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가시상추

조회 수 4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Lactuca scariola L.
과명 국화과(Compositae)
속명 왕고들빼기속(Lactuca)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가 없고 잎새는 장타원형(長楕圓形)또는 장타원상 피침형(長楕圓狀 彼針形)이며 길이 10-20㎝ 폭 2-7㎝이다.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이저(耳底)로 줄기를 일부 싸며 거치(鋸齒)가 있거나 우상 분열(羽狀 分裂)을 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줄지어 배열되며 뒷면 주맥 위에 가시가 열지어 배열된다.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1.2㎝ 정도 6-12개의 설상화(舌狀花)로만 이루어지며 벌어진 원추화서(圓錐花序)를 만든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높이 6-9㎜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내편의 1/3길이이다. 설상화는 황색이며 끝에 5치(齒)가 있다.
열매 수과(瘦果)는 도란형(倒卵形)-장타원형이며 길이 3㎜ 담갈색 자상모(刺狀毛)가 있으며 길이 4-8㎜의 부리 모양의 돌기를 갖는다. 관모(冠毛)는 백색이다.
줄기 줄기는 단단하며 곧추 서고 높이 20-80㎝ 윗부분에서 원추상(圓錐狀)으로 가지를 치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가시 모양의 거친 털이 있다.
분포 서울을 비롯한 중.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1-2년생 초본
특징 유럽 원산이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년 任良宰 全義植 양씨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Sp. Pl., (ed. 2) 2 : 1119 (1763)
참고문헌 1)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임양재 & 전의식, 1980)

  1. No Image

    가지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괭이눈속(Chrysosplenium) target=_blank>괭이눈속(Chrysosplenium)</a>
    이명 : 검정괭이눈털괭이눈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대개 없어진다. 잎은 대생하고 윗부분의 잎은 난상 원형 또는 원형이며 원형의 톱니가 있고 길이 5-15mm 폭 6-15mm로서 밑부분이 넓은 예저이며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7-15cm이며 꽃은 5-7월에 피고 녹색이거나 녹색 바탕에 자주색 또는 자갈색이 돌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수평으로 퍼지며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반하위이고 열편의 크기가 서로 비슷하며 수평으로 퍼지고 종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겉에 10개 정도의 희미한 돌기의 줄이 있거나 밋밋하고 돌기가 없다.
    줄기 : 포복지는 옆으로 길게 자라면서 갈라지고 편원형의 잎이 달린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긴 털이 약간 있음
    Read More
  2. No Image

    가지곡정초

    학명 : Eriocaulon cauliferu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1%EC%A0%95%EC%B4%88%EA%B3%BC(Eriocaulaceae) target=_blank>곡정초과(Erioca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곡정초속(Eriocaulon) target=_blank>곡정초속(Eriocaulon)</a>
    이명 : 가는잎곡정초 줄기별수염풀
    잎 : 뿌리에서 잎이 밀생한다. 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3-9㎝ 나비는 0.9㎜로서 1맥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원줄기 끝에 모여 나오고 높이 8-20㎝로서 6개의 능선이 있으며 8-9월에 피고 백색이다. 두상화는 편구형이며 길이 2-3mm 나비 3-4mm로서 남흑색이고 짧은 백색 털이 소생(疎生)한다. 총포편은 7-9개이며 난형 또는 원형이고 길이 1mm정도로서 얇은 막질이며 검은빛이 돌고 화상花床에 털이 없다. 꽃은 3수성이며 많이 달리고 포는 도란상 쐐기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과 길이가 비슷하다.

    줄기 : 높이는 4-20㎝ 지름은 3.5-5㎜정도이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초본


    Read More
  3. No Image

    가지고비고사리

    학명 :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B9%84%EA%B3%A0%EC%82%AC%EB%A6%AC%EA%B3%BC(Hemionitidaceae) target=_blank>고비고사리과(Hemionit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target=_blank>고비고사리속(Coniogramme)</a>
    이명 : 가지고비 가지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50-60㎝로서 연한 녹색이지만 뒷면은 흑갈색이다. 엽신은 길이 40-50㎝ 너비 30-35㎝로서 긴 난형. 3-5쌍의 우편으로 갈라지고 가장 밑부분의 1-2쌍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과 소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짧은 대가 있다. 측맥은 톱니 밑까지 닿지 못하며 여기저기에서 합쳐져서 그물맥을 형성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을 따라 달리고 가장자리까지 가깝게 닿는 것도 있다.

    뿌리 : 굵은 근경이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오고 연한 갈색 인편이 있다.
    분포 : 주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며 강원도까지 올라온다.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개가지고비 var.fauriei TAGAWA : 그물맥이 드문드문 생기며 한라산에서 자란다.

    Read More
  4. No Image

    가지

    학명 : Solanum melongen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지속(Solanum) target=_blank>가지속(Solanum)</a>
    이명 : 까지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엽병이 있고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5-35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지만 다소 파상으로 되며 좌우가 같지 않다.
    꽃 : 꽃은 6-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마디사이의 중앙에서 화경이 나와 소수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은 종모양으로 보통 자주색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자모(刺毛)가 있다. 화관은 얕은 술잔모양이며 지름 3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고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은 황색이다. 1개의 화경 중에서 밑부분의 것만이 성숙하지만 품종에 따라서는 여러 개가 모두 성숙하는 것도 있고 보통 흑자색이며 형태는 품종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
    열매 : 대형과 장과로서 보통은 흑색이지만 종류에 따라서 홍자색 자색 백색 녹백색을 이룬다.
    줄기 : 높이 60-100cm이고 전체에 회색 성모(星毛)가 밀포한다.
    뿌리 : 뿌리와 근경을 건조한 것을 가근(茄根)이라 한다.
    분포 :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이지만 열대지방에서는 다년초.


    Read More
  5. No Image

    가죽나무

    학명 :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태나무과(Simaroubaceae) target=_blank>소태나무과(Simaroub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죽나무속(Ailanthus) target=_blank>가죽나무속(Ailanthus)</a>
    이명 : 가중나무 개죽나무 까중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길이 60-80cm이며 소엽은 13-25개이고 넓은 피침상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폭 5c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30cm이며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지름 7-8mm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으로 6-8월에 개화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5심피로 된 자방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시과는 3-5개씩 달리고 연한 적갈색이며 얇고 피침형이며 길이 3-4cm 폭 1cm로서 날개 가운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9-10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려 있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 통직하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소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붉은가죽나무(for.erythrocarpa Rehder):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이며 열매가 붉은빛이 돈다.
    특징 :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참죽나무가 아니고 먹을 수 없는 가짜 참죽나무라는 뜻에서 가죽나무라고 하며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목재의 변재는 담황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심·변재 구분이 불분명하나 연륜은 뚜렷하고 환공재로 나무갗은 거칠고 도관이 큰 특징이 있다.
    Read More
  6. No Image

    가을강아지풀

    학명 : Setaria faberii Herr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강아지풀속(Setaria) target=_blank>강아지풀속(Setaria)</a>

    잎 : 잎몸은 선상 피침형이고 연한 털이 있거나 없고 길이 30㎝ 폭 15㎜이다.
    꽃 : 화서는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10-15㎝ 폭 2㎝이며 작은이삭은 길이 3㎜로 겨드랑이에 3개의 강모가 있다. 제1호영은 길이 1.5㎜ 3맥 제2호영은 길이 5㎜ 난형으로 5맥이다. 결실성 외영은 약간 단단하고 가로로 주름이 진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경작지나 황무지에 난다.
    형태 : 일년생초본이다.


    Read More
  7. No Image

    가야산잔대

    학명 : Adenophora kayasanensis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가야산모시나물 가야잔대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이며 4매가 윤생하며 길이 10잎은 호생하고 선형이며 4매가 윤생하며 길이 10~12cm 나비 2~3mm이며 끝은 매우 뾰족하고 밑은 둔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어 톱에 흡사하고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8~9월에 연한 자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단총상으로 달리며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조각은 좁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화관은 깔때기모양의 종형으로 끝이 5열하며 길이 약 1cm이며 암술대는 화관 밖으로 나온다. 자방하위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Read More
  8. No Image

    가야산은분취

    학명 : 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은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이 길고 피침상 3각형 또는 난상 3각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6~8cm 폭 2~4cm로서 표면은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 솜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cm이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6~7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화서의 잎은 선형이다.
    꽃 : 8~9월에 개화하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서에 백색 털이 있다. 총포는 구상 종형이며 길이 13mm 지름 11~12mm로서 가장자리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덮여 있고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6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2mm로서 내편의 1/5 정도이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0~11mm로서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지고 관모는 2줄로서 바깥 것은 길이 1.5~4mm 안쪽 것은 길이 9mm이며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5-70c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진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9. No Image

    가야물봉선

    학명 : 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봉선화과(Balsaminaceae) target=_blank>봉선화과(Balsam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봉선속(Impatiens) target=_blank>물봉선속(Impatiens)</a>
    이명 : 검물봉선 검정물봉선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을 제외한 길이 6-15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화서의 잎은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총상화서는 가지 윗부분에 달리며 소화경은 화서축과 더불어 밑으로 굽고 붉은빛이 도는 육질의 털이 있으며 꽃은 8-9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양쪽에 있는 큰 꽃잎은 길이 3cm이고 거는 넓으며 자주색 반점이 있고 끝이 안으로 말린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이 서로 합쳐지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피침형이고 길이 1-2cm로서 익으면 탄력적으로 터지면서 종자가 튀어나온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유연하고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육질에 가깝고 마디가 튀어 나온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물봉선
    특징 : 물봉선과 닮았으나 흑자색 꽃이 핌
    Read More
  10. No Image

    가야단풍취

    학명 : Ainsliaea acerifolia var. subapod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취속(Ainsliaea) target=_blank>단풍취속(Ainsliaea)</a>
    이명 : 단풍취 좀단풍취
    잎 :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윤생한 것처럼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지는 것이 있고 길이 6-12.5cm 나비 6.5-19cm로서 양면과 엽병에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3cm이다. 잎의 결각이 얕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지름 1-1.5cm로서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4mm로서 붉은 빛이 돌며 포는 많고 여러줄로 배열되며 그 속에 3개의 통상화가 들어있고 화관은 길이 16-17mm로서 백색이며 통부는 길이 7.5mm이고 열편이 불규칙하다.
    열매 : 수과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9mm 지름 2mm로서 양끝이 좁고 자주색 바탕에 종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10-11mm로서 갈색 또는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줄기 :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갈색 털이 드문드문 있다.

    분포 : 가야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단풍취 : 기본종
    특징 : 단풍취와 달리 잎의 결각이 얕으며 가야산에서 자란다.
    Read More
  11. No Image

    가시오갈피

    학명 :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91%90%EB%A6%85%EB%82%98%EB%AC%B4%EA%B3%BC(Araliaceae) target=_blank>두릅나무과(Ara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갈피나무속(Eleutherococcus) target=_blank>오갈피나무속(Eleutherococcus)</a>
    이명 : 가시오갈피나무 민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왕가시오갈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3-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 복엽이며 소엽은 타원상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짧은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6-12cm 폭 2-4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복거치가 있고 표면은 군데군데 털이 있으며 뒷면은 어릴 때는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8cm로 가시가 많다.
    꽃 : 산형화서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거나 또는 밑부분에서 갈라지며 꽃은 7월에 피고 자황색이 돌며 화경은 길이 5-7cm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고 갈라진 곳에만 밀모가 있다. 꽃받침은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거치가 있고 꽃잎은 난형으로 5개이며 길이 1-2mm이다. 암술대는 길이 1-1.8cm로서 완전히 합쳐지며 암술머리가 5개로 약간 갈리진다. 오갈피나무에 비하여 소화경이 길게 발달하여 외관상으로 뚜렷한 산형화서이다.
    열매 : 열매는 구형이며 털이 없고 5개의 능각이 지며 지름 8-10mm이고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 2-3m이고 가지는 그리 갈라지지 않으며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밀생하고 회갈색이며 특히 엽병 밑에 가시가 많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추풍령 광릉 지리산 가야산 이북 지리산 치악산 계방산 태기산 등 중부 이북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민가시오갈피(for.inermis Harms): 소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잎과 화서가 보다 크다. ▶왕가시오갈피(var.koreanus T.Lee): 가시오갈피에 비해 전체가 대형이고 2년지가 붉은 빛이 돌며 줄기에 가시가 적고 화서기부에 털대신 긴 포가 있다. 평남지역에 자란다.
    특징 : 전체에 가는 가시가 밀생하며 인삼보다 좋다는 약용 식물이다.
    Read More
  12. No Image

    가시연꽃

    학명 : Euryale ferox Salis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수련과(Nymphaeaceae) target=_blank>수련과(Nymph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시연속(Euryale) target=_blank>가시연속(Euryale)</a>
    이명 : 가시련가시연 개연 칠남성
    잎 : 종자가 발아하여 나오는 잎은 작으며 화살같지만 타원형을 거쳐 점차 큰 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자라면 둥글게 되고 약간 파진다. 타원형 또는 둥근 방패모양이며 지름은 20cm에서 큰 것은 2m에 이르기도 하며 표면에 주름이 지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흑자색으로서 맥이 튀어나오고 짧은 줄이 있으며 양면 맥위에 가시가 돋는다. 잎은 수면에 뜨고 엽병이 길다. 앞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나 뒷면은 흑자색이다.
    꽃 : 자색으로 7~8월에 잎 사이에서 가시가 돋은 긴 화경(花梗)이 자라서 끝에 지름 4cm의 꽃이 1개 달리고 낮에 벌어졌다가 밤에 닫힌다. 꽃받침열편은 4개로서 녹색이며 끝이 날카롭고 밑부분이 합쳐져서 통같이 되며 꽃잎은 다수이고 꽃받침열편보다 작으며 밝은 자주색이다. 수술은 많아서 8겹으로 돌려나며 꽃잎 안쪽에 달리고 수술대는 짧으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약격(葯隔)은 절두이다. 심피는 8개이며 8실의 자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는 반상(盤狀)이며 오그라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타원형 또는 구형이고 지름 5~7cm이며 겉에 가시가 있고 끝에 숙존악이 뾰족하게 남아 있다. 종자는 구형이고 가종피는 육질종의로 싸였으며 과피는 흑색이며 딱딱하고 배유(胚乳)는 백색이고 점질이다.
    줄기 : 가시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두꺼우며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분포 : ▶대만 인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수평적으로 중부 이남(전주 대구 광주 경기도(서해안) 및 강릉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수초이다.

    특징 : 식물체에 가시가 많다
    Read More
  13. No Image

    가시여뀌

    학명 :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Mor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별여뀌
    잎 : 잎은 호생하며 크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3-13cm 폭 1-7cm로서 양쪽 기부의 열편이 뾰족하고 밖으로 튀어나오며 뒷면 맥 위에 짧고 가시같은 털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맥이 뚜렷하고 맥 위에 가시같은 털이 있으며 줄기를 둘러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가지 끝에 달리며 가지가 갈라져서 끝에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중앙에 관절이 있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원형이고 짙은 홍색으로서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털이 없다.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세모진 길이 2.5mm정도의 수과이며 흰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서고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은 화경과 더불어 적색 선모가 밀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특징 : 줄기에 적색 선모가 밀생한다.
    Read More
  14. No Image

    가시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경생엽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6-10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음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고 경생엽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우상으로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 동속 근연종에 비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길이 18-20mm 지름 25-35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겉에서 안으로 약간씩 길어지고 끝이 뾰족한 선형이다. 화관은 자주색 또는 적색이며 길이 19-24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4mm이며 관모는 길이 16-19mm이다.
    줄기 :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백색 털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엉겅퀴 var. ussuriense KITAMURA ▶좁은잎엉겅퀴 var. nakaianum NAK.: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다. ▶흰가시엉겅퀴 for. alba T. LEE : 백색 꽃이 핀다.
    특징 :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으며 길이 6-10mm이다.
    Read More
  15. No Image

    가시상추

    학명 : Lactuca scariol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고들빼기속(Lactuca) target=_blank>왕고들빼기속(Lactuca)</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가 없고 잎새는 장타원형(長楕圓形)또는 장타원상 피침형(長楕圓狀 彼針形)이며 길이 10-20㎝ 폭 2-7㎝이다.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이저(耳底)로 줄기를 일부 싸며 거치(鋸齒)가 있거나 우상 분열(羽狀 分裂)을 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줄지어 배열되며 뒷면 주맥 위에 가시가 열지어 배열된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1.2㎝ 정도 6-12개의 설상화(舌狀花)로만 이루어지며 벌어진 원추화서(圓錐花序)를 만든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높이 6-9㎜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내편의 1/3길이이다. 설상화는 황색이며 끝에 5치(齒)가 있다.
    열매 : 수과(瘦果)는 도란형(倒卵形)-장타원형이며 길이 3㎜ 담갈색 자상모(刺狀毛)가 있으며 길이 4-8㎜의 부리 모양의 돌기를 갖는다. 관모(冠毛)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하며 곧추 서고 높이 20-80㎝ 윗부분에서 원추상(圓錐狀)으로 가지를 치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가시 모양의 거친 털이 있다.

    분포 : 서울을 비롯한 중.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

    특징 : 유럽 원산이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년 任良宰 全義植 양씨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Read More
  16. No Image

    가시비름

    학명 : Amaranthus spinos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름속(Amaranthus) target=_blank>비름속(Amaranthus)</a>










    Read More
  17. No Image

    가시복분자딸기

    학명 : Rubus schizostylus H.L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이명 : 가시복분자 가시복분자딸
    잎 : 잎은 호생하며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3-5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고 깊은 복거치가 있으며 길이 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잔털이 있다. 과지의 잎은 길이 1-2cm에 불과하고 땅으로 기면서 자란다.
    꽃 : 산방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꽃받침통은 표면에 가시와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서 뾰족하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안쪽으로 꼬부라지고 장미색이며 꽃받침과 길이가 같거나 짧고 자방에 털이 많다.

    줄기 : 원줄기는 기어가고 가시가 많으며 자줏빛이 돌고 가지에 잔털과 더불어 구자(鉤刺)가 있다.

    분포 : 제주도 해안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복분자딸기와 비슷하지만 과지의 잎이 길이 1-2cm에 불과하고 땅으로 기면서 자라는 것이 다르다.

    Read More
  18. No Image

    가시박

    학명 : Sicyos angulat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과(Cucurbitaceae) target=_blank>박과(Cucurb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시박속(Sicyos) target=_blank>가시박속(Sicyos)</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길이 3-12㎝ 연모가 밀생한다. 잎새는 거의 원형 5-7천열(淺裂)이 되며 지름 8-12㎝ 기부는 깊은 심장저(心臟底)이고 열편은 끝이 예두(銳頭) 또는 점첨두(漸尖頭)이다.
    꽃 : 6-9월에 꽃이 핀다. 꽃은 자웅동주(雌雄同株)이며 수꽃은 총상(總狀)을 이루며 길이 약 10㎝정도로 길게 된 꽃자루 끝에 달리며 지름 1㎝ 황백색 꽃밥은 융합되어 한 덩어리가 되엇으며 꽃자루에는 선모(線毛)가 있다. 암꽃은 짧은 꽃자루 끝에 두상(頭狀)을 이루며 지름 6㎜ 담녹색 1개의 암술 씨방하위(子房下位)이다.
    열매 : 열매는 자루가 없고 3-10개가 뭉쳐 나며 장타원형이며 가느다란 가시로 덮여 있다.
    줄기 : 줄기는 4-8m에 이르며 3-4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며 기어오른다. 각(角)이 졌으며 연모(軟毛)가 밀생한다.

    분포 : 최근 철원 수원에서 채집되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유럽 호주 일본 등지에 귀화되었으며 최근 우리 나라에 귀화된 식물로 철원 수원에서 채집되었다.
    Read More
  19. No Image

    가시딸기

    학명 : Rubus hongno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이명 : 가시딸 섬가시딸기
    잎 : 맹아지의 잎은 길이 18cm정도로서 9-11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소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4-7cm로서 복거치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4-7cm로서 복거치가 있으며 양면에 선점이 있고 털이 전혀 없다.
    꽃 : 꽃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3cm 정도로 백색이고 꽃받침잎은 가늘고 길이 1cm 정도로서 겉에 잔복모가 있으며 안쪽에 털이 많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망상으로 된 주름이 있으며 길이 1.5mm 정도로 황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줄기에 털과 가시가 없으며 가지에 선점이 있고 털과 가시가 없다.

    분포 : 제주도 서귀포 폭포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관목.
    유사종 : 검은딸기와 비슷하지만 줄기와 잎에 가시와 선모가 없는 것이 다르다.

    Read More
  20. No Image

    가시도꼬마리

    학명 : Xanthium italicum Moor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꼬마리속(Xanthium) target=_blank>도꼬마리속(Xanthium)</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길이 6-12㎝의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넓은 난형(卵形)으로 3천열(淺裂)되며 3맥이 뚜렷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크기가 다른 뭉툭한 낮은 톱니가 있고 표면이 특별히 거칠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자웅동주(雌雄同株)이고 줄기가 가지 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룬다. 수꽃의 두화(頭花)는 구형(球形)이며 화서(花序)의 위쪽에 부착하고 암꽃은 2개가 총포(總苞)에 싸여 있으며 수꽃의 아래쪽에 달리고 암꽃의 총포는 타원형이며 길이 1.9-3㎝ 폭 1.2-2.2㎝ 밀집 부착이 되고 끝쪽에 2개의 끝이 굽은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 표면에 많은 가시가 있으며 가시는 길이 4-7㎜ 끝이 갈고리처럼 굽었으며 인편상

    줄기 : 줄기는 높이 40-120㎝ 담녹색이며 흑자색 반점(班點)이 있고 거칠다.

    분포 : 남한강 유역 서울의 한강변 울산 구룡포 포항에서 발견이 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큰도꼬마리(X. canadense Mill.): 암꽃 총포의 표면은 털이 없고 광택이 있으며 사마귀 모양의 선점(腺點)이 산재한다.
    특징 : 귀화식물로 일본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80 년에 보고가 되었다. `큰도꼬마리`에 비하여 부리 모양의 돌기와 가시에 인편상의 털이 있어 구분이 된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