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Hydropus floccipes (Fr.) Sing.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7%91%EC%9D%80%EB%8C%80%EB%B2%84%EC%84%AF%EC%86%8D(Hydropus)" target=_blank>맑은대버섯속(Hydropus)</a>__이명 :털애주름버섯속
특징 극소형. 갓은 회갈색∼흑갈색, 가운데는 거의 흑색, 대는 백색이며 실 모양 가늘고 길며 밑동에 백색 섬유가 퍼져있다. 백색 섬유는 세심하게 보아야 보일 때도 있다. 헛물털애주름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갓은 폭 1∼2cm의 소형. 원추상 종형∼원추형, 후에 편평하게 퍼지면서 가운데가 다소 높아진다. 표면
은 회갈색∼흑갈색, 가운데는 거의 흑색, 오래되면 퇴색하며, 가장자리에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털이 없고(렌즈로 보면 미세한 섬유가 있다) 살은 얇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대에 치붙음. 약간 성글다. 폭은 보통, 날은 분상 털이 있다.
대는 2.5∼8cm(굵기1∼3mm), 백색, 실 모양 가늘고 상하 같은 폭, 렌즈로 보면 전면에 더러운 회갈색의 가는 점이 산포되어 있다. 밑동에는 백색의 섬유가 퍼져 있다.
포자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비아밀로이드, 6.5∼8×4.5∼7㎛. 포자문은 백색.
색상 회갈색∼흑갈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나무뿌리 또는 죽은 가지에 소수 군생.
분포 한국, 일본 및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Hyd_floccip2.JPG_200919131240_Hyd_floccip2.JPG

 

Hyd_floccip_Rocc.JPG_20091915617_Hyd_floccip_Rocc.JPG

 

Hyd_flocci_Veio.JPG_200919152051_Hyd_flocci_Veio.JPG

 

Hydropus floccipes  a.jpg_2010110183212_Hydropus floccipes  a.jpg

 

Hydropus floccipes .jpg_2010110182350_Hydropus floccipes .jpg

 

Hydropus floccipes 2.JPG_201119172831_Hydropus floccipes 2.JPG

 

사진출처 : http://www.naturamediterraneo.com/forum/topic.asp?TOPIC_ID=68358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솜털맑은대버섯(헛물털애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Hydropus floccipes (Fr.)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7%91%EC%9D%80%EB%8C%80%EB%B2%84%EC%84%AF%EC%86%8D(Hydropus)" target=_blank>맑은대버섯속(Hydropus)</a>__이명 :털애주름버섯속
    특징 : 극소형. 갓은 회갈색∼흑갈색, 가운데는 거의 흑색, 대는 백색이며 실 모양 가늘고 길며 밑동에 백색 섬유가 퍼져있다. 백색 섬유는 세심하게 보아야 보일 때도 있다. 헛물털애주름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폭 1∼2cm의 소형. 원추상 종형∼원추형, 후에 편평하게 퍼지면서 가운데가 다소 높아진다. 표면
    은 회갈색∼흑갈색, 가운데는 거의 흑색, 오래되면 퇴색하며, 가장자리에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털이 없고(렌즈로 보면 미세한 섬유가 있다) 살은 얇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대에 치붙음. 약간 성글다. 폭은 보통, 날은 분상 털이 있다.
    대는 2.5∼8cm(굵기1∼3mm), 백색, 실 모양 가늘고 상하 같은 폭, 렌즈로 보면 전면에 더러운 회갈색의 가는 점이 산포되어 있다. 밑동에는 백색의 섬유가 퍼져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비아밀로이드, 6.5∼8×4.5∼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나무뿌리 또는 죽은 가지에 소수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및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잔디맑은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Hydropus erinensis (Dennis)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7%91%EC%9D%80%EB%8C%80%EB%B2%84%EC%84%AF%EC%86%8D(Hydropus)" target=_blank>맑은대버섯속(Hydropus)</a>__이명 :털애주름버섯속
    특징 : 극소형, 갓은 직경 7~23mm 반구형~반반구형에서 편평형으로 되며 , 갈색~적갈색, 중앙부는 짙은 색
    자실체 : 갓은 직경 7~23mm 반구형~반반구형에서 편평형으로 전개, 표면은 평활하고, 갈색~적갈색, 중앙부는 짙은 색, 살은 백색
    주름살은 끝붙은형이고 백색이며 약간 빽빽하거나 성글다.
    대는 2~5 × 0.15~0.35㎝이고 속이 빈 원통형이며 주황색~황회색이다.

    포자 : 흰색을 띠며 광란형~유구형이고 표면은 평활, 7.5~8 × 5~5.5㎛
    색상 : 갈색~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고사목 밑동, 가지 그루터기 등에 무리지어 발생
    분포 : 한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순백파이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Henningsomyces candidus (Pers.) Kuntz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8C%EC%9D%B4%ED%94%84%EB%B2%84%EC%84%AF%EC%86%8D(Henningsomyces)" target=_blank>파이프버섯속(Henningsomyces)</a>
    특징 : 눈처럼 흰(cándidus) 버섯. 1mm 이하. 썩은 나무에 백색 점상으로 군생. 확대해 보면 공 모양, 중앙에 구멍.
    자실체 : 자실체는 침,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 나며, 기질의 지면 쪽에 난다. 폭 0.2∼0.4mm, 높이 0.5∼1mm 정도 크기의 매우 연약한 백색 점 모양 버섯이 기질에 부착되는데, 확대경으로 보면 공모양∼서양배 모양, 꼭지 중앙에 파이프모양 깊은 구멍이 있고 외벽은 가는 털이 밀생되어 있다. 비식용.
    포자 : 포자는 아구형∼구형, 4∼6×3.5∼6㎛.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임내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 지면 쪽을 향해서 밀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뉴질랜드.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가랑잎밀버섯(가랑잎꽃애기버섯, 가랑잎애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peronatus (Bolt.) Ant., Hall. & Noord. > Collybia peronata (Bolt.) P. Kum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살갗 색∼진한 갈색, 건조하면 담갈색, 표면에 불규칙한 방사상 주름, 대는 거친 털. 발생시기와 지역에 따라서 색깔 차이가 큰 것으로 보임.
    자실체 : 갓은 폭 1.5∼5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되며 후에 중앙이 낮아지기도 한다. 표면은 약간 불규칙한 방사상의 주름이 잡혀있고 그을린 살갗 색∼진한 갈색, 건조하면 담갈색, 점차 가죽질 같아 보인다. 살은 얇고 가죽질인데 연한 황색. 쓴 맛이 있다. 비식용.
    주름살은 연한 황갈색. 폭이 다소 넓고 약간 성기며 대에 치붙음∼떨어진 붙음.
    대는 3∼5cm(굵기 3∼6mm), 갓보다 다소 연한 색이고 속이 차 있으며 하부는 연한 황색의 거친 밀모로 싸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방추상 타원형. 평활, 투명, 7.5∼11.2×3.6∼4.5㎛. 포자문은 크림 황토색.
    색상 : 살갗 색∼진한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에서 군생.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라시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적갈색쭈글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perforans (Hoffm.) Antonin & Noorde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 갓 표면은 방사형으로 골이 져 있으며 습할 때는 적갈색, 건조하면 황토색∼베이지 갈색이 된다. 지역에 따라 다소 형태, 색깔의 차이가 큰 것 같다.
    자실체 : 갓은 폭 0.8∼2cm의 극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히 퍼지며 중앙이 약간 오목 들어간다. 표면은 방사상으로 쭈글쭈글하게 골이 져 있으며, 습할 때는 적갈색, 건조하면 황토갈색∼베이지 갈색이 된다. 살은 허연색, 얇고 막질. 식용하지 않는다.
    주름살은 갓보다 다소 연한 색, 폭이 좁고 약간 성긴 편이며, 대에 띠붙음이 된다.
    대는 1.5∼3(5)cm(굵기0.8∼2mm), 표면에 미세하게 벨벳모양 털이 있다. 꼭지 부분은 연한 적갈색, 아래쪽으로는 암적갈색∼거의 흑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7∼8×2.8∼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임내 지상 낙엽 사이에 군생∼총생.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민혹밀버섯(민혹애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ocior (Pers.) Antonin & Noord. > Collybia extuberans (Fr.)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소형. 민혹애기버섯으로 신칭되었으나, 속이 바뀌어 개칭. 갓은 적황토색, 적갈색 때로는 진한 밤갈색 등. 색깔과 형태변화가 매우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1.5∼3(4)cm의 극소형∼소형. 어릴 때는 둥근산형, 후에 평평한 형이 되며, 때때로 가장자리가 위로 굽는다. 표면은 평활, 둔하고, 적황토색∼적갈색, 때로는 진한 밤갈색. 가장자리 쪽으로 연하다. 약간 흡습성.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습할 때는 희미한 줄무늬가 있다. 살은 크림백색∼회갈색, 중앙은 두꺼운 편, 가장자리는 얇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 크림색. 폭이 넓고, 대에 홈붙음이 된다. 날은 고르거나 가는 톱니꼴.
    대는 2∼5cm(굵기 2∼5mm), 원주형이나 흔히 밑동 쪽이 굵어진다. 표면은 평활, 둔하고 크림색∼황토색 끼를 띤다. 밑동 쪽은 오렌지갈색, 꼭지는 연한색∼허연색, 오래되면 대 전체가 적갈색이 된다. 밑동은 미세하게 면모상. 속이 비었고, 탄력성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4.6∼5.4×3∼3.2㎛.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적황토색, 적갈색, 진한 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살아있거나 죽은 나무의 수피 또는 목재, 썩은 그루터기, 임내 토양 등에 흔히 총생하며, 드물게 단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가는대밀버섯(잠칭)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menehune Desjardin, Halling & Hemme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갓은 폭 1- 3 cm의 극소형∼소형. 붉은 갈색 또는 옅은 갈색이고 중앙이 다소 진하다
    자실체 : 갓은 폭 1- 3 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편평해 지고 때때로 가장자리가 불규칙한 파상을 이룬다. 붉은 갈색 또는 옅은 갈색이고 중앙이 다소 진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담황토색. 폭이 좁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3∼4cm(굵기 2∼4mm), 가늘고 길며, 흰색을 띤 회색으로 위쪽은 담황색, 말단에서 갈색에서 암갈색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7.5-9 ∞ 3-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붉은 갈색 또는 옅은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철 활엽수 임지의 낙엽층 또는 썩은 잔가지에 총생. 매우 드물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악취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foetidus (Sow.) P.M. Kirk > Micromphale foetidum (Sow.) Sing. (악취마늘향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 갓은 지름 1.4~2.2㎝로 반구형이다가 편평형을 거쳐 중앙부가 오목해지고, 가장자리는 약간 파형, 갈색으로 가장자리는 색이 옅어짐
    자실체 : 갓은 지름 1.4~2.2㎝로 반구형이다가 편평형을 거쳐 중앙부가 오목해지고, 가장자리는 약간 파형이다. 표면은 중심부까지 주름상의 줄무늬가 있고, 어릴 때는 암갈색으로 가장자리는 색이 옅으며, 성장 시에는 담갈색이 되고 중심부는 암갈색이 된다. 흡수성이 있다. 조직은 아주 얇고 담갈색이며, 특별한 맛이나 냄새는 없다.
    주름살은 끝붙은형~떨어진형으로 성기고, 담갈색이며, 연락맥이 있다.
    대는 1.5~2.5×0.1~0.2㎝로 위아래의 굵기가 같고, 속은 찼으며, 표면은 평활하거나 약간 섬유상이고 상부는 담갈색, 하부는 암갈색이다.

    포자 : 포자는 8~10×3~5㎛로 타원형이며, 포자문은 백색
    색상 :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활엽수 고목, 썩은 가지 등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선녀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erythropus (Pers.) Ant., Hall. & Noordel > Collybia erythropus (Pers.) P. Kumm.(선녀애기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분홍색 끼를 띤 황토갈색, 대는 어두운 적갈색. 선녀애기버섯을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형태와 색깔의 변화가 다양하다. 후에 선녀꽃애기버섯이라고 개칭
    자실체 : 갓은 폭 1∼3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편평해 지고 때때로 가장자리가 불규칙한 파상을 이룬다. 오래되면 표면에 다소 쭈글쭈글한 주름이 잡힌다. 습할 때는 분홍색 끼를 띤 황토갈색, 마르면 담황토색 또는 크림색이고 중앙이 다소 진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담황토색. 폭이 좁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7cm(굵기 2∼4mm), 가늘고 길며, 간혹 한쪽이 납작해 진 모양을 한다. 어두운 적갈색, 밑동 부근에는 거친 솜털이 피복되어 있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6∼8×3.5∼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분홍색 끼를 띤 황토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철 활엽수 임지의 낙엽층 또는 썩은 잔가지에 총생. 매우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오렌지밀버섯(애기버섯, 굽은꽃애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dryophilus (Bull.) Murr. > Collybia dryophila (Bull.) P. Kum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습할 때 황토황색∼담황토색, 건조하면 연한 색∼거의 백색. 대는 오렌지갈색(때로는 크림색), 주름살 백색. 애기버섯이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자실체 : 갓은 폭 2∼7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해 지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한 파상을 이룬다. 표면은 평활, 흡습성, 색깔이 다양한 편, 습할 때는 황토황색∼담 황토색, 드물게 갈색, 건조하면 연한 색 또는 거의 백색이 된다. 중앙이 다소 진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연한 황색.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띠붙음.
    대는 3∼7cm(굵기 2.5∼5mm), 가늘고 위아래가 같은 굵기이며 밑동은 다소 굵다. 오렌지갈색이고 위쪽은 다소 연하며,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4.3∼6.3×2.7∼3.2㎛. 포자문은 크림색.
    색상 : 황토황색∼담황토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임내 부식토 위나 낙엽 상에 군생.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애기밀버섯(밀애기버섯, 밀꽃애기버섯, 일반명: 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confluens (Pers.) Ant., Hall. & Noord. > Collybia confluens (Pers.) P. Kum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연한 갈색∼적갈색, 또는 가죽색, 황토색 등, 가장자리가 연하다. 대는 가늘고 길며 살구색∼갈색 등. 밀애기버섯이 개칭됨.
    <참고> 이 버섯은 도감에 따라 그림과 크기 설명에 차이가 크다. 이 버섯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함.

    자실체 : 갓은 폭 1.5∼4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해 진다. 표면은 평활, 연한 갈색∼연한 적갈색, 또는 가죽색, 황토색 등인데 가장자리 쪽이 연하다. 건조하면 담색이 된다. 살은 가죽색. 식용은 하지만 약간 흙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갓과 비슷한 색. 폭이 좁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또는 치붙음, 때로는 떨어진 붙음이 된다.
    대는 4∼9cm(굵기 3∼7mm), 가늘고 위아래가 같은 굵기이며, 때에 따라서는 대가 한쪽으로 눌려 있다. 살구색∼갈색, 또는 회색 끼가 있는 적갈색. 전면에 미세한 털이 덮여 있고,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5.7∼9.5×2.5∼3.7㎛. 포자문은 크림색.
    색상 : 연한 갈색∼적갈색, 또는 가죽색,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나 침엽수 임지에 다발로 속생 또는 군생.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아프리카,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알카리밀버섯(알카리애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us alkalivirens (Sing.) Halling > Collybia alkalivirens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B%B2%84%EC%84%AF%EC%86%8D(Gymnopus)" target=_blank>밀버섯속(Gymnopus)</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암적갈색∼흑적색, 건조할 때는 황갈색, 대의 밑동에 적갈색 균사가 덮여 있는 특징이 있다. 알카리애기버섯이 개칭됨.
    자실체 : 갓은 폭 1.5∼3.5(6)cm의 극소형∼소형. 어릴 때는 둥근산형에서 차차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평활, 흡습성. 습기가 있을 때는 암갈적색∼흑적색, 건조할 때는 황갈색∼적갈색이고 가운데가 진하다. 가장자리는 고르거나 약간 물결모양 굴곡되며, 줄무늬가 있다. 살은 적갈색, 얇다. 식용.
    주름살은 회색끼를 띤 적갈색, 폭이 좁고 대에 띠붙음이면서 치붙음. 날은 다소 연한 색, 고르거나 때로는 톱니 모양.
    대는 3∼8cm(굵기 2∼4mm), 원주형, 굽어 있고 암적갈색∼흑갈색. 표면은 평활하나 밑동 쪽으로 적갈색∼갈색의 균사가 덮여 있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씨알 모양. 평활, 투명, 어떤 것은 방울이 있다. 4.7∼7.6×2.5∼3.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암적갈색∼흑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의 낙엽 속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왕주름패랭이버섯(왕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erronema strombodes (Berk. & Mont.) Sing. > Chrysomphalina strombodes (Berk. & Mont.) Clé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8%EB%9E%AD%EC%9D%B4%EB%B2%84%EC%84%AF%EC%86%8D(Gerronema)" target=_blank>패랭이버섯속(Gerronema)</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깔때기 모양, 회갈색∼황갈색, 주름살은 허연색, 내리붙음, 성기다. 대는 짧고 허연색. 주름애이끼버섯 또는 왕주름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폭 1.5∼4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중앙이 오목한 둥근산형이다가 후에 가운데가 깊게 파인 깔때기 모양이 되고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감긴다. 표면은 회갈색, 황갈색 및 갈색으로 중앙부위가 진하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줄금 또는 요홈이 있고, 오래 되면 찢어지거나 고르지 않다. 살은 허연색. 식용.
    주름살은 어릴 때는 허연색, 후에 연한 황백색이고 폭이 넓으며, 성기고 대에 내리붙음.
    대는 2.5∼4.5cm(굵기2.5∼4mm), 매우 가늘고 위와 아래가 같은 굵기, 가끔 휘기도 한다. 표면은 허연색으로 연한 회갈색 끼를 띠며, 대 상부는 가루모양이 피복되어 있고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몇 개의 방울이 있다. 4.6∼6.0×3∼4.1㎛.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땅속에 매몰되거나 떨어진 활엽수 가지에 소수 군생. 매우 드물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오목패랭이버섯(요리색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erronema nemorale H. Takah.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C%A8%EB%9E%AD%EC%9D%B4%EB%B2%84%EC%84%AF%EC%86%8D(Gerronema)" target=_blank>패랭이버섯속(Gerronema)</a>
    특징 : 극소형. 표면은 황록갈색에서 회록색∼회황색. 방사상 홈선이 있다. 요리색시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폭 0.6∼1.5cm의 극소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곧 중앙이 오목한 사발모양이 되고, 방사상으로 홈선이 나타난다. 가장자리는 흔히 톱날형으로 된다. 어릴 때는 올리브갈색, 후에 회녹색, 오래된 것은 둔한 황색이 된다. 살은 극히 얇고(0.5mm 이하), 담황색. 식용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담황색, 약간 성기며, 폭이 좁고, 대에 심한 내리붙음
    대는 2∼4cm(굵기1∼2.5mm), 거의 상하 같은 굵기이지만, 밑동은 다소 굵어진다. 중심생 또는 약간 편심생, 가늘다. 강인하며, 속은 비었다. 표면은 담황색, 전체에 작은 인편상. 밑동은 솜털같은 백색 균사가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광타원형. 평활, 투명, 비 전분반응. 벽이 얇다. 8.5∼10×5∼6㎛.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록갈색에서 회록색∼회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활엽수의 잔가지 등에 군생 또는 속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구멍빗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Favolaschia fujisanensis Kobay.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9%97%EC%9E%A5%EB%B2%84%EC%84%AF%EC%86%8D(Favolaschia)" target=_blank>빗장버섯속(Favolaschia)</a>
    특징 : 극소형. 백색 관공이 5∼30개 정도 표면에 들어난다. 갓은 기질 쪽에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1∼2mm의 극소형. 반구형이거나 반원형 또는 원반형이면서 등쪽으로 기질에 부착되어 있다. 젤라틴 질. 백색∼담회색, 반투명. 식용가치가 없다.
    자실층은 주름살이 없고 관공으로 되어 있다. 관은 원형, 지름은 0.2∼0.3mm, 1개의 갓에 15∼30개 정도가 있다. 관공의 벽은 두껍다.
    대는 없고, 부채꼴로 붙거나, 갓의 가운데가 기주에 붙는다.

    포자 : 포자는 난형. 6∼7×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초여름 조릿대 등 썩은 대나무류나 떨어진 나뭇가지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테두리털가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rinipellis zonata (Pk.) Sacc.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4%B8%EA%B0%80%EC%A3%BD%EB%B2%84%EC%84%AF%EC%86%8D(Crinipellis)" target=_blank>털가죽버섯속(Crinipellis)</a>
    특징 : 극소형, 소형 갓은 1~2.5cm로 둥근산모양에서 거의 편평하게 되며 가끔 중앙은 오목. 흑갈색에서 황갈색의 털로 덮이며 흑색과 밝은 색의 고리가 있음
    자실체 : 갓은 1~2.5cm로 둥근산모양에서 거의 편평하게 되며 가끔 중앙은 들어간다. 흑갈색에서 황갈색의 털로 덮이며 전형적으로 흑색과 밝은 색의 고리가 있고 가장자리는 어릴 때 안으로 말린다.
    살은 얇고 단단하고 백색이며 냄새와 맛은 불분명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끝붙은주름살로 백색으로 밀생하며 폭이 넓다.
    대는 2.5~5cm, 굵기는 1~2mm로 상하가 같은 굵기이고 흑갈색에서 황갈색의 털을 가지고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포자 : 포자는 6.5~8.5×3.5~5㎛로 타원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벽은 얇다. 담자기는 26~32×7.5~9㎛로 막대형이며 4-포자성이다.
    색상 : 흑갈색에서 황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썩는 고목 가지에 단생·속생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털가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rinipellis scabella (Alb. & Schw.) Murr. > Crinipellis stipitaria (Fr.) Pat.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84%B8%EA%B0%80%EC%A3%BD%EB%B2%84%EC%84%AF%EC%86%8D(Crinipellis)" target=_blank>털가죽버섯속(Crinipellis)</a>
    특징 : 극소형. 갓은 베이지색 바탕에 밤갈색∼오렌지 갈색의 털이 찢어져 덮이고 대는 암갈색, 가늘고 길다. 학명이 바뀜
    자실체 : 갓은 폭 0.7∼1.5cm의 극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며 중앙이 오목해 지기도 한다. 표면은 베이지색 바탕에 밤갈색∼오렌지 갈색의 광택이 있는 털이 찢어져 덮이며, 약간의 테무늬를 나타낸다. 대가 단단하며, 비식용.
    주름살은 백색. 다소 성기고 대에 내리붙음.
    대는 2∼4.5cm(굵기 1∼2mm), 매우 가늘며, 암갈색, 짧은 털로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편도형. 평활, 투명, 방울이 있다. 5.7∼8.1×4.4∼5.6㎛.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베이지색 바탕에 밤갈색∼오렌지 갈색의 털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말라 죽은 벼과 식물의 줄기 위에서 난다. 흔히 잔디의 줄기 위에서 단생 또는 군생. 가끔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머리모자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alyptella capula (Holmsk.)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A%A8%EC%9E%90%EB%B2%84%EC%84%AF%EC%86%8D(Calyptella)" target=_blank>모자버섯속(Calyptella)</a>
    특징 : 극소형, 자실체는 자루를 가진다, 크기는 2~5×2~7mm로 컵받침형에서 깔때기형, 백색에서 크림색
    자실체 : 자실체는 자루를 가진다. 직립하거나 컵을 매단 형태, 크기는 2~5×2~7mm로 컵받침형에서 깔때기형으로 된다. 바깥 면은 밋밋하고 백색에서 크림색이며 내면(주름살)은 백색의 자실층으로 바깥 면처럼 밋밋하고 백색에서 크림색이다. 가장자리는 물결형이고 밋밋하며 약간 톱니형이다. 자루의 높이는 2×5mm로 서서히 컵모양으로 섬세하고 부드럽게 융합한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6~9×3.5~4.5㎛로 타원형이나 한쪽 면이 편평하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담자기는 막대형으로 20~25×6~8㎛로 4-포자성이다. 기부에 꺾쇠가 있다. 낭상체는 없다.
    색상 : 백색에서 크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잘린 나무나 고목의 옆 또는 위에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눈알애기무리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litocybula oculus (Peck)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A0%EA%B8%B0%EB%AC%B4%EB%A6%AC%EB%B2%84%EC%84%AF%EC%86%8D(Clitocybula)" target=_blank>애기무리버섯속(Clitocybula)</a>
    특징 : 소형, 갓은 2~4cm로 둥근산모양에서 종모양을 거쳐 차차 편하게 되지만 중앙은 들어감. 검은 회갈색이며 가장자리 쪽으로 점차 더 연해지며 방사상의 줄무늬가 있음
    자실체 : 갓은 2~4cm로 둥근산모양에서 종모양을 거쳐 차차 편하게 되지만 중앙은 들어간다. 중앙은 연한 색에서 검은 회갈색이며 가장자리 쪽으로 점차 더 연해지며 방사상의 줄무늬가 있고 인편 또는 섬유실 인편이 있다. 가장자리는 찢어지고 갈라져서 톱니상이며 연한 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된다. 육질은 백색이고 냄새와 맛은 불분명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내린주름살로 약간 성기고 맥상으로 연결된다.
    대는 6cm, 굵기는 6mm 정도로 원통형이며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반점상으로 된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5~6.5×4~4.5㎛로 아구형이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색상 : 검은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썩는 고목 등걸 등에 다발로 발생
    분포 : 한국, 중국, 북아메리카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검은애기무리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litocybula abundans (Peck)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82%99%EC%97%BD%EB%B2%84%EC%84%AF%EA%B3%BC(Marasmiaceae)" target=_blank>낙엽버섯과(Marasm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5%A0%EA%B8%B0%EB%AC%B4%EB%A6%AC%EB%B2%84%EC%84%AF%EC%86%8D(Clitocybula)" target=_blank>애기무리버섯속(Clitocybula)</a>
    특징 : 소형, 갓은 20~40mm로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가끔 중앙은 배꼽형, 숯-회색에서 회갈색
    자실체 : 갓은 20~40mm로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가끔 중앙은 배꼽형인 것도 있다. 표면은 방사상으로 섬유실이며 노쇠하면 역시 방사상으로 갈라지며 숯-회색에서 회갈색을 거쳐 베이지회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퇴색하고 예리하다. 살은 백색이며 얇다.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올린주름살에서 넓은 바른주름살로 백색이며 폭은 넓다. 주름살의 변두리는 밋밋하다.
    대는 20~40mm, 굵기는 2~4mm로 원통형이고 속은 비었다. 표면은 편평하고 백색에서 회백색, 백색의 비듬-가루상이고 단단하며 유연하다.

    포자 : 포자는 4~7.5×4~6㎛로 광타원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며 기름방울을 함유한다. 담자기는 가는 막대형으로 22~30×5~7㎛로 4-포자성이며 기부에 꺾쇠가 있다. 연낭상체는 가는 막대형 또는 원통형으로 50~150×10~20㎛이다.
    색상 : 숯-회색에서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숲속의 땅에 군생·속생
    분포 : 한국, 중국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