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7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Chlorophyllum neomastoideum (Hongo) Vellinga > Macrolepiota neomastoidea (Hongo) Hongo)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9D%B0%EA%B0%88%EB%8C%80%EB%B2%84%EC%84%AF%EC%86%8D%28Chlorophyllum%29 target=_blank>흰갈대버섯속(Chlorophyllum) </a>
특징 중형. 갈색∼회갈색 표피 인편이 갓 중앙에 크게 대형으로 남는다. 대에 허연색 고리. 독큰갓버섯이 개칭됨.
독이 있어서 먹으면 구토, 복통, 설사 등을 하나 치명적이지 않다. 큰갓버섯 비슷하여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자실체 갓은 폭 7∼10cm 정도의 중형. 처음에는 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부가 돌출된다. 갓이 퍼지면서 담황갈색의 표피가 인편으로 되어 중앙에 크게 대형으로 남아 있고 때에 따라서 약간의 소형 표피 인편이 주변에 산재된다. 바탕 살갗의 색은 백색 섬유상인데 가는 거스러미가 있다. 살은 백색. 상처를 받으면 적색으로 변한다. 독이 있어서 먹으면 구토, 복통, 설사 등을 하나 치명적이지 않다.
큰갓버섯 비슷하여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두껍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8∼12cm(굵기4∼8mm), 표면은 그의 백색. 오래되면 탁한 갈색을 띤다. 밑동은 급격히 부풀어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고리는 허연색, 반지 모양을 띠기도 하며 움직일 수 있다.
포자 타원형∼난형. 평활, 발아공이 있다. 7.5∼9.5×5∼6㎛.
색상 흰색, 회갈색
발생계절 가을
발생형태 가을. 대밭, 임지 등에 다수 군생. 때에 따라서는 균환을 만든다.
분포 한국, 일본.
식용여부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Chlorophyllum_molybdites.jpg

 

Chlorophyllum_rhacodes_LC0093.jpg

 

사진출처 : http://www.wikiwand.com/ru/%D0%A5%D0%BB%D0%BE%D1%80%D0%BE%D1%84%D0%B8%D0%BB%D0%BB%D1%83%D0%BC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흰여우솜갓버섯(흰여우갓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lepiota pseudogranulosa (Berk. & Br.) Pegler > Lepiota pseudogranulos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9C%EA%B0%93%EB%B2%84%EC%84%AF%EC%86%8D%28Cystolepiota%29 target=_blank>솜갓버섯속(Cystolepiota)</a>
    특징 : 극소형. 갓과 대 표면에 백색∼담갈색의 면질∼분질물이 두껍게 피복되어 있다. 흰여우갓버섯아재비가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불필요한 아재비 삭제.
    자실체 : 갓은 폭 1.3∼2cm 정도의 극소형. 원추상종형이다가 둥근산형이 된다. 표면의 바탕색은 백색인데, 백색∼담갈색의 면질∼분질물이 두껍게 피복되어 있다.
    가장자리 끝은 분질의 외피막 파편이 붙어 있다. 이 분질물은 손으로 만지면 묻기 쉽다. 살은 매우 얇고 백색. 식독 불명.
    주름살는 백색이다가 갈색의 얼룩이 지고 약간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2∼4cm(굵기1.5∼2mm), 표면과 같은 분질물이 붙어 있으며, 위쪽에 면질∼분질의 고리가 있고 소실되기 쉽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4.5∼5.5×2.5∼3㎛.
    색상 : 백색, 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활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거의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조덕현, 이지열. 2010. 한국의 버섯도감Ⅰ. 409pp. 저숲출판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2. 대나무솜갓버섯(대나무삿갓버섯, 대나무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lepiota hetieri (Boud.) Sing. (구 학명 :Lepiota hetieri Bou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9C%EA%B0%93%EB%B2%84%EC%84%AF%EC%86%8D%28Cystolepiota%29 target=_blank>솜갓버섯속(Cystolepiota)</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탁한 백색∼회갈색, 표면에 가루모양 피복물. 대는 흔히 밑동이 공 모양. 대나무갓버섯을 속이 달라져서 개칭됨.
    자실체 : 갓은 1.5∼3.5(4.5)cm 정도의 극소형∼소형. 반구형∼종형이다가 둥근산형으로 퍼진다. 표면은 처음에는 탁한 백색이다가 후에 탁한 회갈색이 된다. 오래된 것이나 습할 때는 적색을 띤다. 표면에 가루모양의 피복물이 덮인다. 가장자리 끝에는 분상 막질의 막편이 붙기도 한다. 살은 얇고 백색. 대의 밑동 살은 붉은 끼를 띠기도 한다. 비식용.
    주름살은 허연색. 후에 회색을 띤다.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5∼6cm(굵기3mm), 흔히 밑동이 공 모양 둥글다. 표면은 갓과 같은 분상이다.

    포자 : 한쪽 끝이 잘린 총알 모양. 6∼7×2.5∼3㎛.
    색상 : 회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혼효림 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3. 장미솜갓버섯(장미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lepiota moelleri Knudsen(구 학명:Lepiota rosea Rea 장미갓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9C%EA%B0%93%EB%B2%84%EC%84%AF%EC%86%8D%28Cystolepiota%29 target=_blank>솜갓버섯속(Cystolepiota)</a>
    특징 : 소형. 갓은 분홍색∼분홍갈색의 분상∼알갱이 모양 피복물이 촘촘히 덮여 있다. 장미갓버섯을 속이 달라져서 개칭됨
    자실체 : 갓은 폭 2∼3cm 정도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된다. 처음에는 분홍색이다가 오래되면 분홍갈색이 되고 촘촘하게 분상∼알갱이 모양의 피복물이 덮여 있다. 가장자리 끝에는 피막 잔재물이 거치상으로 붙어 있다. 살은 백색. 밑동 쪽은 분홍색 끼를 띠게 된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크림색이 된다. 약간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포자문은 백색.
    대는 5∼6cm(굵기3∼5mm), 꼭지 쪽은 백색, 고리
    아래쪽은 갓과 같은 색. 고리는 좁고 곧 소실된다.

    포자 : 타원형. 평활, 비 전분반응, 4.5∼6×2.5∼3.5㎛.
    색상 : 분홍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활엽수 임지의 습한 땅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4. 일본가루낭피버섯(일본낭피버섯, 일본갈색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ella japonica (Thoen & Hongo) Harmaja(구 학명:Cystodermajaponicum Thoen &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0%EB%A3%A8%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ella%29 target=_blank>가루낭피버섯속(Cystodermell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황토색∼밝은 황갈색 분상물질 피복, 방사상 주름이 잡히는 특징이 있다. 대는 갓과 같은 색, 작은 입자가 피복.
    자실체 : 갓은 폭 2.5∼6(10)cm 정도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해 지고 가운데가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황토색∼밝은 황갈색. 입자나 분상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자라면서 표면에는 방사상의 주름이 잡히기도 하며 어릴 때 가장자리 끝에는 피막의 잔편이 붙어 있다. 식독 불명(식용?).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대는 3∼5cm, 위쪽에 고리가 있다. 갓과 같은 모양의 작은 입자가 피복되어 있고 고리 위쪽은 백색∼담황토색을 띠며 거의 평활하다. 고리는 백색 막질로 비교적 크고 부서지기 쉽다.

    포자 : 3.9∼5×2.5∼3.3㎛.
    색상 : 황토색,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에 버려진 왕겨 위나 대나무밭 낙엽 상에 군생. 흔히 균환을 형성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조덕현, 이지열. 2010. 한국의 버섯도감Ⅰ. 409pp. 저숲출판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5. 황갈색가루낭피버섯(황갈색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ella cinnabarina (Alb. & Schw.) Harmaja (구학명:Cystoderma terrei (Berk. & Br.) Harmaj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0%EB%A3%A8%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ella%29 target=_blank>가루낭피버섯속(Cystodermell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벽돌색을 띤 적색∼오렌지갈색 입자 피복. 주름살은 백색, 대는 흔히 연한 색이다. 고리가 있다. 지역에 따라 색깔이 다양해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폭 2∼6(10)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되고 가운데가 돌출된다. 표면은 벽돌색을 띤 적색∼오렌지 갈색 또는 홍적색 등의 작은 입자가 밀포되어 있다. 색깔이 비교적 다양한 편이다. 만지면 색깔이 진해진다. 가장자리는 물결모양 굴곡 되기도 한다. 살은 허연색. 식용.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대에 띠붙음∼치붙음.
    대는 2∼5(7)cm(굵기3∼10mm), 다소 연한 색. 위쪽에 고리가 있다. 고리의 밑은 적갈색의 입자가 피복되며 고리는 소실되기 쉽다.

    포자 : 넓은 타원형∼난형. 평활, 3.6∼5×2.4∼3.2㎛.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오렌지, 적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낙엽송이나 기타 침엽수림 또는 활엽수림에 난다.
    분포 :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가루낭피버섯(과립갈색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ella granulosa (Batsch) Harmaja(구학명:Cystoderma granulosum (Batch.) Fayo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80%EB%A3%A8%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ella%29 target=_blank>가루낭피버섯속(Cystodermella)</a>
    특징 : 소형. 갓은 다갈색∼계피색 입자 피복, 중앙은 암적갈색으로 진하다. 대는 같은 색, 고리가 있다. 표면의 알갱이가 다소 크고 밀집된 모양이다. 색깔 차이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2∼5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된다. 간혹 가운데가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된다. 표면은 다갈색∼계피색의 입자나 분상 물질이 피복되어 있고 중앙이 암적갈색으로 진하다. 가장자리는 후에 물결모양 굴곡되며, 어릴 때 허연색 피막의 잔편이 부착되어 있다. 살은 백색이고 대는 표면과 비슷한 색을 띤다. 식용.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약간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치붙음.
    대는 2∼7cm(굵기3∼6mm), 위쪽에 작고 부서지기 쉬운 고리가 있다. 표면은 갓과 같은 모양의 작은 입자가 피복되어 있고 고리 위쪽은 백색∼연한 갈색을 띠며 거의 평활하다.

    포자 : 타원형. 평활, 투명, 3.7∼4.5×2.3∼2.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다갈색∼계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발생. 식용한다.
    분포 :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7. 신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a neoamianthinum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a%29" target=_blank>낭피버섯속(Cystoderma)</a>
    특징 : 둥근산형∼평평한 형. 표면에 밝은 황색∼황토색 알갱이 밀포 특징이 있다. 주름살은 백색. 대는 갓과 같은 색. 갓이 작고 밝은 황색 끼를 띤다.
    자실체 : 갓은 폭 1.5-4cm, 둥근산형에서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꼭지가 거의 없다. 표면은 밝은 황색∼황토색의 작은 알갱이가 밀포되어 있다. 살은 거의 백색, 표피 밑 부분은 약간 황색으로 변색한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거의 백색, 빽빽하며 폭이 3∼5mm, 대에 치붙음.
    대는 2-6cm(굵기 3∼7mm) 턱받이 위쪽은 약간 황색을 띠고 분상, 하부는 황색∼황토색의 작은 알갱이가 덮여 있다. 대는 속이 차 있고 턱받이는 폭이 좁고, 탈락하기 쉽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광타원형. 평활, 투명, 약한 아밀로이드. 3.5∼4×2.5∼3μm.
    색상 : 황색∼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낙지, 쓰러진 나무, 대나무의 그루터기 등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귤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a fallax A.H. Sm. &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a%29" target=_blank>낭피버섯속(Cystoderma)</a>
    특징 : 갓은 황갈색∼녹슨 갈색 알갱이가 피복된 특징이 있다. 지역에 따라 색깔과 형태에 다소 큰 차이가 있어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폭 2.5∼5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둥근산형 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된다. 표면은 황갈색∼녹슨 갈색의 분상∼알갱이모양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살은 얇고 백색.
    주름살은 허연색. 폭이 좁으며 촘촘하고 대에 띠붙음.
    대는 2.5∼7.5cm(굵기3∼5mm), 상하 같은 굵기이고 때때로 밑동이 굵으며 위쪽에 적갈색의 고리가 있다. 고리 위쪽은 평활, 백색. 아래는 갓과 같은 색. 미세한 알갱이가 분상 또는 거스름 모양으로 피복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아밀로이드. 3.5∼5.5×2.8∼3.6㎛.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침엽수 임내의 낙엽 사이나 이끼 사이에 난다.
    분포 : 한국, 미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흰분말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a carcharias (Pers.) Fayo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a%29" target=_blank>낭피버섯속(Cystoderma)</a>
    특징 : 갓은 칙칙한 백색, 중앙은 분홍베이지색, 알갱이 모양 입자 밀포. 대에 막질 고리, 아래쪽은 분홍 백색, 분상 피복.
    자실체 : 갓은 폭 2∼6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원추형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되며 가운데가 원추형으로 돌기된다. 표면은 칙칙한 백색∼연한 회색, 중앙은 베이지색∼갈색으로 진하며 분홍색 끼를 띠기도 한다. 표면에는 미세한 알갱이 모양 입자가 밀포되어 있다. 가장자리 끝에 허연색의 외피막 잔편이 붙기도 한다. 살은 얇고 백색. 식용.
    주름살은 허연색∼연한 분홍색. 폭이 좁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대는 2∼6cm(굵기3∼7mm), 상하 같은 굵기이고
    위쪽에 고리가 있다. 고리 위쪽은 평활, 백색, 아래쪽은 연한 분홍백색, 미세한 알갱이가 분상으로 피복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쌀알모양. 평활, 투명, 3.9∼5.7×2.9∼3.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흰색, 미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내의 풀 속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낭피버섯(참낭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stoderma amiantinum (Scop.) Fayo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2%AD%ED%94%BC%EB%B2%84%EC%84%AF%EC%86%8D%28Cystoderma%29" target=_blank>낭피버섯속(Cystoderma)</a>
    특징 : 표면은 황토색∼오렌지황색. 주름살은 백색, 대는 고리가 있고 고리 아래는 갓과 같은 색. 지역에 따라 색깔, 형태 등이 다소 차이가 있다. 참낭피버섯이 바뀜.
    자실체 : 갓은 폭 2∼5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원추형이다가 가운데가 높은 평평한 형으로 된다. 표면은 황토색∼오렌지황색, 중앙이 다소 진하고, 미세한 입자가 밀포되어 있다. 성숙하면서 방사상으로 우글쭈글한 주름이 잡히기도 한다. 살은 연한 황색. 식용.
    주름살은 백색. 약간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대는 3∼6cm(굵기3∼8mm), 위쪽에 조락성의 고리가 있다. 고리의 위쪽은 백색∼연한색의 분상이고 아래쪽은 갓과 같은 색. 미세한 입자가 밀포된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5.4∼6.5×3.2∼4.1㎛. 포자문은 크림색.
    색상 : 오렌지,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내의 지상에 난다. 변이가 많다.
    분포 : 북반구 일대, 아프리카.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이지열. 2000. 한국 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87pp. 임업연구원
    박완희, 이지현. 2011. 새로운 한국의 버섯. 454pp. 교학사

    file
    Read More
  11. No Image

    볏짚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boninensis S. Ito & Ima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소형. 갓이 퍼지면서 중앙이 다소 돌출되고 중앙에 갈색 인편, 주변은 갈색.
    이 버섯은 일본에서도 절멸종 또는 절멸 직전종으로 분류

    자실체 : 갓은 폭 약 3cm 정도의 소형. 평평하게 퍼지면서 중앙이 다소 돌출된다. 표면은 습할 때 다소 점성이 있다. 중앙에 갈색의 작은 인편이 있고, 주변은 갈색 혹은 백색 끼의 섬유가 있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나 후에 자회색, 흑갈색이 된다. 촘촘하고 매우 얇으며 대에 떨어진 붙음. 오래되면 녹아 액화된다.
    대는 5∼8cm(굵기3∼6mm), 백색이고 위쪽으로 가늘어지며 섬유상의 작은 인편이 피복되어 있다. 속이 비어 있다. 대의 살은 백색이고 매우 얇으며 파손되기 쉽다.

    포자 : 타원형∼아구형. 평활, 자갈색, 7.5×5∼6㎛. 포자문은 자흑색.
    색상 :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에 썩은 풀 위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comatus (O.F. Müll.) Per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어릴 때는 갓이 원주형, 백색, 후에 먹물처럼 녹아내린다.
    자실체 : 갓은 폭 3∼5cm의 소형. 처음에는 원주형∼이 난형인데 대의 반 이상을 씌우고 있다. 표면은 처음에는 백색인데 백색의 섬유상 털과 연한 회황색∼담황토색의 손 거스름 모양의 인편이 덮여 있다. 오래된 갓은 가장자리가 검어지면서 먹물처럼 녹아서 떨어지고 줄어든다. 살은 어릴 때 백색,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점차적으로 담홍색이다가 흑색이 된다. 가장자리 부근은 검은 잉크 색으로 녹아내린다.
    대는 10∼25cm(굵기8∼15(20)mm), 백색, 포자가 낙하되면서 검은색을 띠기도 한다.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위쪽이 약간 가늘어지고 밑동 부근이 방추상으로 굵어지며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타원상 난형. 평활, 황갈색, 벽이 두껍고, 발아공이 있다. 9.5∼12×6.1∼8.3㎛.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초지, 들어난 땅, 정원, 길가 등에 군생 또는 속생. 가끔 보인다.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갈색점박이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cortinatus J. Lang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극소형. 갓이 퍼지면 병마개∼부채살 모양 홈선 주름이 나타난다.
    자실체 : 갓은 폭 0.8∼1.6cm 정도의 극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둥근산형, 후에는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갓이 퍼지면 방사상으로 홈선이 부채살 모양이 된다. 표면은 허연색(중앙부는 다소 담갈색)이고 가는 분질물이 덮여 있다. 식용 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후에 자회색∼흑색. 폭이 좁고 성기며, 대에 먼 붙음(隔生).
    대는 2∼4cm(굵기1∼1.5mm), 백색. 갓과 같은 모양의 분말이 피복된다. 살은 백색.

    포자 : 타원형. 평활, 암 적갈색, 발아공이 있다. 9.7∼11.3×6.3∼7.5㎛.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흰색,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지 내나 정원의 햇볕이 가려진 곳의 부식질이 많은 지상, 때에 따라서는 썩은 나무 위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애기말똥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ephemeroides (DC)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극소형. 백색의 가늘고 긴대 2/3 정도 되는 지점에 고리나 고리 흔적이 있고, 회백색 작은 갓이 달리는 특징이 있다. 소똥이나 말똥에 흔히 난다.
    자실체 : 갓은 폭 0.5∼0.8cm 정도의 극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 결국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지고 가장자리는 깊은 주름이 잡힌다. 표면은 백색∼회백색인데 전면에 백색∼담황토색의 분질물이 덮여있고 생장하면서 가장자리에 홈선이 나타나고 회백색으로 보인다. 흔히 방사상으로 찢어진다. 식용 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허연색이다가 흑색이 되고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2∼3cm(굵기0.5mm 내외), 매우 가늘고 길다. 반투명이고 평활하며 밑동은 둥글게 부풀어 있다. 속이 비어 있다. 대의 2/3쯤 되는 곳에 고리 흔 적이 있다.

    포자 : 타원형∼편도형. 평활, 암 황갈색, 발아공이 있다. 11.3∼15.8×6.4∼8.6㎛.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흰색, 회백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소똥이나 말똥 또는 볏짚 썩은 곳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소똥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patouillardii Quél. > Coprinus patouillardii Quél. f. patouillardii )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극소형. 갓이 극히 얇고 어릴 때 백색, 후에 무수한 부채살 모양 홈선이 생긴다.
    자실체 : 갓은 폭 1∼2cm 정도의 극소형. 처음에는 원주형 또는 드물게 구형이다가 후에 종형∼평형한 형이 되고 가운데가 대접모양으로 오목해 진다. 갓이 매우 얇고, 어릴 때 표면은 백색, 후에 부채살 모양 많은 홈선을 형성하여 아름답게 보이며, 연한 점토색∼연한 자갈색의 분상물질이 피복되고 가운데가 진하다.
    주름살은 백색이나 곧 담회갈색∼흑색으로 된다. 폭이 매우 좁고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2∼5cm(굵기2mm 내외), 매우 가늘고 길다. 백색이고 평활하며 파편상의 고리가 생기기도 하나 곧 소실된다.

    포자 : 전면에서 보면 아구형 렌즈모양, 측면에서 보면 타원형. 암 적갈색, 발아공이 있다. 8.6∼10.8×5.4∼7×8.1∼9.2㎛.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흰색, 흙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퇴비장 부근, 쓰레기 버린 곳 등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아시아,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애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rhizophorus Kawam. ex Hongo & Yokoy.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어릴 때는 백색 난형, 알갱이모양 피막잔존물 피복. 퍼지면서 가장자리가 뷸규칙하게 찢어진다. 밑동에는 흑갈색 균사속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2∼6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나 종형이 되고 가장자리 끝이 쳐들어지고 불규칙하게 찢어진다. 표면은 처음에는 백색, 생장하면서 담갈색이다가 회갈색이 된다. 방사상으로 긴 홈선이 나타난다. 피막은 백색∼갈색 끼를 띠며 후에 알갱이 모양의 파편이 되어 갓의 표면에 산재하거나 탈락한다. 식용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곧 흑갈색이 되고 액화성이 있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7∼14cm(굵기4∼6mm), 백색. 흔히 밑동 쪽이 다소 가늘어 지고 하반부에는 알갱이 모양의 인편이 산재한다. 밑동에는 다량의 분지된 흑갈색 균사속이 이어져 있다. 대의 살은 백색.

    포자 : 타원형∼난형. 평활, 발아공이 있다. 7∼9×4.5∼5.5㎛.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가을). 임지 내 토양, 길섶, 나지 등의 비옥한 흙 위에 다수가 속생한다. .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말똥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sterquilinus (Fr.)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어릴 때는 백색 난형, 후에 대가 8∼15cm로 매우 길어지고, 전체가 백색에서 흑갈색이 된다. 대 밑동에 고리가 있다. 어릴 때는 먹물버섯과 비슷함.(먹물버섯보다 솜털모양 피복물이 많이 생기는 것 같다)
    자실체 : 갓은 폭 처음에는 갓지름 2∼3cm, 높이 4∼6cm의 타원형∼난형이고 표면도 최초에는 거의 백색의 긴 섬유상 인편이 촘촘히 피복되어 있으나 후에 원추형이다가 거의 평평한 형이 되고 갓 표면의 색도 자회색∼흑갈색 또는 흑색으로 되며 연한 색의 탈락성의 인편이 부착된다. 갓이 펴지면 흔히 가장자리에 깊게 패인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난다. (*이 버섯은 어릴 때 먹물버섯과 흡사하지만 자라면서 갓이 작은 편이며, 표면의 섬유상 인편이 위쪽부터 많이 탈락되고 갓이 먹물버섯보다 넓게 퍼진 원추형이 되며, 녹아내림도 늦고, 많이 녹아내리지 않는 외형적 특징이 있다. 또 이 버섯의 포자는 먹물버섯보다 거의 배 정도 크다. 흔히 먹물버섯을 이 버섯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식용 여부는 미상.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다가 자갈색을 거쳐 흑색이 되며 액화된다. 빽빽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8∼15cm(굵기4∼8mm), 백색이다가 성숙하면 위쪽부터 흑갈색을 띠게 된다. 대의 밑동 쪽에 백색의 작은 고리가 형성되고 고리는 움직인다. 밑동은 다소 굵다.

    포자 : 타원형∼난형. 평활, 발아공이 있다. 17∼23×9.5∼13㎛.
    색상 : 흑갈색, 자회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주로 말똥 위에 발생
    분포 : 거의 전 세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흰가루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us stercorius (Scop.)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A8%B9%EB%AC%BC%EB%B2%84%EC%84%AF%EC%86%8D%28Coprinus%29 target=_blank>먹물버섯속(Coprinus) </a>
    특징 : 극소형. 갓이 극히 얇고 어릴 때는 백색의 입자 모양의 인편으로 덮여 있지만 소실하여 약간 가운데에 남고, 방사상 홈선이 나타난다
    자실체 : 갓은 지름 0.2~0.5㎝로 어릴 때 난형에서 종형~편평형이 되고, 성숙하면 때때로 가장자리는 위로 말린다. 표면은 백색이며 어릴 때는 백색의 입자 모양의 인편으로 덮여 있지만 소실하여 약간 가운데에 남고, 방사상 홈선이 나타난다. 조직은 특히 얇고 백색이다. 주름살은 끝붙은형으로 성기며 백색에서 갈색~흑색이 된다. 대는 1~3×0.05~0.1㎝이고 백색이고 속은 비었고 윗부분으로 점차 가늘어진다. 표면은 어릴 때는 백색 솜털로 덮여 있으나, 나중에는 탈락하여 반투명한 백색이 된다. 기부는 부풀고, 거짓뿌리가 있으며 검은색의 균핵으로 연결된다.
    포자 : 7.5~9×4~5㎛로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에 동물의 분, 퇴비, 쓰레기장에 단생 혹은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주, 오스트레일리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흰갈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hlorophyllum molybdites (Meyer) Masse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9D%B0%EA%B0%88%EB%8C%80%EB%B2%84%EC%84%AF%EC%86%8D%28Chlorophyllum%29 target=_blank>흰갈대버섯속(Chlorophyllum) </a>
    특징 : 대형. 갓은 백색,솜털 모양 인편 밀포. 중앙에 두껍고 넓은 담황갈색 인 편 산재. 주름살은 백색-담녹색-암 올리브갈색이 됨(갈색끼가 심해짐). 포자문이 녹색인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10∼15cm 정도의 대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백색. 솜털모양의 가는 인편이 밀포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밀집되어 두껍고 넓은 담황갈색의 인편조각이 산재되어 있다. 살은 백색이나 후에 담황색이 된다. 독버섯으로 구토, 설사, 복통, 오한, 발열 등을 야기한다. 큰갓버섯으로 잘못 오인되기 쉽다. 식용해선 안 된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후에 담녹색, 성숙하면 암올리브 갈색을 띠며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10∼25cm(굵기1∼2cm), 회백색∼담황갈색.
    속이 차 있다. 대의 상부에 두겹의 막질로 된 고리가 있고 밑동은 부풀어 있다.

    포자 : 타원∼난형. 평활, 벽이 두꺼우며 갈색 끼가 있다. 6.5∼7×4.5∼5.5㎛. 포자문은 녹색.
    색상 : 흰색,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풀밭, 숲 속의 땅 위에 난다. 흔히 군생하거나 균환(菌環)을 만든다.
    분포 : 한국, 일본. 아시아, 남북미, 동아프리카.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독흰갈대버섯(독큰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hlorophyllum neomastoideum (Hongo) Vellinga > Macrolepiota neomastoidea (Hongo)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D%9D%B0%EA%B0%88%EB%8C%80%EB%B2%84%EC%84%AF%EC%86%8D%28Chlorophyllum%29 target=_blank>흰갈대버섯속(Chlorophyllum) </a>
    특징 : 중형. 갈색∼회갈색 표피 인편이 갓 중앙에 크게 대형으로 남는다. 대에 허연색 고리. 독큰갓버섯이 개칭됨.
    독이 있어서 먹으면 구토, 복통, 설사 등을 하나 치명적이지 않다. 큰갓버섯 비슷하여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자실체 : 갓은 폭 7∼10cm 정도의 중형. 처음에는 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부가 돌출된다. 갓이 퍼지면서 담황갈색의 표피가 인편으로 되어 중앙에 크게 대형으로 남아 있고 때에 따라서 약간의 소형 표피 인편이 주변에 산재된다. 바탕 살갗의 색은 백색 섬유상인데 가는 거스러미가 있다. 살은 백색. 상처를 받으면 적색으로 변한다. 독이 있어서 먹으면 구토, 복통, 설사 등을 하나 치명적이지 않다.
    큰갓버섯 비슷하여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두껍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8∼12cm(굵기4∼8mm), 표면은 그의 백색. 오래되면 탁한 갈색을 띤다. 밑동은 급격히 부풀어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고리는 허연색, 반지 모양을 띠기도 하며 움직일 수 있다.

    포자 : 타원형∼난형. 평활, 발아공이 있다. 7.5∼9.5×5∼6㎛.
    색상 : 흰색, 회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대밭, 임지 등에 다수 군생. 때에 따라서는 균환을 만든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