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Inula britannica var. ramosa Kom.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금불초속(Inula) |
|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피침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이 없거나 원줄기를 감싸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군데군데 도드라진 점이 있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길이 1-2.5cm로 된다. |
| 꽃 |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 전체가 산방상으로 되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8mm 지름 15-17mm이며 포린은 5줄로 배열되고 거의 같은 길이이며 바깥 것은 피침형이고 안쪽 것은 좁으며 모두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설상화는 길이 16-19mm 나비 1.5-2mm이다. |
| 열매 | 수과는 길이 1mm 정도로서 10개의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5mm정도이고 10월에 결실한다. |
|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가 많다. |
| 뿌리 | 근경이 뻗으면서 번식한다. |
|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유사종 | ▶금불초 var. ramosa KOM.: 높이 20-60cm.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626 (1907)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
Read MoreNo Image
각시미꾸리광이
학명 : Puccinellia chinampoensis (Hack. ex Naka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 target=_blank>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a>
잎 : 잎은 길이 2.5~8cm 폭 3mm로서 안으로 접히고 엽설은 막질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1mm 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5~15cm로서 퍼지며 화축과 소축이 다소 깔깔하고 잔이삭은 길이 3.5mm 정도로서 3~4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검은 보라색이지만 백색 부분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mm 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1.5mm 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2mm 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윗부분을 제외하고는 검은 보라색이고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으며 능선 위에 잔돌기 또는 털이 있다.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높이 25-50cm로 밀생한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이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분포 :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갯겨이삭(P. coreensis Honda): 높이 30-60㎝ 줄기는 곧게 서고 가냘프다. 잎몸은 선형 납작하고 매끈하다. ▶갯꾸러미풀(P. nipponica Ohwi): 높이 30-50㎝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서고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각시마
학명 : Dioscorea tenuipes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과(Dioscoreaceae) target=_blank>마과(Dioscor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속(Dioscorea) target=_blank>마속(Dioscorea)</a>
이명 : 애기마
잎 : 잎은 호생이고 엽병이 길며 밑부분에 1쌍의 소돌기가 있고 심장형 또는 심장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귀처럼 넓어지며 길이 5-10㎝ 폭2.5-7㎝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단성으로서 7-8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5-20㎝로서 밑으로 처지며 수꽃은 길이 3-4mm의 화경이 있고 화피는 6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길이 1mm정도로서 수평으로 퍼진다. 암꽃은 길이 1mm 정도의 화경이 있으며 길이 1.5mm정도이고 화피열편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4mm 지름 18-20mm로서 3개의 날개가 있고 종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1mm정도로서 중앙부에 지름 3mm 정도의 실체가 있다.
줄기 : 지하경이 수평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단풍마(Discorea quinqueloba Thunb.)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둥근마(D. bulbifera): 괴근은 크고 둥근 모양이며 바깥껍질은 검은색이다. ▶참마(D. japonica):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국화마(D. septemloba):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특징 : 잎은 도꼬로마와 닮았으나 긴 심장형인 것이 다르다.
-
Read More
각시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각씨둥굴레 둥굴레아재비 애기둥글레 한라각시둥굴레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길이 4-7cm 폭 1.5-3cm로서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둔두이며 뒷면 맥위에 잔돌기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누른 빛과 푸른 빛이 도는 백색이며 길이 15-18mm로서 통형이고 엽액에 1-2개씩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7-15mm이다. 수술대는 잔돌기가 약간 있고 꽃밥은 삼각상 피침형이며 길이 3-3.5mm로서 수술대보다 약간 짧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고 높이 15-30cm가량이며 능각이 있다.
뿌리 : 끈같은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각시둥굴레와 비슷하지만 높이가 12㎝정도인 것을 한라각시둥굴레 (P.humillinum NAK.)라고 하며 한라산에서 자란다.
특징 : "둥굴레 종류들 가운데 초장이 가장 짧기 때문에 ""각시둥굴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Read MoreNo Image
각시그령
학명 : Eragrostis japonica (Thunb.) Tr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새그령속(Eragrostis) target=_blank>참새그령속(Eragrostis)</a>
이명 : 각씨그령 자주암크령
잎 : 잎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20㎝ 나비 2-5㎜로서 엽초 윗부분에 털이 없다. 엽설은 길이 1㎜로서 절두이고 끝이 잘게 찢어졌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20-60cm로서 빽빽하며 층이 지고 마디에 가지가 1개씩 달리며 가지는 길이 3-6cm로서 밑에서부터 다시 갈라진다. 소수는 약간 편평하고 길이 1-1.5㎜ 나비 1-1.2mm로서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3-5개의 꽃이 들어 있고 연한 녹색이며 붉은빛이 돈다. 포영은 둔두로서 1맥이 있고 길이 0.5mm이며 호영은 타원형이고 안으로 접히며 둔두로서 3맥이 있고 길이 0.7mm이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으며 둔두
열매 : 영과는 타원형이고 거의 편평하지 않으며 길이 1/3mm정도로서 밋밋하다.
줄기 : 곧게 서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50-120cm이다.
분포 :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각시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torresiana var. calvata (Baker) K.Iwat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4%89%EC%A4%84%EA%B3%A0%EC%82%AC%EB%A6%AC%EA%B3%BC(Davalliaceae) target=_blank>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target=_blank>처녀고사리속(Thelypteris)</a>
이명 : 각씨고사리긴각시고사리토끼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가 40∼60cm이고 기부에 인편이 있다. 인편은 피침형으로 길이가 6∼10mm이고 다갈색이며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신은 난형으로 길이가 30∼80cm 폭이 20∼50cm이며 3회우상으로 갈라진다. 표면의 잎맥 위는 털이 있고 뒷면에는 털과 선모가 있다. 우편은 넓은 피침형으로 대가 있고 소우편은 흔히 밑부분이 소우축에 붙는다.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에 붙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선모와 털이 있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은 물결 모양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옆으로 기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잎이 총생한다.
분포 : 한국(제주·전남·전북·황해)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각시갈퀴나물
학명 : Vicia dasycarpa T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잎 : 잎은 어긋나기 잎차례이며 우상복엽은 10쌍 내외의 소엽으로 이루어지며 끝에 3-5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고 소엽은 선형으로 길이 2-3㎝ 나비 4-7㎜이다. 탁엽은 선형이며 길이 6-8㎜로 기부에 1개의 거치가 있기도 하다.
꽃 : 꽃은 5-8월에 피며 엽액에서 긴 꽃자루가 나와 10-30개의 접형화가 한쪽 방향으로 밀집되어 총상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열편보다 통부가 길며 열편은 크기가 다르고 아래쪽의 것은 길이 2㎜이다. 꽃잎은 보라색이며 길이 10-15㎜이다.
열매 : 열매의 길이 2-4㎝ 나비 0.7-1㎝로 2-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덩굴성이며 길이 60-200㎝로 소엽이 변한 덩굴손에 의해 다른 식물에 기어오르고 털이 없거나 드믄드믄 털이 있다.
분포 : 일본 북아메리카등지에 귀화되었다.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도로변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일.이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벳지(Vicia villosa): 식물체 전체에 긴 털이 밀생한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7(3) ▶식물체가 부드럽고 약한 것을 나타내어 """"각시갈퀴나물""""로 명명하였다."
-
Read MoreNo Image
가회톱
학명 : Ampelopsis japonica (Thunb.)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포도과(Vitaceae) target=_blank>포도과(V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머루속(Ampelopsis) target=_blank>개머루속(Ampelopsis)</a>
이명 : 가위톱 매염 백염
잎 : 잎은 호생하고 장상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가장자리의 것이 가장 작고 3개로 다시 갈라지며 다른 열편은 장상 또는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엽축과 마디에 날개가 있고 털이 없으며 엽병은 길이 1-6cm로서 털이 없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남색을 띤다.
꽃 : 취산화서는 잎과 대생하고 화경은 길이 3-8cm로서 비틀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7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고 1개의 암술과 화반이 있다. 화반은 접시모양으로 자방과 합착한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5-7mm로 백색 자주색 또는 청색이고 9-10월에 익으며 반점이 있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길이 2m이상 벋으며 줄기 기부는 목질화하며 어린 가지에는 줄이 있고 연한 자주빛을 띠며 1가닥의 덩굴손은 잎과 마주난다.
뿌리 : 괴근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에 분포한다. ▶황해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만경목.
-
Read MoreNo Image
가침박달
학명 :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var. serratifoli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침박달속(Exochorda) target=_blank>가침박달속(Exochorda)</a>
이명 : 까침박달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5~9cm 폭 2-4cm로서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상반부에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월 중순에 피고 백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3-6개씩 달리며 화서의 지름은 4㎝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난형이고 꽃이 지면 떨어지며 꽃잎도 5개로서 백색이고 도란형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은 25개 암술대는 5개이고 자방은 5개의 심피가 합생하며 종자가 1-2개씩 들어 있고 날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익으며 삭과는 난형으로 모가 지고 익으면 뒷면이 터지면서 날개가 달린 종자가 튀어 나온다.
줄기 : 높이 1-5m이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소지는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며 털이 없고 백색 피목이 산재한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북 충북 강원도 황해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털가침박달(var. oligantha NAK.) : 잎의 뒷면에 털이 많고 화서에 꽃이 1-2개 피며 황해도 및 함경도에서 자란다.
특징 : 신록 속에 촛대같이 우뚝 선 붉은 구슬 같은 꽃봉오리가 우아하고 화사한 흰색의 꽃으로 피어나면서 은은한 향기를 발산한다.
-
Read MoreNo Image
가지청사초
학명 : Carex polyschoena H.Lev. & Vanio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뭇꼬리사초 양지흰꼬리사초
잎 : 잎은 납작하고 나비 1.5-3㎜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흑갈색으로서 다소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2-4개가 곧추서며 길이 1.5-2.5cm이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색이 연하며 나머지는 암꽃이고 서로 떨어져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소수보다 길고 밑부분이 통같으며 자화영(雌花穎)은 연한 녹색이고 도란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까락 끝이다. 암술대는 짧으며 곧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거의 곧추서고 둥근 도란형이며 길이 3-3.5mm로서 맥과 털이 있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짧은 부리로 되며 끝이 뾰족하고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둥근 도란형이며 길이 2mm이내로서 끝이 쟁반같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cm이며 털이 없고 가늘며 반들반들하다.
뿌리 : 근경은 단단하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가지질경이
학명 : Plantago polystachya (Makino) Y.K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질경이과(Plantaginaceae) target=_blank>질경이과(Plant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질경이속(Plantago) target=_blank>질경이속(Plantago)</a>
이명 : 가지왕질경이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흰 털이 있거나 없으며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4~15cm 나비 3~8cm로 평행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엽신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으며 변이가 크다.
꽃 :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길이 10~50cm의 화경이 나와 위쪽에 수상화서로 밀생한다. 포는 좁은 난형이고 꽃받침과 화관의 끝은 4열하고 수술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히말라야 자바 말레이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화수가 분지하다.
-
Read MoreNo Image
가지쥐보리
학명 : Lolium multiflorum var. ramosum Guss. ex Arca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호밀풀속(Lolium) target=_blank>호밀풀속(Lolium)</a>
잎 : 잎은 어긋나며 길이 10~20cm 나비 3~8mm이다. 실생일때 엽초 줄기 감싸 안고 엽초 구부에 엽이 엽설 길이 1~2mm이다.
꽃 : 수상화서. 화서가 곧게 서고 가지가 나뉘어졌다. 길이 15~30cm. 소수 자루 없고 소화 8~10개 길이 10~25mm. 포영 1개(대개 2개) 소수 길이의 1/3~1/2 5~7맥 녹색 막질. 호영 5맥 끝 2개 중앙맥 신장되어 5~10mm의 까락. 내영 호영과 같은 길이 연변 위쪽 가는 돌기물. 꽃밥 길이 3~4.5mm 열매 길이 경화된 호영과 내영에 싸인다.
열매 :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 줄기는 여러 개 모여난다. 마디 2~5개.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아시아
-
Read MoreNo Image
가지주름조개풀
학명 : Oplismenus compositus (L.) P.Beau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름조개풀속(Oplismenus) target=_blank>주름조개풀속(Oplismenus)</a>
이명 : 가지주름새
잎 : 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나비 1~2cm이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잡히고 엽설은 높이 1mm 이하이며 엽초 구부 가까이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10월에 피고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곧추서고 길이 10~20cm이며 길이 2~5cm의 가지 6~12개가 비스듬히 퍼진다. 소수는 길이 3~3.5mm이고 녹색이나 때로 자색을 띤다. 제1소화는 불염이고 제2소화는 염성으로 혁질이며 윤채가 있는 호영으로 싸여 있다. 제1포영 제2포영 및 불염호영 끝에 표면이 점액질인 까락이 있고 제1포영의 것이 가장 길다.
줄기 : 줄기의 기부는 현저히 땅 위를 기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적거나 거의 없다.
분포 : 제주에 나며 일본 대만을 거쳐 남아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가지바위솔
학명 : Orostachys ramosu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잎 : 잎은 위쪽이 넓은 주걱모양 또는 긴 도란형 끝은 갑자기 뾰족함. 잎의 길이는 1.8~7cm 폭은 1~2.6cm이며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띤 녹색이다.
꽃 : 꽃은 한 개씩 달리고 화서 길이 3~20cm이며 꽃자루 짧다. 소포는 피침형으로 녹색이고 끝은 자주색이며 길이 3.6~7mm 폭 0.6~2.6mm이다. 꽃받침은 5갈래이고 열편이 깊게 갈라지며 녹색으로 길이 3.8~6mm이다. 꽃잎은 5장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며 끝이 뾰족한 도란형이다. 길이 4.4~8.2mm 폭 1.5~3.8mm이다. 암술은 5개 유백색 또는 연녹색이고 길이 4~8mm이다. 수술은 10개 꽃밥이 자주색
줄기 : 가지바위솔의 줄기는 밑동에서 가지를 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가지민박쥐
학명 : Parasenecio hastata var. ramosa (Maxim.) Kizmu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박쥐나물속(Parasenecio) target=_blank>박쥐나물속(Parasenecio)</a>
분포 : 한반도 일본
특징 : 기본종인 털박쥐나물에 비해 3각상 창모양의 잎 가장자리가 때로 2열하고 총포는 길이 7~8mm이며 총포편은 6~7개이고 소화는 9~10개이다.
-
Read MoreNo Image
가지돌꽃
학명 : Rhodiola ramos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꽃속(Rhodiola) target=_blank>돌꽃속(Rhodiola)</a>
잎 : 밑부분의 잎은 작고 윗부분의 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4~10mm 폭1-2.5mm로서 다육질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몇 개가 취산화서에 모여 달리고 꽃받침잎은 4개이지만 2-3개인 것도 있으며 길이 2.5mm로서 끝이 둔하다. 꽃잎은 4(2-3)개이고 서로 닿으며 길이 4.5-5mm로서 황색이고 수술은 8개로서 그중 4개는 꽃잎 밑에 붙어 있으며 4개는 호생하고 꽃잎보다 다소 밖으로 나와 있으며 자방은 4(2-3)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4개이다.
줄기 : 줄기는 1개가 높이 5-6cm정도 곧게 자란다.
뿌리 : 뿌리는 갈라져 길게 자라고 선단에 적갈색 인편으로 덮여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의 깊은 산 정상 근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바위솔(O. japonicus):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근생엽은 로제트 모양 피침형이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 근경은 짧고 비대 잎은 주걱모양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다. ▶좀바위솔(O. minutus): 잎은 비늘 모양 긴 타원형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특징 : 좁은잎돌꽃과 비슷하지만 꽃이 양성이고 뿌리가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가지더부살이
학명 : Phacellanthus tubiflorus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열당과(Orobanchaceae) target=_blank>열당과(Orobanc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지더부살이속(Phacellanthus) target=_blank>가지더부살이속(Phacellanthus)</a>
이명 : 가지더부사리 노랑더부살이 황통화
꽃 : 7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5-10개의 꽃이 속생하며 백색에서 연한 황색으로 변하고 소화경이 극히 짧으며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고 안쪽 것은 피침형으로서 뾰족하며 바깥쪽 것은 주걱모양이고 꽃을 둘러싸며 길이 1-2cm이지만 변이가 심하고 때로는 없는 것도 있다. 화관은 길이 2-3cm이며 상순은 길이 7-8mm로서 끝이 파지고 하순은 짧으며 3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로서 화통 속에 들어 있다. 암술대는 꽃밥 밑까지 자라며 암술머리가 특히 커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1cm이고 타원상 난형이다.
줄기 : 기생식물로서 높이 5-10cm이고 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며 원줄기는 총생하고 육질이며 소인편으로 덮여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여러 개로 갈라진다.
분포 : 지리산(노고단)과 속리산(천황봉)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기생식물
-
Read MoreNo Image
가지꽃고비
학명 : Polemonium racemosum var. laxiflorum (Regel)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D%83%EA%B3%A0%EB%B9%84%EA%B3%BC(Polemoniaceae) target=_blank>꽃고비과(Polem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고비속(Polemonium) target=_blank>꽃고비속(Polemonium)</a>
잎 : 잎은 어긋나고 기주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 : 7∼8월에 자줏빛 꽃이 원추화서로 피는데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1개 암술대는 3가닥으로 나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가 곧고 윗부분에 액을 분비하는 선모가 있다.
분포 : 함남
-
Read MoreNo Image
가지꼭두서니
학명 : Rubia hexaphylla (Makino)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꼭두서니속(Rubia) target=_blank>꼭두서니속(Rubia)</a>
이명 : 가지꼭두서니 가지꼭두선이 네잎꼭두선이 여섯잎꼭두서니 왕꼭두서니
잎 : 잎은 원줄기에서 6-10개씩 윤생하며 가지에서는 4개씩 윤생하고 줄기의 잎은 4장씩 윤생하고 긴 타원상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2-4cm 나비 1-2cm로서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잔가시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고 지름 3.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엽액과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4-7mm이다. 수술은 5개이며 자방에 털이 없다. 화관은 종 모양이며 5개의 열편으로 갈라지고 지름 약 3mm이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달리며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능선에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갈퀴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pratensis MAX.) : 잎이 가지에서 4-6개씩 윤생한다. 잎은 긴 타원상 난형. ▶덤불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sylvatica MAX.) : 잎이 크고 심장형이며 질이 얇고 뒷면의 맥이 뚜렷하며 화관 밑부분이 종형이고 윗부분이 수평으로 퍼진다.
특징 : ▶갈퀴꼭두서니와 달리 잎이 가지에서 4개씩 윤생한다.
-
Read MoreNo Image
가지기린초
학명 : Sedum aizoon var. ramosum Uyeki & Sak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가지가는꿩의기른초 가지꿩의비름
줄기 : 줄기는 가지가 많다.
-
Read MoreNo Image
가지금불초
학명 : Inula britannica var. ramos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불초속(Inula) target=_blank>금불초속(Inula)</a>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피침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이 없거나 원줄기를 감싸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군데군데 도드라진 점이 있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길이 1-2.5cm로 된다.
꽃 :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 전체가 산방상으로 되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8mm 지름 15-17mm이며 포린은 5줄로 배열되고 거의 같은 길이이며 바깥 것은 피침형이고 안쪽 것은 좁으며 모두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설상화는 길이 16-19mm 나비 1.5-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mm 정도로서 10개의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5mm정도이고 10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가 많다.
뿌리 : 근경이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금불초 var. ramosa KOM.: 높이 20-60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