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7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Coprinellus radians (Desm.) Vilg, Hopple & Johns. > Coprinus radians (Desm.) Fr.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소형. 갓은 갈색을 띤 황색, 표면에 허연색 비듬모양 인편. 밑동에 황갈색의 매트모양 균사가 들어나거나 들어나지 않는다. 노랑먹물버섯 개칭. 받침대먹물버섯보다 대가 짧은 편.
자실체 갓은 폭 2∼3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둥근산형이 되고 결국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때때로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다소 깊은 홈이 파인다. 표면은 갈색을 띤 황색인데 허연색 솜 찌끼모양∼비듬모양의 탈락성 인편(외피막 잔존물)이 피복되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난다. 어릴 때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자주색을 띤 흑색이 된다.
대는 2∼5cm(굵기3∼4mm), 백색. 밑동이 다소 굵다. 대의 밑동은 황갈색의 매트모양 균사(ozonium) 위에 발생하며, 이 매트모양 균사는 들어나 보이기도 하나 흔히 땅속에 있어서 들어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의 살은 백색.
포자 포자는 타원형∼콩팥형. 평활, 벽이 두껍다. 6.5∼8.5×3.5∼4.5㎛.(일부 책자에서는 8.5-11.5 x 5.5-7㎛.로 받침대눈물버섯의 6-9 x 3.5-5㎛.보다 크다고 하였으나, 책자에 따라서 포자의 크기다 달라 혼동된다).
색상 갈색을 띤 황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활엽수의 그루터기, 죽은 나무 등에 군생
분포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74566.jpg

 

사진출처 : http://mushroomobserver.org/image/show_image/74566?q=4mNi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노랑쥐눈물버섯(황갈색먹물버섯, 노랑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radians (Desm.) Vilg, Hopple & Johns. > Coprinus radians (Desm.)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소형. 갓은 갈색을 띤 황색, 표면에 허연색 비듬모양 인편. 밑동에 황갈색의 매트모양 균사가 들어나거나 들어나지 않는다. 노랑먹물버섯 개칭. 받침대먹물버섯보다 대가 짧은 편.
    자실체 : 갓은 폭 2∼3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둥근산형이 되고 결국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때때로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다소 깊은 홈이 파인다. 표면은 갈색을 띤 황색인데 허연색 솜 찌끼모양∼비듬모양의 탈락성 인편(외피막 잔존물)이 피복되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난다. 어릴 때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자주색을 띤 흑색이 된다.
    대는 2∼5cm(굵기3∼4mm), 백색. 밑동이 다소 굵다. 대의 밑동은 황갈색의 매트모양 균사(ozonium) 위에 발생하며, 이 매트모양 균사는 들어나 보이기도 하나 흔히 땅속에 있어서 들어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의 살은 백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콩팥형. 평활, 벽이 두껍다. 6.5∼8.5×3.5∼4.5㎛.(일부 책자에서는 8.5-11.5 x 5.5-7㎛.로 받침대눈물버섯의 6-9 x 3.5-5㎛.보다 크다고 하였으나, 책자에 따라서 포자의 크기다 달라 혼동된다).
    색상 : 갈색을 띤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그루터기, 죽은 나무 등에 군생
    분포 :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갈색쥐눈물버섯(갈색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micaceus (Bull.) Vilg, Hopple & Johns. > Coprinus micaceus (Bull.) Fr.(갈색먹물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극소형∼소형. 알갱이(micảceus) 버섯. 황갈색 갓 표면에 어릴 때 알갱이모양의 가루가 피복. 그루터기 등에 흔하게 난다. 갈색먹물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
    자실체 : 갓은 폭 1∼4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종형∼원추형이 된다. 갓이 퍼지면 가장자리가 다소 주름이 잡힌다. 표면은 연한 황갈색인데 최초에는 가는 알갱이모양의 인피가 피복도어 있지만 곧 탈락하고 평활해 진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살은 올리브갈색. 어린 균은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나 곧 흑색이 되고 주름살부분이 액화된다.
    대는 3∼8cm(굵기2∼4mm), 백색,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전면에서는 도토리 모양, 측면에서 보면 배 모양, 평활, 발아공이 있다. 6.5∼9×3.9∼5×4.9∼6.3㎛.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봄∼가을 활엽수의 그루터기, 썩은 밑동, 나무가 매몰된 토양 등에 속생 또는 군생. 매우 흔하다.
    분포 : 거의 전 세계.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곱슬쥐눈물버섯(갈색솜먹물버섯, 곱슬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flocculosus (DC.) Vilg., Hopple & Jhons. > Coprinus flocculosus (DC.) Fr. > Coprinus flocculosus (DC.)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소형. 갓은 어릴 때 크림황토색, 백색 분상 피복, 후에 베이지회색∼회색이 되며, 면모상 박편이 남는다. 가장자리는 부채살 모양 골이 지고 찢어진다. 갈색솜먹물버섯 또는 곱슬먹물버섯이라고 하였는데, 속이 달라져서 개칭
    자실체 : 갓은 폭 1.5∼4.5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아구형 또는 난형이나, 원추상 종형이 되었다가 중앙에 둔한 돌출을 가진 거의 평평한 형으로 퍼지며, 가장자리가 들어 올려진다. 매우 어릴 때는 크림황토색, 백색의 분상 피복물이 덮여 있으나, 곧 분상 피복물이 탈락하면서 눌려 붙은 면모상 박편이 다소 오래 동안 산재된다. 후에는 베이지회색∼회색으로 퇴색되며, 중앙은 황토색이 남는다. 가장자리에 줄무늬가 있으며, 후에 부채살 모양 골이 지고, 찢어진다. 식용.
    주름살은 처음에는 크림색, 후에 회색을 띠며, 포자가 성숙하면 흑색을 띤다. 촘촘하며, 폭이 넓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5∼11cm(굵기3∼7mm), 백색, 평활. 원주형, 밑동 쪽으로 약간 굵어진다. 속이 비어 있고, 부러지기 쉽다. 만지면 약간 갈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암적갈색, 발아공이 약간 편심형이다. 13.1∼18.7×7∼9.4㎛.
    색상 : 크림황토색, 베이지회색∼회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분뇨, 썩은 짚 또는 톱밥, 산림 주변 토양 등에 단생 또는 드물게 속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받침대쥐눈물버섯(바침대갈색먹물버섯, 바침대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domesticus (Bolt.) Vilgalys, Hopple & Johnson > Coprinus domesticus (Bolt.) Gray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소형. 황갈색, 그루터기에 군생. 녹슨 색의 매트모양 균사괴 위에 집단으로 발생. 바침대먹물버섯이 개칭됨. 노랑먹물버섯보다 대가 긴 편이다.
    자실체 : 갓은 폭 2∼3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둥근산형이 된다. 표면은 황갈색이지만 가운데가 진하고 어릴 때는 백분상 또는 황갈색 끼를 띤 분질물(외피막 잔존물)이 거의 전면을 피복하나, 점차 소실된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다소 깊은 홈이 파인다.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곧 자갈색∼흑색이 된다.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갓은 액화되지 않는다.
    대는 4∼15cm(굵기2∼10mm), 백색이나 밑동 쪽으로는 다소 황갈색 끼를 띤다. 밑동이 다소 굵다. 대의 아래쪽은 붉은 끼를 띤 오렌지색∼녹슨색의 매트모양 균사 덩어리 위에 발생. 대의 살은 백색.

    포자 :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평활, 7.5∼10×4∼5㎛. 포자문은 암갈색.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늦봄∼여름 활엽수의 그루터기, 죽은 나무 등에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동아프리카.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고깔쥐눈물버섯(고깔갈색먹물버섯, 고깔먹물버섯, 고깔갈색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disseminatus (Pers.) J. Lange > Coprinus disseminatus (Pers.) Gray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1.5cm 이하. 흩뿌려진(disseminảtus) 버섯. 극소형, 백색. 고사목 껍질 등에 수백본이 함께 난다. 고깔먹물버섯이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자실체 : 갓은 폭 1∼1.5cm 정도의 극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둥근산형이 된다. 표면은 백색, 담황색, 회백색 등인데 후에 연한 자회색을 띤다. 가는 털이 덮여 있다.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나 부채살 모양을 이룬다. 살은 어릴 때 백색, 식용하지 않는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암회색∼흑갈색이 되며 액화된다.
    대는 2∼3.5cm(굵기1∼2mm), 백색으로 반투명인데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살은 백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회갈색, 발아공이 있다. 7.2∼9.7×4.1∼5.4㎛. 포자문은 흑색.
    색상 : 백색, 담황색, 회백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죽은 나무껍질이나 그루터기, 죽은 가지, 매몰된 나무의 부근 등에 수십, 수백본이 흩뿌려져서 군생. 매우 흔하다.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두포자쥐눈물버섯(두포자무리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bisporus (Lge.) Vilg. Hople & J. Johnson > Coprinus bisporus Lg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극소형∼소형. 두포자무리먹물버섯이라고 신칭되었으나, 속명에 띠라 개칭되었다. 어릴 때는 베이지황토색이나 후에 쥐회색이 되고 줄무늬의 홈선이 중앙까지 생긴다.
    자실체 : 갓은 폭 1∼3cm, 갓 높이 1∼1.8cm의 극소형∼소형. 어릴 때는 원주형∼난형이나, 후에 종형∼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에 둔한 돌출이 생긴다. 표면은 둔하고 습할 때는 약간 광택이 있으며, 어릴 때는 베이지 황토색, 희미한 줄무늬가 있다. 후에 쥐회색이 증가되며, 중앙은 황토갈색, 줄무늬의 홈선이 거의 중앙까지 생긴다. 가장자리는 날카로우며, 흔히 가장자리가 치켜 올려지기도 하고, 녹아내리기도 한다. 살은 베이지황토색, 중앙은 다소 두껍지만 가장자리는 얇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 자갈색∼거의 흑색, 폭이 넓다가 후에 좁아지며, 촘촘하다. 대에 치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2.5∼8cm(굵기1.5∼3mm), 원주형, 속이 비었고, 탄력성이 있다. 표면은 백색, 때때로 밑동쪽으로 연한 황토색 끼를 띤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암적갈색, 약간 곁쪽에 발아공이 있다. 10.4∼14.6×6.4∼8.3㎛. 포자문은 청흑색.
    색상 : 베이지황토색이나 후에 쥐회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풀이 썩은 곳, 퇴비를 준 곳, 분뇨, 숲의 가장자리 내외 등에 군생하거나 총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방울쥐눈물버섯(쥐방울갈색먹물버섯, 쥐방울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angulatus (Peck) Readh., Vilg. & Monc. > Coprinus angulatus Pec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극소형. 갓은 황갈색, 방사상으로 줄금. 대는 백색, 불탄 자리, 물이끼 사이에 난다. 쥐방울먹물버섯이 개칭됨.
    자실체 : 갓은 폭 1∼2(2.5)cm 정도의 극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후에 종형∼둥근산형으로 퍼지고 결국에는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평활∼미세한 털이 피복되어 있고 베이지색∼황갈색, 후에 암갈색이 된다. 방사상으로 줄금이 나타난다. 대의 살은 백색이고 파손되기 쉽다. 식용가치가 적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다가 흑색이 된다. 약간 성기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1∼2(3)cm(굵기1∼2mm), 가늘고 속이 비어있다. 백색, 표면은 가는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전면에서 보면 젖병 꼭지 모양, 중앙에 발아공이 있고, 측면에서 보면 타원형, 평활, 흑색, 8.9∼11.4×5.3∼6.4㎛.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여러 가지의 불탄 자리에 발생. 때로는 물이끼 사이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끝말림쥐눈물버섯(끝말림갈색먹물버섯, 끝말림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aokii (Hongo) Vilg., Hopple & J. Johnson > Coprinus aokii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5%90%EB%88%88%EB%AC%BC%EB%B2%84%EC%84%AF%EC%86%8D(Coprinellus)" target=_blank>쥐눈물버섯속(Coprinellus)</a>
    특징 : 가늘고 긴 대에 작은 회갈색 갓이 퍼져 위로 말리고 중앙에 담갈색 끼가 남아 있다. 끝말림먹물버섯이 속 변경으로 개칭
    자실체 : 갓은 폭 2∼3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원주상 계란모양이다가 종형이 되며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면서 가장자리 끝이 위로 쳐들어 진다. 표면은 처음에는 갈색, 후에 담황갈색이 되며 성숙하면 회갈색이 되는데 흔히 중앙에 담갈색 끼가 남아있다. 표면에 미세한 털이 밀생. 오래되면 갓 가장자리의 일부가 녹아서 오므라든다. 대의 살은 갈색이고 파손되기 쉽다. 식용 여부는 미상이며, 식용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후에 암회갈색∼흑색이 된다.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10cm(굵기1.5∼2.5mm), 가늘고 길며 속이 비어있다. 백색, 표면은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선단 돌기가 편도형, 발아공이 있다. 10∼13.5×6∼7.5㎛.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회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썩은 풀이나 짚, 낙지 등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고슴도치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agaricus strobilomyces (Murr.)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8%88%EB%AC%BC%EB%B2%84%EC%84%AF%EA%B3%BC(Psathyrellaceae)" target=_blank>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3%A0%EC%8A%B4%EB%8F%84%EC%B9%98%EB%B2%84%EC%84%AF%EC%86%8D(Cystoagaricus)" target=_blank>고슴도치버섯속(Cystoagaricus)</a>
    특징 : 3cm 이하. 솔방울(strobilỏmyces) 버섯. 암회갈색 바탕에 같은 색의 날카로운 가시가 밀포되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1.2∼3cm 정도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후에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암회색의 바탕에 거의 같은 색의 끝이 날카로운 가시를 다수 부착한다. 어린 개체에는 내피막의 파편이 아래로 늘어지지만 곧 소실된다. 비식용.
    주름살은 회색이다가 후에 연한 홍색을 띤다. 날 부분은 분상.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치붙음도 있지만, 거의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1.5∼4cm(굵기2∼3.5mm), 상하가 같은 굵기이고 갈색을 띤 회색. 위쪽은 연하고 허연색, 표면은 갓과 마찬가지의 암색 가시가 덮여 있지만 위쪽은 분상이다. 속이 비어 있으며 약간 연골질이다.

    포자 : 포자는 콩팥형. 회갈색, 5.5∼7×4.7∼6×4∼4.5㎛.
    색상 : 암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의 부후목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보르네오, 뉴우기니, 뉴질랜드, 남미 및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풀버섯(검은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volvacea (Bull.) Sing. > Volvariella volvacea (Bull.) Sing. var. volvacea > Volvariella volvacea var. nigricans (Kawam.)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중형. 갓은 회갈색, 중앙은 흑갈색, 표면은 섬유상. 대는 흰색, 밑동에 큰 주머니모양으로 외피막이 있다. 연구용으로 재배됨. 검은비단털버섯은 동일종
    자실체 : 갓은 5∼10cm 정도의 중형. 처음에는 계란모양의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이것을 채취하여 상품으로 판매한다) 외피막이 터지면서 둥근산형, 평평형이 된다. 표면은 회갈색. 중앙부는 흑갈색, 흔히 방사상으로 얕게 째져서 압착된 모양의 섬유상의 무늬를 형성한다. 살은 허연색이고 유연하다. 식용.
    주름살은 흰색이다가 칙칙한 살색이 되고 폭이 매우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10∼20cm(굵기1∼2cm), 거의 흰색. 상하가 같은 굵기이나 일부 위쪽으로 향해 다소 가늘어 진다. 밑동은 다소 굵어지고 구근상의 대형 막질의 흑갈색 주머니 모양으로 외피막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난형∼타원형. 평활, 막이 두껍다. 7∼9.5×5∼6.5㎛. 포자문은 분홍색.
    색상 :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썩은 볏짚 위나 쓰레기 더미에 산생 또는 군생.
    분포 : 일본, 중국, 열대∼아열대지방을 중심으로 세계적, 한국(연구용 도입재배).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새털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villosovolva (Lloyd)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소형, 처음에는 난형∼반구형, 곧 종형이다가 퍼져서 가운데에 돌출부를 가진 평평형, 성숙하면 짧은 줄무늬가 있다 연한 갈회색
    자실체 : 갓은 폭 2∼3.5cm. 처음에는 난형∼반구형, 곧 종형이다가 퍼져서 가운데에 돌출부를 가진 평평형이 된다. 건조, 고르지 않고, 내생 섬유상. 다소 방사상으로 틈이 갈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성숙하면 짧은 줄무늬가 있다. 연한 갈회색. 살은 백색, 얇다.
    주름살은 성숙하면 분홍 계피색. 촘촘하고 방추형,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5∼6cm(굵기 15∼55mm). 위쪽으로 가늘다. 꼭지는 다소 분상, 백색, 속이 차 있다가 빈다. 대주머니는 높이 6.5∼10mm, 두껍고 2∼3개의 열편으로 되어 있다. 갈회색이며, 백색 밀모가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난형∼광타원형. 다소 벽이 두껍다. 7∼8.0×4.5∼5.0㎛.
    색상 : 연한 갈회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비닐하우스 내의 부식토에서 발생되었다.
    분포 : 한국, 유럽.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회색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taylori (Berk. & Br.)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소형∼중형. 회색∼갈회색, 견사상 털이 피복. 대는 흰색∼연한 회색, 밑동에 회색∼연한 갈색의 대주머니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2∼6cm의 소형∼중형. 회색∼담갈색의 알 모양 외피막에 싸여 있다가 발생. 갓은 둥근산형∼넓은 원추형이다가 거의 평평해 진다. 표면은 미세한 견사상 털이 덮여 있다. 회색∼갈회색, 가장자리가 연하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 허연색이다가 연어 살색이 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3∼6.5cm(굵기3∼7mm), 흰색∼연한 회색, 꼭지는 평활하고 아래쪽은 평활하거나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밑동은 회색∼연한 갈색의 주머니 모양으로 외피막에 들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5.5∼9×4∼6㎛. 포자문은 연어 살색
    색상 : 회색∼갈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이나 초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미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기생비단털버섯(깔때기비단털버섯 개칭)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surrecta (Knapp)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소형. 갓은 흰색∼연한 회백색, 견사상 털이 피복. 대는 흰색. 대주머니가 있다. 회색깔때기버섯에 기생하는 특징이 있다. 깔때기비단털버섯 한국명이 중복되어서 개칭.
    한국균학회. 2013. 2013년 한국의 버섯 목록에 보면, Volvariella korena 를 깔때기비단털버섯이라고 칭했는데 이 버섯 Volbariella surrecta 도 깔때기비단털버섯으로 개칭되어 똑같은 한국명이 중복되어 기생비단털버섯으로 개칭

    자실체 : 갓은 3∼5(8)cm 정도의 소형. 어릴 때는 알모양으로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 발생. 구형이다가 둥근산형∼평평형이 되며, 오래되면 둔하게 중앙이 돌출되기도 한다. 흰색∼연한 회백색, 표면에 견사(명주실)같은 미세한 털이 피복되어 있다. 살은 얇고 흰색.
    주름살은 흰색이다가 분홍색이 되고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9cm(굵기5∼15mm), 흰색, 표면에는 가는 털이 덮여 있고, 속이 차 있다. 외피막은 주머니 모양, 두꺼운 막질이고 크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연한 황색, 5.1∼6.5×3.1∼4.1㎛. 포자문은 적갈색.
    색상 : 흰색∼연한 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가을 회색깔때기버섯(Clitocybe nebularis)의 죽은 버섯 위에 기생.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각시비단털버섯(애기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subtaylori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소형. 갓은 회갈색, 섬유상, 흔히 방사상으로 갈라진다. 대는 매우 가늘고 길며 대주머니가 있다. 후에 애기비단털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4cm 정도의 소형. 어릴 때는 알 모양의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 발생.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모양이 되고 가운데가 약간 돌출된다. 표면은 회갈색 중앙부는 흑갈색. 흔히 표면이 얕게 갈라져서 방사상으로 회갈색∼흑갈색 섬유상 무늬가 퍼지게 된다. 중심부에는 가는 털이 있다. 살은 얇고 흰색.
    주름살은 흰색이다가 담홍색이 되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4∼5cm(굵기3∼4mm), 흰색. 표면에는 가는 털이 덮여 있고, 속이 차 있다. 대가 매우 가늘고 길며 위쪽이 가늘다. 대주머니는 막질이고 흑색을 띠며 가는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난형∼타원형. 평활, 6∼7.5×4∼4.5㎛. 포자문은 분홍색.
    색상 :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림이나 기타 임내의 지상 또는 절개지에 단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요정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pusilla (Pers.) Sing. > Volvariella parvula (Weinm.) Spe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극소형∼소형. 매우 작은(pusỉllus) 버섯. 전체가 흰색, 갓은 섬유상, 대는 가늘고 막질 외피막이 있다. 막질의 외핍막이 회색-흑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0.5)1∼3cm의 극소형∼소형. 어릴 때는 알 모양의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 발생. 난형이다가 후에 종형∼둥근산형이 되고, 결국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백색, 섬유상 피복, 주변에는 후에 방사상의 홈선이 생긴다. 살은 얇고 막질이며, 흰색.
    주름살은 흰색이다가 살색이 되고 폭이 약간 성기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1∼5cm(굵기1∼5mm), 흰색. 상하가 같은 굵기, 다소 가늘고 길며, 속이 차 있다. 밑동에 막질 대주머니가 있다. 대주머니는 허연색, 갈색, 흑갈색 등을 띤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연한 황색, 벽이 두껍다. 5.8∼7.2×3.8∼4.2㎛. 포자문은 분홍색.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정원, 잔디밭, 임내 길가 등에 단생∼군생.
    분포 : 거의 세계적, 온대 및 열대에 분포한다.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깔때기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koreana S.J. Seok et a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소형. 처음에는 원추형∼원추상 종형, 곧 퍼진 둥근산형∼평평형이 되며, 중앙에는 젖꼭지 모양의 돌출 또는 배꼽모양 들어감 백회색, 오렌지 회색, 회갈색, 또는 살색. 중앙은 회갈색∼암갈색. 후에는 적회색∼둔한 적색
    자실체 : 갓은 2.5∼4.5cm의 소형. 처음에는 원추형∼원추상 종형, 곧 퍼진 둥근산형∼평평형이 되며, 중앙에는 젖꼭지 모양의 돌출이 생기거나, 또는 배꼽모양 들어간다. 표면은 어릴 때 백회색, 오렌지 회색, 회갈색, 또는 살색. 중앙은 회갈색∼암갈색. 후에는 적회색∼둔한 적색, 가장자리 쪽이 연하다. 중앙에는 방사상으로 회색의 눌려 붙은 섬유 또는 비로드상 밀모가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간혹 주름살 보다 밖으로 돌출되기도 한다. 살은 백색, 중앙은 두껍고 가장자리 쪽은 얇다.
    주름살은 백색, 후에 칙칙한 살색, 폭이 좁고 다소 촘촘하거나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백색, 미세한 털이 나 있다.
    대는 5.0∼5.7cm(굵기2∼2.7mm), 원주형,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아래쪽으로 다소 굵어진다. 허연색, 후에 연한 황갈색으로 퇴색된다. 전체적으로 섬유상 털이 덮여 있다. 대주머니는 막질, 다소 두껍다. 백색이다가 연한 크림색∼연한 크림황토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2∼3개의 열편이 있고 바깥 부분은 펠트상.

    포자 : 포자는 타원형∼난형. 평활, 다소 벽이 두껍다. 4.8∼5.1×3.2∼3.7㎛. 포자문은 칙칙한 살색.
    색상 : 백회색, 오렌지 회색, 회갈색, 또는 살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 또는 혼효림의 부식질 많은 토양에 깔때기버섯속(Clitocybe sp.) 자실체 부근에 단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백마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hypopithys (Fr.) Shaffe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흰색, 표면에 섬유상 털이 밀생, 오래되면 갓 전체가 베이지 황토색이 된다. 대는 흰색∼크림색. 밑동에 흰색∼회색의 큰 주머니 모양 외피막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1.5∼5cm의 극소형∼소형. 어릴 때는 알 모양의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 발생. 반구형∼난형이다가 후에 종형∼평평한 형이 되고, 오래되면 중앙에 무딘 돌출이 생긴다. 표면은 방사상으로 섬유상 털이 밀생해 있고, 흰색, 흔히 중앙은 약간 황색 끼가 있다. 오래되면 갓 전체가 칙칙한 베이지 황토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약간 술이 달린 모양이다. 살은 흰색.
    주름살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후에 분홍색, 대에 떨어진 붙음, 폭이 넓고 촘촘하다. 날은 미세하게 털 모양.
    대는 3.5∼5.5cm(굵기3∼7mm), 원주형이나 밑동이 약간 곤봉형, 주머니 모양으로 외피막에 쌓여 있다. 속이 차 있고 굳은 편이지만 부러지기 쉽다. 표면은 흰색∼크림색, 세로로 미세한 섬유상 털이 전면에 피복, 주머니는 막질이고 흰색∼칙칙한 회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연한 황색, 포자막이 두껍다. 5.3∼7.4×3.3∼4.4㎛. 포자문은 분홍갈색.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나 침활 혼효림 임지에 단생, 군생, 또는 총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흰비단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ariella bombycina (Schaeff.)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D%84%B8%EB%B2%84%EC%84%AF%EC%86%8D(Volvariella)" target=_blank>비단털버섯속(Volvariella)</a>
    특징 : 중형∼거대형. 명주실(bombỷcinus) 버섯. 갓은 허연색∼담황색, 다소 거친 견사상 털이 밀포. 대는 흰색, 밑동에 큰 막질 주머니 모양으로 외피막이 있다.
    자실체 : 갓은 5∼20cm의 중형∼거대형. 어릴 때는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 외피막을 뚫고 나와 구형 또는 난형이다가 종형∼둥근산형이 되고, 결국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중앙이 둔하게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허연색∼담황색의 갓 표면에 다소 거친 견사상의 털 또는 작은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점성은 없다. 살은 흰색. 변색되지 않는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분홍색∼분홍갈색이 되고, 폭이 매우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6∼15(20)cm(굵기1∼2cm), 흰색, 속이 차 있다. 위쪽이 다소 가늘고 밑동이 굵어져 있으며, 밑동은 막질의 큰 주머니 모양으로 외피막에 쌓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긴 타원형. 평활, 막이 두껍다. 6.5∼9.5×4∼6.5㎛. 포자문 분홍색.
    색상 : 허연색∼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썩은 줄기 위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거의 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비단버섯(제주비단털버섯, 예쁜비단털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Volvopluteus gloiocephalus (DC.) Vizzini, Contu & Justo > Volvopluteus gloiocephala (DC.) Boekh. & Enderie > Volvopluteus speciosa var. gloiocephala (DC.) Sing. > Volvopluteus speciosa Sing. var. specios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84%EB%8B%A8%EB%B2%84%EC%84%AF%EC%86%8D(Volvopluteus)" target=_blank>비단버섯속(Volvopluteus)</a>
    특징 : 중형. 갓은 회색∼회갈색, 허연색 등. 표피층 아래는 갈색. 대는 흰색, 후에 갈색. 대주머니가 대와 밀착되어 있거나 감싸고 있다. 포자가 두껍고 매우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6∼10(12)cm의 중형. 어릴 때는 알 모양의 외피막에 쌓여 있다가 껍질을 뚫고 나온다. 원추형∼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해지고 가운데가 볼록해진다. 드물게 오래된 것 중 중앙이 오목해지기도 한다. 표면은 평활, 습할 때 광택이 나기도 한다. 건조할 때는 방사상으로 섬유상 피복, 회색∼회갈색 또는 연한 회갈색.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오래 동안 안쪽으로 굽는다. 살은 흰색. 표피 층 아래는 갈색을 띤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곧 회분홍색∼갈분홍색이 된다. 대에 떨어진 붙음, 폭이 넓고 빽빽하다. 식용할 수 있다.
    대는 10∼16cm(굵기0.8∼1.5cm), 다소 원통형이지만 꼭지 쪽으로 가늘다. 밑동은 다소 곤봉형이고 2∼3cm 정도의 외피막이 주머니 모양 싸고 있거나 간혹 대에 밀착되어 있다. 속이 차있고 굳은 편이지만 부러지기 쉽다. 표면은 어릴 때 흰색∼갈색 끼가 있으며, 후에 갈색이 되고 세로로 섬유상이며, 꼭지 부근은 분상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연한 황색, 포자막이 두껍다. 10.6∼18.6×6.8∼10㎛. 포자문은 분홍갈색.
    색상 : 회색∼회갈색, 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지 내외, 목장, 초지, 또는 톱밥이나 목재 버린 곳, 부식토 등에 단생, 군생 또는 총생하기도 한다.
    분포 : 거의 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비늘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Pluteus xylophilus (Speg.)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A%B3%BC(Pluteaceae)" target=_blank>난버섯과(Plute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2%9C%EB%B2%84%EC%84%AF%EC%86%8D(Pluteus)" target=_blank>난버섯속(Pluteus)</a>
    특징 : 갓은 폭 2.2∼8.5cm. 소형~중형 둥근산형∼평평한 형. 흔히 중앙이 돌출, 베이지황색, 중앙은 칙칙한 담회색
    자실체 : 갓은 폭 2.2∼8.5cm. 둥근산형∼평평한 형. 흔히 중앙이 돌출하며, 간혹 돌출부에는 배꼽모양 들어가기도 한다. 표면은 베이지황색, 중앙은 칙칙한 담회색, 가장자리가 연하다. 중앙을 제외하고는 평활, 중앙에는 갈색 사마귀와 인편이 덮이고, 바깥쪽은 약간 섬유상 피복. 습할 때는 가장자리에 반투명 줄무늬가 있다.
    주름살은 칙칙한 백색이다가 곧 분홍색이 된다. 날은 분홍색. 폭이 넓은 편이고 촘촘하거나 다소 빽빽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3.4∼8.5cm(굵기 4∼14mm). 위쪽으로 가늘어진다. 드물게 밑동 쪽으로 가늘어 지는 것도 있다. 백색, 하부에는 세로로 갈색의 섬유가 덮여 있다. 밑동은 구근상이 되기도 하며, 백색 균사가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난형. 평활. 6.5∼7×4.4∼5.2㎛.
    색상 : 베이지황색, 중앙은 칙칙한 담회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늦은 봄. 썩은 나무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베트남, 아메리카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