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https://www.nahuby.sk/obrazok_detail.php?obrazok_id=657097
|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
|---|---|
| 학명 | Cosmospora viridescens (Booth) Graf. & Seif. > Nectria viridescens Booth |
|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C%EB%B3%B4%EB%A6%AC%EC%88%98%EB%B2%84%EC%84%AF%EA%B3%BC(Nectriaceae)" target=_blank>알보리수버섯과(Nectriaceae)</a> |
|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3%89%EC%95%8C%EB%B3%B4%EB%A6%AC%EC%88%98%EB%B2%84%EC%84%AF%EC%86%8D(Cosmospora)" target=_blank>색알보리수버섯속(Cosmospora)</a> |
| 특징 | 지름 약 0.2㎜로원반 모양 침엽수의 껍질에 군생 노란색~붉은색 |
| 자실체 | 자낭각의 지름은 0.2mm정도이고 흩어져 있고, 끝은 원반형이고 황색에서 적색으로 되며 매끈하다. 발생은 분포는 한국에서는 어래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유럽 등에 분포한다. |
| 포자 | 포자는 9~11×3~4㎛로 긴타원형으로 가운데에 격막이 있고 포자벽은 이중막이고 불분명한 미세한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자낭은 52~57×6~7㎛로 방망이형이고 불규칙하게 1열로 배열한다. |
| 색상 | 노란색~붉은색 |
| 발생계절 | 여름~가을 |
|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의 껍질에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이다. |
| 분포 | 한국, 유럽. |
| 식용여부 | 비식용 |
|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사진출처 : https://www.nahuby.sk/obrazok_detail.php?obrazok_id=657097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