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왜당귀

    학명 :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귀속(Angelica) target=_blank>당귀속(Angelica)</a>
    이명 : 좀당귀당귀일당귀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털이 없고 엽병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되며 삼각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3개씩 1-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소엽은 길이 5-10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깊게 3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총산경의 윗부분과 소산경 및 소화경의 안쪽에 잔돌기가 있으며 소산경은 길이 3-8cm로서 30-40개이고 소화경은 길이 7-18mm이며 소총포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 :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뒷면의 능선이 가늘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능선 사이에 3-4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과실은 연한 붉은색의 장과이다.
    줄기 : 높이 60-90cm이고 곧게자라며 원줄기는 엽병과 더불어 검은 빛이 도는 자주색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기름당귀(L. hultenii Fern.): 금강산 이북의 해변에 나며 줄기는 속이 비었다. ▶고본(L. tenuissimum Kitagawa): 향기가 강하고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갈래는 선형 엽초가 있다.
    특징 : ▶원래 일본 원산으로 일정시대 일본에서 이식해 온 후 토당귀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풀 전체에 특이한 향취가 있다.
    Read More
  2. No Image

    왜구실사리

    학명 : Selaginella helvetica (L.) Spr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손과(Selaginellaceae) target=_blank>부처손과(Selagine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처손속(Selaginella) target=_blank>부처손속(Selaginella)</a>
    이명 : 왜구슬살이좀비늘이끼
    잎 : 밑부분의 잎은 비스듬히 퍼지거나 뒤로 젖혀지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길이 1.2-1.7mm 나비 1mm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연한 녹색이며 주맥이 희미하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난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mm이다. 포자낭이 달리는 가지의 잎은 모양이 모두 같으며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1.5mm로서 잎 사이가 약간 뜬다. 포자엽은 밑가지의 잎과 비슷하다.

    열매 : 포자낭수는 1개 또는 1쌍씩이며 이것이 달린 가지보다 굵어지지 않는다.
    줄기 : 원줄기와 가지는 짧으며 옆으로 퍼지고 잎과 더불어 지름 2.5-3.5mm이다. 포자낭이 달리는 가지는 곧추서며 때로 1-2회 갈라지고 길이 2-8cm이다.

    분포 : 진안의 마이산 단양 등과 북부지방에서는 낭림산 강계 무산 및 성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Read More
  3. No Image

    왜광대수염

    학명 : Lamium alb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광대나물속(Lamium) target=_blank>광대나물속(Lamium)</a>
    이명 : 광대수염 긴잎털광대수염말광대수염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8cm 나비 3~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며 가장 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위쪽의 잎짬에 윤산화서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5열하고 열편은 3각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상순은 활모양으로 굽으며 털이 밀생하고 하순은 3열하여 밑으로 향하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이며 종자는 4면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네모지며 전주에 털이 있다.

    분포 : 전남 경남(해인사) 강원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 몽고 히말라야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4. No Image

    왜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strigillosa var. yezoensis (Kudo)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무꽃속(Scutellaria) target=_blank>골무꽃속(Scutellaria)</a>
    이명 : 털왜골무꽃 )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둥글며 길이 1.5-3.5cm 나비 1-1.5c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거나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으로서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꽃이 진 다음 길이가 5mm에 달하며 위쪽 겉에 부속편이 있다. 화관은 길이 2-2.2cm로서 밑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서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분과는 반원형이고 길이 1.5mm로서 둥근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줄기는 부드럽고 털이 약간 있으며 능선에만 위를 향한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5. No Image

    왜개연꽃

    학명 : Nuphar pumila (Timm)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수련과(Nymphaeaceae) target=_blank>수련과(Nymph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연속(Nuphar) target=_blank>개연속(Nuphar)</a>
    이명 : 물개구리연 북개연 왜개련꽃 )
    잎 : 잎은 근경 끝에서 나오며 엽병이 길고 엽병은 밑부분이 반원주형이며 2개의 능선이 있고 윗부분은 거의 세모가 지며 수면에 떠 있는 잎은 넓은 난형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8cm 폭 6-9c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뒷면에 잔털이 밀생한다. 잎은 두껍고 표면은 광택이 난다.
    꽃 : 꽃은 8-9월에 긴 화경이 나와 물 위에서 피고 지름 2.5cm정도로서 황색이며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넓은 도란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2-20mm로서 끝이 둥글다. 꽃잎은 주걱같은 도란형이며 길이는 5~7mm로서 끝이 둥글고 많으며 꽃밥은 길이 2.5~3mm로서 타원형이고 수술대는 3~10배 길다. 꽃의 주두반(柱頭盤)은 직경 6~8mm로서 연한 황색이거나 일부분에 붉은빛이 돌며 중앙부에는 돌기가 있고 10~20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상으로 난형이며 길이 3cm로 다실이며 8-9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진흙 속을 옆으로 뻗어가며 굵은 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와 중부의 늪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수생식물이며 관엽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본속에는 2종이 있으며 본종 외에 개연꽃(Nuphar japonicum DC.)이 있다.

    Read More
  6. No Image

    왜개싱아

    학명 : Aconogonon divaricatum (L.) Nakai ex T.Mor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싱아속(Aconogonon) target=_blank>싱아속(Aconogonon)</a>
    이명 : 민산승애 왕싱아 왜개승애 큰바위승애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없어지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는 털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지만 전체가 큰 원추형의 이삭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짧으며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길이 3mm정도로서 깊게 5개로 갈라지며 8개의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은 1개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세모지고 양끝이 좁으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나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광택이 있는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지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긴개싱아(A. ajanense): 왜개싱아에 비해 잎이 길고 좁으며 잔털이 있다. ▶참개싱아(A. microcarpum): 잎은 난상 타원형 난상 피침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분포한다. ▶싱아(A. polymorphum): 잎자루는 짧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 털과 맥이 있다.
    특징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Read More
  7. No Image

    왜갓냉이

    학명 : Cardamine yezoens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냉이속(Cardamine) target=_blank>냉이속(Cardamine)</a>
    이명 : 갓황새냉이 고초냉이 깽깽이냉이 산고추냉이 왜갓황새냉이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엽병은 길이 5-12cm로서 부속체가 없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4cm 폭 7-15mm로서 크기와 모양이 같으나 윗부분의 잎과 뻗는 가지의 잎은 흔히 정소엽뿐이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나 치아상 또는 결각상의 톱니도 나타난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총상화서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각과로서 길이 15-30mm 지름 1-1.2mm이고 종자는 검은 갈색이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 30-50cm이며 밑부분에서 뻗는 가지가 나오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우리 나라 심산지역 및 설악산 이북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8. No Image

    왕호장근

    학명 : 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닭의덩굴속(Fallopia) target=_blank>닭의덩굴속(Fallopia)</a>
    이명 : 왕호장 큰감제풀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둔두 심장저이고 톱니가 없으며 길이 15-30cm 폭 10-20cm 로서 뒷면은 흰빛이 돌고 탁엽은 막질이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서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복총상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며 털이 밀생하고 다수의 잔꽃이 밀착하며 화경이 짧고 작다. 포(苞)는 난형으로 끝이 길며 날카롭다. 화피열편은 5개로서 길이 2mm가량이며 수술은 8개이고 꽃잎은 없으며 바깥쪽 화피열편은 뒷면에 날개가 있고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세모진 난형이며 날개모양의 숙존악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2-3m이고 곧게 자라며 줄기는 원주형으로 속이 비어있으며 녹색이지만 광선이 닿으면 붉어지고 어린순이 죽순같다.
    뿌리 : 근경은 비후하며 겉은 갈색이지만 안쪽은 황색이다.
    분포 : 경북(울릉도)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감절대(R. elliptica): 호장근과 닮았으나 잎이 난형 또는 둥근 모양이다. ▶왕호장(R. sachalinenesis): 줄기는 크고 원통형 속은 비어 있다. 어린 줄기에는 자줏빛의 반점이 퍼져 호피 모양이다. ▶붉은호장근(R. japonica): 꽃과 열매가 붉은색인 고산형의 호장근이다.
    특징 : 호장근에 비해 전초가 대형 잎의 뒤는 분백색이다.
    Read More
  9. No Image

    왕포아풀

    학명 : Poa prat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드럼꾸레미풀 드럼꾸렘이풀 왕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거나 다소 오그라들며 길이 7-20cm 폭 2~4mm로서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절두로서 길이 1-2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8-15cm로서 좁은 난형이며 곧추서고 가지가 2-5개씩 반윤생하며 옆으로 넓게 퍼지고 잔돌기가 있으며 잔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잔이삭은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3-5개의 꽃이 들어 있고 까락이 없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첫째 것은 길이 1.5-2mm로서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2-2.5mm이며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중륵이 뚜렷하며 능각과

    줄기 : 높이가 30-80cm에 달하고 총생하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10. No Image

    왕팽나무

    학명 : Celtis korai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A%90%EB%A6%85%EB%82%98%EB%AC%B4%EA%B3%BC(Ulmaceae) target=_blank>느릅나무과(Ul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팽나무속(Celtis) target=_blank>팽나무속(Celtis)</a>
    이명 : 둥근잎왕팽나무 조선팽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길이 4.5-11.5cm 나비 3.7-7.4cm로서 윗부분이 결각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크고 예리한 톱니나 굴곡형 톱니가 있으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밋밋하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다. 엽병은 길이 7-15mm로서 표면에 홈이 있다. ▶산팽나무는 가장자리의 상반부에만 거치가 있는 반면에 왕팽나무는 기부주위을 제외한 가장자리 하부에까지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잡성화로4-5월에 피고 수꽃은 취산화서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피고 꽃자루는 길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근모양이며 길이 10-30mm로서 털이 없고 검은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지에 털이 없고 이년지에 홍갈색 피목이 있거나 없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북 강원도 및 중부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소교목.
    유사종 : ▶둥근잎왕팽나무 (var. arguta Nak.) : 잎이 넓은 난형이고 윗부분이 결각상으로 되지 않으며 끝이 꼬리처럼 길며 첨두이다. 왕팽나무와 같은 지역에 자란다.

    Read More
  11. No Image

    왕털마가목

    학명 : Sorbus commixta f. rufo-hirtell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가목속(Sorbus) target=_blank>마가목속(Sorbus)</a>
    이명 : 녹마가목 녹빛마가목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이다.잎 뒷면에 성긴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복거치 또는 단거치가 있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꽃 :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지끝에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8-10mm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하는 둥근 이과로서 지름은 5-8mm이다.
    줄기 : 수간은 통직하고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고 동아에 점성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 표고 500-1 200m의 심산 중턱에 자란다. `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잔털마가목(var. pilosa NAK.): 소엽이 길이 9cm 폭 1.8cm이고 뒷면 중륵(中肋)에 백색털이 있다. ▶녹마가목(var. rufo-ferruginea SCHNEID.): 화서 꽃받침통 및 잎 뒷면 특히 중륵에 길고 가는 갈색털이 있다. ▶흰털당마가목(S. amurensis var.lanata Nak.) ▶차빛당마가목(S. amurensis var.rufa Nak.)

    Read More
  12. No Image

    왕초피나무

    학명 : Zanthoxylum corean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왕산초나무 왕좀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윤채(潤彩)가 있고 향기가 강하다. 소엽은 7-13개이며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밑은 좁고 끝은 날카로우며 길이 2~5cm 넓이 1-3㎝로서 정소엽은 엽병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투명한 선점과 더불어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축과 엽낵에 흔히 가시가 있다.
    꽃 : 화서는 짧은 원추화서이며 지름 4-6㎝로 액생하고 꽃은 단성으로서 5월에 피며 꽃잎이 없다. 수꽃은 5-6개의 꽃받침잎과 5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5-8개의 꽃받침잎과 2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붉은빛이 돌고 구형이며 선점(線點)이 있고 길이 5㎜ 지름 4㎜ 내외로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고 소지는 잔털이 있으며 길이 6~20mm의 굵고 굳센 가시가 마주난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700~1 100m 수평적으로 제주도에 야생하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우리 나라 특산으로 제주도 저지대의 계곡이나 해변에서 자라는 희귀종으로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13. No Image

    왕질경이

    학명 : Plantago major var. japonica (Franch. & Sav.) Miyab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질경이과(Plantaginaceae) target=_blank>질경이과(Plant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질경이속(Plantago) target=_blank>질경이속(Plantago)</a>
    이명 : 큰질경이
    잎 : 엽병이 긴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난상 타원형이며 평행맥이 있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0-30㎝ 폭 5-15㎝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밑부분에 얕은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길이 50㎝정도의 화경(花梗)이 나와 윗부분에 많은 꽃이 달리며 화수(花穗)는 화경의 1/3-1/2을 차지하고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포로 싸이고 화관은 막질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고 흑갈색 종자가 10개 정도 들어 있다.
    줄기 : 털과 원줄기가 없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갯질경이 (for.yezomaritima Ohwi) : 잎이 보다 두껍고 윤채가 있으며 남쪽 섬에서 자란다.
    특징 : 마르면 갈색으로 변한다.
    Read More
  14. No Image

    왕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참왕지네고사리
    잎 : 잎은 길이 약 120cm 폭 20-30cm이고 엽병과 엽신 길이의 1/2이거나 같은 길이이며 인편이 밀생한다. 엽병에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막질이고 딱딱하며 넓은 선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짙은 갈색으로서 큰 것은 길이 2cm정도이다. 엽신은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으며 중축에 선형의 인편이 달리고 폭 20~30cm이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폭 2-3cm로서 짧은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1줄로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땅을 기며 끝에서 여러 개의 잎이 뭉쳐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5. No Image

    왕쥐똥나무

    학명 : Ligustrum ovalifolium Hass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똥나무속(Ligustrum) target=_blank>쥐똥나무속(Ligustrum)</a>

    잎 : 잎은 대생하고 두꺼우며 난상 타원형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0cm 폭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3-4mm이다.
    꽃 : 꽃은 가지 끝에 길이 5-10cm인 원추상 총상화서를 이루고 털이 없으며 꽃받침은 술잔 모양이고 톱니와 털이 있으며 화관은 피침형이고 열편이 뒤로 젖혀지며 통부의 절반 크기이다. 꽃밥은 길이 2.5mm로서 수술대보다 길며 6월에 흰색으로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8mm로서 거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11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며 가지는 회색이고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에서는 표고 1 100m 까지 자라고 그 밖에 전남과 경남의 해안 및 섬 지방에서는 해변의 산록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반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쥐똥나무(L. obtusifolium Sieb.)
    특징 : 많은 줄기를 내어 원추형의 수형을 이루며 맹아력이 강하다. 쥐똥나무에 비해 잎이 대형이다.
    Read More
  16. No Image

    왕죽대아재비

    학명 : Streptopus koreanus (Kom.)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죽대아재비속(Streptopus) target=_blank>죽대아재비속(Streptopus)</a>
    이명 : 왕섬죽대 왕섬죽대아재비 좀죽대아재비 큰잎죽대아재비 큰죽대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비늘모양이고 원줄기를 둘러싼다. 윗부분의 잎은 난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자루가 없고 가장자리가 약간 거칠며 표면은 황록색 뒷면은 황백색이고 3-7맥이 있으며 털이 없으나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엽액과 가지끝에서 1송이씩 밑으로 처져 달리고 화피열편은 6개로서 피침형이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보다 짧으며 암술대도 짧고 암술머리는 점모양이다.
    열매 : 장과는 둥근 모양이고 붉은 색을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중앙에서 2개로 갈라져 비스듬히 퍼진다.

    분포 : 경북 및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7. 왕제비꽃

    학명 : Viola websteri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왕오랑캐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잎은 비늘 모양으로 퇴화되고 윗부분의 것은 짧은 엽병이 있으며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cm이며 소포는 중앙 위쪽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6mm이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파지며 꽃잎은 길이 12-13mm로서 측판 내부에 털이 없고 순판은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40-60cm이고 털이 있다.

    분포 : 경기도 가평 함경북도 백두산 ▶충청북도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551m)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3)-분포지가 중부 이북에만 생육한다고 알려졌으나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국사봉에서 발견되었다.(551m)
    file
    Read More
  18. No Image

    왕잔디

    학명 : Zoysia macrostachya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디속(Zoysia) target=_blank>잔디속(Zoysia)</a>
    이명 : 큰잔디
    잎 : 잎은 호생하여 옆으로 퍼지며 피침형이고 길이 3-5㎝ 나비 2-4㎜이지만 말려서 지름이 1-2mm로 되며 엽초 윗부분에 백색 털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5-20cm로서 잎과 화수(花穗)가 달리지만 잎만 달리는 것이 많다. 화경 끝에서 6월경에 길이 3-4cm 지름 6-8mm의 화수가 자라서 꽃이 밀생하고 소수(小穗)가 들어 붙는다. 포영은 1개로서 길이 6-8mm 나비 1.8-2.2mm이며 호영은 도피침형으로서 1개이고 길이 2mm이하이며 털이 없다.

    줄기 :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9. No Image

    왕잔대

    학명 : Adenophora tyosenensis Nakai ex T.H.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잎은 5장씩 윤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거의 엽병이 없으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8cm 나비 3cm이고 표면에 비듬같은 털이 다소 밀생하며 뒷면 주맥 위에 긴 백색 털이 산생하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피침형이고 거의 밋밋하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자주색으로서 종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과 화서축에 원줄기와 더불어 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통부보다 길고 밋밋하며 통부와 더불어 털이 다소 있고 화관은 거의 길이 15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밖으로 훨씬 나와 있고 윗부분이 굵으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종선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다소 밀생한다.

    분포 : 전라북도 덕유산 함경남도 부전 고원의 산지 등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

    특징 : 잔대보다 전체가 크고 잎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Read More
  20. No Image

    왕작살나무

    학명 :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편초과(Verbenaceae) target=_blank>마편초과(Verbe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작살나무속(Callicarpa) target=_blank>작살나무속(Callicarpa)</a>
    이명 : 왕작살
    잎 : 잎은 대생하고 도란형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0~20cm 폭 4~7cm이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취산화서는 액생하고 지름 1.5-3cm로서 처음에는 성모가 약간 있으며 화관통은 길이 2-2.5mm로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구형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 : 가지가 굵으며 성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민작살(var. glabra Nakai): 전체에 털이 없는 것. ▶흰작살(var. leucocarpa Nakai): 열매가 백색인 것. ▶송금나무(var. taquetii Nakai): 잎의 길이가 3㎝ 내외인 것.
    특징 : 생장이 빠르고 싹트는 힘도 왕성하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48 Next
/ 248