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가는개수염

조회 수 4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Eriocaulon tenuissimum Nakai
과명 곡정초과(Eriocaulaceae)
속명 곡정초속(Eriocaulon)
이명 가는곡정초가는잎고위까람가는잎곡정초 가는잎별수염풀 강아지수염개수염
근엽은 총생하고 선형으로 길이 6~15cm 나비 1~2mm이며 3~5맥이 있다.
꽃은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지름 2~3mm의 두화가 1개 달리며 총포편은 5~8개이고 내편은 난상 피침형으로 1맥이 있으며 외편은 피침형으로 3맥이 있고 길이 3~9mm로 꽃의 2~3배 길며 화상에 털이 없고 수꽃은 5~16개로 중심에 나며 암꽃은 15개로 가에 나고 화포는 도란형으로 상부 가장자리와 배면에 곤봉모양의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은 불염상으로 합생하고 앞쪽이 터지며 수꽃의 꽃잎은 통상으로 합생하나 암꽃의 꽃잎은 이생하고 수술은 6개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화경은 높이 7~18cm이다.
열매 삭과로서 납작하고 타원형이다.
줄기 4개의 능선이 있고 초는 원통상으로 길이 3~7cm이며 상부는 막질로 비스듬히 갈라진다.
뿌리 수염뿌리는 오백색이다.
분포 강원(장전)
형태 1년초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1. No Image

    가는범꼬리

    학명 : 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Besser)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범꼬리속(Bistorta) target=_blank>범꼬리속(Bistorta)</a>
    이명 : 긴잎범의꼬리 둑새범꼬리풀
    잎 : 근생엽은 길이 15-22cm 폭 1cm정도로서 양끝이 좁고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고 맥 끝부분이 특히 굵어져서 튀어나온다. 경생엽은 밑부분에서는 엽초처럼 퇴화되며 중앙부의 것은 긴 난상 타원형이고 엽병이 없으며 엽초가 길다. 윗부분의 잎은 길고 끝이 뾰족하며 근생엽과 비슷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5cm 지름 1cm 이다. 소포는 피침형이며 소화경보다 길거나 거의 같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끝이 둥글고 털이 없으며 수술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로서 3개의 능선이 있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는 굵고 비스듬하게 들어가며 선단이 여러개로 갈라져서 많은 잎이 달린다.
    분포 : 한라산과 경기도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범꼬리(B. incana): 경생엽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범꼬리(B. major S.F.Gray var. japonica): 땅속줄기는 비후하고 잎자루는 엽초가 되고 잎 뒤는 흰색이다. ▶이른범꼬리(B. tenuicaulis): 근생엽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뒷면은 다소 흰색 잎자루는 길다. ▶씨범꼬리(B. vivipara): 근경은 굵고 짧다. 근생엽은 피침형 긴 타원
    특징 :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꽃이삭도 2cm 가량된다.
    Read More
  2. No Image

    가는미국외풀

    학명 : Lindernia anagallidea Penne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밭뚝외풀속(Lindernia) target=_blank>밭뚝외풀속(Lindernia)</a>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 잎차례이며 잎자루는 없고 잎새는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3-5맥이 뚜렷하며 길이 0.6-1.8㎝ 폭 0.4-1.2㎝ 잎 가장자리에 2쌍 내외의 둔한 톱니가 있고 끝은 예두이고 기부는 원저 또는 심장저로 줄기를 조금 둘러싼다.
    꽃 : 꽃은 6-9월에 피고 꽃자루는 사상(絲狀)으로 길이 20-30㎜이고 포엽 길이의 1.5-3배이다. 화관은 엷은 자줏빛이고 3열된 하순(下脣) 기부에 엷은 자반(紫班)이 있다. 꽃받침 열편은 선형이고 화관 길이의 1/2정도이며 열매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좁은 장타원형이며 길이 4-6㎜로 수많은 씨가 들어 있다. 씨는 길이 0.25-0.3㎜이고 폭은 길이의 1/2이며 연한 적갈색을 띤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곧게 자라며 높이 20-30㎝로 방산상(放散狀)으로 가지를 친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 분포 ▶경기도 화성군 어천저수지 근처와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 저수지 아래의 논에 자라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미국외풀(L. attenuata Muhl)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5.(2) ▶국내에서는 1995년 8월 14일 경기도 화성군 어천저수지 주변에서 발견하였다. ▶본종은 에 비하여 전체가 가늘고 잎새가 작고 기부가 원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2쌍 내외의 둔한 톱니가 있고 꽃자루가 포엽길이보다 1.5-3배 길며 사상(絲狀)이고 씨가 짧은 것이 구별점이다.
    Read More
  3. No Image

    가는명아주

    학명 : Chenopodium album var. stenophyllu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명아주속(Chenopodium) target=_blank>명아주속(Chenopodium)</a>
    이명 : 가는능쟁이가는잎명아주들명아주버들명아주
    잎 : 잎은 호생하고 다소 두꺼우며 어릴 때는 뒷면에 백분같은 돌기가 밀생하고 피침형·난상 원형이며 길이 1-4cm 폭 0.6-2cm로서 양끝이 둔하거나 좁고 위끝이 짧은 까락처럼 뾰족하며 엽병은 길이 5-25mm이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거친 치아상의 톱니가 있기도 하다.
    꽃 : 꽃은 양성화로 6-7월에 피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의 화서는 원추형이며 가지에 수상으로 달리고 꽃들이 총총히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황록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소화경과 소포도 없고 수술은 5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납작한 원형이며 꽃받침에 싸이고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과 화서에 처음에는 홍갈색 잔돌기가 밀생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퍼진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의 바닷가에 흔히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좀명아주(C. ficifolium Smith): 전체에 털이 없고 윗부분이 흰 가루에 덮인다. 잎은 삼각상 긴 타원형 삼각상 좁은 난형 길이 2-5㎝이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 모양의 톱니 흰색 가루로 덮인다.

    Read More
  4. No Image

    가는마디꽃

    학명 : Rotala pusilla Tu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꽃과(Lythraceae) target=_blank>부처꽃과(Lyth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디꽃속(Rotala) target=_blank>마디꽃속(Rotala)</a>
    이명 : 가는마디풀물솔잎
    잎 : 잎은 3~4(5)개가 윤생하고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6~10mm 폭 1.5~2mm로서 끝이 절두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길이 0.8mm로서 붉은 빛이 돌며 5수이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종형이고 밑에 선상의 소포가 2개 있으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2-3개 암술은 1개이다 .
    열매 : 삭과는 둥글며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3개로 갈라져서 많은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3-10cm이며 붉은빛이 돌고 밑부분이 갈라져서 흔히 옆으로 기어가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이 곧추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Read More
  5. No Image

    가는등갈퀴

    학명 : Vicia tenuifolia Ro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이명 : 가는등갈키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2-13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으로서 정소엽이 덩굴손으로 되고 소엽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1~3cm로서 소엽병이 없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길이 8mm로서 남갈색이며 총상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긴 화경과 가는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납작한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길이 2.5cm로서 종자가 보통 5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길이가 1.5m달하며 능선이 있다.

    분포 : 전국 각 처.
    형태 : 덩굴성 다년초


    Read More
  6. No Image

    가는동자꽃

    학명 : Lychnis kiusian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동자꽃속(Lychnis) target=_blank>동자꽃속(Lychnis)</a>
    이명 : 왜동자꽃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6-12m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5cm정도로서 원줄기 끝의 취산화서에 달리며 짙은 홍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3-12mm로 짧으며 잔털이 있다. 포는 선형이며 길이 3-8mm 폭 1mm로서 비스듬히 서고 꽃받침은 막질이며 좁은 통같고 윗부분이 다소 굵으며 길이 2-2.5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나 열편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으며 끝은 깊게 5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잎은 5개로서 윗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고 화관통은 입구에 돌기물이 있으며 안쪽에 작은 인편이 10개 있고 꽃받침보다 길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원통형이고 길이 13mm정도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이 붙어 있으며 꽃받침과 열매사이에 길이 14mm정도의 대가 있다. 종자는 신장형이고 길이 1.2mm정도로서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60-100cm이며 전체에 밑으로 향한 털이 나고 줄기는 모가져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동자꽃(L. wilfordii Max.):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피침형 가는 털이 있다. ▶털동자꽃(L. fulgens Fisch.): 전체에 긴 흰 털이 있고 잎은 긴 난형 길이 4-8㎝이다.

    Read More
  7. No Image

    가는돌쩌귀

    학명 : Aconitum macrorhynchum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가는잎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측렬편은 2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져 소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뒷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청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에 황갈색의 퍼진 털이 밀생하며 중앙부의 소포는 피침형이고 긴 연모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모양이고 위쪽 것은 모자모양이며 겉에 비교적 긴 털이 많다. 꽃잎은 2개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5개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는 뒤로 젖혀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나 윗부분은 때로 감긴다.

    분포 : 평남북 함남북에 나며 시베리아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독이 있다.
    Read More
  8. No Image

    가는대나물

    학명 : Gypsophila pacific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나물속(Gypsophila) target=_blank>대나물속(Gypsophila)</a>
    이명 : 가는잎대나물 두메마디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으로서 3개의 엽맥이 뚜렷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 폭 5-10mm이다. 잎은 육질이고 엽병이 없이 잎의 밑부분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고 맞붙었다.
    꽃 : 6-7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산방상 취산화서에 백색 꽃이 많이 달리고 화경은 길이 5-10mm이며 포(苞)는 난상 피침형으로 막질이다. 꽃받침은 짧은 종같으며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다. 자방은 난형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구형이며 8-9월에 익어 끝이 4조각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남록색을 띤다.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길고 굵으며 껍질은 잿빛을 띤 흑갈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개성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대나물(G. oldhamiana Miquel): 전체에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나온다. 잎은 피침형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길이 3-5㎝이다.

    Read More
  9. No Image

    가는다리장구채

    학명 : Silene jenisseensis Wil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끈끈이장구채속(Silene) target=_blank>끈끈이장구채속(Silene)</a>
    이명 : 짤룩대나물 짤룩장구채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원줄기에서는 대생하며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7-13cm 폭 2-7mm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포와 연결되고 털이 없거나 깔깔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포는 밑부분이 넓어져서 막질로 되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10맥이 있고 끝에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5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현부(舷部)는 길이 5mm가량이다. 수술은 10개 화주는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9월에 익으면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겉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높이가 25cm에 달하고 연약하며 줄기는 여러 대이고 가지가 없으며 털이 없거나 밑이 짧은 털로 덮인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극동부지방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난형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층층장구채(S. macrostyla Maxim.): 잎은 피침형 피침상 선형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나온다. ▶오랑캐장구채(S. repens Person):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퍼져 있다. 잎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3-5㎜이다.

    Read More
  10. No Image

    가는네잎갈퀴

    학명 : Galium trifid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퀴덩굴속(Galium) target=_blank>갈퀴덩굴속(Galium)</a>
    이명 : 가는네잎갈키 가는넷잎갈키덩굴 가는잎갈퀴









    Read More
  11. No Image

    가는기린초

    학명 : Sedum aizoon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가는꿩의비름 가는잎기린초
    잎 : 잎은 호생하며 도피침형이거나 간혹 좁고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이 없고 길이 3-6cm 폭 7-15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육질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0-13mm이며 원줄기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짧거나 거의 없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넓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약간 퍼지고 길이 3-5mm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10mm로서 꽃받침보다 1.5-2배 길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암술은 5개이다.
    열매 : 골돌은 5개가 별처럼 배열되었으며 난형(卵形)이고 10개 내외의 종자가 8-9월에 성숙한다.
    줄기 : 1-2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 20-50cm정도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Fisch.) : 가는기린초보다 잎이 넓다.
    특징 : 많은 변종이 있다.
    file
    Read More
  12. No Image

    가는기름나물

    학명 : Peucedanum elegans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기름나물속(Peucedanum) target=_blank>기름나물속(Peucedanum)</a>
    이명 : 가는잎기름나물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3회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첫째 우편은 길이 1mm정도의 엽병이 있거나 거의 없고 엽축에 접근하여 다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첫째 열편이 우축(羽軸)에 붙어 있는 것같다. 최종열편은 다시 몇 개의 짧은 선형 열편으로 갈라지거나 뾰족한 톱니모양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2회 우상으로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복산형화서로서 소산경은 길이 3cm정도이고 윗부분과 한쪽에 털같은 돌기가 있으며 10~20개이고 총포가 없으며 소산경은 긴 것은 길이 5mm정도로서 선형인 소총포편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분과 타원형
    줄기 :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줄기에 털이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 압록강 연안에서 백두산지역에 걸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백운기름나물(P. hakuunense):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가며 선단에 마른 잎자루 흔적으로 덮이고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기름나물(P. terebinthaceum): 흔히 홍자색이 돈다. 잎은 2회 3출엽 잎자루는 길고 넓은 난형이다. ▶산기름나물(P. deltoideum): 작은잎이 기름나물에 비해 넓다. ▶두메기름나물(P. coreanum): 원줄기는 자줏빛 근생엽은 3출겹잎 갈래는 넓은 난형 다시 얕게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Read More
  13. 가는금불초

    학명 : 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Turcz.)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불초속(Inula) target=_blank>금불초속(Inula)</a>
    이명 : 가는잎금불초 좁은잎금불초
    잎 : 잎은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길고 창모양이며 잎자루가 길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창모양 또는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9cm, 폭 6-1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보인다. 앞쪽잎에는 털이 없으나 뒤쪽에는 선점과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지름 18-25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흔히 포엽이 없다.
    꽃차례받침은 반구형이며 길이 4-6mm, 지름 8-14mm이고 포린은 4줄로 배열되며 가장이꽃은 길이 10mm정도로서 황색이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원기둥모양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털과 더불어 10개 능선이 있고 갓털은 길이 3mm정도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높이 30-7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나 2-3개가 함께 자라기도 하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 뿌리는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형태 : 다년초


    file
    Read More
  14. No Image

    가는괴불주머니

    학명 : Corydalis raddean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삼각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7-12cm로서 2-3회 3출엽이다. 최종소엽은 흔히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10-15mm 나비 5-10mm로서 끝이 둥글고 엽병에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포는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나비 3-10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소화경은 길이 4-7mm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1mm가량이며 막질이다. 꽃잎은 4개로 순형(脣形)에 거(距)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주두는 4개로 갈라졌다.
    열매 : 삭과는 긴 도란형으로 길이 12-15mm 나비 2-2.5mm이다. 종자는 흑색으로 2줄로 배열되고 광택이 나며 밋밋하다.
    줄기 : 전체에 분백색이 돌고 줄기는 모가 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엉키며 길이 60cm정도이고 능선이 있다.
    뿌리 : 땅속에 직근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유사종 : ▶눈괴불주머니 (Corydalis ochotensis TURCZ.) : 삭과의 나비가 3.5-4.5mm이다.

    Read More
  15. 가는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regeli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무꽃속(Scutellaria) target=_blank>골무꽃속(Scutellaria)</a>
    이명 : 가는잎골무꽃 레게리고무꽃 레켈리골무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2~4cm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수평이거나 약간 창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분명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거의 없다.
    꽃 : 꽃은 6~9월에 자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액에 마주 나며 소화경은 짧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상순에 원형의 돌기가 있으며 화관은 통상순형이고 상순은 다소 투구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네모지며 능선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평북 함남(부전고원) 함북(백두산 포태산 고두산)이북
    형태 : 다년초


    file
    Read More
  16. No Image

    가는갯는쟁이

    학명 : Atriplex gmelinii C.A.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능쟁이속(Atriplex) target=_blank>갯능쟁이속(Atriplex)</a>
    이명 : 가는갯는장이 가는갯능쟁이 좁은잎갯는쟁이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녹색이고 처음에는 백분으로 덮여 있으며 길이 5-10cm 폭 3-1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개의 톱니가 있으며 길이 5-15mm의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단성화이고 줄기 끝이나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전체가 수상화서와 비슷하고 암꽃과 수꽃이 섞여서 달리며 연녹색이고 수꽃은 포가 없으며 4-6개의 꽃받침잎이 있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4-8개이고 암꽃은 2개의 포가 있으며 꽃받침잎이 없고 자방에 2개의 암술대가 있다. 포는 자라서 난상 삼각형이 되고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길이와 폭이 각각 3-4mm로서 1개의 포과가 들어 있다.
    열매 : 열매는 포과이고 종자는 흑색이며 지름 1.5mm정도로서 원반형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곧게 서며 줄기는 단단하고 가지는 다소 위를 향하며 다육질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해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갯는장이(A. subcordata Kitagawa): 잎은 삼각상 피침형 끝이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이 창검과 비슷하며 가장자리에 크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Read More
  17. No Image

    가는개여뀌

    학명 :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붉은대동여뀌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3-7cm 폭 4-8mm 가량으로서 마르면 흔히 갈색이 돌며 양면 특히 가장자리에 가까운 맥 위에 잔복모가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다. 엽초모양의 탁엽은 길이 5-12mm로서 홍색이 돌고 복모와 더불어 긴 연모(緣毛)가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길이 2-2.2mm로서 홍색이 돌고 가지 끝에 달리는 수상화서는 길이 2-3cm로서 꽃이 밀생한다. 소화경은 가늘며 털이 없고 화피는 5개로서 길이 2mm정도이고 적갈색이며 윤채가 있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세모진 난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며 적갈색이고 광택이 난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줄기의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가 다소 높고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특징 : 세뿔산여뀌라고도 하여 세뿔여뀌와 혼동하기 쉽고 대동여뀌와 비슷하지만 마르면 적갈색으로 되므로 붉은대동여뀌라고 고쳤다.
    Read More
  18. No Image

    가는개수염

    학명 : Eriocaulon tenuissim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1%EC%A0%95%EC%B4%88%EA%B3%BC(Eriocaulaceae) target=_blank>곡정초과(Erioca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곡정초속(Eriocaulon) target=_blank>곡정초속(Eriocaulon)</a>
    이명 : 가는곡정초가는잎고위까람가는잎곡정초 가는잎별수염풀 강아지수염개수염
    잎 : 근엽은 총생하고 선형으로 길이 6~15cm 나비 1~2mm이며 3~5맥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지름 2~3mm의 두화가 1개 달리며 총포편은 5~8개이고 내편은 난상 피침형으로 1맥이 있으며 외편은 피침형으로 3맥이 있고 길이 3~9mm로 꽃의 2~3배 길며 화상에 털이 없고 수꽃은 5~16개로 중심에 나며 암꽃은 15개로 가에 나고 화포는 도란형으로 상부 가장자리와 배면에 곤봉모양의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은 불염상으로 합생하고 앞쪽이 터지며 수꽃의 꽃잎은 통상으로 합생하나 암꽃의 꽃잎은 이생하고 수술은 6개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화경은 높이 7~18cm이다.
    열매 : 삭과로서 납작하고 타원형이다.
    줄기 : 4개의 능선이 있고 초는 원통상으로 길이 3~7cm이며 상부는 막질로 비스듬히 갈라진다.
    뿌리 : 수염뿌리는 오백색이다.
    분포 : 강원(장전)
    형태 : 1년초


    Read More
  19. No Image

    가는개밀

    학명 : Agropyron ciliare f. hackelianum (Ohwi)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밀속(Agropyron) target=_blank>개밀속(Agropyron)</a>
    이명 : 가는잎개밀 가는잎털개밀
    잎 : 잎은 편평하며 녹색으로서 길이 15-25㎝ 폭 5㎜정도이고 엽설은 길이 1㎜이며 절두로서 갈색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10-20cm로서 끝이 처지고 연한 녹색이다. 소수는 곧추서며 5-8개의 소화로 되고 대가 거의 없으며 길이 10-15mm이다. 포영은 긴 타원형이고 5-7맥이 있으며 길이 5-8mm로서 길이가 같지 않다. 호영은 길이 9mm로서 포영보다 길고 간혹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잔점과 5맥이 있고 끝에 길이 3-12mm의 까락이 있어 약간 젖혀지지만 마르면 뒤로 굽는다. 내영은 길이 5-6mm로서 중륵에 털이 있으며 자방 윗부분에도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Read More
  20. No Image

    가는갈퀴나물

    학명 : Vicia anguste-pinnat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이명 : 가는말굴레 가는잎갈퀴 덤불갈퀴나물
    잎 : 잎은 호생하고 6~14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이며 선단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소엽은 하부의 것은 선형으로 길이 7.3cm 나비 2.5mm이고 상부의 것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 길이 7.5cm 나비 6m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소엽병은 거의 없으며 탁엽은 반 화살모양이다.
    꽃 : 꽃은 5월에 적색으로 피고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1~4cm이고 2~7개의 꽃이 나며 소화경은 1.5mm이다. 꽃받침은 끝이 비스듬히 잘린 것 같으며 열편은 침형이다. 화관은 나비모양으로 길이 18mm이고 수술은 2체이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편평하며 길이 4cm로 짧은 대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능선이 있으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가고 털이 없다.

    분포 : 전남(백운산 조계산 무등산) 전북(백양산) 경남(남해도) 경북(가야산)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