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제비꽃

    학명 : Viola raddean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선씨름꽃 선오랑캐
    잎 : 잎은 호생하고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은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4-10cm이고 밑부분의 폭이 1-3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이며 탁엽은 녹색이고 길이 3-6cm로서 큰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1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소화경은 액생하며 길이 5-10c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6mm이고 부속체는 밋밋하며 짧고 꽃잎은 길이 8-10mm이며 측판에 자주색 줄이 있고 다른 꽃잎보다 짧으며 잔털이 약간 있고 거는 반구형이며 길이 1.5-2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난형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원줄기는 총생하고 털이 없으며 가늘고 곧게 서며 밑부분이 다소 흑색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수원시; 경상남도 양산시)
    형태 : 다년생 초본


    file
    Read More
  2. 복수초

    학명 :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복수초속(Adonis) target=_blank>복수초속(Adonis)</a>
    이명 : 가지복소초 가지복수초 눈색이속 복풀 )
    잎 :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고 길이 3-10cm로서 2회 우상으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이고 긴 엽병 밑에 잘게 갈라진 녹색 탁엽이 있다.
    꽃 : 꽃은 4월 초순에 피며 지름 3-4cm정도의 황색이고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가지가 갈라져서 2-3개씩 피는 것도 있다. 꽃받침잎은 흑자색으로서 여러 개이고 꽃잎은 20-30개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수평으로 퍼지고 도피침형이고 꽃잎에 꿀샘이 없으므로 별개의 속으로 분류된다. 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전체가 둥글게 보이고 짧은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4mm의 수과이며 화탁에 모여 달려서 전체가 둥글게 보이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10-30cm로서 털이 없으나 때로는 윗부분에 털이 약간 있고 밑부분이 얇은 막질의 잎으로 싸인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흑갈색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분포 : ▶동부 시베리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제주도에서 함경도에 이르기까지 광활하게 자연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우리 나라에는 1속 1종이 나며 일본에서는 120여 품종이 개발되어 관상하고 있다.
    특징 : ▶속명 Adonis는 희랍 신화의 청년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며 종명은 아무르지방에서 자란다는 뜻이다. ▶지역에 따라 개화시기를 비롯하여 잎 줄기들의 형질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자생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가지 부류로 특성이 뚜렷하게 구별된다. ①경기 북부지역 : 중부지방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하면 3월경에 꽃대가 올라와 4월초 중순경에 개화한다. ②백두대간 표고 약 800m이상 되는 고산지역 : 개체의 초장이 상대적으로 왜성이며 개화시기가 1월말-2월 초순에 걸쳐 빠르다. 꽃은 직경 2-5cm 미만으로 소형이다. ③계룡산 칠갑산 모악산 충청도의 해안 및 도서지역 : 개화시기는 1월말-2월 중순으로 빠르며 꽃은 직경 5-7cm정도로 대형이다. ④제주지역 : 다른 종들과는 달리 꽃과 잎이 함께 피며 잎이 상대적으로 연한 초록색을 띤다. 잎이 깊게 갈라지고 질감이 부드럽다.
    file
    Read More
  3. 나도바람꽃

    학명 : Enemion raddeanum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바람꽃속(Enemion) target=_blank>나도바람꽃속(Enemion)</a>
    이명 : 향수꽃
    잎 :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잎자루가 있고 길이가 2∼4cm, 폭이 1∼3cm로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다시 깊게 패어 들어간 모양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흰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길이 3cm의 작은 꽃자루들이 우산 모양으로 달리고 그 끝에 1송이씩 달린다.
    포는 줄기에 달린 작은잎과 비슷한 모양이다.
    꽃받침조각은 4∼5개로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6mm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길이가 4mm이며 그 수가 많고, 암술대는 위쪽이 굵다.

    열매 : 열매는 6~7월경에 3~5개의 방으로 달린다.
    골돌과이고 3∼5개가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길이가 4∼5mm이고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 : 기부는 인편형 잎이 있다.
    줄기는 약하고 곧게 서며 높이가 20∼30cm이다.
    줄기 밑 부분에 비늘조각 같은 잎이 몇 개가 있고 줄기 중앙 윗부분에 잎이 달린다.

    뿌리 : 뿌리줄기는 짧고 밑 부분에 많은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중.북부) 일본 만주 우수리 아무르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file
    Read More
  4. 가는금불초

    학명 : 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Turcz.)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불초속(Inula) target=_blank>금불초속(Inula)</a>
    이명 : 가는잎금불초 좁은잎금불초
    잎 : 잎은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길고 창모양이며 잎자루가 길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창모양 또는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9cm, 폭 6-10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보인다. 앞쪽잎에는 털이 없으나 뒤쪽에는 선점과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지름 18-25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흔히 포엽이 없다.
    꽃차례받침은 반구형이며 길이 4-6mm, 지름 8-14mm이고 포린은 4줄로 배열되며 가장이꽃은 길이 10mm정도로서 황색이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원기둥모양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털과 더불어 10개 능선이 있고 갓털은 길이 3mm정도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높이 30-7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나 2-3개가 함께 자라기도 하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 뿌리는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형태 : 다년초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