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18 21:18

맛곰보버섯

조회 수 75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Morchella deliciosa Fr.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C%86%8D(Morchella)" target=_blank>곰보버섯속(Morchella)</a>
특징 머리는 원주형∼원추형, 가로 세로로 근맥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인다. 회색∼올리브갈색.
자실체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이 된다. 높이 5∼15cm, 머리의 1/2∼2/3정도가 대의 길이이다. 머리는 원주형∼예리한 원추형인데 가로 세로로 근맥(根脈)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여서 벌집 모양∼그물눈 모양이 된다. 회색∼올리브갈색, 근맥은 오래되면 흑색이 된다. 지역이나 생육시기 등에 따라서 색깔, 형태의 변화가 크다.
대는 원통형이고 백색∼황토색, 표면이 쌀겨 모양이고, 여기 저기에 얼룩이 있다. 때때로 밑동 쪽으로 굵어진다. 속이 비었고, 머리와 접하는 부분은 뚜렷하게 굴곡되어 붙어 있다. 살은 탄력성이 있다.
포자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흔히 양 끝에 작은 방울이 생긴다. (18)20∼24(26)×11∼14(16)㎛.
색상 회색∼올리브갈색.
발생계절
발생형태 봄철. 습기가 많은 임지 토양, 가문비나무, 오리나무 숲, 나무 쌓아놓은 곳 부근, 산화적지 등에 난다
분포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orchella_rufobrunnea(fs-05).jpg

 

사진출처 : http://www.discoverlife.org/20/q?search=Morchella+deliciosa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방패꼴쟁반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Pachyella clypeata (Schew.) Ga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B0%9C%EB%B2%84%EC%84%AF%EA%B3%BC(Pezizaceae)" target=_blank>주발버섯과(Peziz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F%81%EB%B0%98%EB%B2%84%EC%84%AF%EC%86%8D(Pachyella)" target=_blank>쟁반버섯속(Pachyella)</a>
    특징 : 폭 2∼4cm. 접시 모양, 호떡모양, 방석모양 등이며, 갈색, 암갈색∼흑갈색. 대가 없이 기물에 붙는다.
    자실체 : 자실체: 대가 없이 기물에 붙는다. 자낭반은 접시 모양, 호떡모양 또는 방석모양 등이며, 직경 2∼4(8)cm. 표면 자실층은 갈색, 암갈색∼흑갈색, 다소 도톰한 모양이며, 방사 방향으로 다소 주름이 잡히기도 하며, 평활. 흔히 광택이 있다. 바깥 면(하면)은 다소 연한 색 또는 연한 청회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25∼27×12∼14㎛.
    색상 : 갈색, 암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초여름. 습한 곳에 묻힌 활엽수 썩은 나무 또는 수분이 많은 산길의 매설된 나무나 계단목 등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자갈색쟁반버섯(자갈색주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Pachyella celtica (Boud.) Häffn. > Peziza celtic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B0%9C%EB%B2%84%EC%84%AF%EA%B3%BC(Pezizaceae)" target=_blank>주발버섯과(Peziz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F%81%EB%B0%98%EB%B2%84%EC%84%AF%EC%86%8D(Pachyella)" target=_blank>쟁반버섯속(Pachyella)</a>
    특징 : 폭 1.5∼3cm. 컵∼접시 모양, 위쪽 자실층면은 자갈색. 바깥면은 미세한 쌀겨 모양. 자갈색주발버섯을 속이 바뀌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대가 없이 지상에 난다. 컵 모양이다가 접시 모양이 된다. 직경 1.5∼3cm. 표면 자실층은 평활, 젖어 있을 때는 광택이 있다. 자갈색. 오래되면 다소 퇴색된다.
    바깥 면은 연한 색∼담자갈색. 평활하지만, 미세하게 쌀겨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다소 물결모양을 이루며, 어릴 때는 안쪽으로 감겨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투명, 평활하거나 간혹 점상 사마귀가 피복된 것이 있다. 15∼19×8∼9(10)㎛.
    색상 : 자갈색

    발생형태 : 가을. 숲 가장자리 길 가의 나지 또는 초지에 난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작은방패쟁반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Pachyella babingtonii (Berk.) Bou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B0%9C%EB%B2%84%EC%84%AF%EA%B3%BC(Pezizaceae)" target=_blank>주발버섯과(Peziz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F%81%EB%B0%98%EB%B2%84%EC%84%AF%EC%86%8D(Pachyella)" target=_blank>쟁반버섯속(Pachyella)</a>
    특징 : 물이 조금 흐르거나 샘물이 나는 축축한 장소에 떨여져 있는 낙지에 난다. 원반 모양, 0.5∼1cm. 붉은 갈색, 갈색 또는 황토빛으로 탈색한다.
    자실체 : 왜형은 원반 모양을 기본으로 조금씩 변형된 모습을 보이며, 평균 크기 0.5∼1cm 정도로 같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접시버섯다 약간 크고, 기물에서부터 올라온 연한 색의 조직이 도톰하게 붙어 있다.
    색상은 일반적으로 붉은 갈색이고, 갈색 또는 황토빛으로 탈색한다. 표면은 털이 없이 매끄럽고 윤기가 있다. 살(조직)은 고기 같은 질감이거나 단단한 젤라틴질이고 연한 갈색이다. 특별한 맛과 냄새는 없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2방울 19~25 x 12~13 μm,
    색상 : 붉은 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물이 조금 흐르거나 샘물이 나는 축축한 장소에 떨어져 있는 죽은 활엽수의 나뭇가지에 무리를 이루어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뉴질랜드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손가락머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Verpa digitaliformis Per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8%EB%A6%AC%EB%B2%84%EC%84%AF%EC%86%8D(Verpa)" target=_blank>머리버섯속(Verpa)</a>
    특징 : 자실체 1~3cm, 굵기는 1~4cm로 종모양 또는 반구형, 적색-암갈색 대는 백색
    자실체 : 자실체는 1~3cm, 굵기는 1~4cm로 종모양 또는 반구형이다. 육질은 부서지기 쉽다. 표면은 밋밋하거나 또는 줄무늬선이 있고 꼭대기가 약간 들어가며 적색-암갈색이다.
    대는 3~10cm, 굵기 5~10mm로 원주형이고 거의 백색이며 속은 비었고 표면은 미세한 작은 인편이 횡으로 배열한다 식용

    포자 : 포자는 긴타원형, 22.9~26×11.4~14.3㎛
    자낭은 원주형, 8포자성, 230~250×14~20㎛

    색상 : 적색-암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활엽수림의 땅에 단생 또는 산생한다ㅏ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곰보버섯(문경곰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orchella esculenta (L.)Pers. > Morchella esculenta var. umbrina (Boud.) Ima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C%86%8D(Morchella)" target=_blank>곰보버섯속(Morchella)</a>
    특징 : 높이 5∼12cm. 머리는 불규칙한 구형, 난형 또는 무딘 원추형. 벌집모양 구멍이 파여 있다. 자실층은 회갈색 또는 암갈색∼흑갈색. 대는 원통형. 형태와 색깔 변화가 매우 큰 편이다. 문경곰보버섯은 색깔 차이가 있지만, 동일종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되며, 높이 5∼12(20)cm. 전체 길이의 1/2∼2/3 정도가 머리 부분이다. 머리는 불규칙한 구형, 난형 또는 무딘 원추형이다. 둥글거나, 찌그러지거나 다각형인 벌집모양 구멍이 깊게 파여 있다. 자실층은 담황갈색∼회황색 또는 회갈색 등. 전에 문경곰보버섯(var. umbrina)로 구분되던 것은 동일종이며, 자실층 구멍 부분이 암흑색∼흑갈색이고 근맥 부분은 연한색이다. 식용.
    대는 원통형. 흰색∼황색 끼를 띠며, 쌀겨모양의 미분이 덮여있거나 평활하다. 밑동 쪽으로는 다로 주름이 잡혀 있다. 머리 부분과 대의 상부는 속이 비어 있고 밑동 쪽은 열편 모양을 이룬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간혹 양끝 바깥쪽에 방울이 달린다. 18∼23×11∼14㎛.
    색상 : 회갈색 또는 암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초여름. 숲의 가장자리, 생울타리 부근, 초지, 비로 인해 토사가 쌓인 곳, 목장 등지에 단생 또는 군생. 맛이 뛰어난 식용버섯.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키다리곰보버섯(탄사곰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orchella elata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C%86%8D(Morchella)" target=_blank>곰보버섯속(Morchella)</a>
    특징 : 머리는 원추형, 그물눈 모양. 벌꿀갈색, 적색∼흑갈색, 근맥은 오래되면 흑색이 된다. 머리와 대가 접하는 부분이 굴곡 없이 연결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이 된다. 높이 5∼15cm, 머리의 1/2∼2/3정도가 대의 길이이다. 머리는 원추형인데 가로 세로로 근맥(根脈)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여서 벌집 모양∼그물눈 모양이 된다. 가로로 된 맥이 약한 편. 벌꿀갈색, 적색∼흑갈색. 근맥은 오래되면 흑색으로 된다.
    대는 원통형이고 백색∼황토색, 주름이 잡혀 있고, 속이 비어 있다. 머리와 접하는 부분은 뚜렷한 굴곡이 없이 대에 직접 연결된다. 살은 탄력성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흔히 양 끝에 작은 방울이 생긴다. 18∼25×12∼16㎛.
    색상 : 벌꿀갈색, 적색∼흑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철. 침엽수 임지, 나무 쌓아놓은 곳 부근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맛곰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orchella deliciosa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C%86%8D(Morchella)" target=_blank>곰보버섯속(Morchella)</a>
    특징 : 머리는 원주형∼원추형, 가로 세로로 근맥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인다. 회색∼올리브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이 된다. 높이 5∼15cm, 머리의 1/2∼2/3정도가 대의 길이이다. 머리는 원주형∼예리한 원추형인데 가로 세로로 근맥(根脈)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여서 벌집 모양∼그물눈 모양이 된다. 회색∼올리브갈색, 근맥은 오래되면 흑색이 된다. 지역이나 생육시기 등에 따라서 색깔, 형태의 변화가 크다.
    대는 원통형이고 백색∼황토색, 표면이 쌀겨 모양이고, 여기 저기에 얼룩이 있다. 때때로 밑동 쪽으로 굵어진다. 속이 비었고, 머리와 접하는 부분은 뚜렷하게 굴곡되어 붙어 있다. 살은 탄력성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흔히 양 끝에 작은 방울이 생긴다. (18)20∼24(26)×11∼14(16)㎛.
    색상 : 회색∼올리브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철. 습기가 많은 임지 토양, 가문비나무, 오리나무 숲, 나무 쌓아놓은 곳 부근, 산화적지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굵은대곰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orchella crassipes (Vent.) Per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C%86%8D(Morchella)" target=_blank>곰보버섯속(Morchella)</a>
    특징 : 높이 20cm 이하. 대형. 머리는 원추형∼난형, 그물눈 모양. 근맥은 담황색∼갈색, 오목한 부분은 황색∼황갈색. 곰보버섯과 색깔이 다르고 크기가 2배 정도 대형인 특징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이 된다. 대형균인데 높이 2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머리는 원추형 또는 난형, 선단은 뾰족하거나 또는 둔하다. 머리의 아래쪽은 직접 대에 착생해서 직생형(直生形)이다. 머리에 그물눈(網目)모양이 도드라지게 형성되는데, 그 근맥(根脈)은 담황색 또는 갈색,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들어간다. 그물눈은 다각형 또는 불규칙한 원형이고 황색∼황갈색.
    대는 원통형이고 밑동 쪽이 굵게 팽대되어 있고 골이 파져 있다. 흰색 또는 황색을 띤다. 분상 물질이 덮여 있다. 밑동의 직경은 6cm까지 달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양끝이 둥글고, 평활, 투명, 방울은 없다. 20∼34×11∼18㎛.
    색상 : 황색∼황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철. 임내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원추곰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orchella conica Krombh.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C%86%8D(Morchella)" target=_blank>곰보버섯속(Morchella)</a>
    특징 : 머리는 원통형~예리한 원추형, 가로 세로로 근맥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인다. 회색∼올리브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이 된다. 높이 5∼15cm, 머리의 1/2∼2/3정도가 대의 길이이다. 머리는 원주형∼예리한 원추형인데 가로 세로로 근맥(根脈)이 돌출되고 근맥 사이는 오목하게 파여서 벌집 모양∼그물눈 모양이 된다. 회색∼올리브갈색, 근맥은 오래되면 흑색이 된다. 지역이나 생육시기 등에 따라서 색깔, 형태의 변화가 크다.
    대는 원통형이고 백색∼황토색, 표면이 녹슨색 쌀겨 모양이고, 여기 저기에 얼룩이 있다. 때때로 밑동 쪽으로 굵어진다. 속이 비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흔히 양 끝에 작은 방울이 생긴다. 20~24×11~14㎛
    색상 : 회색∼올리브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숲속의 이끼류 사이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주름게딱지버섯(게딱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Disciotis venosa (Pers.) Arnould > Discina venosa (Pers.)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3%B0%EB%B3%B4%EB%B2%84%EC%84%AF%EA%B3%BC(Morchellaceae)" target=_blank>곰보버섯과(Morch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A%B2%8C%EB%94%B1%EC%A7%80%EB%B2%84%EC%84%AF%EC%86%8D(Disciotis)" target=_blank>주름게딱지버섯속(Disciotis)</a>
    특징 : 폭 5∼15cm. 접시∼쟁반모양. 윗면은 방사상으로 돌출된 주름이나 고랑이 있다. 명갈색∼암갈색. 밑동에 짧고 굵은 대가 있다. 게딱지버섯 속에서 속이 바뀌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깊은 접시 모양이다가 편평한 쟁반모양이 된다. 지름 5∼15cm의 중형∼대형. 윗면 자실층에는 방사상으로 많은 우글쭈글 돌출된 주름이나, 고랑이 잡혀 있다. 명갈색∼암갈색.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색깔 차이가 크다. 살은 잘 부서지고 두께 3∼10mm. 염소표백제 냄새(수돗물 냄새)가 난다.
    바깥 면은 매끄럽지만 밑동 쪽을 향해서 돌출된 주름이나 고랑이 잡혀 있다. 허연색∼담황토색. 미세하게 쌀겨모양이다.
    대는 밑동에 짧고 굵은 대가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간혹 포자 양쪽 바깥쪽에 방울이 달려있다. 19∼23×12∼13㎛.
    색상 : 명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개활지, 퇴적토가 쌓인 곳, 생울타리 부근, 이끼가 많은 초지 등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갈흑색안장버섯(황회색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pezizoides Afze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1.5∼5cm. 안장모양 또는 2장의 잎이 오므라진 모양, 암회갈색, 갈흑색∼흑색, 대는 원주형, 갓과 같은 색. 황회색안장버섯이 색깔에 맞게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는 폭 1.5∼5cm, 안장 모양이며, 중앙이 깊게 파인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가 2장의 잎이 오므라진 모양으로 거의 겹쳐진 모양, 또는 가장자리가 위쪽으로 감겨있다. 오래되면 가장자리가 다소 벌어진다. 암갈회색, 갈흑색∼흑색. 바깥면(하면)은 융털이 밀생해 있고, 회색.
    대는 원주형, 길이 3∼4cm, 직경 10mm 이하. 갓과 같은 색, 평활하거나 미세한 융털이 밀생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1개의 방울이 있다. 평활. 중심부에 큰 방울과 양 끝에 작은 알맹이를 가졌다. 17∼20×10.5∼12㎛.
    색상 : 암회갈색, 갈흑색∼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의 땅위에 나며, 썩은 나무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긴안장버섯(기둥안장버섯, 긴대주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macropus (Pers.) P. Karst > Cyathipodia macropus (Pers.) Denni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1.5∼4cm. 접시 모양, 회색∼회갈색. 바깥 면은 융털모양. 대는 바깥 면과 같은 색, 융털 밀생. 긴대주발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바깥 면의 융털모양은 심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 부분으로 구분되며, 머리는 다소 한쪽 폭이 넓은 접시 모양이다. 오래되면 드물게 약간 안장 모양이 되기도 한다. 머리는 직경 1.5∼4cm. 윗면 자실층은 매끄럽고 회색∼회갈색. 바깥 면과 가장자리는 뚜렷하게 거친 융털모양이며, 윗면과 같은 색이거나 다소 연한 색이다.
    대는 원통형이며 2∼5cm(굵기3∼5mm. 머리의 바깥 면과 같은 색. 위쪽이 가늘다. 융털모양의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방울이 1개 들어 있다. 투명, 흔히 미세한 반점들이 피복되고, 드물게 평활하다. 방울이 들어있고, 어릴 때는 점상 사마귀가 피복되는 것도 있다. (19.5)20∼27×10∼12㎛.
    색상 : 회색∼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활엽수림, 때로는 침엽수림 지상에 나며, 썩은 나무에도 난다. 나지나 이끼에 덮인 곳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흰혹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leucomelaena (Pers.) Nannf. > Paxina leucomelaena (Pers.) O. Kuntz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폭 1∼4cm. 접시 모양이다가 후에 안장모양이 되면서 뒤틀린다. 검은 회갈색~흑갈색. 대는 짧고 단단하며 땅속에 묻혀 있고 밝은 회갈색, 융털 밀생.
    자실체 : 자실체의 높이는 1~3cm, 폭은 1~4cm이다. 대는 짧고 단단하며 땅속에 묻혀 있으며 세로줄이 접혀져 있는 고랑을 형성한다. 고랑은 속이 차 있지만 간혹 방 모양인 것도 있다. 자낭반은 펴지고 넓어져 오래되면 가장자리는 갈라진다. 자실층인 안쪽 면은 밋밋하고 검은 회갈색~흑갈색, 바깥 면은 안쪽 면과 동색이다. 땅속에 묻힌 개체들은 퇴색하여 대는 백색이고 땅위의 대는 밝은 회갈색으로 되며 미세한 털이 있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 평활, 투명 18~23×10~14㎛ 1개의 큰 기름방울을 함유.
    자낭은 250~300×13~16㎛로 8-포자성이다. 측사는 원통형이며 선단 쪽으로 굵고 폭은 8㎛로 기부에 격막이 있다.

    색상 : 검은 회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돌과 모래가 많은 땅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안장버섯(검은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lacunosa Afzel. > Helvella sulcata Afze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3∼7cm, 구겨진 종이모양∼뇌 모양. 회흑색∼갈흑색, 또는 흑색. 대는 연한 회갈색, 세로로 골이 있다. 검은안장버섯은 동일종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 부분으로 구분되며, 머리(자낭반)는 마치 꼬깃꼬깃하게 구겨진 종이 모양 또는 뇌 모양. 때로는 다소 일그러진 안장모양이 되기도 한다. 직경 3∼7cm 정도. 가장자리는 대와 붙어 있다. 표면 자실층은 회흑색, 갈흑색 또는 흑색.
    안쪽 하면은 비어 있고, 흑회색. 평활하다.
    대는 연한 회갈색. 세로로 깊게 골이 져 있으며, 표면은 평활하다. 대의 속이 비어 있는데, 절단해 보면 그 공동은 3∼8×1∼3cm 정도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15∼20×10∼12㎛.
    색상 : 회흑색∼갈흑색, 또는 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 또는 숲 가장자리, 길섶 등의 모래질이 많은 곳에 난다. 때로는 부후목 썩은 자리나 초지 등에서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중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하얀주름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lactea Bou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1.2∼1.5cm. 안장모양, 백색. 대는 허연색, 전체 높이는 2.5∼3cm. 대에 세로로 깊게 골이 파여 있다.
    현재 하얀주름안장버섯과 갈빗대안장버섯은 외형이 유사하여 명확한 형태 차이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다. 하면이 평활한 것이 하얀주름 안장버섯이다.

    자실체 : 자실체의 머리는 폭 1.2∼1.5cm, 안장 모양, 불규칙한 1개의 열편으로 되어 있다. 가장자리의 끝은 일부 대에 붙어 있기도 한다. 표면 자실층은 물결모양 굴곡되고 백색, 오래되거나 건조하면 황갈색을 띤다. 하면은 평활하고 표면과 같은 색.
    대는 머리 포함한 전체 높이는 2.5∼3cm(굵기 0.8∼1.2cm), 세로로 깊게 골이 파여 있다. 신선할 때는 허연색, 건조하거나 오래되면 연한 황색 끼를 띤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 평활, 투명, 내부에 1개의 큰 방울을 가지고 있다. 16∼18×10∼12㎛.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물푸레나무 등의 살아있는 나무 껍질이나 활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덧술잔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ephippium Lé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1.5∼3cm. 접시 모양이다가 후에 안장모양이 되면서 뒤틀린다. 암갈색∼암회황색. 아랫면은 쥐색∼갈회색, 회색 융털 밀생. 대는 융털 밀생.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 부분으로 구분되며, 머리(자낭반)는 접시 모양, 안장모양 또는 불규칙하게 뒤틀린다. 직경 1.5∼3cm. 위쪽 자실층 면은 회색, 암갈색 또는 암 회황색 등.
    아랫면은 쥐색 또는 갈회색. 회색의 융털이 빽빽이 나 있다.
    대는 원주형 또는 약간 눌린 모양이고 밑동이 굵다. 대에도 융털이 밀생해 있다. 허연색, 담갈색 또는 회갈색 등. 길이 1.5∼5cm, 굵기 2∼5mm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17∼21×11∼12.5㎛.
    색상 : 암갈색∼암회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굵은대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ephippioides Ima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2cm 정도. 접시 모양∼술잔모양, 후에 안장모양, 회갈색∼회황색. 아래 면과 대는 회갈색∼회황색, 짧은 털 밀생. 대의 길이가 긴 편임.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 부분으로 구분되며, 머리는 폭 2cm 정도, 머리는 양쪽이 눌린 접시 모양, 후에 퍼지면서 열려진 안장모양으로 된다. 표면 자실층은 회갈색∼회황색, 짧은 털이 밀생.
    아래 면은 같은 색, 짧은 털이 밀생.
    대는 원주형, 높이 3∼5(8)cm, 굵기 2∼4mm 정도, 회황색, 짧은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무색, 20∼22×8∼9㎛.
    색상 : 회갈색∼회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긴대안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elastica Bull. > Leptopodia elastica (Bull.) Bou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소형. 대는 10cm 이하. 머리는 어릴 때 안장모양, 후에 불규칙한 형태, 담회색∼담갈색, 하면은 연한 색, 매끄럽다. 대는 허연색∼황토색. 색깔, 형태변화가 큼.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 부분으로 구분되며 높이는 10cm 정도까지 이른다. 머리는 어릴 때 불규칙한 안장모양이다가 후에는 일그러져서 불규칙한 형태로 된다. 직경 1∼3cm 정도. 표면 자실층은 매끄럽지만 울퉁불퉁하다. 황색을 띤 담회색. 담갈색 또는 황색을 띤 갈색.
    하면은 다소 색이 연하고 매끄럽다.
    대는 4∼7×0.3∼0.7cm. 흔히 눌려 있고, 속이 비어 있다. 매끄럽고 원통형이나 위쪽이 다소 가늘고, 흔히 굽어 있다. 허연색∼황토색. 밑쪽으로는 미세하게 털이 나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흔히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간혹 둥근 사마귀가 낮게 다수 덮여있는 것도 있다. 17∼20×10∼13㎛.
    색상 : 담회색∼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가을. 임내 지상이나 숲 가장자리, 길가 등에 낙엽층이나 이끼 사이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솜털안장버섯(솜털대주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dissingii Krof > Helvella villosa (Hedwig) Boud > Cyathipodia villos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1.5∼3cm. 부정형의 접시 모양∼약간 안장모양. 암회색∼회갈색. 바깥 면은 쌀겨 모양. 대는 흰색∼크림색. 솜털대주발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지름 1.5∼3cm. 부정형의 접시 모양이면서 약간 안장모양이다. 접시 모양의 양 쪽이 약간 좁게 오므라져 있다. 가장자리는 굴곡이 져 있고 위쪽으로 굽어 있으며, 가장자리가 찢어지는 경우도 있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하나 둔하다. 암회색∼회갈색.
    바깥 면과 가장자리는 미모가 있으면서 쌀겨모양이다. 다소 연한 회갈색∼회갈색.
    대는 원통형이면서 드물게는 속이 비어있고, 흰색∼크림색. 단단하며 지름 4∼6(8)mm, 길이 1.5∼2.5cm. 평활하지만 위쪽으로는 다소 쌀겨모양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16)17∼20×10.5∼12㎛.
    색상 : 암회색∼회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봄∼가을. 전나무, 가문비나무 숲 등 침엽수림의 길가나 샛길의 나지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접시머리안장버섯(노란대긴주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Helvella cupuliformis Diss. & Nannf. > Cyathipodia cupuliformis (Diss. & Nannf.) Breit. & Kränz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A%B3%BC(Helvellaceae)" target=_blank>안장버섯과(Helv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88%EC%9E%A5%EB%B2%84%EC%84%AF%EC%86%8D(Helvella)" target=_blank>안장버섯속(Helvella)</a>
    특징 : 머리는 폭 1.5∼3cm. 부정형의 접시모양, 황토갈색∼담갈색. 대는 흰색∼크림색. 노란대긴주발버섯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지름 1.5∼3cm. 부정형의 접시 모양 또는 약간 안장모양이다가 편평하게 얕은 접시 모양 퍼진다. 가장자리는 둔하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황토갈색∼담갈색.
    하면과 바깥 면과가장자리는 미세한 쌀겨모양이고 다소 연하다.
    대는 원통형이며(때로는 눌린 모양), 드물게 속이 비어 있다. 흰색∼크림색(또는 머리보다 약간 연한 색). 지름 4∼6(8)mm, 길이 1.5∼2.5cm. 평활하나 위쪽 끝 부분에는 다소 쌀겨모양 피복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18∼20(21)×12∼13.5㎛.
    색상 : 황토갈색∼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나 침엽수림 임지의 가장자리 길가, 뚝 등의 양질사토 땅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