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흰씀바귀
학명 : Ixeridium dentatum f. albiflora (Makino)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씀바귀속(Ixeridium) target=_blank>씀바귀속(Ixeridium)</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형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긴 엽병과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결각이 약간 생긴다. 경생엽은 2-3개이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4-9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잔톱니가 있거나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15mm정도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끝에 산방상으로 달린다. 소화가 7-8개이고 백색 꽃이 핀다. 총포는 털이 없고 길이 8mm 지름 2.5-3mm로서 통형이며 외포편은 길이 1mm정도이고 외포편은 5-8개로서 총형이며 소포는 길이 9.5-1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5mm이고 부리는 길이 1-1.5mm로서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4.5mm로서 연한 황색이다.
줄기 : 높이 25-5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씀바귀 : 기본종 ▶꽃씀바귀 (var. amplifolia KITAM.): 황색 꽃이 핀다.
특징 : ▶소화가 7-8개이고 백색 꽃이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