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크기  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큰원반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Aleurodiscus cerussatus (Bres.) Höhn. & Litsch.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D%83%EA%B5%AC%EB%A6%84%EB%B2%84%EC%84%AF%EA%B3%BC%28Stereaceae%29" target=_blank>꽃구름버섯과(Ster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D%83%EA%B5%AC%EB%A6%84%EB%B2%84%EC%84%AF%EA%B3%BC(Stereaceae)" target=_blank>원반고약버섯속(Aleurodiscus)</a>
    특징 : 배착생. 백색안료를 칠한(cerussảtus) 버섯. 넓게 퍼지며 두께 0.4mm이하. 담황토갈색. 건조하면 다소 갈라지기도 한다.
    자실체 : 자실체는 배착생으로 넓게 퍼진다. 두께 0.4mm 이하이며, 기질에 견고히 부착되거나 또는 느슨하게 부착된다. 다소 밀납질∼각질. 담 황토갈색. 건조하면 다소 갈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뚜렷한 경계를 이룬다.
    포자 : 포자는 난형∼광타원형. 흔히 한쪽 면으로 평평하다. 아밀로이드. 8∼10×5∼7㎛
    색상 : 담 황토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각종 활엽수 및 침엽수 죽은 나무에 자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노란멍게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Cristinia eichleri (Bres) Nakason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9%8D%EA%B2%8C%EB%B2%84%EC%84%AF%EA%B3%BC(Stephanosporaceae)" target=_blank>멍게버섯과(Stephanospor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9%8D%EA%B2%8C%EB%B2%84%EC%84%AF%EC%86%8D(Cristinia)" target=_blank>멍게버섯속(Cristinia)</a>
    특징 : 자실체는 완전 배착색, 표면에 작은 사마귀 또는 결절이나 뭉툭한 이빨 모양 형성되며, 수 cm의 폭으로 퍼진다. 유황황색, 올리브황색, 건조할 때는 황토갈색, 이빨은 3mm 정도.
    자실체 : 자실체는 완전 배착생, 기질에 작은 사마귀나 침모양의 수많은 돌출이 형성되면서 수cm의 크기로 퍼진다. 표면에 작은 결절이나 사마귀 또는 뭉툭한 이빨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 사이는 평활하다. 이빨은 3mm까지 이른다. 유황황색~올리브황색, 건조한 것은 황토갈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뚜렷하게 경계를 이루거나 또는 약간 털술모양 퍼진다. 때때로 얇은 균사속을 갖는 경우도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물방울 모양. 평활, 투명, 벽이 두껍다. 1개의 방울을 가지고 있다. 폭 5∼7㎛.
    색상 : 유황황색, 올리브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땅에 쓸어진 활엽수 둥치나 가지의 지면 쪽에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포도무당버섯(황색포도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xerampelina (Schaeff.) Fr. > Russula erythropus Fr. ex Pelt. > Russula xerampelina var. barlare (Quél.) Melzer & Zvar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갓은 암 혈홍색∼포도주색, 중앙 쪽은 거의 흑색, 주름살은 크림백색, 대는 흰색이나 부분적으로 붉은 색을 띠기도 한다. 색깔의 변화가 크다.
    자실체 : 갓은 5∼10(14)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평활, 습할 때는 점성이 있다. 암혈홍색∼포도주색, 중앙 쪽은 거의 흑색에 가까운 암색. 가장자리는 거의 홈선이 생기지 않는다. 표피 껍질은 벗겨지기 쉽다. 살은 흰색, 단단하다. 상처를 받으면 갈변한다. 식용.
    주름살은 크림백색∼담황토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거의 떨어진 붙음.
    대는 4∼8(11)cm(굵기10∼25(30)m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아래쪽이 굵어진다. 백색, 또는 부분적으로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손으로 만지면 황색∼갈색을 띤다. 세로로 주름 모양의 선이 있다. 속이 차 있으나 후에 공동(空洞)이 생긴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타원형. 점상 또는 능선형 사마귀가 덮여 있다. 7.6∼10.3×6.1∼8.3㎛.
    색상 : 암 혈홍색∼포도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및 각종 침엽수 임지 또는 혼효림 토양에 난다.
    분포 : 북반구 일대, 호주.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기와버섯(적녹색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irescens (Schaeff.) Fr. > Russula viridrurolimbata Y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초록색(virẻscens) 버섯. 갓은 녹색, 수많은 점상의 진한 색 무늬가 산재되어 기와 모양인 특징이 있다. 흔하다.
    자실체 : 갓은 6∼10(13)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해 지며 중앙이 오목해 지고 결국은 약간 낮은 깔때기 형으로 된다. 표면은 녹색∼회록색인데 수많은 다각형 또는 점상의 진한 색 무늬가 방사상으로 산재된다. 때로는 무늬 부분이 다소 얕게 균열이 된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요홈이 생기기도 한다. 살은 흰색. 어릴 때는 다소 단단하다. 식용.
    주름살은 흰색. 후에 약간 크림색을 띤다. 폭이 좁고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대는 5∼10cm(굵기20∼30mm), 상하 같은 굵기 또는 아래쪽으로 가늘다. 속이 차 있다가 스펀지 모양(해면상)이 된다. 표면은 흰색인데 세로로 다소 잔주름이 나타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일부 그물눈이 만들어지고, 점상 또는 능선상 사마귀가 덮인다. 6.0∼8.8×4.9∼6.5㎛. 포자문은 허연색∼연한 크림색.
    색상 : 녹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 특히 참나무류나 자작나무 임지에 많다. 흔한 편.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자주빛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ioleipes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소형∼중형. 갓은 레몬색∼황색, 또는 복숭아색, 부분적으로 자적색 얼룩. 대는 백색∼연한 황색 바탕에 자홍색이 물든다. 만지면 밀납질이 묻는 느낌이 있다. 색깔 변화가 장소에 따라 매우 큰 버섯이며, 흔하다.
    자실체 : 갓은 4∼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곧 평평해지고 중앙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다. 표면은 평활, 연한 레몬색∼황색, 또는 자홍색(복숭아 색). 후에 허연색으로 퇴색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농담이 있는 자적색의 크고 작은 얼룩이 생기기도 한다. 성숙하면 가장자리에 다소 홈선이 나타난다. 만지면 밀납질이 손에 묻는 느낌이 있다. 살은 흰색. 단단하고 과일 같은 향기가 있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허연색, 후에 연한 크림색. 폭이 약간 넓고 비교적 촘촘하고 거의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7(10)cm(굵기10∼25mm), 밑동이 가늘다. 약간 세로로 주름이 있다. 백색 또는 연한 황색의 바탕에 부분적으로 연한 자홍색으로 물들거나 자주색을 띠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구형∼넓은 타원형. 일부 그물눈 형성, 능선형 사마귀가 덮인다. 6.9∼8.9×6.2∼7.8㎛. 포자문은 크림색.
    색상 : 레몬색∼황색, 또는 복숭아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나 활엽수 임지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보라끼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iolacea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오목 들어간다. 표면은 보라색, 회자색 등,
    자실체 : 갓은 3∼6.5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오목 들어간다. 표면은 보라색, 회자색 등, 습기가 있을 때는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는 평활하거나 약간 줄무늬가 생긴다. 살은 백색.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 순백색에서 우유황색으로 되며, 비교적 촘촘하다. 대에 띠붙음 또는 홈붙음이 된다.
    대는3∼6cm(굵기5∼13mm), 원주형, 백색에서 약간 황색으로 되며, 속이 차 있고, 유연하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표면에 미세한 작은 침이 있다. 8.1∼8.5×6.5∼7.3㎛.
    색상 : 보라색, 회자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 단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포도주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inosa Lindbla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오목 들어가고 가장자리는 물결모양 파상이 되기도 한다. .포도주적색, 혈적색, 암적자색 등. 주름살은 허연색, 흑색으로 변색
    자실체 : 갓은 5∼10(15)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오목 들어간다. 가장자리는 물결모양 파상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고르고, 건조할 때는 광택이 없이 둔하지만, 습할 때는 광택이 나며, 미끌미끌하다. 포도주적색, 혈적색, 암적자색 등.
    중앙쪽이 암색으로 진하다(간혹 중앙 쪽이 연한 것도 있다). 가장자리는 약하게 줄무늬가 있다. 표피는 중심쪽으로 거의 절반 정도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표피층 아래는 붉은색 끼를 띤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허연색, 후에 연한 황토황색,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날은 고르나 흑색이 된다.
    대는 4∼10(15)cm(굵기10∼25mm), 원주형, 속이 차 있다가 방모양 빈다. 표면은 고르거나 세로로 약간 엽맥상, 어릴 때는 백색이면서 백색 분상, 후에는 평활해지면서 회흑색으로 변색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0.8㎛까지 달하는 다소 원추상의 돌기물이 개별적으로 산재되고, 극히 적은 경우에만 뚜렷하게 서로 연결된다. 8.4∼10.9×7.1∼9.1㎛. 포자문은 연한 황색
    색상 : 포도주적색, 혈적색, 암적자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림 또는 자작나무와의 혼효림 등에 흔히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아시아,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황칠나무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eternosa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연한 보라색, 살색을 띤 적색, 흔히 중앙쪽으로 연한 황토색∼크림색으로 퇴색된다. 주름살은 허연색이다가 황토황색이 된다.
    자실체 : 갓은 4∼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이 오목 들어간다. 표면은 고르고, 건조할 때는 광택이 없이 둔하고, 습할 때는 미끌미끌하고 광택이 있다. 연한 보라색, 살색을 띤 적색, 흔히 중앙쪽으로 연한 황토색∼크림색으로 퇴색이 된다. 표피는 중심쪽으로 거의 절반 정도를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 어릴 때는 허연색, 후에 황토황색. 매우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이면서 일부는 홈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3∼6cm(굵기10∼20mm), 원주형, 때로는 밑동이 가늘어지거나 또는 곤봉형으로 되기도 한다. 곧 속이 비게되고, 표면은 어릴 때 백색, 후에 다회 회황토색으로 퇴색된다. 어릴 때는 고르나, 후에 세로로 엽맥상이 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높이 1.0㎛까지 달하는 다소 침 모양의 돌기물이 개별적으로 산재된다. 7.3∼9.3×6.2∼7.8㎛. 포자문은 황토색.
    색상 : 연한 보라색, 살색을 띤 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 임지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조각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esca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쇠약한(vẻscus) 버섯. 갓은 분홍갈색, 연한 적색 포도주적색 또는 갈색을 띤 살구색 등. 성숙하면 흔히 가장자리가 갈라져서 흰 바탕색이 들어난다.
    자실체 : 갓은 4∼8(10)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해 지며 중앙이 약간 오목해 지며, 간혹 낮은 깔때기형이 되며 드물게 깔때기형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방사상으로 잔주름이 있거나 다소 결절이 있다. 올리브색 끼를 띤 분홍갈색∼연한 적색 또는 포도주적색, 갈색을 띤 살구색 등 색깔이 매우 다양하다. 습할 때는 약간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는 고르거나 또는 알갱이 모양 줄무늬가 있다. 성숙하면 흔히 가장자리의 표피가 벗겨지거나 갈라져서 흰 바탕색이 들어난다. 살은 치밀하고 흰색. 식용
    주름살은 흰색∼크림색. 폭이 보통∼약간 좁고 촘촘하며 대 부근에 홈붙음이 된다.
    대는 4∼7cm(굵기12∼15(30)mm), 흰색 또는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아래쪽이 가늘다. 표면에는 세로로 쭈글쭈글 함이 있다. 흰색, 후에 분홍색 끼를 띠며, 오래되면 흔히 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타원형. 표면에 점상 사마귀 피복, 일부는 서로 연결된다. 5.5∼8.0×5.0∼6.2㎛. 포자문은 허연색.
    색상 : 분홍갈색, 연한 적색 포도주적색 또는 갈색을 띤 살구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내에 군생∼단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황변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elenovskyi Melzer & Zvár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이 버섯은 책자에 따라서 색깔과 설명에 약간 차이가 있어서 혼동되는 버섯이다.
    자실체 : 갓은 3∼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면서 중앙이 오목 들어간다. 표면은 고르거나 방사상으로 주름이 잡혀 있거나, 때로는 다소 결절상. 건조할 때는 광택이 없이 둔하고, 습할 때는 미끌미끌하면서 광택이 있다. 벽돌색, 포도주색, 황토적색, 심홍색 등 다양한 색깔이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연한 황토색이나 가죽색 등이 나타난다. 가장자리는 고르나 후에 골이 있는 줄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살은 허연색.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는 연한 황색∼황토황색, 매우 촘촘하며, 대에 홈붙음. 전체적으로 때로는 부분적으로 적색을 띠기도 한다. 날은 고르다.
    대는 3∼6cm(굵기8∼15mm), 원주형,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곧 속이 빈다. 표면은 세로로 엽맥상, 백색. 간혹 분홍색이 물드는 경우도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타원형. 0.8㎛ 정도의 높이 까지 많은 사마귀 점들이 피복되고 대개 개별적이나, 일부는 끈 모양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6.7∼9.3×5.3∼7.2㎛. 포자문은 연한 황색.
    색상 : 벽돌색, 포도주색, 황토적색, 심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자작나무, 분비나무, 이깔나무, 낙엽송 등의 혼효림내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아시아,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두색포도무당버섯(포도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turci Bre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어릴 때는 거의 구형이나 반구형, 후에 평평한 형, 습할 때는 아주 심하게 미끌미끌하다. 포도주갈색, 갈자색, 보라색 등이며, 중앙의 색깔이 흔히 진한 색이며, 때로는 연하다.
    포도무당버섯이라 신칭되었으나, 명칭중복으로 두색포도무당버섯으로 개칭.

    자실체 : 갓은 4∼9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거의 구형이나 반구형,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고르고 약간 방사상으로 주름이 잡히며, 건조할 때는 광택이 없이 둔하고, 분상이다. 습할 때는 아주 심하게 미끌미끌하다. 포도주갈색, 갈자색, 보라색 등이며, 중앙은 흔히 진한색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연한 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습할 때는 골 모양의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표피는 중앙쪽으로 2/3 정도까지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 어릴 때는 허연색, 후에 오렌지색 끼를 띤 연한 황토색이 증가된다. 매우 촘촘하고, 대에 치붙음이면서 많은 것은 홈붙음이 된다. 날은 고르다.
    대는 3∼7cm(굵기12∼16mm), 원주형,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방모양 속이 빈다. 표면은 백색, 세로로 미세하게 엽맥상, 아주 드물게 적색 끼를 띠는 부분도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0.8㎛ 정도에 이르는 아구형 또는 타원형의 사마귀들이 표면에 많이 부착되고 그중에 많은 것들은 서로 연결되며, 부분적으로 그물눈 모야이 되기도 한다. 6.7∼9.2×5.9∼7.4㎛. 포자문 황토색.
    색상 : 포도주갈색, 갈자색, 보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다소 고산지대의 분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 임지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포크무당버섯(포크무당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ubterfurcata Romag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곧 퍼져서 중앙이 우묵하게 들어간다. 베이지크림색, 올리브크림색, 올리브갈색 등이며, 가장자리는 거의 허연색
    자실체 : 갓은 3.5∼5.0cm의 소형.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곧 퍼져서 중앙이 우묵하게 들어간다. 표면은 고르고, 광택이 없이 둔하거나 견사상 광택이 있다. 베이지크림색, 올리브크림색, 올리브갈색 등이며, 가장자리는 거의 허연색이다. 가장자라는 오래되면 약간 줄무늬가 생긴다. 표피는 중앙을 향해 1/3 정도까지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어릴 때는 백색, 후에는 연한 크림황색, 촘촘하며, 폭이 좁고, 대에 치붙음 또는 홈붙음이 된다. 날은 고르다.
    대는2∼3cm(굵기8∼10mm), 원주형, 송이 차 있고, 표면은 미세하게 세로로 엽맥상, 백색, 오래되면 부분적으로 황토갈색의 반점이 생긴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0.5㎛ 정도의 작은 점상 사마귀들이 표면에 많이 피복되어 있다. 대부분 산재되어 있지만, 극히 일부 연결되기도 한다. 5.9∼7.4×5.0∼6.5㎛. 포자문은 연한 황색.
    색상 : 베이지크림색, 올리브크림색, 올리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내 지상이나 드물게 공원, 묘지 등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붉은무당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ubrubens (J.E. Lange) Bo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무당버섯(R. emetica)와 비슷해서 혼동되기 쉽다. 진한 주적색, 홍적색 등. 오래되면 부분적으로 크림황색으로 퇴색
    포자문은 연한 황토색∼황토색이어서, 무색투명하거나 백색인 무당버섯과 다르다. 주름살도 후에 오렌지 황토색

    자실체 : 갓은 4∼10(13)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오목 들어간다. 표면은 고르거나 약간 여드름 모양의 결절이 생긴다. 건조할 때는 광택이 없이 둔하나, 습할 때는 광택이 있고 정성이 강하다. 진한 주적색, 홍적색 등. 오래되면 부분적으로 크림황색으로 퇴색된다. 가장자리는 고르나 오래되면 약간 골모양의 줄무늬가 생긴다. 표피는 중앙쪽으로 2/3 정도까지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 오렌지 황토색이 증가된다. 매우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이면서 어떤 것은 홈붙음이 된다. 날은 고르다.
    대는 4∼7(10)cm(굵기12∼25mm), 원주형이면서 밑동은 가늘다. 속이 차 있다가 방모양 속이 빈다. 표면은 고르고, 오래되면 밑동 쪽으로 약간 엽맥상이 되기도 한다. 백색, 어릴 때는 분상이나 후에 회색을 띠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표면에 다수의 사마귀가 0.8㎛ 정도까지 돌출되며,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길어지거나 능선형이 된다. 그물눈 처럼 되는 것은 극히 드물다. 6.6∼8.2×6.0∼7.4㎛. 포자문 연한 황토색∼황토색.
    색상 : 진한 주적색, 홍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나 일부 침엽수가 섞인 혼효림지 토양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절구무당버섯아재비(절구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ubnigricans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회갈색∼흑갈색, 표면은 약간 비로드상, 주름살은 크림색, 상처를 받으면 적변한다. 맹독성. 시기에 따라 그림이 다소 달라 보여 주의가 필요하다. 절구버섯아재비를 한국균학회(2013)에서 절구무당버섯아재비로 개칭함.
    자실체 : 갓은 5∼11.5cm의 중형. 처음에는 둥근형이다가 후에 중앙이 오목한 평평한 형이 되고, 결국에는 깔때기 형이 된다. 표면은 건조하고 약간 비로드상, 회갈색∼흑갈색, 가장자리는 약간 연한 색. 표피는 벗기기 힘들다. 살은 두껍고 단단하며 흰색. 공기와 접촉하면 적변하지만, 절구버섯과 달리 흑변하지는 않으며, 다소 회색이 된다. 치명적인 독버섯이다.
    주름살은 연한 크림색. 폭이 6∼9mm 정도로 넓고, 성기며, 대에 띠붙음 또는 약간 내리붙음. 상처를 받으면 적변한다.
    대는 3∼6cm(굵기10∼25m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아래쪽이 가늘다. 갓보다 연한색. 세로로 불명료한 주름이 있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구상 난형. 표면에 미세한 사마귀가 가는 그물눈을 형성한다. 7∼9×6∼7㎛.
    색상 : 회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나 서어나무류 등의 상록활엽수 임내에 군생∼단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바랜황변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ubdepallens Pec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반구형에서 편평해지고 중앙부는 오목하며 중앙부는 진한 홍색이나 나중에 분홍색으로 되며 노후 시 일부분이 미황색 또는 연한 색이 된다
    자실체 : 갓은 5~8cm이며 반구형에서 편평해지고 중앙부는 오목하다. 조금 들린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미황색, 중앙부는 어릴때 진한 홍색이나 나중에 분홍색으로 되며 노후 시 일부분이 미황색 또는 연한 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 안쪽으로 감기고 늙으면 위로 살은 얇고 연약하며 백색에서 연한 회색으로 되고 표피 아래쪽은 분홍색을 띤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이고 성기며 폭이 넓고 두꺼우며 길이가 같고 주름살 사이에 횡맥이 있으며 백색이다.
    대는 4~8cm, 굵기는 1.7~2.9cm이고 상하의 굵기가 같거나 아래로 굵어지며 백색으로 세로줄의 홈선이 있으며 속은 갯솜질이고 나중에 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백색 8~8.5×6.5~7㎛ 서로 이어져 있는 가시가 있다.
    낭상체는 방추형으로 꼭대기가 점첨이며 50~70×8~11㎛이다.

    색상 : 미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잣나무, 활엽수 혼효림 속 땅에서 단생 또는 군생하며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회갈색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ororia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담회갈색, 가운데가 진하며 가장자리는 요홈, 요홈의 날은 알갱이모양으로 요철이 있다. 버섯이 매우 연약하여 부서지기 쉽다.
    자실체 : 갓은 3∼6(9)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형으로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린다. 점차 둥근산형, 평평형이 되면서 중앙이 오목해지고 얕은 깔때기 형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습할 때 점성이 있고, 담회갈색. 가운데가 진하다. 가장자리에는 명료한 홈선이 있고 홈선의 날 부분은 알갱이모양으로 요철이 있다. 살은 흰색. 불쾌한 냄새가 있다.
    주름살은 흰색. 폭이 약간 넓고 약간 성기며, 대에 치붙음∼거의 떨어진 붙음.
    대는 3∼6cm(굵기10∼20mm), 흰색이지만 아래쪽은 다소 회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표면에 침 모양으로 돌기와 소수의 가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7∼8.5×5.5∼6.5㎛. 포자문은 연한 크림색.
    색상 : 담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정원 내 나무 밑(물이 잘 고이는 곳), 임내 지상, 길가 등에 군생 또는 단생.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아프리카.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황녹색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imulans Bur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곧 낮은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풀색∼연한 황녹색. 흔히 희미한 라일락색이나 보라색 끼
    자실체 : 갓은 4∼10cm의 소형∼중형. 곧 낮은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풀색∼연한 황녹색. 흔히 희미한 라일락색이나 보라색 끼가 있다. 표면은 평활하고, 표피는 중심의 절반까지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백색, 촘촘하고, 대에 홈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5∼8cm(굵기10∼20mm), 백색.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밑동이 다소 굵다.

    포자 : 포자는 난형. 표면에 미세한 사마귀가 0.5∼1㎛ 정도 돌출되고,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이 된다. 포자문은 순백색.
    색상 : 풀색∼연한 황녹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숲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ilvestris (Sing.) Reumaux > Russula emetica var. sylvestris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밝은 적색에서 핑크색의 적색 또는 적색의 오렌지색
    자실체 : 갓은 2~8cm로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밝은 적색에서 핑크색의 적색 또는 적색의 오렌지색으로 된다. 표면은 밋밋하고 건조성이며 표피의 껍질은 쉽게 벗겨진다. 살은 부드럽고 백색이며 과일 냄새가 나고 매운맛이다. 주름살은 약간 밀생하며 폭은 넓으며 백색이다.
    대는 2~8cm, 굵기는 4~15mm로 막대형이며 백색으로 속은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난형, 6~10.5×5.5~9㎛ 표면의 사마귀점들은 부분적 또는 완전한 그물꼴을 형성하며 사마귀 높이는 1.2㎛이다.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밝은 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혼효림, 썩는 고목의 옆의 땅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적자색비단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ericeonitens Kauff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소형~중형,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펴지나 가운데가 들어감 진한 적자색∼보라색. 중앙은 암색, 비단무당버섯이라 신칭되었으나 명칭 중복으로 개칭.
    자실체 : 갓은 4∼6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곧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이 약간 들어간다. 진한 적자색∼보라색. 중앙은 암색으로 진하다. 표면은 평활하고 견사상 광택이 있다. 표피를 쉽게 벗길 수 있다. 살은 백색. 연하고 냄새는 없으며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폭이 넓고, 백색,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3∼7cm(굵기10∼15mm), 원주형, 백색.

    포자 : 포자는 난형. 표면에 점모양의 사마귀가 1.2㎛ 정도까지 돌출되고,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된다. 7∼8×6∼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진한 적자색∼보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활 혼효림내 지상에 잔다.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흙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senecis Ima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갓은 황토갈색∼탁한 황토색, 가장자리 표피층이 갈라져서 진한 색 부분과 연한 내피층이 들어나 구분된다.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자실체 : 갓은 5∼10cm(때로는 그 이상)의 중형. 어릴 때는 거의 구형, 후에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굽은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어릴 때는 암 황토갈색이면서 표면에 주름살(쭈글쭈글함)이 있으나 퍼지면 황토갈색∼탁한 황토색, 가운데가 진하다. 또 가장자리의 표피층이 갈라져서 진한 색으로 남아 있는 부분과 연한 내피층이 들어나는 부분으로 구분이 되고,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주름살은 황백색∼탁한 백색. 날 부분은 갈색∼흑갈색의 테가 있다. 폭이 매우 넓고 약간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5∼10cm(굵기10∼15mm), 속이 비어 있다. 표면은 황토색을 띤다. 갈색∼흑갈색의 가는 점이 있다. 살은 흰색. 표피 밑은 회갈색 끼를 띤다.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표면에 크고 작은 가시와 날개모양으로 융기가 있다. 직경 7.5∼9㎛.
    색상 : 황토갈색∼탁한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군생 또는 단생. 특히 참나무류의 나무 밑에 많다. 가끔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소련 극동, 뉴우기니.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