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Rosellinia thelena (Fr.) Rabenh.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C%EB%A6%BD%EC%BD%A9%EB%B2%84%EC%84%AF%EC%86%8D(Rosellinia)" target=_blank>과립콩버섯속(Rosellinia)</a>
특징 자좌는 없고, 전나무 수피에 나며 자낭각은 0.7∼1mm. 공 모양, 갈흑색∼흑색. 위쪽에 젖꼭지 모양 분출공이 있다. 젖꼭지장미버섯이 속명 중복으로 개칭됨.
자실체 자좌는 없고, 자낭각은 0.7∼1mm, 공 모양이고 갈흑색∼흑색. 위쪽 가운데에 젖꼭지 모양의 분출공(殼孔)이 형성된다. 깨지기 쉽고 다소 단단하다. 단생하기도 하지만 몇 개가 서로 유착되기도 한다. 자낭각의 아래에는 갈색의 껍질 모양이거나 비로드상의 균사가 펴져있다.
포자 포자는 선박 모양. 평활, 갈색, 1개의 방울, 양 끝에 뾰족한 돌출이 있다. 22∼27×6.5∼7.5㎛.
색상 갈흑색∼흑색
발생계절 봄~여름
발생형태 봄∼여름. 전나무, 가문비나무 등 침엽수의 가지 및 수피, 낙엽층 등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한국, 유럽.
식용여부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Rosellinia_thelena_2009_jd_3.jpg

 

Rosellinia_thelena_2009_gg_3.jpg

 

사진출처 : http://www.mycodb.fr/fiche.php?genre=Rosellinia&espece=thelena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청머루무당버섯_2_포도주색 계통(청버섯, 푸른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chloroides (Kromh.) Bre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A%B3%BC(Russulaceae)" target=_blank>무당버섯과(Russu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C%B4%EB%8B%B9%EB%B2%84%EC%84%AF%EC%86%8D(Russula)" target=_blank>무당버섯속(Russula)</a>
    특징 : 중형 중앙은 톱니상이고 들어가고 표면은 가끔 물결형이고 고르며 백색, 어릴 때 미세한 털이 있고 나중에 매끈해지고 부분적 또는 전체가 크림황색~갈황토색
    자실체 : 갓은 5~11cm로 어릴 때 반구형에서 편평형으로 되나 중앙은 톱니상이고 들어간다. 표면은 가끔 물결형이고 고르며 백색이며 어릴 때 미세한 털이 있고 나중에 매끈해지고 부분적 또는 전체가 크림황색에서 갈황토색으로 되며 습기가 있을 때 광택이 난다. 가장자리는 고르고 예리하며 표피는 약간 벗겨지기 쉽다. 살은 백색이고 자르면 서서히 갈색으로 되며 냄새는 불분명하나 불쾌하고 맛은 온화하며 주름살의 살은 맵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로 폭은 좁고 포크형이 있으며 백색에서 바랜 크림색으로 되며 가끔 밝은 청색이다. 가장자리는 전연이다.
    대는 4~6cm, 굵기는 1~2cm로 원통형으로 속은 차 있다가 방처럼 빈다. 표면은 미세한 세로줄의 맥상이며 가루상이고 어릴 때 백색에서 군데군데 갈색으로 된다.

    포자 : 포자는 8~10.5×7~9㎛로 아구형이며 표면의 돌기 높이는 1.8㎛로 표면은 거칠고 사마귀반점들은 분리되나 연결된 것도 있다. 담자기 막대형으로 50~75×11~15㎛이다.
    색상 : 홍자색, 포도주색, 회자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의 땅에 단생·군생한다
    분포 : 북반구 일대, 호주.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라일락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ianthinus (Sacc.) P. Moh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극소형. 갓은 중앙에 암회갈색 원반모양 반점, 흰색~연분홍 바탕에 라일락색 비늘이 퍼져 있다.
    자실체 : 갓은 12~24 mm이고, 모양은 성 장초기에 원추형이나 성장하면 종형반반구형~중앙볼록편 평형으로 된다. 표면은 건성이고, 흰색~연분홍을 띠고, 면 모상의 인피가 있으며 인피의 색상은 라일락색을 띤다. 주 변부위에는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고 부채형이다. 조직은 얇고, 막질이며, 백색이다. 맛과 향기는 불분명하거나 부드 럽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이고, 약간 빽빽하며, 폭은 좁 고, 흰색이다. 주름살날은 평활하다.
    대는 크기가 32~43 × 1.2~3 mm로 원통형이고, 하부는 팽대하여 역곤봉형이다. 표면은 건성이며, 흰색~연황색을 띠고, 평활하거나 분질이 있으며, 다소 종으로 가늘고 미세한 섬유질~면모상이 있다. 성장하면 대의 속은 비어 있다. 턱받이는 막질이고, 흰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백색. 8~12 × 6.3~7.8 μm
    색상 : 흰색~연분홍 바탕에 라일락색 비늘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딸기 온실의 코코피트 퇴비에 서 군생 또는 단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석순자 등(유기범, 진용주, 김동익, 김완규). 2016. 채소 온실에서 발생한 버섯의 동정 및 특성. 한국균학회지. 44(3): 127-131

    file
    Read More
  3. 주홍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Libertella betulina Des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AF%B8%EC%A0%95%EA%B3%BC(Xylariales)" target=_blank>미정과(Xylariales) > Anamorphic Xylariales(불완전세대의 콩꼬투리버섯목)</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D%99%8D%EA%BC%AC%EB%A6%AC%EB%B2%84%EC%84%AF%EC%86%8D(Libertella)" target=_blank>주홍꼬리버섯속(Libertella)</a>
    특징 : 표고 골목 등 참나무류의 수피에 난다. 길이 2∼10mm 정도의 돼지꼬리 모양∼요충모양 또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발생한다. 주황색.
    자실체 : 주홍꼬리버섯은 넓은요버섯(Diatrype stigma)의 불완전세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흔히 자낭포자를 만들지 않고 분생포자로 번식된다. 이 버섯은 표고 접종시기인 봄철부터 발아가 시작되어 5∼6월경부터 수피 외부에 길이 2∼10mm, 굵기 0.5∼1.5mm 정도의 주황색 점질물이 요충이나 돼지꼬리 형태로 발생하며, 후에 말라붙거나, 폭 2∼5mm 정도의 방석 모양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수피가 박리될 때 내수피 부분에서 주홍꼬리버섯의 자낭각이 발견되며, 이것이 넓은요버섯이다(古川과 野淵, 1996). 넓은요버섯이나 주홍꼬리버섯에 일단 발병된 골목은 수피 속에서 균이 자라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
    이들의 균은 표고와 달리 베노밀수화제 또는 벤레이트 등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1,000배액을 만들어서 표고 접종 전 또는 접종 후 골목에 살포해 두면 이 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서 예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포자 : 돼지꼬리 모양의 점질물은 포자각(胞子角)이며, 이 포자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굽은 바늘 모양의 분생포자가 조그만 덩어리마다 수 억 개씩 발견된다. 이 분생포자는 계속 불완전세대를 계속하면서 균이 확산된다.
    색상 : 주황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표고 골목 등 참나무류의 수피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부채꼴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ocoremium flabelliforme (Schw.) J. D. Roger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C%B4%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ocoremium)" target=_blank>꼴꼬투리버섯속(Xylocoremium)</a>
    특징 : 불완전세대, 크기 5~15㎜정도 공 모양에서 작은 꽃잎 모양, 크림색~연한 분홍색
    자실체 : 자실체는 크게 머리부분과 자루로 구분되며, 전체 높이 5~15㎜정도이고, 머리부분은 5~8㎜정도로 어릴 때는 공 모양에서 작은 꽃잎 모양으로 된다. 머리 표면은 크림색에서 연한 분홍색으로 되며, 미세한 돌기가 있고, 가루 모양의 수 많은 분생포자를 가지고 있다. 자루는 원통모양으로 기부 쪽은 흑색이다. 분생포자는 크기 3.4~4.6×1.7~2㎛로 달걀모양이며, 벽이 얇고, 방울이 들어 있으며, 표면은 매끄럽고 투명하다.종명인 "flabelliforme"는 부채꼴을 뜻하는 형용사이다
    포자 : 포자는 다랼모양, 평활, 투명 3.4~4.6×1.7~2㎛
    색상 : 크림색~연한 분홍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초여름 활엽수의 죽은 나무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담배콩꼬투리버섯(쿠바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tabacina (Kickx f.) Ber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높이는 3~10cm, 지름은 0.5~1.5cm이며 막대형의 곤봉상 혹은 타원형으로 나뭇가지 모양, 연한 황색, 황토색, 다갈색이고 가는 흑색의 반점들이 밀포
    자실체 : 자실체는 높이는 3~10cm, 지름은 0.5~1.5cm이며 막대형의 곤봉상 혹은 타원형으로 나뭇가지 모양을 나타낸다. 표면은 밋밋하고 광택이 나며 연한 황색, 황토색, 다갈색이고 가는 흑색의 반점들이 밀포하며 이것들이 매몰되어 자낭각의 구멍이 된다. 자루 속은 백색이고 섬유질로 되었다가 노후하면 비게 된다.
    포자 : 포자는 암갈색. 18~24×6~8μm
    자낭은 8개의 포자형, 원통형, 120~130×6~8μm

    색상 : 연한 황색, 황토색, 다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상록활엽수의 썩은 고목에 단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오키나와), 아열대-열대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다형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polymorpha (Pers.) Gre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높이 3∼7cm. 불규칙한 곤봉모양 때로는 끝이 평평한 모양, 대는 짧다. 어릴 때 회갈색∼갈색, 후에 흑색.
    자실체 : 자실체는 불규칙한 곤봉모양, 때로는 끝이 평평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대가 짧고, 높이 3∼7cm, 굵기 1∼3cm, 표면은 어릴 때 회갈색∼연한 갈색이나, 성숙하면 흑색이 되면서 미세하게 점상 사마귀 모양으로 자낭각의 각공이 돌출된다. 내부의 살은 흰색. 섬유상이다. 자낭각은 검은색. 표면층의 바로 아래에 1층으로 매몰되어 있으며, 크기는 0.6∼0.8mm.
    포자 : 포자는 불규칙한 알몬드∼레몬형. 한쪽 면이 평평하며, 평활, 갈색, 가끔 1개의 방울이 있다. 22∼29×7∼9㎛.
    색상 : 회갈색∼갈색, 후에 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의 썩은 둥치 등에서 총생 하거나 군생 한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열매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oxyacanthae Tul. & C. Tu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산사나무나 후박나무 열매에 난다. 높이 2∼5cm, 굵기 1∼3mm 정도로 실 모양, 꾸불꾸불하다.
    자실체 : 자실체는 높이 2∼5(10)cm, 폭 1∼3mm, 불규칙하게 눌려져 있고 실 모양, 약간 꾸불꾸불하다. 허연색이나 밑동은 검은 색. 원추형의 자낭각이 내재되어 있다. 실콩꼬투리버섯(X. filiformis)과 매우 유사한 모양이며, 흔히 밑동이나 가지의 중간에서 분지되기도 한다. 밑동이 열매에 직접 연결되거나 뿌리 모양으로 연결된다.
    포자 : 포자는 자낭은 110∼130×8∼10㎛. 곤봉형, 자낭포자가 불규칙하게 2줄로 들어있다. 포자는 방추형. 발아관이 있다. 암갈색. 6∼7×2.5∼3㎛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산사나무 및 후박나무 열매에 군생한다. 산사나무 및 후박나무 열매에서 발생하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긴발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longipes Nitschk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높이 3∼6cm. 머리는 원통형∼방망이 모양, 검은색. 대는 원주형이고 다소 길다. 갈흑색.
    자실체 : 자실체는 불염성의 대와 통통한 머리(결실부)로 구분이 된다. 머리는 원통형∼방망이 모양. 흔히 굽어 있다. 검은색. 표면은 거칠고 미세하게 점상인데, 이는 자낭각의 각공(ostioles)이 돌출되기 때문이다. 높이 3∼6cm(굵기 0.3∼0.8cm). 대는 원주형이고 갈흑색. 위쪽은 평활하며 밑동 쪽은 약간 비로드상이면서 굵어진다. 높이 1∼3cm(직경 2∼5mm). 내부는 허연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한쪽 면이 다소 평평, 평활, 암갈색, 1∼2개의 방울이 들어있다. 13∼16×5.5∼7.5㎛.
    색상 : 갈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칠엽수 등의 수피가 있는 죽은 가지에 난다. 흔히 잔가지를 많이 버린 곳에서 가지의 땅 쪽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hypoxylon (L.) Gre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높이 3∼5cm. 못 모양이나 끝이 2∼4가닥 갈라진 모양 등, 위쪽은 허연색∼회색, 밑동은 검은색.
    자실체 : 자실체는 못 모양, 끝이 두 가닥∼여러 가닥의 가지로 갈라진 모양 등. 대는 원주형이거나 납작하게 눌린 모양 등이다. 3∼5(8)cm(직경2∼6(10)mm), 위쪽은 허연색∼회색이고 밑동 쪽은 검은 색이다. 자낭 형성기에는 가운데 위쪽으로 다소 통통해 지면서 사마귀모양 또는 결절 모양을 이루는데, 이는 속에 들어있는 자낭각 때문이다.
    포자 : 포자는 콩 모양. 평활, 흑색, 1∼2개의 방울이 들어있다. 12∼15×6㎛.
    색상 : 허연색∼회색, 밑동은 검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일반적으로 활엽수의 죽은 재면(材面)에서 나오며, 드물게는 침엽수의 목재면에서도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실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filiformis (Alb. & Schw.)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높이 3∼8cm. 불규칙하게 눌려있고 구부러진 철사 모양, 갈색∼갈흑색. 끝은 오렌지색, 후에 허연색.
    자실체 : 자실체는 불규칙하게 눌려있고 또 구부러진 가는 철사 모양이며, 위쪽으로 자라고, 3∼8cm(굵기1mm 정도). 가지는 없고 드물게 끝이 굽어 있다. 분생자 시기(conicial stage) 때는 끝이 오렌지색이고 다른 부분은 허연색∼검은색이나, 자낭 형성기(ascus stage) 때에는 대의 가운데 위쪽으로 다소 통통해 지고 사마귀모양 결절이 생기면서 갈색∼갈흑색이다. 이는 속에 들어있는 자낭각(perithecia) 때문이다. 내부는 흰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어떤 것은 한쪽 면이 평평, 갈색, 방울이 들어있다. 12.5∼17×5∼6.5㎛.
    색상 : 갈색∼갈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죽은 초류나 고사리의 줄기, 때로는 떨어진 낙엽의 엽맥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쿠바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cubensis (Mont.)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크기가 2~5㎝정도의 원통모양 내지는 곤봉모양, 황갈색~녹갈색 후에 흑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분생자를 거쳐 크기가 2~5㎝정도의 원통모양 내지는 곤봉모양으로 되며, 그 끝은 둥글다. 표면은 평탄하거나 미세한 균열이 있으며, 황갈색에서 녹갈색으로 색이 점차 짙어지고, 바깥 면에 1층으로 묻혀 있는 자낭각은 어릴 때는 거의 돌출되지 않다가 오래되면 점 모양으로 약간 도드라져 보인다. 자낭포자는 크기 8~10×4~5㎛로 타원형 내지는 넓은 방추형이며, 표면은 매끄럽고 흑갈색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넓은방추형, 평활, 흑갈색 8-10.5(-13) x 4-5 ㎛
    색상 : 황갈색~녹갈색 후에 흑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무 가지 위에 몇 개씩 난다.
    분포 : 한국, 북미, 호주, 뉴질랜드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젓가락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carpophila (Pers.)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Xylaria)"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속(Xylaria)</a>
    특징 : 높이 2∼5cm. 불규칙하게 눌려있고 구부러진 못 모양, 분지되기도 한다. 갈흑색. 분생자 시기에는 끝이 허연색. 흔히 열매나 열매껍질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불규칙하게 눌려있고 또 구부러진 못 모양이며, 위쪽으로 자라고 흔히 낙엽에 덮여 있다. 2∼5cm(굵기1∼3mm), 때로는 한 개의 가지가 생겨나기도 한다. 분생자 시기(conidial stage)에는 끝이 허연색이나 그렇지 않을 때는 갈흑색. 자낭 형성기(ascus stage)에는 가운데 위쪽으로 다소 통통해 지고 사마귀 모양이나 결절이 생기는데, 이는 속에 들어있는 자낭각 때문이다. 밑동 쪽으로는 다소 비로드상이다. 내부를 절단해 보면 흰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한쪽 면이 다소 평평, 평활, 갈색, 가끔 1∼2개의 방울이 있다. 12∼13×5∼5.5㎛.
    색상 : 갈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너도밤나무, 참나무류, 일본목련 등의 떨어진 열매 및 열매 껍질 등에 주로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젖꼭지과립콩버섯(젖꼭지장미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Rosellinia thelena (Fr.) Rabenh.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C%EB%A6%BD%EC%BD%A9%EB%B2%84%EC%84%AF%EC%86%8D(Rosellinia)" target=_blank>과립콩버섯속(Rosellinia)</a>
    특징 : 자좌는 없고, 전나무 수피에 나며 자낭각은 0.7∼1mm. 공 모양, 갈흑색∼흑색. 위쪽에 젖꼭지 모양 분출공이 있다. 젖꼭지장미버섯이 속명 중복으로 개칭됨.
    자실체 : 자좌는 없고, 자낭각은 0.7∼1mm, 공 모양이고 갈흑색∼흑색. 위쪽 가운데에 젖꼭지 모양의 분출공(殼孔)이 형성된다. 깨지기 쉽고 다소 단단하다. 단생하기도 하지만 몇 개가 서로 유착되기도 한다. 자낭각의 아래에는 갈색의 껍질 모양이거나 비로드상의 균사가 펴져있다.
    포자 : 포자는 선박 모양. 평활, 갈색, 1개의 방울, 양 끝에 뾰족한 돌출이 있다. 22∼27×6.5∼7.5㎛.
    색상 : 갈흑색∼흑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전나무, 가문비나무 등 침엽수의 가지 및 수피, 낙엽층 등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요철팥버섯(주름팥버섯, 주름방석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Nemania serpens (Pers.) Gray > Hypoxylon serpen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A%94%EC%B2%A0%ED%8C%A5%EB%B2%84%EC%84%AF%EC%86%8D(Nemania)" target=_blank>요철팥버섯속(Nemania)</a>
    특징 : 자좌는 수피 없는 활엽수에 1∼2cm 크기 둥근 모양. 후에 서로 합쳐지면서 넓게 퍼진다. 회흑색, 표면에 울퉁불퉁 요철이 있다. 주름방석꼬투리버섯이 속 변경으로 개칭됨.
    자실체 : 개개의 자좌는 둥근 모양이나 난형인데, 1∼2cm 정도 크기이다. 자라면서 곁의 자좌와 결합되어 넓은 면적이 된다. 표면은 회흑색. 둥근 결절이 많이 형성되어서 고르지 않고 점상으로 작은 돌출이 많다. 이 돌출은 자낭각의 분출공(殼孔)이 돌출된 것이다. 어릴 때 자좌의 내부는 밝은 색이다. 자낭각은 0.4∼0.5mm, 검은색. 자좌 내부에 불규칙하게 1개의 층을 형성한다.
    포자 : 포자는 난형. 한 쪽면이 다소 평평하고, 갈색, 평활, 1개의 방울이 들어 있다. 12∼13×5.5∼7㎛.
    자낭은 8개의 포자가 1렬로 들어 있다. 144∼175×6∼8㎛. 측사는 실모양, 드물게 격막이 있다. 꼭지 부분은 약간 부풀어 있다.

    색상 : 회흑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 내내. 수피가 없는 각종 활엽수 썩은 나무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껍질방석꼬투리버섯(껍질고약방석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Kretzschmaria deusta (Hoffm.) Martin > Hypoxylon deustum (Hoffm.) Gre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A9%EC%84%9D%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C%86%8D(Kretzschmaria)" target=_blank>방석꼬투리버섯속(Kretzschmaria)</a>
    특징 : 자좌는 수 cm까지 퍼진다. 초기에는 회백색, 곧 회갈색, 후에 흑색, 흑색의 깨지기 쉬운 껍질층을 형성하면서 불규칙한 둥근 모양으로 퍼진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너도밤나무 등 각종 활엽수의 죽은 밑동이나 뿌리에 불규칙한 방석 또는 껍질 모양, 수 cm 까지 퍼진다. 초기에는 회백색, 곧 회갈색, 후에는 흑색. 깨지기 쉬운 껍질층을 형성하며, 표면은 굴곡이 심하고, 결절이 있다. 후에 표면에 많은 자낭각이 형성된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흑색 28∼34×7∼10㎛. 자낭은 300×15㎛.
    색상 : 회갈색, 후에 흑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참나무류의 밑동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방석팥버섯(광방석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Hypoxylon rutilum Tul. & C. Tu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5%EB%B2%84%EC%84%AF%EC%86%8D(Hypoxylon)" target=_blank>팥버섯속(Hypoxylon)</a>
    특징 : 어릴 때는 팽이모양, 반구형, 때로는 구형 등. 후에 퍼져 나가면서 돌출이 있는 평평한 형, 방석 모양. 칙칙한 황갈색, 암갈색, 어두운 벽돌색 등 색깔이 다양. 광방석꼬투리버섯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어릴 때 자좌(stroma) 는 팽이모양, 반구형, 때로는 구형 등. 후에 퍼져나가면서 분명하거나 불분명한 돌출이 있는 평평한 형, 방석 모양 등 다양하다. 껍질을 뚫고 나온 것은 폭 1∼8mm, 두께 0.7∼1.5mm 정도. 껍질이 없는 나무에서 날 경우에는 넓이 12∼35mm, 두께 0.5∼1mm 정도. 표면은 칙칙한 황갈색, 암갈색, 어두운 벽돌색 등. 표면 바로 아래에 적색 또는 주홍색의 알갱이 모양 자낭각이 들어 있다. 자낭각 아래의 조직은 흑색. 자낭각은 구형, 직경 0.1∼0.2mm, 꼭지 부분에 젖꼭지 모양의 분출공이 돌출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이면서 비 대칭형. 갈색∼암갈색, 7.5∼9.5×3.5∼4.5㎛. 발아공이 있다.
    자낭은 밑동이 길다. 위쪽 부분은 55∼75㎛, 밑동은 45㎛ 정도. 꼭지에는 고리가 있다.

    색상 : 칙칙한 황갈색, 암갈색, 어두운 벽돌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주로 너도밤나무 또는 참나무류 등의 줄기나 가지에 군생∼총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팥죽팥버섯(갈색방석꼬투리버섯, 루비방석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Hypoxylon rubiginosum (Pers.) Fr. var. rubiginosum > Hypoxylon rubiginosu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5%EB%B2%84%EC%84%AF%EC%86%8D(Hypoxylon)" target=_blank>팥버섯속(Hypoxylon)</a>
    특징 : 자좌는 두께 1∼3mm, 편평하고 넓게 퍼진다. 벽돌색. 자적색 또는 녹슨 갈색. 성숙한 후에는 검은색. 갈색방석꼬투리버섯, 루비방석꼬투리버섯이라고도 하였음.
    자실체 : 자좌는 편평하게 넓게 퍼지는데, 두께는 1∼3mm, 서로 접착해서 부정형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벽돌색, 자적색 또는 황토갈색∼녹슨 갈색. 성숙한 후에는 검은색이 된다. 커가는 과정별로 색깔이 달라진다. 표면에 결절이 많이 생기고 평활하지 않으며, 때로는 얕은 골이 파이기도 한다. 미세한 점모양의 흰색 자낭각의 분출공(殼孔)이 돌출된다. 자좌의 내부는 황토색∼갈색. 자낭각이 여러 층으로 들어 있으며, 둥근 모양이고 크기는 0.3∼0.8mm, 흑색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콩 모양. 평활, 암갈색, 한쪽이 평평한 편, 1개 방울이 있다. 10∼12×4.5∼5.5㎛.
    자낭은 원주형, 약 150×6㎛. 8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

    색상 : 벽돌색. 자적색 또는 녹슨 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 내내. 각종 활엽수 죽은 나무의 수피 위 또는 수피가 없는 목재 면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No Image

    큰방석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Hypoxylon punctulatum (Berk. & Rav.) Cook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5%EB%B2%84%EC%84%AF%EC%86%8D(Hypoxylon)" target=_blank>팥버섯속(Hypoxylon)</a>
    특징 : 이 버섯은 참나무류, 벚나무 등 활엽수 오래된 나무의 밑동 또는 가지(때로는 표고 골목)에 최초 둥근 점 모양의 자실체가 생긴 후, 서로 융합되기도 하면서 불규칙한 원형 또는 방석 모양으로 수 cm 정도의 넓이로 퍼진다. 표면은 딱딱한 각질, 굵은 테 모양의 홈이 생기고, 울퉁불퉁 하다. 갈색. 자낭각이 생기는 시기에는 표면에 미세한 좁쌀 모양의 돌기가 생긴다.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애기붉은팥버섯(빨강혹콩버섯, 빨강콩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Hypoxylon howeanum Peck > Hypoxylon howweianum Pec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5%EB%B2%84%EC%84%AF%EC%86%8D(Hypoxylon)" target=_blank>팥버섯속(Hypoxylon)</a>
    특징 : 자좌는 3∼8mm. 반구형. 녹슨색∼적갈색, 점차 암갈색∼흑색이 된다. 최초 기부에 분생자병속이 털모양 생기기도 함. 빨강혹콩버섯, 빨강콩버섯이라고도 하였음.
    이 버섯은 최초 기질 위에 담황갈색∼갈색의 굵은 털 모양 분생자병속(synnema)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그 중심부에 자좌가 생겨나며, 점차 굵은 털 모양의 분생자병속은 자좌에 흡수되어 사라진다

    자실체 : 자좌는 반구형으로 밑동이 기질에 약간 만 좁게 부착된다. 폭 0.3∼0.8(1.5)cm, 높이 0.2∼0.6(1)cm 정도. 흔히 인접한 자좌가 서로 융합되기도 한다. 녹슨색∼적갈색인데, 점차 암갈색∼흑색으로 변한다. 표면은 자낭각이 매몰되어 있어서 불분명하게 또는 분명하게 요철이 생긴다. 코르크질∼목질이고 자좌의 내부 수층은 암갈색∼흑색. 때에 따라서는 동심원상의 테 무늬가 인지되기도 한다. 자낭각은 표피 부근에 1층으로 매설되어 있고, 0.2∼0.4mm 정도로 극히 미세하다.
    최초 기질 위에 담황갈색∼갈색의 굵은 털 모양 분생자병속(synnema)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그 중심부에 자좌가 생겨나며, 점차 굵은 털 모양의 분생자병속은 자좌에 흡수되어 사라진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부등변 형태. 갈색∼암갈색, 6∼9×3∼4.8㎛.
    자낭은 원통형, 포자를 함유한 머리 부분은 50∼65×4∼5㎛, 밑동은 길이 20∼75㎛. 전체의 길이는 70∼132㎛. 대가 길다

    색상 : 녹슨색∼적갈색, 점차 암갈색∼흑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 내내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 재목상에 난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붉은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Hypoxylon fuscum (Pers.)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BD%A9%EA%BC%AC%ED%88%AC%EB%A6%AC%EB%B2%84%EC%84%AF%EA%B3%BC(Xylariaceae)" target=_blank>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5%EB%B2%84%EC%84%AF%EC%86%8D(Hypoxylon)" target=_blank>팥버섯속(Hypoxylon)</a>
    특징 : 자좌는 4∼5mm. 불규칙한 구형, 반구형 등, 기질에 넓게 부착. 후에 불규칙한 자낭각 돌출, 적갈색∼흑색. 색깔 변화가 크다. 잘라보면 속이 차 있는 특징이 있다. 빨강콩버섯이라고 하였으나, 속명에 맞추어 개칭.
    자실체 : 자좌는 기질의 수피 위에 넓게 부착되며 폭 4∼5mm. 불규칙한 구형, 반구형, 각형 등을 이루며, 적갈색이다. 표면은 많은 불규칙한 돌출이 형성되는데, 자낭각의 각공이 형성되어 후에는 검은색이 된다(어릴 때는 다소 평활해 보이나 성숙하면서 자낭각의 돌출이 심해 보인다). 내부는 회색이고 그 안에 자낭각이 형성된다. 자낭각의 크기는 0.3∼0.4mm, 흑색이다.
    포자 : 포자는 불규칙한 타원형. 평활, 암갈색, 12∼13×5∼6㎛.
    색상 : 적갈색∼흑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 내내. 오리나무 또는 개암나무 등의 죽은 가지 수피 위에 발생. 드물게는 수피가 없는 곳에도 발생. 총생 하며 때로는 수피를 넓게 피복하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