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5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Leucoagaricus rubrotinctus (Peck) Sing. >Lepiota rubrotincta Pk.(여우갓버섯. 비기준종)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7%AC%EC%9A%B0%EA%B0%93%EB%B2%84%EC%84%AF%EC%86%8D%28Leucoagaricus%29" target=_blank>여우갓버섯속(Leucoagaricus)</a>
특징 갓은 갈색을 띤 적색 바탕에 암적갈색 찢어진 비늘 산재. 주홍갓버섯 또는 여우갓버섯이라고도 함. 지역에 따라 색깔 차이가 있음.
자실체 갓은 폭 4∼8cm의 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후에 평평한 형으로 되고 가운데가 돌출된다. 표면은 처음에는 암적갈색의 비로드상이지만, 갓이 퍼지면서 표피가 찢어져서 갈색을 띤 적색의 바탕에 암적갈색의 찢어진 비늘이 산재한다. 식용.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대는 길이7∼12cm(굵기3∼6mm), 밑동은 부풀어서 8∼13mm까지도 된다. 백색이고 속이 비어 있다. 고리는 막질 백색인데 가장자리는 적색을 띤다.
포자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멜쩌액 적색반응, 포자벽이 두껍다. 6.4∼10.4×4.1∼5.3㎛. 포자문은 백색.
색상 암적갈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임내, 정원 내, 죽림 내의 지상에서 단생 또는 군생.
분포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조덕현, 이지열. 2010. 한국의 버섯도감Ⅰ. 409pp. 저숲출판
박완희, 이지현. 2011. 새로운 한국의 버섯. 454pp. 교학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Leucoagaricus rubrotinctus 1 Boleslaw Kuznik.jpg

 

사진출처 : http://www.svims.ca/council/illust/Leucoagaricus%20rubrotinctus%201%20Boleslaw%20Kuznik.htm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비듬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lanzonii Bon, Migl. & Brunor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갓은 크림백색∼크림황색 바탕에 미세한 담갈색 비늘 피복. 중앙은 밝은 갈색.
    자실체 : 갓은 2∼4cm의 소형. 어릴 때는 반구형∼둥근산형, 후에 원추상 둥근산형∼평평해 지고, 오래되면 가장자리가 치켜 올라간다. 표면은 다소 비단같이 매끄러운 느낌이 있고, 크림백색∼크림황색의 바탕 위에 미세한 담갈색 인편 피복.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쪽으로 다소 진하다. 중심부 쪽은 거의 밝은 갈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부채살 모양 홈이 파진 줄금이 있고, 오래 되면 갈라진다. 살은 백색, 스펀지처럼 부드럽고, 얇다. 식용.
    주름살은 어릴 때는 크림색, 곧 황색 끼를 띠고 오래 되면 연어색 끼를 띤다. 대에 떨어진 붙음, 촘촘하고, 날은 평활하다.
    대는 길이4∼5.5cm(굵기2∼3mm), 원주형, 밑동 쪽으로 약간 굵어지고, 밑동은 때때로 약간 부풀어 있고, 백색의 균사가 있다. 속이 비었고, 부러지기 쉬우며, 표면은 어릴 때 백색, 후에 크림색∼황색 끼를 띤다. 밑동 쪽으로는 오렌지 갈색의 미세한 비늘이 많아진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멜쩌액에 적색반응, 막이 두껍다. 4.7∼5.5×3.2∼4.1㎛.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크림백색∼크림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온실 내 이탄질 토양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및 열대지방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여우꽃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fragilissimus (Berk. & Curt.) Pat.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소형. 갓은 어릴 때 난형이다가 퍼지며, 백색 바탕에 레몬색 분상의 가는 인편 밀포, 현저한 홈선, 부채살 모양. 대는 매우 가늘고 길다.
    자실체 : 갓은 2∼4cm 정도의 소형. 어릴 때는 타원형∼난형이고 전체가 레몬황색, 후에 원추형∼종형이다가 곧 평평하게 퍼지면서 중앙이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 바탕색은 백색, 중앙 부근에는 레몬색 분상의 세인편이 밀포되고 가장자리는 연하다. 퍼지면 방사상으로 현저한 홈선이 있는데, 부채살 모양을 띤다. 식용 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백색. 약간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4∼8cm(굵기2∼3mm), 밑동은 약간 부풀어 있다. 황색∼레몬색,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레몬형. 평활, 발아공이 있다. 9∼12.5×6∼8.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임내 지상, 정원 내, 온실 내의 토양에 발생.
    분포 : 세계의 열대 및 온대지방.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꾀꼬리각시버섯(벗은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straminellus (Bagl.) Narducci & Caroti > Leucocoprinus denudatus (Rab.) Sing. f. major Hongo > Leucocoprinus denudatus (Sacc.) Sing.</a></l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소형. 전체가 담황색, 갓의 중앙에 젖꼭지모양 돌출, 대에 담황색 고리가 있다. 이 버섯은 Leucocoprinus denudatus 와 동일종으로 합쳐 졌으며, 기본종이 백색이 주로 나타났지만, 담황색을 띤 것을 표시했던 것이다. 꾀꼬리각시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3∼4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중앙에는 젖꼭지모양으로 돌출되는 특징이 있다. 표면은 담황색이고 쌀겨모양의 피복물이 덮여 있다(f. major가 담황색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백색이다). 주변에는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다. 식용 여부 미상.
    주름살은 담황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6∼8cm(굵기2.5∼3.5mm), 밑동은 약간 부풀어 있다. 갓과 같은 색, 표면은 쌀겨 모양 피복물이 덮여 있고 속이 비어 있다. 담황색 고리가 있다(f. major가 담황색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백색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난형. 발아공이 없다. 5∼6.5×4∼5.5㎛.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썩은 소나무재목의 파편 상에 다수 군생∼속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4. 백조각시버섯(흰주름갓버섯, 백조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cygneus (J. Lange) Bon >Lepiota cygnea J. Lange (흰주름갓버섯, 백조갓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극소형. 전체가 백색. 갓 중앙부는 가죽색, 막질 고리. 흰주름갓버섯이 개칭됨. 백조갓버섯이라고도 하였다. 흰가루각시버섯보다 대가 가늘고 긴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0.8∼2cm의 극소형. 종형이다가 후에 평평한 형이 되고 흔히 중앙이 돌출. 표면은 백색이고 때로는 중앙부에 작게 가죽색을 띤다. 견사상 섬유가 있고 가장자리 쪽으로 미세하게 갈라진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폭이 좁으며 약간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2∼3.5cm(굵기0.5∼2mm), 밑동이 약간 굵어지기도 한다. 백색. 처음에는 다소 솜 찌끼모양이나 후에 털이 없어진다. 속이 비어있다. 막질의 고리가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5∼6.5×3∼3.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혼효림 부식토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이태수. 2013. 한국 기록종 버섯의 총정리. 52pp. 한국산지환경조사연구회.

    file
    Read More
  5. 흰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cretaceus (Bull.) Locq.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소형, 과립상, 면모상이고, 인피가 밀포, 중앙은 원추상 내지 피라미드상. 백색
    자실체 : 갓은 27~75 mm이고, 초기에는 난형이나 점차 반반구형으로 펴지며, 중앙 부위가 돌출되어있다. 표면은 백색을 띠며, 과립상, 면모상이고, 인피가 밀포되어 있으나 쉽게 탈락하며, 중앙은 원추상 내지 피라미드상이며, 돌기가 있다. 끝은 평활하며,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다.
    주름살은 백색이고, 빽빽하며, 폭은 2~4 mm이고, 사이에 짧은 주름살이 있고, 날은 평활하다.
    대는 50~90×3~7 mm로 상하 굵기가 비슷하거나 기부 쪽이 굵다. 표면은 백색이고, 상부는 평활하나 턱받이 아래쪽에는 면모상 인피가 있으며, 속은 비어 있다.
    턱받이는 막질이고, 백색이며, 대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쉽게 소실된다. 조직은 얇고, 백색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무색, 평활. 6.8~10.0×5.0~6.5 µm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경작지 퇴비, 동물의 배설물에 산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6. 흰가루각시버섯 (노란날개각시버섯, 노란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cepistipes (Sowerby) Pat.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백색∼크림색의 갓에 백색 가루모양 또는 면질의 피복물이 덮여있는 특징이 있다. 노란날개각시버섯이 개칭된 것임.
    자실체 : 갓은 폭 2∼6(8)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후에 종형∼원추형,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백색의 바탕에 백색의 가루모양 또는 면질의 피복물이 덮여있고 후에 다소 크림색∼회색을 띠게 된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어서 부채살 모양을 이룬다. 식용.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
    대는 길이5∼12.5cm(굵기3∼6mm), 백색이다가 분홍색 끼를 띤다. 밑동은 간혹 곤봉모양 부풀어 있다. 위쪽에 다소 쳐저서 고리가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난형. 평활, 투명, 멜쩌액에 적색반응, 포자벽이 두껍다. 뚜렷한 발아공, 7.6∼11.1×5.4∼6.9㎛. 포자문 분홍크림색
    색상 : 백색∼크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부식토, 정원 내 퇴비 위, 목질 쓰레기 버린 속 등에 군생 또는 소수 속생.
    분포 : 세계의 온대∼아열대 지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7. 갈색중심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brebissonii (Godley) Locq.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소형. 갓은 중앙에 암회갈색 원반모양 반점, 백색 바탕에 암회갈색 비늘이 퍼져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2∼3(4)cm의 소형. 어릴 때는 원추형이나 곧 평평해 진다. 중앙은 원반 모양으로 암 회갈색의 반점이 있으며, 바깥쪽으로는 백색 바탕에 암 회갈색 비늘이 퍼져 있다. 가장자리 쪽이 연하다. 살은 얇고 백색, 식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식용.
    주름살은 순백색, 매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이 된다.
    대는 길이4.5∼6(9)cm(굵기3∼6mm), 순백색, 작은 백색의 고리가 있다. 밑동 쪽으로 약간 굵어진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난형. 발아공이 있다. 9∼12.5×5.5∼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백색 바탕에 암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잔디밭, 길가, 활엽수 임지의 토양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노란각시버섯(노란홈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birnbaumii (Corda) Sing. >Lepiota luteus (Bolt) Rocq.(노란홈갓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1%EC%8B%9C%EB%B2%84%EC%84%AF%EC%86%8D%28Leucocoprinus%29" target=_blank>각시버섯속(Leucocoprinus)</a>
    특징 : 갓은 황색∼레몬색, 가장자리 방사상 홈선, 부채살 모양. 대는 가늘고 길며 황색∼레몬색.
    자실체 : 갓은 폭 2.5∼5cm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종형∼원추형이 되고 나중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지며 중앙이 크게 돌출된다. 표면은 분상∼면질의 인편이 피복되어 있는데 황색∼레몬색.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어서 부채살 모양을 나타낸다. 식용.
    주름살은 담황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7.5cm(굵기1.5∼5mm), 밑동은 곤봉상으로 부풀어 있다. 표면은 황색∼레몬색의 분질물이 덮여 있다. 고리는 막질이고 약간 조락성이다. 처음에는 대의 위쪽에 있지만, 생장하면 아래쪽에 붙게 된다.

    포자 :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멜쩌액에 적색반응, 발아공이 있고, 포자액이 두껍다. 8.4∼14.6×6∼9.2㎛.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색∼레몬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정원 내, 또는 온실 내의 흙 위 때로는 화분에도 발생.
    분포 :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에 많이 발생하고 기타 지역은 식물이나 토양에서 옮겨진 경우이다.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주홍여우갓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agaricus rubrotinctoides Mur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7%AC%EC%9A%B0%EA%B0%93%EB%B2%84%EC%84%AF%EC%86%8D%28Leucoagaricus%29" target=_blank>여우갓버섯속(Leucoagaricus)</a>
    특징 : 갓은 갈색을 띤 적색 바탕에 암적갈색 찢어진 비늘 산재. 주홍갓버섯 또는 여우갓버섯이라고도 함. 지역에 따라 색깔 차이가 있음.
    자실체 : 갓이 동그랗게 펴지고 가운데가 선명한 원을 만들며 색이 짙어 컴팩트디스크(CD)를 연상시키는 모양이다. 갓은 크기 2~6cm정도로 어릴 때는 종 모양에서 가운데가 볼록한 편평한 모양이 된다. 갓 표면은 옅은 오렌지 갈색으로 매끈하지만 점차 방사상으로 가늘게 찢어져 섬유모양을 나타내고, 백색의 살(조직)이 살짝 드러나며, 가운데는 젖꼭지모양으로 흑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옅은 색이다. 살(조직)은 백색으로 특별한 맛과 냄새는 없다. 주름살은 백색에서 크림색으로 되며, 자루에서 떨어져 붙은 주름살로 주름살 간격이 촘촘하다. 자루는 길이 4~10cm정도로 연약하고, 속이 비어 있다. 자루 표면은 매끈하거나 약간 섬유모양이고, 기부 쪽으로 약간 굵어진다. 턱받이는 백색의 막질이다.
    포자 : 포자는 크기 7.5~9×5~6㎛이다. 타원형~유구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무늬는 백색이다.
    색상 : 옅은 오렌지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합림 내의 땅 위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최호필. 2015. 버섯大도감. 890pp. 아카데미북

    file
    Read More
  10. 실고리가시갓버섯(실고리갓버섯, 흰여우갓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Echinoderma pseudoasperulum (Knudsen) Bon > Lepiota pseudoasperula (Kudsen) Kudsen 실고리갓버섯(흰여우갓버섯아재비)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7%AC%EC%9A%B0%EA%B0%93%EB%B2%84%EC%84%AF%EC%86%8D%28Leucoagaricus%29" target=_blank>여우갓버섯속(Leucoagaricus)</a>
    특징 : 소형. 갓은 갈색 바탕에 흑갈색 바늘모양 비늘이 전면에 분포되다가 후에 중앙 쪽에 남는다. 고리가 섬유상. 흰여우갓버섯아재비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폭 2.5∼5cm 정도의 소형. 어릴 때는 원추상 종형이고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굽어 있으면서 대와 크림색의 섬유상, 실모양 고리로 분어 있다가 떨어진다.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간혹 뚜렷한 돌출이 남아 있기도 한다. 표면은 어릴 때, 0.5mm 정도 높이의 흑갈색 침이 방사상으로 전면에 덮여 있으나, 후에는 중간 부근에만 집중적으로 남고 가장자리는 드문드문해 지며, 방사상으로 크림색-연한 황토색의 바탕이 들어난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다소 털모양이 되기도 한다. 살은 백색, 중간은 두껍고 가장자리 쪽으로 얇아진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연한 크림색이 된다.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2∼4cm(굵기 6∼8mm), 원주형, 위쪽으로 다소 굵어지기도 한다. 속은 차 있거나 속이 비기도 한다. 대의 위쪽에는 백색의 가는 섬유상 고리가 형성되나 후에 탈락한다. 고리 위쪽은 백색, 고리 아래쪽은 갈색 바탕에 암갈색 비늘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위아밀로이드. 3.5∼5.5×2.3∼3.0㎛.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크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주홍여우갓버섯(여우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agaricus rubrotinctus (Peck) Sing. >Lepiota rubrotincta Pk.(여우갓버섯. 비기준종)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7%AC%EC%9A%B0%EA%B0%93%EB%B2%84%EC%84%AF%EC%86%8D%28Leucoagaricus%29" target=_blank>여우갓버섯속(Leucoagaricus)</a>
    특징 : 갓은 갈색을 띤 적색 바탕에 암적갈색 찢어진 비늘 산재. 주홍갓버섯 또는 여우갓버섯이라고도 함. 지역에 따라 색깔 차이가 있음.
    자실체 : 갓은 폭 4∼8cm의 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후에 평평한 형으로 되고 가운데가 돌출된다. 표면은 처음에는 암적갈색의 비로드상이지만, 갓이 퍼지면서 표피가 찢어져서 갈색을 띤 적색의 바탕에 암적갈색의 찢어진 비늘이 산재한다. 식용.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대는 길이7∼12cm(굵기3∼6mm), 밑동은 부풀어서 8∼13mm까지도 된다. 백색이고 속이 비어 있다. 고리는 막질 백색인데 가장자리는 적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멜쩌액 적색반응, 포자벽이 두껍다. 6.4∼10.4×4.1∼5.3㎛.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암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정원 내, 죽림 내의 지상에서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조덕현, 이지열. 2010. 한국의 버섯도감Ⅰ. 409pp. 저숲출판
    박완희, 이지현. 2011. 새로운 한국의 버섯. 454pp. 교학사

    file
    Read More
  12. 과립여우갓버섯(미국여우갓버섯, 과립각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agaricus americanus (Peck) Vellinga > Leucocoprinus bresadolae (Schulz.) Wasser(과립각시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7%AC%EC%9A%B0%EA%B0%93%EB%B2%84%EC%84%AF%EC%86%8D%28Leucoagaricus%29" target=_blank>여우갓버섯속(Leucoagaricus)</a>
    특징 : 중형. 허연색 바탕에 담갈색∼암갈색 비늘, 중앙이 진하다. 살은 백색, 자르면 적변. 과립각시버섯이 속이 달라져서 개칭됨.
    자실체 : 갓은 폭 5∼10cm 정도의 중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약간 돌출된다. 표면은 허연색의 바탕에 담갈색∼암갈색의 알갱이모양 인편이 피복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진하고 촘촘하며 가장자리 쪽으로는 드문드문 하게 된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지만 약간 불명료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13cm(굵기10∼30mm), 밑동은 방추상이 된다.

    포자 : 포자는 광난형. 평활, 9∼10.5×6.5∼7.5㎛.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톱밥, 쌓여있는 짚더미, 그루터기 등에 다수가 군생∼속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황금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xanthophylla P. D. Orto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 돌출, 황토갈색∼계피색 인편 피복. 주름살은 황색.
    자실체 : 갓은 폭 2∼4cm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다소 돌출된다. 어릴 때는 표면에 황토갈색∼계피색의 미세하고 끝이 뾰족한 인편이 덮여있지만, 갓이 퍼지면 중앙부 이외의 표면에 알갱이 모양 파편이 되어서 동심원상으로 산재되고 황색을 띤 바탕이 들어난다. 살은 담황색, 변색성은 없다.
    주름살은 담황색∼레몬황색. 약간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며, 폭은 보통.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5∼6cm(굵기 3∼4mm), 원주형, 상하 같은 굵기, 위쪽에 고리 흔적이 있으며, 고리는 거의 발달하지 않고 소실성이다. 고리 위쪽은 담황색, 아래쪽은 회갈색의 작은 인편이 부착되어 있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장타원형∼타원형. 평활, 투명, 6.5∼8×3∼4㎛.
    색상 : 황토갈색∼계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길 옆에 흔히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아프리카.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볼록포자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ventriosospora Rei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황토색, 황색∼황갈색 인편이 피복, 대는 황색 끼를 띤 솜털 모양 털이 피복.
    자실체 : 갓은 폭 4∼8cm 정도의 소형∼중형. 원추형의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황토색, 황색∼갈색의 인편이 피복되어 있고 중앙이 진하다. 살은 갓은 허연색, 대는 갈색 및 적갈색 끼를 띤다.
    주름살은 백색. 약간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4cm(굵기4∼8mm), 갓과 같은 색. 황색 끼를 띤 솜 모양의 털이 피복되어 있고 특히 밑동 쪽으로 심하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전분반응, 17.8∼22.4×4.2∼5.4㎛. 포자문은 연한 황색.
    색상 : 황토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알갱이원추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subgracilis Wasser >Lepiota Kuehneriana Locq.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소형. 갈색고리갓버섯과 비슷하지만, 다소 크고 갓색이 적갈색으로 진하고 고리 아래의 부분이 허연색 바탕에 갈색 면모상 솜털이 산재되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2(2.5)∼4cm의 소형. 어릴 때는 둥근산형, 후에 중앙이 돌출된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크림색 바탕에 적갈색의 잔비늘이 동심원상으로 덮여 있다. 잔비늘은 중앙에 집중되어 판 모양이나, 가장자리 쪽은 사이가 벌어져 있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고르다. 살은 얇고 백색.
    주름살: 백색, 폭이 넓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길이4∼6(7)cm(굵기4∼8mm), 원주형, 다소 아래쪽으로 굵어지기도 한다. 단단하지만 부러지기 쉽고, 속이 비었다. 백색 면모상의 턱밭이가 있고, 턱받이의 윗 부분은 허연색, 미세하게 백색 섬유상, 아래쪽은 허연색 바탕에 갈색 면모상 솜털이 산재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수박씨 모양. 평활, 투명, 전분반응, 9.2∼12×5∼6.2㎛. 포자문 크림황색.
    색상 : 크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의 나지토양 또는 낙엽 사이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16. 노란주름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subcitrophyll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소형. 갓은 담황색 바탕에 회갈색∼암갈색 인편 산재. 주름살은 레몬황색. 솜찌끼 모양 고리.
    자실체 : 갓은 폭 2.5∼3cm 정도의 소형. 원추상 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약간 돌출된다. 바탕색은 담황색인데 회갈색∼암갈색의 표피 인편이 찢어져서 점 모양으로 산재되고 중앙에 밀집된다. 살은 황색. 상처를 받으면 청변한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레몬황색. 약간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5.5cm(굵기2∼3mm), 밑동이 약간 굵다. 담황색의 바탕에 회갈색의 가는 인편이 산재한다. 고리는 솜 찌끼 모양이고 조락성이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한쪽이 잘린 총알 모양. 8.5∼10.5(12.5)×3.5∼4㎛.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와 모밀잣밤나무 등의 혼효림 지상에 난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장미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rosea Re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극소형, 처음은 둥글고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나 점차 편평해짐, 분홍색 후 황분홍색
    자실체 : 갓의 지름은 2~3.1cm이고 처음은 둥글고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나 점차 편평하여지며 가운데가 볼록한 채로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색은 분홍색 후 황분홍색으로 된다. 표면에 과립 또는 분상의 인편이 밀포한다. 가장자리는 약간 거칠고 굴곡성을 나타낸다. 살은 백색이고 얇다.
    주름살은 백색이나 차차 옅은 백색으로 된다. 바른주름살이다.
    대는 5~6cm이고 굵기는 0.3~0.5cm이다. 윗쪽은 백색이고 그 외에는 갓색과 같다. 고리가 있으며 턱받이 아래로 솜털 또는 과립상태의 비늘이 부착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락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끝이 뾰족, 백색 4.5~5.2(-6)×3~3.5㎛, 비아미로이드.
    연낭상체의 크기는 37.5~52.5×4.5~6㎛이고 자루가 긴 곤봉형이다. 담자기는 곤봉형이고 4포자성이며 크기는 18~27×6~7.5㎛이다. 균사에는 꺽쇠가 있다.

    색상 : 분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걸쳐서 활엽수림의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및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애기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praetervis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극소형. 갓 표면에 암갈색의 인편, 고리는 백색인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0.5∼1.2(2)cm 정도의 극소형. 둥근산형. 표면의 바탕색은 백색인데, 암갈색의 미세한 인편이 있고 중앙부에 밀집되어 있다. 살은 매우 얇고 백색. 비식용.
    주름살은 백색.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2∼3cm(굵기0.2mm), 약간 굽어 있다. 고리는 백색의 막질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난형. 평활, 위 전분반응, 5∼6×2.5∼3㎛.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임내의 부식토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선녀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oreadiformis Ve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갓의 지름은 2~3cm로 어릴 때 원추형에서 원추상의 종모양을 거쳐 편평해지나 중앙은 약간 볼록하다.
    자실체 : 갓의 지름은 2~3cm로 어릴 때 원추형에서 원추상의 종모양을 거쳐 편평해지나 중앙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크림색에서 밝은 황토색 또는 검은 황토색이지만 중앙은 적갈색이며 밋밋하고 갈색의 과립 인편으로 덮이고 방사상으로 주름진다. 건조하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예리하고 미세한 술장식이며 어릴 때 백색의 섬유가 있다. 살은 백색이며 얇고 흙냄새가 약간 나고 맛은 없지만 온화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끝붙은주름살로 어릴 때 백색으로 오래되면 밝은 황토색으로 되며 폭은 넓다. 가장자리는 약간 섬유상이다. 자루의 길이는 4~5cm, 굵기는 4~5mm로 원통형으로 속은 비고 질기다. 표면은 백색이고 위쪽에 섬유상의 턱받이가 있고 희미한 세로줄의 섬유무늬가 있으며 턱받이 아래쪽은 밝은 황토색으로 세로줄의 백색 섬유가 있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10~16.2×4.5~6.2㎛로 타원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거짓아미로이드 반응이다. 담자기는 막대형으로 25~35×9~12㎛이다. 기부에 꺾쇠가 있다. 연낭상체는 막대형이고 17~35×7~12㎛이며 측낭상체는 없다.
    색상 : 크림색,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풀밭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20. 애기여우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micropholis (Berk. & Br.) Sacc.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3%EB%B2%84%EC%84%AF%EC%86%8D%28Lepiota%29" target=_blank>갓버섯속(Lepiota)</a>
    특징 : 극소형, 갓은 백색 바탕에 적색 끼를 띤 갈색 인편이 피복, 중앙이 진하다.
    자실체 : 갓은 1∼2cm의 극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의 바탕색은 백색이며, 적색 끼를 띤 갈색의 가는 인편이 있다. 인편은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산재된다. 살은 매우 얇고 백색. 식용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백색. 약간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4(5)cm(굵기 2∼3mm), 위쪽이 약간 가늘며 하부는 약간 굽어 있고 밑동은 약간 굵다. 백색 평활, 약간 위쪽에 고리가 있으며, 고리는 위쪽이 백색, 아래쪽이 흑갈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 평활, 5∼6×2.5∼3.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정원이나 온실 부식토, 침엽수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