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가락지나물

조회 수 1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과명 장미과(Rosaceae)
속명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가는잎쇠스랑개비 소스랑개비 쇠스랑개비 아기쇠스랑개비 작은잎가락지나물 큰잎가락지나물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 5출장상복엽이 달리고 줄기에 잎이 3개씩 달리며 엽병이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1-5cm 폭 8-20mm로서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뒷면 맥위에는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황색이고 줄기나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많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20mm로서 위를 향한 백색털이 있다. 부악편은 선형이고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모두 겉에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도심장형이며 넓은 예저로서 각각 5개씩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 화탁은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0.5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세로로 약간 주름이 지며 6-7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20-60cm이고 하반부가 비스듬히 자라며 엽액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고 끝이 위를 향하며 위로 향한 털이 있다.
뿌리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한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가락지나물

    학명 :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가는잎쇠스랑개비 소스랑개비 쇠스랑개비 아기쇠스랑개비 작은잎가락지나물 큰잎가락지나물
    잎 :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 5출장상복엽이 달리고 줄기에 잎이 3개씩 달리며 엽병이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1-5cm 폭 8-20mm로서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뒷면 맥위에는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황색이고 줄기나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많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20mm로서 위를 향한 백색털이 있다. 부악편은 선형이고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모두 겉에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도심장형이며 넓은 예저로서 각각 5개씩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 : 화탁은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0.5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세로로 약간 주름이 지며 6-7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하반부가 비스듬히 자라며 엽액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고 끝이 위를 향하며 위로 향한 털이 있다.
    뿌리 :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2. No Image

    가는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dichotoma f. depauperat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지기속(Fimbristylis) target=_blank>하늘지기속(Fimbristylis)</a>

    잎 : 잎과 화경 일부분에 털이 있다. 잎이 침형이며 폭 1.5-4㎜로서 작지만 밑부분에 털이 있고 엽초는 녹색이 도는 갈색이며 대개 털이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소수는 1-2개이고 화서는 2-3회 갈라지며 산형(傘形)이다. 첫째 포는 선형으로서 화서보다 길거나 짧으며 소수는 긴 난형이고 길이 5-8㎜ 지름 2.5-3㎜로서 흑갈색이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고 중륵(中肋)은 녹색이고 능선과 털이 없으며 끝이 둔하고 짧고 뾰족한 돌기가 있다. 암술대는 길이 2-2.5㎜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1㎜정도로서 다소 구형인 세포(細胞)가 5-6줄로 바둑판같이 배열되고 크림색으로 익는다.
    줄기 : 긴 가지는 길이가 5㎝에 달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하늘지기 (Fimbristylis dichotoma VAHL) ▶털하늘지기 (for.tomentosa OHWI)

    Read More
  3. No Image

    가는포아풀

    학명 : Poa matsumurae Ha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가는꾸렘이풀
    잎 : 잎은 밝은 녹색이고 길이 10-15cm 나비 1.2-3㎜로서 때로는 표면에 털이 있으며 엽초는 다소 편평하고 밑부분의 것은 때로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1-2mm로서 절두이다.
    꽃 : 원추화서는 밝은 녹색 또는 연한 녹색이고 길이 8-15㎝ 지름 3-5cm로서 가지가 옆으로 퍼지며 반윤생하고 작은이삭은 길이 4-6㎜ 나비 2㎜로서 편평하며 4-5개의 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1-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3.2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정도로서 중륵이 뚜렷하고 측면에 털이 없으나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으며 면모도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1.5-2mm이다.

    줄기 : 곧게 서거나 밑이 약간 구부러지며 납작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10cm정도 뻗는다.
    분포 :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4. No Image

    가는털비름

    학명 : Amaranthus patulus Berto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름속(Amaranthus) target=_blank>비름속(Amaranthus)</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는 길이 3-7㎝ 잎새는 능상 난형(菱狀 卵形)으로 길이 5-12㎝ 폭 3-6㎝ 끝이 예두(銳頭) 기부는 예저(銳底)이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의 맥 위에 성긴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으며 주름이 진다. 잎새의 중앙맥(中央脈)이 잎끝에서 1.5㎜ 정도 가시 모양으로 돌출된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수상화서가 모여서 전체 모습은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수(花穗)는 초록색 원주상으로 폭 5-7㎜ 줄기 끝에 있는 것은 길게 자라며 끝이 휘거나 늘어지기도 하고 옆의 것은 곧게 또는 비스듬히 다수의 짧은 화수를 만든다. 자웅이화(雌雄異花)이며 포엽(苞葉)은 중앙맥이 진한 초록색으로 길이 2-4㎜ 화피편(花被片)은 5개 길이 1.5-2㎜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열매는 포과(胞果)로 화피편보다 조금 길며 익으면 가로로 잘라진다. 씨는 흑색 지름 1㎜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60-200㎝로 곧게 자라고 위쪽에서 분지(分枝)하며 세로로 골이 파이면서 모서리가 생기며 어릴 때는 연한 털이 있다.

    분포 : 서울 근교를 비롯하여 중 남부지방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눈비름(A. deflexus L.):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지고 잎은 난형 좁은 난상 삼각형 길이 1-4㎝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청비름(A. virid
    특징 : 세계의 온대에서 열대까지 넓게 귀화되었다.
    Read More
  5. No Image

    가는층층잔대

    학명 : Adenophora verticillata var. angustifoli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잎은 돌려나며 피침형 또는 줄 모양 피침형을로 잎자루가 거의 없고 양 끝은 날카롭거나 뾰족하다.
    꽃 : 8∼9월에 원줄기 끝에 여러 층으로 꽃가지를 치고 원추화서를 이루며 종모양의 자주색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선형이고 암술대는 화관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 : 뿌리가 크고 굵다.
    분포 : 제주도 및 중부 이북



    Read More
  6. No Image

    가는참나물

    학명 : Pimpinella koreana (Yab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물속(Pimpinella) target=_blank>참나물속(Pimpinella)</a>

    잎 : 엽병은 근생엽의 것은 길며 경생엽의 것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얼싸안는다. 잎은 3출복엽이며 소엽은 결각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좁게 빗살모양으로 갈라진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가지나 줄기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며 소산형화서는 10개 정도로서 13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뚜렷하고 삼각형이며 꽃잎 및 수술과 더불어 5수성이다. 총포는 거의 없으며 소총포는 4~5개로서 선형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Read More
  7. No Image

    가는줄돌쩌귀

    학명 : Aconitum volubile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가는줄덜쩌귀풀 털가는덩굴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양쪽 측열편이 다시 거의 완전히 2개로 갈라져서 전체가 5개로 갈라진 것 같이 보이며 각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종열편은 폭 2-3m로서 뒷면 특히 맥위에 긴 털이 많으며 표면에 짧고 굽은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총상화서이며 소화경에 긴 털이 수평으로 퍼져 있고 중앙부에 실모양의 소포가 있다. 꽃받침은 5개이며 꽃잎같고 겉에 전체적으로 털이 많이 있으며 자방은 5개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한다.
    뿌리 : 뿌리가 옆으로 자라며 잔뿌리가 많다.
    분포 : 경북에서 태백산맥을 따라 강원도 및 함경도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Read More
  8. No Image

    가는정영엉겅퀴

    학명 : Cirsium chanroenicum var. lanceolata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가는잎정영엉겅퀴





    분포 : 한반도(지리산)


    특징 : 기본종인 정영엉겅퀴에 비해 잎이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좁고 끝이 뾰족하다.
    Read More
  9. No Image

    가는장대

    학명 : Dontostemon dentatus (Bunge) Led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는장대속(Dontostemon) target=_blank>가는장대속(Dontostemon)</a>
    이명 : 가는꽃장대 가는장때 꽃장대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2-8cm 폭 3-10mm로서 몇 개의 톱니가 있으나 근생엽은 여러 개가 나와서 지면에 퍼지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8~10mm이고 연한 홍자색의 십자화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꽃받침잎은 4개이며 녹색이고 곧게 서며 길이 8-10mm이다. 수술 6개 중 4개는 길며 긴 수술은 2개씩 붙어 있다.
    열매 : 1개의 암술은 자라서 길이 4-5cm의 열매로 되며 털이 없고 옆으로 비스듬하게 뻗은 소과경에서 위를 향한다. 종자는 갈색이고 길이 1.5mm정도이며 둘레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15-60cm이며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어 보이지만 굽은 잔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특징 : 배추과의 꽃은 보통 흰색 또는 황색이나 가는장대는 홍자색이므로 식별하기 쉽다.
    Read More
  10. No Image

    가는장구채

    학명 : Silene seoul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끈끈이장구채속(Silene) target=_blank>끈끈이장구채속(Silene)</a>
    이명 : 가지가는장구채 동굴장구채 수양장구채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길이 1.5~3cm 폭 1~1.5cm로서 난형이며 양끝이 좁고 특히 윗부분이 뾰족하며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의 원추형의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가늘고 길며 화관의 지름은 1.2cm내외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종형이고 5갈래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잎도 5개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3-4mm이며 난상 구형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는 소형으로 황갈색이며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줄기는 약하며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윗부분은 비스듬히 올라가거나 곧게 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굽은 털이 있다.
    뿌리 : 옆으로 기는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분포 : 중부 이남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장구채(M. apricum Rohrb.): 전체에 회색의 잔털이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2-8㎝ 끝이 뾰족하다. ▶장구채(M. firmum Rohrb.):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띠는 녹색 마디 부분은 검은 자줏빛이다. 잎은 긴 타원형 난상 넓은 피침형 길이 3-10㎝이다. ▶털장구채(M. firmum Rohrb. for. pubescens Ohwi): 장구채와 닮았으나 식물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특징 : ▶전체에 잔털이 난다. ▶학명의 종소명은 서울산이란 뜻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Read More
  11. No Image

    가는잎향유

    학명 :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유속(Elsholtzia) target=_blank>향유속(Elsholtzia)</a>
    이명 : 가는향유 애기향유
    잎 : 잎은 대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2-7cm 폭 1.5-5mm로서 표면 맥과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이삭화서로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2.5-5cm 지름 1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빽빽하게 꽃이 달린다. 포는 둥근 부채모양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자주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길이 7mm정도이며 꽃받침은 길이 2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바늘처럼 뾰족하며 안쪽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길이 5mm정도로서 4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수술 4개 중 2개는 길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고 어릴 때는 선점이 있다.

    분포 : 충청북도 속리산 경상북도 조령산
    형태 : 일년초.


    Read More
  12. No Image

    가는잎할미꽃

    학명 :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할미꽃속(Pulsatilla) target=_blank>할미꽃속(Pulsatilla)</a>
    이명 : 일본할미꽃
    잎 : 잎은 기주우상복엽이다. 소엽은 5개이고 밑부분의 소엽은 2∼5개로 갈라진다. 꼭대기에 갈라진 잎 조각의 끝은 뾰족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는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는데 종모양으로 밑쪽을 향한다. 꽃줄기는 길이 10∼30cm이고 그 윗부분의 총포는 대가 없으며 3∼4갈래로 갈라진 잎조각은 다시 줄 모양으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잎은 6개로 장타원형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안쪽에는 털이 없으며 검은 적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좁은 달걀 모양이고 흰 털이 나 있다.

    뿌리 : 뿌리는 굵고 땅속 깊이 들어가며 뿌리잎이 뭉쳐난다.
    분포 : 제주도



    Read More
  13. No Image

    가는잎털냉이

    학명 : Sisymbrium altissim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란장대속(Sisymbrium) target=_blank>노란장대속(Sisymbrium)</a>

    잎 : 근생엽(根生葉)은 길이 10-14㎝이고 우상(羽狀)으로 심열(深裂)되며 열편의 폭이 넓고 가장자리에 성긴 털이 있으며 로제트를 이룬다. 경생엽(莖生葉)은 근생엽보다 열편이 좁아지고 위쪽의 것은 거의 사상(絲狀)을 이룬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에 총상화서(總狀花序)을 이룬다. 꽃은 엷은 황색으로 지름 8㎜정도의 십자화(十字花)이다. 꽃받침은 4개로 바깥쪽의 2개는 끝에 뿔 모양의 짧은 돌기가 있다. 꽃잎은 길이 6-9㎜이다. 수술은 4개는 길고 2개는 짧다.
    열매 : 열매는 봉상(棒狀)으로 길이 5-10㎝ 폭 1.2㎜로 털이 없고 열매자루는 길이 6-8㎜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20-70㎝로 성긴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또는 털이 없다.

    분포 : ▶북아메리카 일본 등지에 귀화되었다 ▶아산호 방조제와 수인산업도로의 안산시 부곡동에서 채집하여 확인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긴개갓냉이(S. orientale): 근생엽은 우상으로 심열되지만 열편이 3-4쌍으로 폭이 넓고 경생엽의 위쪽의 잎도 피침형으로 폭이 넓다. 꽃받침에 뿔 모양의 돌기가 없고 털이 있다.
    특징 : ▶국내에서는 1996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출판된 `원색 외래잡초 종자도감`에 본 종을 `가는잎털냉이`로 발표를 하였으나 종자 사진과 종자의 형태 기록만 있으며 채집지와 식물 전체의 기재가 없었다. 1998년 5월 아산호방조제와 수인산업도로의 안산시 부곡동에서 채집하여 확인되었다.
    Read More
  14. No Image

    가는잎태양국

    학명 : Gazania linearis (Thunb.) Dru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태양국속(Gazania) target=_blank>태양국속(Gazania)</a>

    잎 : 기저부 잎은 로제트형이다. 엽병은 길고 날개가 있으며 위로 차차 넓어진다. 잎은 선형 피침형이며 전연 혹은 불규칙한 소예거치가 있다. 윗면은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아래쪽은 흰털이 많다.
    꽃 : 두화의 직경은 3.5~8cm이다. 설상화는 대략 20~21개이며 4~5cm이고 노란색 혹은 오렌지색이며 밑부분은 검은색이다. 관상화의 화관은 8mm정도이며 붉으스레한 오렌지색이다.
    열매 : 열매는 1~2 mm이고 관모는 길이 3~4mm이다.
    줄기 : 줄기는 밑에서부터 가지를 치며 땅에 퍼져자란다.





    Read More
  15. No Image

    가는잎처녀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beddomei (Baker) Ch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4%89%EC%A4%84%EA%B3%A0%EC%82%AC%EB%A6%AC%EA%B3%BC(Davalliaceae) target=_blank>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target=_blank>처녀고사리속(Thelypteris)</a>
    이명 : 가는잎새발고사리
    잎 : 나엽은 20-50㎝ 실엽은 길이 40-60㎝이며 엽병은 길이 5-15㎝로서 윤채가 있고 인편이 약간 있으며 인편은 난형이고 뒷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며 윗부분은 길게 뾰족해지고 넓은 부분은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중축은 연한 녹색으로 표면에 잔털이 있다. 우편은 밑부분의 것은 단축되지만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대가 없고 표면과 가장자리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긴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 또는 긴 타원상 심장형이고 대개 긴 털이 있다.

    뿌리 : 옆으로 길게 뻗는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Read More
  16. No Image

    가는잎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chinensis (Baker)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누른털고사리애기족제비고사리화엄고사리
    잎 : 잎이 총생하며 엽병은 길이 15-30cm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밀생하고 윗부분에서는 중축과 더불어 드문드문 달린다. 인편은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피침형이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3회우상복엽으로서 길이 15-30cm 폭 10-22cm이다. 우편은 긴 난형이며 대가 있고 길이 1-2cm 폭 4-12mm로서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첫째 소우편은 우상복엽이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로서 가장자리에 톱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 비스듬히 선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7. No Image

    가는잎조팝나무

    학명 : Spiraea thunbergii Siebold ex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팝나무속(Spiraea) target=_blank>조팝나무속(Spiraea)</a>
    이명 : 능수조팝나무 분설화 틈벌구조팝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2-4cm 폭3-6m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밝은 녹색이고 뒷면 맥위에 털이 다소 있는 수도 있다.
    꽃 : 꽃은 잎에 앞서 3-4월에 흰꽃이 피며 지름 8mm로서 2-5개가 산형으로 달리지만 전체적으로 수상화서 같으며 화서는 지난해 자라난 가지에 액생한다. 소화경은 길이 1-1.5c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도란형으로서 수술대보다 훨씬 길다. 수술은 25개이고 수술대 밑에 2개의 선이 있으며 암술은 5개로서 털이 없고 암술대는 자방 길이의 1/2정도이며 뒤로 젖혀진다. 꽃받침 꽃잎은 각각 5개씩이다. 꽃이 피었을 때 가지 전체가 꽃방망이처럼 보이며 모든 가지들은 겨울에 함박눈을 맞은 것같은 인상을 준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털이 없으며 길이 3mm로서 뒤로 벌어진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며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넓게 퍼지며 어린 가지는 모가 나 있고 짧은 가지에는 털이 있다. 뿌리 부근에서 가지가 나와 비스듬히 자라면서 활처럼 구부러지다가 끝부분이 다시 상향하게 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000m에 이르는 산야에 자생하며 중국 및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조팝나무(S.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ai): 잎은 어긋나고 길이 2.0-3.5㎝의 타원형인데 첨두 예저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Read More
  18. No Image

    가는잎음나무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var. maximowiczi (VanHoutte)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91%90%EB%A6%85%EB%82%98%EB%AC%B4%EA%B3%BC(Araliaceae) target=_blank>두릅나무과(Ara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음나무속(Kalopanax) target=_blank>음나무속(Kalopanax)</a>
    이명 : 가는잎엄나무 간은닢음나무 간은잎음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장상맥이 있고 길이와 폭이 각각 10-30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액에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30cm(50cm)이다. 과지(果枝)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백색털이 다소 있다.
    꽃 :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주축이 짧고 길이 8-15cm의 측지 10여개가 사방으로 퍼진 다음 끝에서 갈라지며 몇개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지름 5mm이며 황록색이고 포는 길이 1-2cm로서 빨리 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4-5개이다. 자방은 하위이며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거의 둥글며 길이 4mm 지름 6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반원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5mm 폭 3mm이다.
    줄기 : 가지에 가시가 많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음나무(K. pictus Nakai): 잎의 길이와 넓이는 10~30㎝로서 크며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털음나무(var. magnificus Nakai): 잎 뒷면에 밀모가 있는 것.
    특징 : 음나무와 비슷하나 열매가 달리는 가지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흰색털이 난다.
    Read More
  19. No Image

    가는잎왕고들빼기

    학명 : Lactuca indica f. indivisa (Makino)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고들빼기속(Lactuca) target=_blank>왕고들빼기속(Lactuca)</a>
    이명 : 가는잎꼬들배기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다. 잎이 갈라지지 않으며 작고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20-40cm로서 많은 두화가 달리며 두화는 지름 2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총포는 밑부분이 굵어지고 길이 12-15mm이며 내포편은 8개 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짧은 부리와 더불어 길이 5mm이고 관모는 길이 7-8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1-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유사종 : ▶왕고들빼기 (var. laciniata (O. KUNTZE) HARA) ▶용설채 (var. dracoglossa KITAM.):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배하고 있다.
    특징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피침형이다.
    Read More
  20. No Image

    가는잎억새

    학명 : Miscanthus sinensis f. gracillimus (Hitchc.)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억새속(Miscanthus) target=_blank>억새속(Miscanthus)</a>
    이명 : 털억새
    잎 :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을 완전히 둘러싸고 폭 5mm정도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톱니가 딱딱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중륵은 백색이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20~30cm이고 중축은 花序 分枝(화서 분지)길이의 1/2 이하이다. 가지는 길이 15-30cm이며 소수(小穗)는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1마디에 1쌍씩 달리고 길이 5-7mm이며 속모(束毛)는 길이가 7~12mm이다. 포영은 약간 딱딱하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끝이 막질이고 내영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길이 8-15mm의 까락이 돋는다.

    줄기 : 높이 1-2m이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참억새 (M.sinensis ANDERSS.) ▶얼룩억새 (for.variegatus Nak.): 잎이 얼룩진다. ▶억새 (var.purpurascens Rendle) : 소수가 자주색이고 첫째 포영에 4맥이 있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