리며 분과는 둥글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능선이 있으며 곧게 선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가시나무
학명 : Quercus gilv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돌가시나무 돌종가시나무 힌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피침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고 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2cm 너비 2-3.5cm로서 상반부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10-14쌍의 측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cm정도로서 잎 뒷면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4월에 피고 수꽃 화서는 길이 5-10cm로서 새가지의 기부에서 밑으로 처지며 암꽃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발달하고 길이 1cm로 2개의 암꽃이 달리며 화서축은 융모가 있다. 수꽃은 5개의 화피열편과 7-8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밀모로 덮여 있는 총포로 싸여 있고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견과를 1/4 정도 둘러싸고 길이 6-8mm로서 6-7개의 윤층(輪層)과 밀모가 있으며 얕고 견과는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4-18mm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고 11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는 암갈색이며 다소 조각으로 벗겨지고 소지는 황갈색 밀모로 덮여있다.
분포 : 중국 일본 우리나라는 제주도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넓은 타원형 길이 10-30㎝ 잎몸 밑동은 귓볼 모양이다. ▶신갈나무(Q. mongolica Fischer): 잎은 난형 타원형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거나 이 모양의 톱니 길이 7-20㎝이다. ▶졸참나무(Q. serra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6-15㎝ 잎몸 밑동은 뾰족하고 잎의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강활
학명 : Ostericum praeteritum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묏미나리속(Ostericum) target=_blank>묏미나리속(Ostericum)</a>
이명 : 강호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회3출엽으로서 열편은 난상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맥위에 털이 약간 있고 소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지만 위로 가면서 점차 짧아지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엽초로 된다.
꽃 : 복산형화서는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10-30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많은 꽃이 달리며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포편은 피침형으로 1-2개이고 소총포편은 6개 정도이며 선형이다.
열매 : 분과는 타원형으로 변두리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륵(肋)사이에 1개 합생면에 2개씩의 유관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묏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자주빛의 줄기는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생긴다.
뿌리 : 원뿌리는 썩어 없어져도 옆에 싹이 생겨서 다시 자란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 우수리에 분포 ▶경북 강원 경기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 또는 재배
형태 : 숙근성 월년초 또는 다년초
유사종 : ▶신감채(O. grosseserrata Kitagawa):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3출겹잎이다. 엽초가 있다. ▶큰참나물(O. melanotilingia Kitagawa): 전체에 짧은 털이 산재 줄기 밑부분은 붉은빛이 돈다. ▶멧미나리(O. sieboldii Nakai):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위쪽의 잎은 작아지고 잎자루는 퇴화되어 포 모양으로 된다.
-
Read MoreNo Image
강원고사리
학명 : Athyrium nakaii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thyr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thyrium)</a>
이명 : 금강고사리
잎 : 잎은 근경 끝부분에서 1-3개씩 나와 곧추 자라고 얼핏보기에 비늘고사리 같다. 중축과 엽병 표면에 홈이 파지며 밑부분이 인편으로 덮이고 인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으로 젖혀진다. 엽신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21-49.4㎝ 폭 20-40㎝로서 삼각형 비슷하다. 우편은 호생하며 첫째 우편이 가장 크고 피침형으로서 길이 20-27㎝ 폭 7-10㎝이다. 소우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대가 없고 밑으로 흐르며 표면은 녹색
열매 : 포막은 신장형 비슷하지만 개고사리형에 가까우며 길이 1mm 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엽병 기부가 차례로 남아서 붙어 있다.
분포 : 금강산 표훈사(表訓寺)에서 장연리(長淵里)로 가는 도중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강아지풀
학명 : Setaria viridis (L.) P.Beauv. var. viridi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강아지풀속(Setaria) target=_blank>강아지풀속(Setaria)</a>
이명 : 개꼬리풀 자주강아지풀 제주개피
잎 : 엽초는 털이 있거나 없고 녹색 또는 자주빛을 띠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엽설(葉舌)에 길이 1-2mm되는 1줄의 털로 이루어졌다. 엽신은 길이 10-30cm 폭 2-10(15)cm로 표면은 가장자리와 더불어 뒷면보다 더 꺼끄럽다.
꽃 : 7-8월에 피며 원주상으로 밀집된 원추화서는 길이 2-10cm 지름 4-10m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고 중축에 퍼진 털이 있으며 곧게 서거나 처진다. 소지는 길이 6-8mm로서 퍼지고 가시 같으며 소분수(小分穗)에는 1개의 완전화와 퇴화화가 달리고 소수(小穗)는 길이 2-2.5mm의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1개의 꽃으로 되며 소화경 밑에 길이 4-8mm의 녹색 황색 또는 자주색 강모(剛毛)가 있다. 첫째 포영은 난형으로서 길이 0.8mm가량이
열매 : 영과는 길고 둥글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가늘고 곧게 서며 밑으로부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녹색 또는 자주빛을 띠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분포 : ▶전세계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갯강아지풀 (var.pachystachys Mak.et Nemoto) : 소지의 강모가 길며 밀생하여 소수가 뚜렷하지 않고 바닷가에서 자란다. ▶수강아지풀 (var.gigantea Matsumura) : 조와 강아지 풀의 잡종이다.
특징 : ▶학명인 Setaria viridis는 라틴어의 빳빳한 털을 뜻하는 Seta와 녹색이라는 뜻의 ciridis 즉 `녹색의 빳빳한 털을 가진 풀`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강낭콩
학명 :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Ale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강낭콩속(Phaseolus) target=_blank>강낭콩속(Phaseolus)</a>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넓은 난형 또는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10c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엽병이 짧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이며 액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술잔 같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지만 위쪽 2개는 붙어 있고 기핀의 윗부분이 젖혀져서 서며 용골판은 선형으로서 꼬인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용골판과 더불어 나선상으로 꼬인다.
열매 : 협과는 길이 10-20cm로서 다소 굽고 종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품종에 따라서 형태와 빛깔이 각각 다르다.
줄기 : 길이 1.5-2m이고 전털이 있다.
분포 :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덩굴강남콩과 달리 덩굴성이 아니며 보다 흔히 재배된다.
-
Read MoreNo Image
강계큰물통이
학명 : Pilea olig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통이속(Pilea) target=_blank>물통이속(Pilea)</a>
이명 : 적은꽃물퉁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삼각형이고 진한 녹색이며 표면에는 털이 약간 나고 뒷면은 엽맥을 따라 털이 있으며 3맥이 있고 길이 5-12mm 나비 4-11mm이다. 가장자리 중간 이상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 또는 절저에 가깝고 끝이 둔하다. 엽병은 길이 3-8mm로서 윗부분에 다소 털이 있으며 탁엽은 둥글고 길이와 나비가 각 2-3mm이며 막질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화서가 탁엽 틈에서 나온다. 웅화서는 대가 있는 2-3개의 꽃이 달리며 화피열편은 둥글고 2개이며 수술은 대가 거의 없고 2개이다. 자화서는 1-2개의 꽃이 달리며 대가 없고 화피열편은 3개로서 그 중 2개는 길며 자방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줄기 : 높이 5-1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평안 북도 강계와 함경 남도 삼수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monglic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강계버들
학명 : Salix kang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드나무속(Salix) target=_blank>버드나무속(Salix)</a>
이명 : 강계버드나무
잎 :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10-20cm 폭 2-6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중륵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도 연한 녹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잔톱니 끝이 밖을 향하며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유이화서(柔荑花序)로서 잎보다 먼저 전년지에서 피고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3-4cm로서 화축에 밀모가 있으며 포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흑색이며 긴 털이 있고 수술은 2개이며 떨어지거나 중앙부까지 합쳐지고 밀선은 1개이다. 자화수는 길이 2-3cm이며 포는 도란형 또는 긴 도란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윗부분이 흑색이며 긴 털이 있고 밀선은 1개이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긴 난형이고 암술대는 매우 길며 암술머리는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 5-7m 지름 7cm정도로서 가지가 위를 향하고 소지는 녹색 또는 황록색으로서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폭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
특징 : 선버들과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털이 있고 수술이 2개이며 암꽃에 1개의 밀선이 있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갓대
학명 : Sasa chiisanensis (Nakai)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릿대속(Sasa) target=_blank>조릿대속(Sasa)</a>
잎 : 엽초는 기부에만 전털이 있고 견모(肩毛)가 없다. 잎은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거나 꼬리처럼 길고 급한 에저이며 길이 10-25㎝로서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소수(小穗)는 자주색이고 3-6개의 꽃으로 되며 원추화서에 달린다. 화서지(花序枝)에 백색 밀모 소수 기부에 2개의 포가 있고 밑부분의 포는 자줏빛이 돌며 길이 4mm로서 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의 포는 길이 7-8mm로서 끝이 까락같으며 밑부분에 털이 있다. 첫째 포영은 자주색이고 끝이 까락같으며 길이 9-10mm로서 끝부분과 가장자리 및 뒷면 기부에만 털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7-8mm로서 뒤에 홈과 짧은 털이 있다. 내영은
열매 :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3m로서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중앙 윗부분에 2-3회 갈라지고 마디사이의 윗부분이 조모와 백분으로 덮임.
분포 : 지리산 일대에서 자란다.
특징 : ▶조릿대와 비슷하지만 영(穎)끝이 까락처럼 되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갓
학명 : Brassica juncea (L.) Czern. var. junce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추속(Brassica) target=_blank>배추속(Brassica)</a>
이명 : 계자 상갓
잎 : 잎은 어긋나며 경엽은 주걱형으로 길이 20cm이다. 엽병이 길고 우상전열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장 타원형으로 엽병이 짧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주름져있다.
꽃 : 꽃은 십자화로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자루 길이는 1cm 내외이고 꽃받침 길이는 5~6mm이며 3맥이 있다. 꽃잎은 주걱형으로 길이 8mm이고 요두이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과로 길이 2.5~5cm이다. 종자는 진한 갈색 또는 노란색이고 지름 1.5mm이며 구형이다. 종자는 원주상이다.
줄기 : 털이 없고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분포 : 중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