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큰절굿대
학명 : Echinops latifolius Tau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절굿대속(Echinops) target=_blank>절굿대속(Echinops)</a>
이명 : 절구대큰분취아재비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거의 없어지며 타원상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5-3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엽맥에는 털이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5-6쌍의 열편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가시로 된다. 밑잎에는 긴 엽병이 있고 윗잎은 엽병없이 줄기를 감싼다.
꽃 : 두화는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둥글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편은 길이 17-18mm 나비 5mm로서 외포편이 내포편보다 점차 짧아지며 주걱형이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뒷면에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내포편은 긴 능형(菱形)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갈색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1mm정도의 인편으로서 밑이 합생하였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60-8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밑부분에는 거미줄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서는 백색의 솜털이 있다.
뿌리 : 길이 10-25cm의 육질인 원주형 뿌리가 있으며 겉은 황갈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