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국화수리취

조회 수 1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Synurus palmatopinnatifidus (Makino) Kitam. var. palmatopinnatifidus
과명 국화과(Compositae)
속명 수리취속(Synurus)
이명 구와수리취 난틔수리취 난틔잎수리취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고 지름 3-5cm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26mm 나비 3-4mm로서 거지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자주색 또는 황록색이고 포편은 여러 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점차 짧아지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내편은 곧추서며 나비 1.5mm이다. 하관은 황색 또는 자주색이고 길이 20mm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 6mm 나비 2.5mm로서 줄이 많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가시 모양이다.
줄기 높이 70-100cm이고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자줏빛이 도는 줄이 있다.
분포 지리산 및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Acta. Phytotax. Geobot. 2: 48 (1933)
참고문헌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국화쥐손이

    학명 : Erodium stephannianum Wil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국화쥐손이풀속(Erodium) target=_blank>국화쥐손이풀속(Erodium)</a>
    이명 : 갈래잎손잎풀구와쥐손이 쥐손이아재비
    잎 : 근출엽은 10cm에 이르는 엽병이 있으며 엽신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져 끝의 열편은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결각상 치아가 있고 양면에 털이 성글게 있다. 경생엽은 마주나고 엽병이 짧으나 엽신은 역시 우상으로 작게 갈라진다.
    꽃 : 6-7월에 지름 1.5cm가량의 홍자색꽃이 엽액에서 산형화서로 핀다. 소화경에는 벌어진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의 타원형으로 길이 5-6mm이고 끝에 1개의 긴 까끄라기가 있다. 꽃잎은 5개의 도란형으로 짙은 자줏빛 맥줄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나 5개는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자방에는 긴 털이 있고 암술대는 5개로 길며 주두는 5가닥이다.
    열매 : 삭과는 긴 부리가 있고 짧은 복모로 덮여 7-9월에 익어 5조각이 중축에서 떨어지며 부리가 위로부터 아래로 용수철모양으로 달린다.
    줄기 : 전체에 벌어진 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


    Read More
  2. No Image

    국화잎아욱

    학명 : Modiola caroliniana (L.) G.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아욱과(Malvaceae) target=_blank>아욱과(Malv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국화잎아욱속(Modiola) target=_blank>국화잎아욱속(Modiola)</a>

    잎 : 잎은 길이 2-6㎝의 잎자루가 있고 윤곽이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5-7편으로 중열되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고 지름 7-10㎜이다. 꽃자루는 길이 1-2㎝이며 열매일 때는 4㎝까지 길어진다. 소포엽이 3개 있고 선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다. 꽃받침은 끝이 5열 되며 꽃잎은 5개로 길이 3-5㎜ 도란형으로 적등색(赤橙色)이다.
    열매 : 열매는 14-22 분과로 이루어지며 편평하다. 분과는 콩팥 꼴이며 길이 4㎜이고 등쪽으로 까끄라기가 있고 위쪽에 2 3개의 각상돌기가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이 15-50㎝ 아랫 부분이 포복을 하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하며 위 부분은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서귀포 시내 냇가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일년생 또는 이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어저귀:배주와 종자는 분과마다 2 또는 3개가 있고 분과 끝에 각상돌기가 있다. 소포엽이 없고 분과마다 3개 이상의 종자가 있다. ▶아욱: 배주와 종자는 분과마다 1개씩 있다.

    Read More
  3. No Image

    국화수리취

    학명 : Synurus palmatopinnatifidus (Makino) Kitam. var. palmatopinnatifidu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리취속(Synurus) target=_blank>수리취속(Synurus)</a>
    이명 : 구와수리취 난틔수리취 난틔잎수리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지름 3-5cm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26mm 나비 3-4mm로서 거지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자주색 또는 황록색이고 포편은 여러 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점차 짧아지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내편은 곧추서며 나비 1.5mm이다. 하관은 황색 또는 자주색이고 길이 20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6mm 나비 2.5mm로서 줄이 많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가시 모양이다.
    줄기 : 높이 70-100cm이고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자줏빛이 도는 줄이 있다.

    분포 : 지리산 및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4. No Image

    국화방망이

    학명 : Sinosenecio koreanus (Kom.) B.Nor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국화방망이속(Sinosenecio) target=_blank>국화방망이속(Sinosenecio)</a>
    이명 : 고려쑥방맹이 파방망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4.5~8.5cm이고 엽신은 삼각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2~3cm로서 표면에 털이 다소 있고 뒷면은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밑부분의 잎은 길이 3~8cm 나비 3~6cm로서 엽병에 날개가 없고 주지로 약간 흐르거나 주지를 감싼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황색이고 두화는 지름 2㎝로서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꽃이 핀 다음 길이 5.5cm로 길어지고 포가 없으며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다. 총포는 종형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5mm 나비 7~10mm에서 길이 6~8mm로 되며 포편은 1줄로 배열되며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2.5mm정도이며 원주형이다. 관모는 백색으로 길이 5mm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능선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강원 충북 경북 함북 함남 평북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5. No Image

    국화바람꽃

    학명 : Anemone pseudoaltaica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람꽃속(Anemone) target=_blank>바람꽃속(Anemone)</a>
    이명 : 구와바람꽃 구절창포 구화바람꽃
    잎 : 근생엽은 2회3출 우상복엽이고 엽병이 길며 총포엽은 3개이고 다시 3개로 갈라지며 길이 3-10cm 폭 3-9cm로서 엽병이 있다. 소엽은 2-3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결각이 있으며 길이 2-6cm 폭 1-4cm로서 대개 소엽병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남자색이거나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1개가 나오며 높이 10-30c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꽃같고 10~13개이며 길이 2cm 정도로서 선상 타원형이고 꽃밥은 타원형이다. 맑게 개인 낮에만 피고 흐린 날은 오무린다. 꽃잎은 없다.
    열매 : 수과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두상으로 모이고 흰색의 퍼진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자라고 길이 2-10cm이며 굵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6. No Image

    국화마

    학명 : Dioscorea septemlob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과(Dioscoreaceae) target=_blank>마과(Dioscor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속(Dioscorea) target=_blank>마속(Dioscorea)</a>
    이명 : 단풍마 산약
    잎 : 호생 엽병이 길고 마르면 흑갈색으로 되며 잎몸은 깊게 5-7갈래이고 길이와 폭은 각각 5-12㎝로서 밑부분이 보통 심장저이다. 국화잎과 비슷하다. 밑은 대개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중앙열편은 삼각상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낮은 원두이며 가장자리가 침상이다.
    꽃 : 암수딴그루로 꽃은 연한 황록색이고 잎겨드랑에 이삭화서로 달린다. 수꽃 화서는 수상화서이며 엽액에서 나오고 수화피는 가지가 갈라지고 웅화피는 갈라지지 않는다. 암꽃화서는 갈라지지 않는다. 화피는 6장 수술은 6개이다.
    열매 : 삭과로 3개의 날개가 있고 2cm정도로서 밑으로 처진 화서에 달려 위를 향하며 종자는 둘레에 날개가 있다.

    뿌리 : 털이 없고 굵은 뿌리가 옆을 뻗는다.
    분포 : 우리 나라 전국각처의 산지에 분포.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단풍마(Discorea quinqueloba Thunb.)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참마(D. japonica):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국화마(D. septemloba):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며 국화 잎과 비슷하다. ▶각시마(D. tenuipes): 잎은 도꼬로마와 닮았으나
    특징 : 전체에 털이 없다.
    Read More
  7. No Image

    국화갈퀴

    학명 : Galium kikumugur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퀴덩굴속(Galium) target=_blank>갈퀴덩굴속(Galium)</a>
    이명 : 구와갈퀴 덩굴갈키 둥근네잎갈퀴 둥글잎갈퀴
    잎 : 잎은 4~5개씩 윤생하고 박질이며 좁은 도란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1~1.5cm 나비 5~8mm이며 끝은 둥글거나 둔하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만 상향하는 짧은 털이 있고 마르면 밝은 녹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이나 줄기 끝에서 가는 화경이 나와 소수의 꽃이 모여 달리며 화경의 길이는 1~5mm이고 기부에 1개의 포가 있다. 화관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분과로 장 타원형이며 굽은 잔털이 약간 밀생한다.
    줄기 : 줄기는 네모지고 평활하며 모여나고 곧추서나 하부는 땅을 기며 가끔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경남(가야산)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8. No Image

    글라디올러스

    학명 : Gladiolus grandavensis Van Houtt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글라디올러스속(Gladiolus) target=_blank>글라디올러스속(Gladiolus)</a>
    이명 : 그라디오라스좀나비꽃층층붓꽃









    Read More
  9. No Image

    국화잎쑥

    학명 : Artemisia stolonifera f. dissecta (Pamp.)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가새외대쑥









    Read More
  10. No Image

    괴불이끼

    학명 : Crepidomanes insigne (Bosch) F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 target=_blank>처녀이끼과(Hymen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괴불이끼속(Crepidomanes) target=_blank>괴불이끼속(Crepidomanes)</a>
    이명 : 수염이끼 청괴불이끼
    잎 : 잎은 드문드문 나며 엽신보다 짧은 엽병이 있다.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3-8cm로서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엽병은 좁은 날개가 있으며 거의 편평하다. 열편은 난형 또는 난상피침형이고 호생하며 열편은 선형으로서 둔두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짙은 녹색이고 투명한 엽육내에는 많은 가짜 맥이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짧은 측열편 끝에 달리며 포막은 종형으로서 2개로 갈라진다. 포자낭탁은 길게 뻗어서 포막 밖으로 나온다.

    뿌리 : 근경은 흑색이고 실같이 가늘며 이끼틈에서 옆으로 뻗고 흑색털로 덮여 있다.
    분포 : 제주도. 일본
    형태 : 상록초목

    특징 : 본종은 가짜맥이 있는 것으로 다른 종과 구별된다.
    Read More
  11. No Image

    광귤

    학명 : Citrus aurant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귤속(Citrus) target=_blank>귤속(Citrus)</a>
    이명 : 광귤나무









    Read More
  12. No Image

    공작고사리

    학명 : Adiantum ped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고사리과(Lindsaeaceae) target=_blank>비고사리과(Linds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공작고사리속(Adiantum) target=_blank>공작고사리속(Adiantum)</a>

    잎 : 잎은 총생하고 있으며 털이 없다. 약간 푸른빛이 도는 밝은녹색이다. 엽병은 길이 30-50cm정도로 자갈색을 띠고 있으며 어느정도 윗부분까지 인편이 달린다. 엽신은 2개씩 한쪽으로 갈라져서 8-12개의 우편으로 되며 전체가 부채처럼 퍼진다.우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소우편은 반월상 긴 타원형이며 윗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짧은 대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엽의 윗가장자리를 따라 달리고 잎가장자리가 젖혀져서 포막처럼 된다.

    뿌리 : 근경은 짧게 옆으로 뻗고 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 강원도 및 북부지방
    형태 : 다년초 하록성 다년생 양치류.

    특징 : 유사종: 섬공작고사리(A. monochlamys Eaton)는 제주도의 한라산 숲 속에 생육하며 상록성 양치류. 본종에 비해 잎이 1회 우상으로 분열하고 엽축 끝부분에 무성아가 생기는 것을 암공작고사리라하며 북부 국경지대에 난다 잎모양이 공작 꼬리같기때문에 '공작고사리'라고 한다. 속명은 희랍어 a(否定)와 diantos(젖다)의 합성어로 '잎이 비에 젖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Read More
  13. No Image

    계룡쇠물푸레

    학명 : Fraxinus sieboldiana var. trijug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Read More
  14. No Image

    겨락겨사초

    학명 : Carex mitrata var. aristat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까락겨사초









    Read More
  15. No Image

    거버라

    학명 : Gerbera jamesonii Ad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거버라속(Gerbera) target=_blank>거버라속(Gerbera)</a>
    이명 : 거베라









    Read More
  16. No Image

    거문도개미자리

    학명 : Sagina saginoides (L.) Kars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미자리속(Sagina) target=_blank>개미자리속(Sagina)</a>










    Read More
  17. No Image

    갯황기

    학명 : Astragalus sikokianu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황기속(Astragalus) target=_blank>황기속(Astragalus)</a>










    Read More
  18. No Image

    갯드렁새

    학명 : Leptochloa fusca Ku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드렁새속(Leptochloa) target=_blank>드렁새속(Leptochloa)</a>










    Read More
  19. No Image

    개톱고사리

    학명 : Diplazium okudairae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들참빗속(Diplazium) target=_blank>버들참빗속(Diplazium)</a>










    Read More
  20. No Image

    개좀진고사리

    학명 : Deparia × angustatum (Nakai) Nakaik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target=_blank>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고사리속(Deparia) target=_blank>진고사리속(Deparia)</a>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